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해상도 격자형 상대습도 자료 산출을 위한 객관분석 간 비교 및 지리적 특성에 따른 장기변화 경향 분석

        차소영,서명석,류승오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상대습도는 대기의 수증기의 양을 설명하는 변수 중 하나로 기온에 영향을 받는다. 상대습도는 시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구름, 안개, 스모그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침은 물론, 증발산을 조절함으로써 수문학 과정과 지표 에너지 수지 과정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강수의 발달을 포함한 수권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대습도의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상대습도는 지구온난화와 도시화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줌에도 불구하고 기온과 강수량 같은 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2015 2019)동안의 기상청의 ASOS, AWS 지상관측소에서 관측한 일평균 상대습도 자료에 가장 보편적인 객관분석 기법인 IDW[Inverse Distance Weighted]와 MK[Modified Korean]-PRISM[Parameter-elevation Regression on Independent Slopes Model] 기법을 적용하여 1km 고해상도 격자형 자료를 생산하였다. 이렇게 생산된 고해상도 자료를 이용하여 연평균⦁계절 평균, 경년 변동성 및 변동경향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두 방법으로 산출된 자료의 검정은 Jackknife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IDW의 객관분석 기법이 MK-PRISM보다 산출 수준이 높았다. 이를 통해 상대습도의 경우 고도 등 지리적 환경을 적게 받음을 확인했다. 5년 연평균 상대습도의 경우 65 75% 사이의 분포를 보이며 서고동저의 양상을 보이는 반면 경년 변동성(변동계수)은 반대로 동고서저를 보이고 있다. 계절 평균의 경우 몬순의 영향으로 여름, 가을, 봄, 겨울 순으로 높게 나타나지만 경년변동은 겨울, 봄, 가을, 여름으로 역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경년변동성의 경우 연평균의 공간 분포와 정반대의 공간분포를 보였다(평균: 서고동저, 경년변동: 동고서저). 특히 봄철의 경우, 평균과 경년 변동성의 동서 방향에서의 지역적인 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상대습도의 기후학적 특성변화와 그 원인 분석을 위한 분석도 진행하였다. 30년간 연속적인 관측을 수행하고 있는 67개의 지점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와 도시화가 상대습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IS정보[해양도]와 GK2A의 지면 피복 자료를 이용했다. 해안-도시, 경작지, 기타, 내륙-도시, 경작지, 기타로 6개로 분류한 후 Mann-Kendall 검정 통계량과 유의수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기온과 노점온도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상대습도는 해양도 및 지면 피복에 따라 다양한 변화경향을 보였다. 지난 30년간 기온은 전반적으로 상승했지만 노점 온도는 해안과 내륙의 변화 경향에 큰 차이가 있었다. 특히 도시-내륙에서의 감소 경향이 두드러지며 증가를 보인 계절에도 다른 지면 피복에 비해 가장 적은 증가 경향을 보였다. 상대 습도의 변화 경향은 노점 온도의 변화 경향과 상당 부분 일치하였는데, 상대습도의 감소 경향은 도시화로 인한 지연 피복의 감소가 일으킨 현상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상대습도에 따른 해조류 분말의 미생물 안정성 및 품질특성

