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심상담자들의 상담전공 입문 전 자기 치유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김경희,김영미,이진희,이윤주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4 No.2

        This study is aimed a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how inexperienced counselors who recently began their training acquired self-healing experiences, which are essential in the process of growth of counselo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highlighted the wound and healing experiences of the 3 novice counselors before entering the counseling course and examined how such experiences are reflected in the midst of their activities as counselors. Narrative study method of Clandinin & Connelly was applied to describe the meaning of the wound, the process of healing experience, the factors of wound healing, the meaning of wound healing, and effects on the life as a counselor in narrative format, and it was integrated and redescribed For this purpose, 3 novice counselors,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wrote autobiographies looking back their experiences by referring to their records including diaries, review of group counselling experience, notebooks, and verbatim records of personal counseling. Moreover, they assessed the meaning of experiences through the process of in-depth interviews of each other. As the result of the study, 3 themes such as; ‘wound: frustration of mind to be loved’, ‘healing: confrontation with disregarded self’, ‘becoming a counselor: healing the wound’ as the starting point’ were derived. More specifically,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wound signified the experience of frustration of their desire to be loved by the primary care-giver during their early childhood. The research participants chose to adopt the survival strategy of aligning themselves to the expectations of the primary care-giver by disregarding their emotions in order to overcome such frustration. When these survival strategies could no longer be maintained, healing experiences were experienced in the format of sudden appearance from unexpected places. The research participants finally recognized their wounds through healing experiences, and it was possible for them to enable the continuous self-healing experiences as they began to equip themselves to look after the wounded inner child. In addition, such experiences of healing were the strongest motivation for majoring in counseling and strength for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with the wounds of their cli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성장과정에 꼭 필요한 자기 치유 경험이 이제 막 수련을 시작한 초심 상담자들에게 어떻게 경험되었는지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세 명의 초심 상담자들이 상담학 입문 전 경험했던 상처와 상처치유 경험을 조명하고 이 경험이 상담자로서의 활동 속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여 상처의 의미, 치유 경험의 과정, 상처 치유의 요인, 상처 치유의 의미, 상담자로서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내러티브로 기술하고, 그것을 통합하여 재기술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이자 연구 참여자인 세 명의 초심 상담자들은 일기, 집단상담 경험 소감문, 수첩, 개인상담 축어록 등의 기록물을 참고하여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보며 자전적 글쓰기를 하였으며, 서로가 서로를 심도 있게 인터뷰하는 과정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파악했다. 그리고 연구결과 ‘상처 : 사랑받고 싶은 마음의 좌절’, ‘치유 : 내가 외면했던 나와의 만남’, ‘상담자가 되다 : 출발선이 된 상처치유’라는 세 개의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에게 상처란 어린 시절 주 양육자로부터 사랑받고 싶은 마음이 좌절되었던 경험을 의미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 좌절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외면하면서 주 양육자가 기대하는 방식으로 자신을 맞추는 생존전략을 선택했다. 그리고 이 생존전략들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때 치유 경험은 예상치 못한 곳에서 갑자기 나타나는 방식으로 경험되어졌다. 상처 치유 경험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비로소 자신의 상처를 인식하게 되었으며, 자기 내면에 있는 상처 받은 어린아이를 보살피려는 의지를 갖게 되면서 지속적인 자기 치유 경험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치유 경험은 상담학에 입문하게 된 가장 강력한 동기이자 내담자의 상처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힘으로 작용했다.

