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PO인수주간사의 이해상충에 관한 연구 : 주간사의 조사분석업무를 중심으로

        이진호,이호선,최운열 한국재무학회 2010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08

        본 연구는 국내 금융투자회사가 영위하는 업무에서 발생가능한 이해상충현상을 분 석하였다. 특히 IPO기업에 대한 인수주선업무를 담당한 금융투자회사 사내 리서치센 터 애널리스트의 조사분석업무를 중심으로 이들이 이해상충현상을 야기하는지, 이들이 속한 금융투자회사의 업무구조가 이해상충현상을 야기할 개연성은 없는지 확인하였다. IPO인수주간사 소속애널리스트는 다양한 이유로 이해상충현상을 야기할 수 있지만, 이와 관련한 직접적인 유인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다만, 관계애널리스트의 조사분석 업무가 인수주선업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사후적으로 이들의 이해상충유발 가능성이 존재함을 확인한 연구(Lin and McNichols(1998) 등)와, 또는 자신들의 평판 을 유지하려는 애널리스트들에게는 이해상충유발가능성이 적다는 상반된 결과의 연구 등이 공존한다(Cowen et al.(2006) 등).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관계애널리스트가 조 사분석업무 수행 시 인수주선업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들이 속한 금융투자회사의 속성을 기초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 금융투자회사의 애널리스트는 IPO기업에 대한 분석보고서 발행 시 이들 기업의 저가발행현상에 대한 이익을 추구할 목적으로 조사분석업무를 수행하는 것으 로 보인다. 특히 IPO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분석보고서를 발행한 애널리스트는 IPO저가발행현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유인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널리스트가 IPO기업에 대한 분석보고서를 발행할 때 자신이 속한 금융투자회사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이해상충유발가능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자산운용사와 계 열관계에 있을 경우 이해상충유발가능성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자본구조 의사결정에 어느 요인이 더 중요한가?

        김수은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199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자본구조 의사결정에 어느 요인이 더 중요한가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에 관한 자본구조변수들도 기업의 자본구조를 유의하게 설명한다. 자본구조변수 중에서, M/B 비율은 성장기회 변수로서 레버리지에 유의한 양(+)과 음(-)의 영향을 미치고, 유형성 비율은 담보가치 변수로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며, 수익성 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기업규모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 감가상각비 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배당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며, 연구개발비 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판매 및 일반관리비 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며, 재무적자 비율은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의 기업특성변수들이 레버리지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위회귀분석으로 분석해본 결과, 유형성 비율, 수익성 비율, 감가상각비 비율, 배당 비율, 연구개발비 비율 및 판매 및 일반관리비 비율은 대부분의 분위에서 레버리지 비율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유형성 비율, 기업규모 및 재무적자 비율은 대부분의 분위에서 레버리지 비율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M/B 비율은 레버리지 비율에 미치는 영향이 혼재되어 나타났고, 기업규모는 저분위에서는 레버리지 비율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고분위에서는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건성 검정의 차원에서 내생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여도 연구결과는 일치하였다. 따라서 장부가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시장가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와 대부분 일치하고,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에 근거한 자본구조변수들이 실제적으로 자본구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충이론변수들이 자본구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증권시장에서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의 기업특성변수들이 기업의 자본구조를 실질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한다. 다시 말해, 집단의 대표치로 평균값을 사용한 선형회귀분석과 집단의 대표치로 중앙값을 사용한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해본 결과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의 기업 특성변수들이 자본구조에 실질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특히 상충이론변수들이 자본구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 경영자들은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본구조를 결정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analyses empirically which factors are more important in capital structure decisions of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and Kosdaq Market of Korea Exchange from January 1, 1999 until December 31, 2009.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and pecking order theory such as M/B ratio, profitability ratio, non-debt tax shield, dividend ratio, research and development ratio, 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 expense ratio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everage ratio, but tangibility ratio, firm size and financing deficits ratio have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everage ratio.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and pecking order theory significantly explain leverage, but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impact more on leverage than the latter theory. As part of a robust test that consider endogeneity problems, the results proved to be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ing quantile regression considering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wo theories, results yiel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everage ratio. On M/B ratio and firm size, M/B ratio has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n leverage. Firm size with low quantile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everage, but firm size with high quantile has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everage. In conclusion, managers of firms should consider a variety of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and pecking order theory to maximize their firm value. This paper is basically limited in considering a variety of factors in compan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sample firms and control variables, and use more elaborate analysis methods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후보