        이교연,김아나,이혜영,표민정,최성길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다양한 상대습도(11~93%) 조건에서 해조류의 미생물 안정성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생물 안정성은 저장 중대장균군, 일반세균, 효모 및 곰팡이수를 분석하였다. 일반세균은 상대습도 69~93%에서 4.40~7.00 log CFU/g, 효모 및 곰팡이는 4.20~6.40 log CFU/g로 상대습도 69%이상 조건에서 일반세균, 효모 및 곰팡이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고결현상은 상대습도 11~53% 조건에서는일어나지 않았으나 69, 81, 93% 조건에서는 각각 86.9, 99.45, 99.98%로 높은 고결현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상대습도가 높아질수록L값과 b값이 감소하였고, a값이 증가하여 갈변현상이 일어났다. 또한, 총 페놀함량(9.10~8.66 mg GAE/100 g dw), ABTS 소거능(24.20~24.18 mg AAE/100 g dw), FRAP(15.34~15.33 mg Fe(II)/100 g dw)활성은 저장 중 상대습도 11~33%에서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상대습도43~93%에서 저장 중 총 페놀함량(8.66~4.00 mg GAE/100 g dw), ABTS(22.57~4.50 mg AAE/100 g dw), FRAP(13.06~4.00 mg AAE/100 g dw)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습도 81% 조건에서 ABTS 및 FRAP이 1/3배로 감소하였고, 93% 조건에서 총 페놀함량, ABTS 및 FRAP이 각각 1/2배, 1/5배, 1/3배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일반세균, 효모 및 곰팡이의 성장 억제, 고결현상 방지, 갈변억제, 높은 총 페놀함량과항산화활성 유지를 위해서는 상대습도 53% 이하의 조건에서 보관하는 것이 미생물 안정성 및 품질특성 유지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외기습도에 따른 초미세먼지 농도측정과 그 영향

        이주한(Juhan Lee),이정훈(Jeonghoon Lee),최용주(Yongjoo Choi),정창훈(Chang Hoon Jung),박종성(Jong-Sung Park),신혜정(Hye-Jung Shin)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5 No.3

        대기 중 수증기는 미세먼지의 흡습 성장을 야기하고, 입자상 물질의 측정에 있어 오차를 수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측정기 내부의 습기가 측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1년간 연속으로 측정된 외기습도, 측정기기 상대습도, PM2.5 및 광산란계수를 관찰했다. 기기 상대습도가 저습으로 유지되는 기간과 그렇지 않은 기간 동안 광산란계수 ≤ 200 Mm<SUP>-1</SUP>와 PM2.5 ≤ 90 ㎍/m³에서 질량산란효율을 계산했고, 저습일 때 PM2.5와 광산란계수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간 대기 절대습도를 이용해 실제 습기량이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겨울철과 여름철의 외기절대습도 평균은 각각 0.34%와 1.84%로 기기 상대습도가 50%에 도달하는 시간은 약 668일과 46일로 예측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외기절대습도에 따른 기기 상대습도의 시간에 대한 변화를 선형 회귀분석해 확산건조기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humidity inside the instrument on the measurement of PM2.5 and the scattering coefficient. For one year, at three sites, we monitored the (i) ambient humidity, (ii) relative humidity (RH) inside the scanning mobility particle spectrometer (SMPS) and the nephelometer, (iii) PM2.5 concentration, and (iv) scattering coefficient. The correlation between PM2.5 and scattering coefficient was better at low humidity than at high humidity. We calculated the actual amount of water vapor from the annual variation of atmospheric absolute humidity (AH) to analyze the effect of humidity on instruments. The average ambient AH during winter and summer is approximately 0.34% and 1.84%, respectively. It is calculated that the RH inside the instrument reaches 50% in approximately 668 days in winter and 46 days in summer. It is the hallmark of this study to predict the lifetime of a diffusion dryer using the linear regression of the change in RH of the instruments according to ambient AH.

      • KCI등재

        한국의 도시 규모별 습도 변화에 관한 연구

        고명찬(Myungchan Ko),이승호(Seungho Lee)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1

        이 연구에서는 지난 58년(1954~2011년) 동안의 관측 자료를 보유한 14개 기상관측소의 일평균 상대습도, 일평균 수증기압을 분석하여 도시 규모별 습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연평균 상대습도는 분석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며, 도시에서 비도시보다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계절별로는 봄철과 겨울철에 상대습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고, 여름철에는 변화율이 작다. 연평균 수증기압은 변화 경향이 뚜렷하지 않고, 도시 규모에 의한 변화율 차이가 명확하지 않다. 상대습도와 평균기온 사이에는 음의 관계가 있으며, 도시 규모에 따른 상대습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상대습도와 수증기압 사이에는 양의 관계가 있지만, 도시 규모에 따른 수증기압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다. 한국에서 상대습도가 감소하는 경향은 도시화에 의한 기온상승 경향과 상당히 일치하지만, 수증기압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humidity by city size in South Korea. Using daily mean relative humidity and water vapor pressure during the period of 1954~2011 for 14 weather stations in South Korea, the change of humidity by city size was analyzed. The change of relative humidity had a continuous decreasing trend for the period of 1954~2011. The decreasing trend in large city was bigger than these of rural one. The seasonal relative humidity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spring and winter. The change of water vapor pressure was rarely changed significance of the results by city size. It was not shown the result to constant trend by city siz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lative humidity and mean temperature. And change of relative humidity was correlated with city size. Moreover, there was not correlation between relative humidity and water vapor pressure by city size. The decreasing trend of relative humidity was similar to increasing trend of temperature by urbanization. However, there was not shown significant result of water vapor pressure.