      • KCI등재

        상담수련과정에서상담자의 자기 발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미정,박승민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full understanding of the self-development experiences of counselors and their meaning during counseling trai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the meaning of counselors’ development of their personal-self during counseling training and how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personal-self development are revealed in the experiences of their professional-self development. For methodology,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tilized. 5 constituents and 18 subconstituents were deriv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9 participants. The constituents are composed of ‘motivation to enter counseling training’, ‘developing the reflective-self’, ‘restoring the connection’, ‘becoming self-differentiated’, and ‘growing into a professional counselo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development experiences of counselors included intrapersonally developing reflective-self and interpersonally restoring connection and becoming self-differentiated. Second, their practical knowledge obtained from their personal life experiences enhanced confidence and competence as counselors. Especially personal healing experiences have become resources for counseling, expanded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clients, and given counselors responsibility and confidence in healing others. Therefore, the development experiences of counselors’ personal-self and their professional-self have positive reciprocal influences on each other and facilitate each other’s growth. They have integrated and brought holistic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essence of the self-development experiences of counselors during counseling training can be expressed as ‘the process of developing reflective-self and growing into counselors with resources from life experiences’.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수련과정에서 상담자의 자기 발달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상담수련과정에서 경험하는 상담자의 개인적 자기 발달 경험과 그 의미를 심도있게 조명하고, 개인적 자기 발달 경험이 전문가적 자기 발달 경험 속에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9명의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한 진술로부터 5개의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구성요소는 ‘상담입문 동기’, ‘성찰적 자기가 발달해감’, ‘연결을 회복해감’, ‘자기분화가 되어감’, ‘상담전문가로 성장해감’이다. 연구결과 상담수련과정에서 상담자의 자기 발달 경험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개인적 자기 발달 경험은 개인 내적으로는 성찰적 자기가 발달해 가는 것이었고 관계적으로는 연결회복과 자기분화를 이루어 간다는 데 의미가 있었다. 둘째, 상담자의 개인적 삶의 경험을 통해 획득한 실천적인 지식은 상담자로서 자신감과 유능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특히 상처 치유 경험은 상담의 자원이 되어 내담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을 확장시켰고, 치유에 대한 사명감과 확신을 가져왔다. 따라서 상담자의 개인적 자기 발달과 전문가적 자기 발달 경험은 상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서로의 성장을 촉진 강화하고 통합되어 전인적인 발달을 이루어간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담수련과정에서 상담자의 자기 발달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성찰적 자기 발달과 삶의 경험을 자원으로 하는 상담자로 성장하는 과정’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

      •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상담자 발달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미정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15 가족과 상담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상처치유경험이 상담자 발달에 가지는 본질적 의미를 심층적으 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상담자의 상처치유경험이 상담자 발달경험에 어떻게 드러 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심도있게 조명하고,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상담자의 역전이 경험 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9명 의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한 진술로부터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제는 ‘상처 치유경험으로 타인의 치유에 대한 사명감을 느낌’, ‘상처치유경험으로 내담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이 증진됨’, ‘상처치유경험으로 치유에 대한 확신이 생김’, ‘역전이를 인식함’, ‘역전 이 관리능력이 발달해감’이다. 연구결과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상담자 발달경험과 그 의미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처치유경험은 상담의 자원이 되어 내담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 을 확장시켰고 내담자의 치유에 대한 사명감과 확신을 주었다. 둘째, 상담자의 상처경험이 역 전이를 일으킬 수 있으며 상담자가 발달해감에 따라 역전이 인식과 역전이를 치료적으로 다 룰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어갔다. 결론적으로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상담자는 자신의 상처 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상담자로서 성장을 경험하였다.

      • KCI등재

        교정적 관계 경험 개념의 정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우울하고 적대-순종 유형인 내담자들을 중심으로

        라수현,김창대,류미나,이승기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4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CRE) is defined as client's internal experience in counseling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ounselor. Despite the agreement on the importance that CRE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of the clients, there is only few empirical studies about the concept of CRE or how CRE effects counseling outcom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ambiguous aspects of CRE which are difficult to be captured in real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isting concept by exploring the phenomena of CRE perceived by the client and to analyze CRE in its relational aspects and corrective aspects. 32 clients participated in 8 to 12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s, and they were required a reflective writing after each session. 250 of 361 writings reported to had new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the counselor were categorized based on repeti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factors of counseling relationship newly recognized by the clients were reported as follows; Firts, four categories such as; counselor's words, non-verbal behaviors of the counselor, counselor's existence itself and the relationship with counselor were derived as, Second, the reason for newly recognizing of the counselor was because of the different responses than their expectation, and lastly because new insights were fou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study reviewed all categories perceived by clients correspond to the concept of CRE, and among the concepts of CRE, issues that elaboration was needed were discussed.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s a basic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교정적 관계 경험은 상담에서 내담자가 상담사와의 관계를 통해 교정 경험을 하는 내담자의 내적 체험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정적 관계 경험이 내담자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중요성에 대한 합의에도 불구하고, 교정적 관계 경험 그 자체나 혹은 교정적 관계 경험이 상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험적으로 연구된 바는 극히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연구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교정적 관계 경험의 개념이 실제 사례에서 포착하기에 모호한 측면에 주목하였다. 이에 내담자가 인식하는 교정적 관계 경험의 현상을 탐색하여 기존의 개념들을 점검하고, 이를 관계적 측면과 교정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명의 내담자들이 각각 8~12회기의 개인상담을 진행하면서 매회기 교정적 관계 경험에 관한 상담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수집된 361개의 상담일지 중 상담사와 새로운 관계 경험이 있었다고 보고된 250개를 반복적 비교분석 방법에 근거하여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 내담자가 새로움을 인식한 상담관계의 요소로는 첫째, 상담사의 말, 상담사의 비언어적인 행동, 상담사 존재 자체, 상담사와의 관계의 네 가지 범주가 도출되었고, 상담사가 새롭게 인식된 이유로는 상담사의 반응이 예상과 달랐고,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내담자가 인식한 모든 범주들이 교정적 관계 경험에 해당되는지를 검토하는 한편, 교정적 관계 경험의 개념 중에서 정교화가 필요한 지점에 대한 쟁점들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기초적 연구로서의 의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육수준, 실무, 수퍼비전 경험과 교육 분석 경험에 따른 상담자 발달수준 비교연구