        교통상충기법을 이용한 도로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김중효 ( Kim Joong-hyo ),박정순 ( Pakr Jung-soon ),현철승 ( Hyun Chul-seng ),주두환 ( Joo Doo-hwan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5 교통안전연구 Vol.34 No.-

        신호교차로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교통사고 자료를 이용한다. 그러나 사고자료를 확보하고 분석하는데 다소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자료의 신뢰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교차로의 안전을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극복하고 대체하고자 그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는데 가장 폭 넓게 사용되는 도로의 평가 중의 하나가 “교통상충기법”이다. 그러나 교통상충기법에 있어서 상충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판단의 부족으로 자료의 객관성에 문제점을 보이고 있어 최적화된 분석방법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공학 이론을 배경으로 객관적이고 비교적 정확한 기준을 정립하여 교차로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에 실제 상충과 사고자료와의 순위상관관계분석으로 교차로 전체의 상대적인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사고건수 유형별 위험순위와 유의한 상충측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추돌유형상충은 선행차량 제동에 대하여 추종차량의 급제동이 요구되는 상황으로 안전차두 시간 1.30초를 측정기준으로 하였다. 둘째로, 측면충돌유형상충은 차로변경 행태와 관련하여 차로변경 차량에 의해 차로변경 대상차로에서 주행하던 차량이 감속 등의 회피조작을 필요로 하는 상황으로서, 안전시간 1.30초를 측정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위 두 항목을 기준으로 측정된 상충수의 합은 교차로 전체의 사고건수 위험순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교차로 전체의 상대적인 위험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충기법 연구가 보다 객관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교차로의 상대적인 위험수준을 평가할 때에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has been the most direct measure of safety for a signalized intersection. But The engineers sometimes use alternative measures to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because there are problems of collection time and limitation on accuracy for accident data. One of the most widely used alternative measures is the Traffic Conflict Techniques. The TCT, However, has the lack of clear criteria for conflict. Being based on transportation theory, this study makes an objective and relatively accurate conflict measurement criteria. Also, in this study, related risk level of intersection is measured by the rank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real accident data. As a result of this study, a conflict measurement criterion that is significant with risk rank of accident by case is as follows. : First, rear-end conflict occurs when the first vehicle brakes while approaching or passing through the intersection, placing a second, following vehicle needed sharp brakes. The measurement criterion of safety time headway is 1.30sec. Second, related to lane-change behavior, sideswipe conflict occurs when the first vehicle changes from one lane to another, thus placing a second, following vehicle in the new lane passing the critical point of lane change. The measurement criterion of safety time is 1.30 sec. The sums of conflict numbers measured by the criteria of two conflict types are also significant with risk rank of a intersection accident number. In conclusion, these two types of criteria will ascertain the relative risk level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With this method, conflict studies will be accomplished more objectively and relative risk level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will be estimated with more speedy treatment.