      • KCI등재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의 보존환경 및 미기상 분석

        박성미,이찬희,이명성,김사덕,Park, Sung-Mi,Lee, Chan-Hee,Lee, Myeong-Seong,Kim, Sa-Du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9 자원환경지질 Vol.42 No.1

        The stone Buddha and Shrine of Unjusa temple (Korean Treasure No. 797) at Hwasun formed in Koryo Dynasty is unique style which faces each other the back parts of south and north within the stone Shrine. The stone Buddha and Shrine is highly evaluated in historical, artistic and academic respects. But, the stone properties have been exposed in the open system various aspects of degradations weathered for a long time without specific protective facilities. To inquire into relative deterior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f the stone Buddha and Shrine were monitored for a year of the indoor and outdoor,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temperature shows increase and decrease according to the seasons in the tendency to clear. While the relative humidity is high to keep all four seasons. Highly relative humidity environment induces dew condensation on the interior of stone Buddha and Shrine. The dew condensation is recorded at the spring, summer and winter season. The summer season is double the total of spring and winter season. In the case of summer, dew condensation is long time continued due to high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at is kept by more than nearly 100%. There is progress towards chemical weathering throughout dissolve rock properties and alteration on the rock surface. In the case of winter, dew condensation is not kept for a long time as summer. In the winter, which showing a below zero may add physical weathering throughout moisture that happen by dew condensation to repeat freezing and thawing. Therefore, the reduction plan of the relative humidity effect on dew condensation should be prepared.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보물 제797호)은 고려시대 양식을 갖추고 있는 석조문화재로서 우리나라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거대한 석조불감이다. 남쪽과 북쪽의 감실 내부에는 각각의 불상이 등을 맞대고 있는 쌍배 좌상의 독특한 양식을 보이고 있어 역사적, 미술사적 및 학술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 석조불감은 특별한 보호시설 없이 옥외에 노출되어 장기간 풍화를 받아 다양한 훼손양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인 훼손 및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석조불감 내부와 외부의 온도분포와 상대습도를 일년간 모니터링 하였다. 이 결과, 석조불감의 기온 및 상대습도 연중변화는 일정한 변동률의 폭으로 증감을 반복하며 기온은 계절에 따라 상승과 감소의 경향을 뚜렷이 보이는 반면, 상대습도는 사계절 모두 높은 습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조불감의 내부는 높은 상대습도로 인해 표면 결로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봄, 여름 및 겨울철에 관찰된다 특히 여름철은 봄과 겨울철의 합보다도 2배정도 높게 나타나며, 기온이 높고 상대습도가 거의 100%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결로현상이 오랫동안 암석 표면에 지속되어 구성광물을 용해시키고 표면을 변질시켜 화학적 풍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석조불감의 보존을 위해 결로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습도의 저감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여부에 따른 온도와 상대습도 변화가 건성안 유발에 미치는 영향