        김민정,조화진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There are many suggestions that educational analysis is useful for counselors to develop professional ability. However, few empirical research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analysis. This study is to evaluate differences of counselor development according to education, practice and supervis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Two hundred and thirty two counselors answered for the surve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education, practice and supervision group and ‘low’ education, practice and supervision group. ‘High’ group (n = 54) included counselors with scores above median in all of the three indices - educational period, numbers of supervision, and numbers of counseling session -, and ‘low’ group (n = 35) included ones with scores below median in all of them. The final 89 counselors were also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or ‘without’ educational analysis, and four groups were ready to be analyzed. The results presented higher counselor development of the ‘high education, practice and supervision with educational analysis’ group than ‘low education, practice and supervision (both with and w/o educational analysis)’ groups in total development as well as its sub-factors such as counseling skills & techniques, case understanding, humanistic/ethic attitude. In addition, the ‘high education, practice and supervision with educational analysis’ group showed higher development in emotional awareness and counseling strategy than the other three groups. This study suggests not only counselor’s education, practice and supervision experience but also educational analysis is necessary for counselors to develop. 상담자 발달에 교육분석이 유용하다는 제안들에도 불구하고 교육분석의 효과를 검증하는 국내 경험적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교육수준, 실무, 수퍼비전 경험과 교육분석 경험에 따라 상담자 발달 수준이 다를 것을 예상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상담자 232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상담교육기간, 상담회기수, 수퍼비전경험을 기준으로 상담자 교육/실무/수퍼비전 경험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세 지표 모두에서 중앙치보다 높은 사례는 교육/실무/수퍼비전 경험이 높은 집단(n=54), 중앙치보다 낮은 사례는 교육/실무/수퍼비전 경험이 낮은 집단(n=35)에 속하게 되었다. 최종 89명은 다시 교육분석 무경험 집단과 유경험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총 네 개의 집단이 만들어졌다. 분석 결과, 높은 교육/실무/수퍼비전 경험을 갖고 교육분석 경험도 있는 집단이 낮은 교육/실무/수퍼비전 경험을 가진 집단(교육분석 유경험 집단과 무경험 집단 모두)에 비해 상담자 전체 발달과 하위요인들 중 상담대화기술, 사례이해, 인간적․윤리적 태도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하위요인 중 알아차리기와 상담계획에서는 높은 교육/실무/수퍼비전 경험과 교육분석 경험을 모두 가진 집단이 다른 세 집단(높은 교육/실무/수퍼비전 경험과 교육분석 무경험 집단, 낮은 교육/실무/수퍼비전 경험과 교육분석 유경험 집단, 낮은 교육/실무/수퍼비전 경험과 교육분석 무경험 집단)에 비해 높은 발달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실무 및 수퍼비전 경험 뿐만 아니라 교육분석이 상담자 발달에 중요한 활동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애착외상을 경험한 학교 상담자의 상담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주아,김은영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학교 상담자의 애착외상 경험이 상담자의 삶과 학교 상담 장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애착외상을 경험한 학교 상담자의 상담자 경험을 심층 분석하였다. D시 Wee센터와 전문상담교사협회의 공고를 통해 상담경력 2년 이상의 학교 상담자 중 외상경험 질문지의 점수가 평균 이상인 6명의 학교 상담자를 최종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 현상학 4단계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애착외상 경험이 상담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으로‘깨어진 애착관계’,‘자기체계 손상’,‘방어기제’가 도출되었다.‘애착외상 경험이 상담 장면에 미치는 영향’으로‘상담 관계에서 애착외상의 재현’,‘상담 과정에서 고통의 재경험’,‘멈춤 vs 성장’이 도출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애착외상을 경험한 상담자의 상담자 경험에 대한 일반적 구조 진술로‘안정적인 상담관계 형성 실패’,‘정신화 실패’,‘성장하기를 멈춤’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애착외상을 경험한 학교 상담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직접 경험한 애착외상을 탐색함으로써 애착외상 경험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자의 성찰적 실천과 상담자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권정현,이종연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2 초등상담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하는 것이었다.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가 대학원에서 교육상담을 전공한 경험이 다른 초등학교 교사들도 경험하는 공통적인 현상인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비롯된 세 가지 연구퍼즐을 구성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에서 교육상담 전공 석사를 졸업하고 박사전공 경험이 있는 초등학 교 교사들이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를 면담을 통 해 수집하여 현장텍스트를 구성하였고, 연구제목, 연구목적, 연구퍼즐을 다시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자는 현장텍스트를 내러티브 탐구의 세 가지 축인 시간성, 공간(장소)성, 사회성을 기준으로 연구텍스 트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텍스트로 가공하였다. 