      • KCI등재

        재무분석가의 증권인수업무관계, 주식추천의견 낙관주의 및 NASD Rule 2711의 도입 : 재무적 곤경 기업을 중심으로

        황인덕(Hwang Induck) 한국산업경영학회 2016 경영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피추종기업과 재무분석가의 증권인수업무관계로 인한 주식추천의견 낙관주의가 피추종기업이 재무적 곤경에 처한 경우에도 존재하는지, 또한 새로운 제도의 도입이 증권인수업무관계 와 주식추천의견 낙관주의 사이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위해, 주식추천의견 낙관주의를 1) 부정적 추천의견을 발행하는 성향과 2) 부정적 추천의견을 발행하는 시기로 구분한다. 1993-2012년 기간 동안 미국에서 발행된 주식추천의견을 이용한 분석결과, 추종하는 기업이 재무적 곤경에 처한 경우 재무분석가가 부정적인 주식추천의견을 발행하는 경향은, 해당 기업과 재무분석가가 속한 증권회사가 과거 증권인수업무관계를 가졌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편의는 NASD Rule 2711 도입 이후 사라지는 것 을 확인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추종하는 기업이 도산하게 되는 경우 재무분석가는 피추종기업과 증권인수업무관계가 있을 때 부정적인 소식의 전달을 늦추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NASD Rule 2711 도입 이후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재무분석가와 피추종기업 간의 증권인수업무관계는 해당 기업이 재무적 곤경에 처한 경우에도 이해상충을 발생시킨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NASD Rule 2711은 재무분석가의 증권인수업무관계와 주식추천의견 낙 관주의 사이의 관계를 근절하였으며, 이로 인해 재무적 곤경에 처한 기업에 대한 주식추천의견의 유용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재무분석가가 증권인수업무관계에 의해 낙관적 인 주식추천의견을 발행할 때 감수해야하는 비용을 Rule 2711이 증가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Rule 2711과 유사한, 소속 증권회사의 주식추천의견의 분포를 공시하도록 요구하는 제도가 도입되었으나, 여전히 전체 주식추천의견 중 부정적인 의견의 비율은 매우 낮 은 실정이다. 이에, 동일한 제도가 미국과 우리나라에서 왜 차별적인 결과를 초래했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recommendation optimism by affiliated analysts exists for financially distressed firms and how the implementation of NASD Rule 2711 has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t affiliation and recommendation optimism. To examine the issue, I classify recommendation optimism based on 1) the likelihood of issuing negative recommendation and 2) the timing of issuing negative recommendation. Using stock recommendations issued in the U.S. during 1993-2012, I find that affiliated analysts are less likely to issue negative recommendations for financially distressed firms than unaffiliated analysts. However, such bias disapp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NASD Rule 2711. Similarly, affiliated analysts generally tend to defer the delivery of bad news of bankrupt firms, whereas the tendency also disappears after the passage of the rule. My findings suggest that analyst affiliation generates conflicts of interest even for financially distressed firms.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NASD Rule 2711 has sev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t affiliation and recommendation optimism, implying that the rule has increased the costs of recommendation optimism by affiliated analysts, and thereby improved the usefulness of stock recommendations for financially distressed firms. Recently, although a regulation similar to the provision in Rule 2711, which requires disclosing the distribution of stock ratings issued by brokerage firms, was introduced in Korea, the proportion of negative recommendations is still very low. Future research about the differential effect of the regulation between Korea and the U.S. is requested.

      • SSAM 모형을 이용한 LPI 효과분석

        김동관(KIM, Dongkwan),박상준(PARK, Sangjun)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5 No.-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에서 보행자 안전의 향상을 위한 LPI 기법의 적용 효과를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SSAM모형과 VISSIM을 이용하여 효과를 현실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법을 적용하여 LPI의 효과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LPI 기법을 적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효과를 개략적으로 산정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ISSIM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시 횡단보도 링크와 커넥터를 중첩되게 설정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둘째, LPI 효과 영향분석에는 효과척도 값의 변화보다는 상충횟수의 변화를 효과산정의 기준으로 사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LPI 적용 효과는 교통량과 보행량의 수준과 관계없이 현저하였다. LPI 지속시간의 경우 최소 5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한 것으로 판단되며, 안전측면에서는 7초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차로 기하구조의 경우 부도로의 차로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충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LPI기법 적용전의 상충횟수에는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97% 감소된 것으로 분석되어 안전측면에서의 효과가 매우 현저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중앙버스전용차로 분리형 횡단보도 무단횡단 억제시설 효과평가 - 숙명여대 입구 중앙버스정류소 횡단보도부를 중심으로 -