        김대종,차정원,박문찬,이화자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Vol.16 No.3

        Purpose: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asses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 of smart phone was related to dry eye or not under various temperature and humidity. Methods: Undergraduate applicants 30 subjects were studied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for 2hr.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mart phone user group and non-user group. They were checked at 9 times in a person, whether they have dry eye or not, by using 4 kinds of dry eye examination which were questionnaire, Non invasive break up time, tear film Break-Up Time and Schirmer test. Results: In McMonnies dry eye symptom questionnaire, we analyzed tha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27 times (95% CI : 1.201-1.348) and 0.43 times (95% CI : 0.211-0.886) higher risk of dry eye than non-user group. And, in Schirmer tes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36 times(95% CI : 1.264-1.478) and 0.19 times (95% CI : 0.080-0.465) higher risk of dry eye than non-user group, which showed significant result. In tear film Break-Up Time examination,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23 times(95% CI : 1.176-1.303) and 0.15 times(95% CI : CI : 0.075-0.330) higher risk of dry eye than high humidity and non-user group. In non-invasive break up time examination, also it was investigated tha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20 times(95% CI : 1.149-1.258) and 0.27 times(95% CI : 0.141-0.528) higher risk of dry eye. Conclusions: We knew tha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s were related in dry eye, but temperature was not related in dry eye.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사용여부에 따른 온도와 상대습도의 변화가 건성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방 법: 실험은 온도와 습도의 조건을 설정하여 총 9회 측정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건성안과 관련이 없는 지원자 30명을 스마트폰 사용 군과 사용하지 않는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회 측정 시 같은 실험공간과 환경조건에서 동일하게 2시간동안 지내게 한 후 설문과 Non invasive break up time, tear film Break-Up Time, Schirmer test의 4가지 건성안검사를 실시해 건성안의 유무를 파악하였다. 결 과: McMonnies dry eye symptom questionnaire에서는 상대습도가 낮을 때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군에서 안구 건조의 발생 가능성이 각각 1.27배(95% CI: 1.201-1.348) 및 0.43배(95% CI: 0.211-0.886)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Schirmer test에서도 상대습도가 낮을 때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군에서 각각 건성안의 발생 가능성이 1.36배(95% CI: 1.264-1.478) 및 0.19배(95% CI: 0.080-0.465)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ear film Break-Up Time의 검사에서의 건성안에 대한 발생 가능성은 상대습도가 낮을 때 1.23배(95% CI: 1.176-1.303),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군에서 0.15배(95% CI: 0.075-0.330)로 높아졌으며, Non invasive break up time검사에서도 건성안의 발생 가능성이 상대습도가 낮을 때 1.20배(95% CI: 1.149-1.258),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0.27배(95% CI: 0.141-0.528)로 높아지는 것으로 측정 분석되었다. 결 론: 상대습도가 낮을 때와 스마트폰 사용자에서 건성안의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온도의 변화는 건성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KCI등재

        경주 남산 소나무림의 가을철 해발고도별 음이온 발생지수

        김정호,윤지훈,이상훈,최원준,윤용한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경주 남산을 대상으로 지형구조 및 해발고도가 음이온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온은 능선부(9.82℃) > 계곡부(8.44℃), 상대습도는 계곡부(59.01%) > 능선부(58.64%), 풍속은 능선부 (0.63m/s) > 계곡부(0.37m/s), 일사량은 능선부(34.40W/㎡) > 계곡부(14.69W/㎡)로 나타났다. 음이온의 경우 계곡부 (636.81ea/㎤) > 능선부(580.04ea/㎤)로 계곡부가 더 높은 음이온 발생량을 보였다. 해발고도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 계곡부에서는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 음이온 발생량과의 상관성이 검증되었으며, 상대습도, 일사량, 음이온 발생량과는 정의 상관관계, 기온과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능선부에서는 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 음이온 발생량과의 상관성이 검증되었으며, 상대습도, 일사량, 음이온 발생량과는 정의 상관관계, 기온, 풍속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 다. 회귀분석 결과, 기온의 경우 계곡부는 = -0.006+9.663 (=해발고도, =기온), 능선부의 경우 = -0.009+11.595 (=해발고도, =기온)의 예측식을 얻었다. 상대습도의 경우 계곡부는 = 0.027+53.561 (=해발고도, =상대습도), 능선부의 경우 = 0.008+56.646 (=해발고도, =상대습도)의 예측식을 얻었다. 음이온 발생량의 경우 계곡부는 = 0.577+521.508 (=해발고도, =음이온 발생량), 능선부의 경우 = 0.605+549.068 (=해발고도, =음이온 발생 량)의 예측식을 얻었다.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opographic structures and altitude in mountainous parks in Mt. Namsan in Gyeongju on the generation of anions. The temperature was at ridge (9.82 ℃) > valley (8.44 ℃), the relative humidity valley (59.01 %) > ridge (58.64 %), the solar radiation ridge (34.40W/㎡) > valley(14.69W/㎡), the wind speed ridge (0.63m/s) > valley(0.37m/s), and the negative ion valley(636.81ea/㎤) > ridge(580.04ea/㎤). In the valley, the correlation with altitude was verified for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solar radiation, and negative ion generation in the valley. The relative humidity, solar radiation, and negative ion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 temperature had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ridge, the correlation with altitude was verified for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solar radiation, and negative ion generation.The relative humidity, solar radiation, and negative ion generation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 temperature and wind speed had a negative correlation.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prediction equation of =-0.006+9.663 (=altitude, =temperature) in the valley and =-0.009+11.595 (=altitude, = temperature) in the ridge for the temperature, =0.027+53.561 (=altitude, =relative humidity) in the valley and =0.008+56.646 (=altitude, =relative humidity) in the ridges for the relative humidity, and =0.027+53.561 (=altitude, =negative Ion generation) in the valley and = 0.008+56.646 (=altitude, =negative Ion generation) in the ridge for the negative ion generation.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여부에 따른 온도와 상대습도 변화가 건성안 유발에 미치는 영향

        김대종,차정원,박문찬,이화자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Vol.16 No.3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사용여부에 따른 온도와 상대습도의 변화가 건성안에 영향을 미치 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방 법: 실험은 온도와 습도의 조건을 설정하여 총 9회 측정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건성안과 관련이 없 는 지원자 30명을 스마트폰 사용 군과 사용하지 않는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회 측정 시 같은 실험공간과 환 경조건에서 동일하게 2시간동안 지내게 한 후 설문과 Non invasive break up time, tear film Break-Up Time, Schirmer test의 4가지 건성안검사를 실시해 건성안의 유무를 파악하였다. 결 과: McMonnies dry eye symptom questionnaire에서는 상대습도가 낮을 때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군에서 안구 건조의 발생 가능성이 각각 1.27배(95% CI: 1.201-1.348) 및 0.43배(95% CI: 0.211-0.886) 높 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Schirmer test에서도 상대습도가 낮을 때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군에서 각각 건 성안의 발생 가능성이 1.36배(95% CI: 1.264-1.478) 및 0.19배(95% CI: 0.080-0.465)로 유의한 결과를 나 타내었다. tear film Break-Up Time의 검사에서의 건성안에 대한 발생 가능성은 상대습도가 낮을 때 1.23 배(95% CI: 1.176-1.303),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군에서 0.15배(95% CI: 0.075-0.330)로 높아졌으며, Non invasive break up time검사에서도 건성안의 발생 가능성이 상대습도가 낮을 때 1.20배(95% CI: 1.149-1.258),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0.27배(95% CI: 0.141-0.528)로 높아지는 것으로 측정 분석되었다. 결 론: 상대습도가 낮을 때와 스마트폰 사용자에서 건성안의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온도의 변화는 건성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asses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 of smart phone was related to dry eye or not under various temperature and humidity. Methods: Undergraduate applicants 30 subjects were studied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for 2hr.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mart phone user group and non-user group. They were checked at 9 times in a person, whether they have dry eye or not, by using 4 kinds of dry eye examination which were questionnaire, Non invasive break up time, tear film Break-Up Time and Schirmer test. Results: In McMonnies dry eye symptom questionnaire, we analyzed tha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27 times (95% CI : 1.201-1.348) and 0.43 times (95% CI : 0.211-0.886) higher risk of dry eye than non-user group. And, in Schirmer tes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36 times(95% CI : 1.264-1.478) and 0.19 times (95% CI : 0.080-0.465) higher risk of dry eye than non-user group, which showed significant result. In tear film Break-Up Time examination,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23 times(95% CI : 1.176-1.303) and 0.15 times(95% CI : CI : 0.075-0.330) higher risk of dry eye than high humidity and non-user group. In non-invasive break up time examination, also it was investigated tha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20 times(95% CI : 1.149-1.258) and 0.27 times(95% CI : 0.141-0.528) higher risk of dry eye. Conclusions: We knew tha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s were related in dry eye, but temperature was not related in dry eye.