        김진태,김준용,배현식,이동일 한국ITS학회 2014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3 No.6

        도로 중앙에 설치된 중앙버스전용차로 상의 안전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 자의 통행행태를 검토하고 잘못된 통행행태를 억제하기 위한 물리적 차단시설의 안전성 증진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무단횡단이 다수 관측되는 ‘숙명여대입구 정류장’의 ‘분리형 횡단보도’ 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횡단보행행태 영상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영 상속 총 19,649인의 횡단행태를 분석하였고 개개인의 횡단행태를 시공간적으로 분류하였다. 전체 횡단행태 중 약 42%가 위반행태 였으 며, 이 중 시간적 위반행태는 8.5%에 해당된다. 시간적 위반 행태를 억제하기 위한 시설로서 보행신호와 연동하여 진출입부를 물리적으 로 차단하는 시설의 설치상황을 개선안으로 설정하였다. 해당 시설 설치시 현행법을 위반하는 횡단행태가 정상적인 행태로 개선 가능한 지를 판단하였고 이에 따라 현황과 개선 상황에 맞는 보행패턴과 보행량을 결정하였다. 각각의 보행자료를 바탕으로 VISSIM을 이용한 보행모의실험을 수행하였고, FHWA에서 제공하는 상충분석 도구 SSAM을 이용하여 상충발생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앙섬 및 노변보도측 횡단보도 진출입부 8개소에 물리적 차단시설을 설치한 경우 상충발생가능성이 약 24.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has reported that a median bus-stop island on an exclusive median bus lane (EMBL) has shortened a crossing distance unit, encouraged a pedestrian’s illegal crossing, and increased the number of accidents in the area. This study presents (1) the analysis of inappropriate pedestrian crossing patterns collected on exclusive median bus corridors and (2) the estimated performance of safety barriers restraining the occurrence of those. Total 19,649 pedestrian crossing data collected at the ‘Sookmyung-university’ median bus-stop, and the inappropriate pedestrian crossing patterns among those were grouped in terms of time and space violations. Physical safety barriers restraining illegal pedestrian crossings wer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and its performance in safety was quantified through microscopic simulation with conflict analyses by using 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l. The findings suggest the number of conflicts reduced be 24.9 percentages compared to the one of the present condition when the physical safety barriers are placed at each of the eight ends of the EMBL pedestrian crossing.

      • KCI우수등재

        도심부도로 자율주행차 운행 대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IoT 교통안전시설 효과평가 연구

        빈미영(BHIN, Miyoung),손슬기(SON, Seulk)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6

        자율주행차가 앞으로 몇 년 안에는 일반차와 혼재되어 교차로가 있는 도심부에서 운행할 것인데 자율주행차가 안전하게 운행되기 위해서는 도로상의 주행규제정보를 제공하는 IoT교통안전시설 설치와 보급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IoT교통안전시설이 실제 도로상에 설치되었을 때의 효과평가를 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도로를 구현하여 도로안전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IoT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하였을 경우와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해 VISSIM을 활용해 자율주행차 도입비율(0%, 10%, 30%, 50%, 70%, 100%)에 따라 구간별 링크의 밀도, 지체, 속도, 교통량, 상충이 개선되는지, 교차로 연료소모량, 차량지연, 대기열길이를 평가하였고 SSAM을 활용해 시나리오별 상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oT 교통안전시설이 있을 때와 없을 때 모두 자율주행차 도입비율이 높아질수록 도로의 효율성 및 안전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IoT 교통안전시설이 없을 때, 자율주행차 100% 도입시 자율주행차 0% 대비 링크의 지체는 31.2%, 노드의 대기열길이는 31.7%, 상충은 14.5%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IoT 교통안전시설이 있을 때, 자율주행차 100% 도입시 링크의 지체는 26.9%, 노드의 대기열길이는 29.1%, 상충은 16.5%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oT 교통안전시설 중 속도제한표지를 설치했기 때문에, IoT 교통안전시설 설치 전에 비해 설치 후 링크와 노드의 효율성이 개선되지는 않았으나, 총상충건수와 차량1대가 경험하는 상충건수는 설치 후에 더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속도제한 정보로 인해 구간의 속도가 규칙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결론적으로 상충건수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urgently needed for a safe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 to install and supply IoT traffic control devices that provide the information of driving regulation on the roads, given the expectation of the mixed traffic of autonomous vehicles and ordinary vehicles on the crossroads in the city center in a couple of years. The current study suggests a method to evaluate the road safety and efficiency of IoT traffic safety facilities using a simulation where the facilities are virtually installed on the real roads. The current study employs VISSIM to evaluate the density, delay, speed, traffic volume, conflict mitigation, fuel consumption on the crossroads, congestion, and que length according to the autonomous vehicle installation ratios of 0%, 10%, 30%, 50%, 70% and 100%, given the conditions with and without the installation of IoT traffic control devices. The study also employs SSAM to analyze the conflicts by scenario. The analysis found that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roads are improved when the autonomous vehicle installation ratio increases with and without IoT traffic control devices respectively. When no IoT traffic control devices are installed, the link delay, node que length, and conflict are improved by 31.2%, 31.7%, and 14.5%, respectively, from 0% to 100% of autonomous vehicle introduction. Also, when IoT traffic control devices are installed, the link delay, node que length, and conflict are improved by 26.9%, 29.1%, and 16.5%, respectively, given 100% of the autonomous vehicle introduction. Due to the installation of speed limit, an IoT traffic control devices, no improvement of link and node efficiency is achieved after the installation of IoT traffic control devices. The total number of conflicts and the number of conflicts per vehicle are improved after the installation. This may imply that the speed limit information systematically reduce the link vehicle speed and after all, affect the number of conflicts.

      • KCI등재

        유전자 알고리즘과 신경망 이론의 결합에 의한 신호교차로 위험도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김중효(Kim Joong-Hyo),신재만(Shin Jae-Man),박제진(Park Je-Jin),하태준(Ha Tae-Jun)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0 No.4D

        2010년 말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등록대수는 1,748만 대에 육박할 정도로 비약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는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인 교통사고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인명피해 및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전자 알고리즘과 신경망 이론의 결합에 의한, 향상된 신호교차로 위험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여, 장래 교통사고 안전대책 수립시 근간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교통사고와 교통혼잡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접근로별 교통량과 도로 기하구조 요소를 파악하였고, 교통사고와 교통상충간의 순위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파악하였으며, 교통사고와 교통상충을 적용한 선형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두 번째로, 유전자 알고리즘과 신경망 이론의 결합에 의한 신호교차로 위험도 예측모형은 신호교차로 교통량 및 도로 기하구조 요소, 교통상충의 특성변수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신호교차로 교통사고건수 실측값과 개발모형의 예측값에 대한 적합도 분석을 통해 신뢰수준을 검증한 결과, 개발모형의 신뢰도와 정확도가 기존의 모형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통사고위험도 예측모형을 신호교차로 교통안전정책 수립과 교통안전개선사업에 사용할 경우, 전반적으로 교통안전관련사업의 비용/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2010, the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reached almost at 17.48 millions in Korea. This dramatic increase of vehicles influenc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which is one of the serious social problems and also to soar the personal and economic losses in Korea. Through this research, an enhanced intersection hazard prediction model by combining Genetic Algorithm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will be developed in order to obtain the important data for developing the countermeasures of traffic accidents and eventually to reduce the traffic accidents in Korea. Firstly,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road geometric features on the traffic volume of each approaching for the intersections where traffic accidents and congestions frequently take place and, a linear regression model of traffic accidents and traffic conflicts were develop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accidents and traffic conflicts throug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s. Secondly, this research also developed an intersection hazard prediction model by combining Genetic Algorithm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through applying the intersection traffic volume, the road geometric features and the specific variables of traffic conflicts. Lastly,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the developed model is better than the existed forecasting models in terms of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by comparing the actual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nd the predicted number of accidents from the developed model. In conclusion, it is expect that the cost/effectiveness of any traffic safety improvement projects can be maximized if this developed intersection hazard prediction model by combining Genetic Algorithm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use practically at field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SSAM 모형을 이용한 LPI 효과분석