      • 양파 저온저장고의 온도 및 상대습도 조사연구

        윤홍선 ( Hongsun Yun ),윤석한 ( Seokhan Yun ),임민섭 ( Minsup L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본 연구는 양파 저온저장고의 성능개선을 위한 기초조사로서 관행 양파저장고의 온도 및 상대습도 조성상태를 2018년 8월부터 2018년 12월 까지 조사하였다. 양파 저온저장고의 유형은 일반식, 차압통풍식, 제습식건겸용식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총 13개 저온저장고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일반식 저온저장고는 0℃ 온도에서 85~95%의 상대습도가 조성되었고, 차압식 저온저장고는 0℃ 온도에서 80~85%의 상대습도가 조성되었으며, 제습식 저온저장고에서eh 0℃ 온도에서 80~85%의 상대습도가 조성되었으며, 예건겸용저온저장고에서는 75~80%의 상대습도가 조성되었다. 따라서 온도 및 상대습도 조성의 상태로먼 판단할 때 예건겸용 저온저장고가 양파 장기저장에 가장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DLC 필름의 마찰마모 특성의 습도 의존성에 대한 연구

        박세준,이광렬,이승철,고대홍,Park, Se-Jun,Lee, Kwang-Ryeol,Lee, Seung-Cheol,Ko, Dae-Hong 한국진공학회 2006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5 No.3

        R.F. PACVD법을 이용하여, 벤젠을 반응기체로 사용하여 순수한 DLC필름을 증착하였다. DLC필름의 마찰마모특성은 시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하여 챔버로 고립된 ball-on-disk형식의 마모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대습도에 따른 필름의 마찰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상압에서 챔버 내의 습도를 0-90%로 조절하면서 관찰하였다. 그리고 상대면 물질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틸볼과 함께 DLC필름이 코팅된 스틸볼을 사용하였다. 스틸볼을 사용시 습도가 0%에서 90%로 증가함에 따라 마찰계수가 0.025에서 0.2로 크게 증가하였다. Ferich debris가 생성되지 않는 DLC가 코팅된 볼을 사용하여 실험한 경우에, 마찰계수는 상대 습도가 90%인 경우에도 0.08정도로, 스틸볼을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훨씬 더 낮은 습도의존성을 보여주었다. 스틸볼 사용시 나타나는 DLC필름의 마찰계수의 큰 습도의존성은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debris의 크기 증가와 함께 스틸볼의 마모로 인한 Fe-rich debris의 생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스틸볼을 사용하여 90%의 습도에서 마모시험을 하는 중간에 습도를 0%로 변화시키며 관찰한 결과, 마찰계수 값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Fe-rich debris가 마찰계수에 미치는 영향은 debris내의 Fe원소가 습도에 매우 민감한 흑연상의 전이층을 형성시킨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Diamond-like carbon (DLC) film was deposited using benzene $(C_6H_6)$ by r. f-plasma assisted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 tribological properties of the DLC film were tested by rotating ball-on-disc type tribometer isolated by a chamber. The tribological test was performed in air environment of relative humidity ranging from 0 to 90% in order to observe the tribological behavior of the DLC film with the change of humidity. We used steel ball and DLC coated steel ball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unterface material. Using steel ball, the friction coefficient of DLC film increased from 0.025 to 0.2 as the humidity increased from 0% to 90%. In case of DLC coated steel ball which didn't form the Fe-rich debris, the friction coefficient showed much lower dependence of humidity as 0.08 in relative humidity 90%. We confirmed that the high humidity dependence of the friction coefficient using steel ball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debris size with humidity and the formation of Fe-rich debris by the wear of steel ball.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was immediately dropped when the relative humidity changed from 90% to 0% during test using steel ball. From this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Fe-rich debris on the friction coefficient was that Fe element in debris formed the highly sensitive graphitic transfer layer to hum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