        김동관,박상준 대한교통학회 2019 대한교통학회지 Vol.37 No.3

        In this study, a methodology using the VISSIM simulation model and the 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l (SSAM) was utilized to quantify the impacts of the leading pedestrian interval (LPI) technique. It was found that the modeling of right-turn vehicles and pedestrians is the most essential factor affecting realistic behaviors. In order to model the realistic conflicts between right-turn vehicles and pedestrians in VISSIM, the properties of the links and connectors representing crosswalk and right-most lane should be set properly. Specifically, the connector on which right-turn vehicles run should be overlaid with the link representing crosswalk. The impacts of the LPI technique were systematically quantified with the developed simulation model. After the runs of VISSIM simulation model, the conflic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S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onflicts between right-turn vehicles and pedestrians significantly decreases after the LPI technique is implemented. Additionally, it was noted that the 7 seconds of the LPI duration results in the most effective result than the other LPI durations. Finally, the impacts of the LPI technique were quantified when it is implemented in the major intersections in Gwangju. The impacts were varied based on the geometric features of the intersections. The number of conflicts was decreased by more than 92.8%. 본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에서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leading pedestrian interval (LPI) 기법의 적용 효과를 산정하기 위하여, 미국 연방고속도로 관리국에서 개발된 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l (SSAM)과 미시교통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VISSIM을 이용하여 효과를 현실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LPI 기법 적용에 따른 효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LPI 기법의 효과를 산정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함에 있어 VISSIM 모형의 구성 요소인 횡단보도 링크와 커넥터를 중첩되게 설정하여야 현실감 있는 상충을 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모형을 이용하여 산출된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PI 적용 효과는 교통량과 보행량의 수준과 관계없이 현저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LPI 지속시간의 경우 일반적으로 소통과 안전측면에서 최소 5초 이상으로, 안전측면에서는 7초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광주광역시의 주요 교차로 중 LPI기법 적용이 가능한 교차로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한 결과 교차로의 기하구조 여건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92.8% 이상 상충횟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메타분석을 이용한 화물차 군집주행의 효과 분석

        김예진,정하림,고우리,박중규,윤일수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1

        군집주행이란,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선두 차량과 차량 탑재 센서 및 V2V, V2I 통신을 활용하여 선두 차량의 주행 경로를 따르는 한 대 이상의 추종 차량이 하나의 군집을 이루며 주행하는 형태를 말한다. 그중 화물차 군집주행은 증가하는 화물량 및 교통물류 체계 첨단화 수요에 맞추어 등장하였으며, 도입 시 도로 용량 증대, 인건비 절감, 연료 소비량 절감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승용차에 비해 화물차의 자율주행 관련 연구 및 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물차 군집주행의 효과를 주 제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기존의 군집주행 효과 관련 연구 결과를 하나의 신뢰도 높고 일반 화·객관화된 요약 추정치로 통합하였다. 결론적으로, 군집주행 도입 시 13.93%의 용량 증가, 38.76%의 상충 감소, 8.13%의 연료 소비량 감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latooning refers to a form in which one or more following vehicles along the path of the leading vehicle(directly driven by the driver) drive in one platoon using V2V, V2I communication and vehicle-mounted sensor. Platooning has emerged in line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cargo volume and advanced transportation logistics systems, and is expected to have effects such as increasing capacity, reducing labor costs, and reducing fuel consumption. However, compared to general passenger cars, research on autonomous driving of trucks and verification of their effect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heme of the effect of truck platooning, and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related to platooning effects were integrated into one reliable, generalized, and objective summary estimate. In conclusion, it was analyzed that the introduction of truck platooning would have an effect of 13.93% increase in capacity, 38.76% decrease in conflict, and 8.13% decrease in fuel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