현장텍스트로부터 재구성된 중간텍스트를 다양한 근거자료 를 토대로 해석하고 분석하여 연구텍스트로 제시하였다. 학술지의 특성상 본 연구는 연구테스트만을 제시 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의미를 세 가지 차원(‘개인적 의미’, ‘실제적 의미’, ‘사 회적 의미’)으로 분류하여 도출하였다. 첫 번째 차원인 ‘개인적 의미’는 ‘자기탐색과 자기이해를 통한 치유 와 성장’, ‘새로운 배움, 진로, 과업으로 나아가기’, ‘관계를 다시 바라보고, 함께 살아가며’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차원인 ‘실제적 의미’는 ‘교육적 배려와 존중을 실천하는 교사’, ‘자신을 성찰하는 교사’, ‘배움공 동체를 실현하는 교사’, ‘창의적 생활지도를 실천하는 교사’, ‘진정한 만남으로 존재하는 교사’의 모습으로 도출되었다. 세 번째 차원인 ‘사회적 의미’는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과정’과 ‘예비교사 교육과 현직교사 연 수’에 대한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in-dep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hree research puzzles were constructed out of the curiosity about whether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s experience on educational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is a common phenomenon that o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To solve these puzzles in this study,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completed or graduated from both the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educational counseling. Through interviewing them about their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n their narratives, constructed them as field text, and reconstructed them as research text.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research titles,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puzzles based on field text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he researchers processed field text as an intermediate text to be converted into research text based on three narrative inquiry axes such as temporality, place, and sociality. The narratives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bed in this way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based on various corroborative evidence to present a research text. The first dimension, ‘personal meanings' were derived as ’healing and growth through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moving on to a new learning, career, or task’, and ‘rethinking the relationship, living together’. The second dimension of ‘practical meanings’ were derived as ‘teachers who practice educational consideration and respect’, ‘teachers who reflect on themselves’, ‘teachers who actualize learning communities’, ‘teachers who practice creative guidance’, and ‘teachers who co-exist through true encounter’. The third dimension, ‘social meanings’ were derived as implications for education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and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 KCI등재

        내담자의 비대면 화상상담 경험에 대한 연구

        정애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2 청소년상담연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nique lived experiences of clients of videoconference counseling.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counseling in person as well as by videoconferencing more than 12 times. This study employ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Giorgi’s four stages. From the data, five themes and 16 sub-themes emerged.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s in videoconference counselling were similar to those in face-to-face counseling. Participants also reported some uniqu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in videoconference counseling. Themes about the unique experiences included: ‘moving towards changes in life’, ‘advantages of technology-integrated counseling’, ‘feeling free from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nature of face-to-face counseling’, ‘challenges faced in the new counseling environment’, and ‘lack of emotional connection in videoconference counseling’. Implications of videoconference counseling, such as a new approach that could replace the traditional face-to-face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counseling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내담자의 비대면 화상상담 경험을 깊이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면상담 경험이 있으면서 화상상담을 12회기 이상 진행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심층 인터뷰 내용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체적으로는 Giorgi가 제시한 네 단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구성요소와 16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비대면 화상상담을 통하여 대면상담 과정과 비슷한 경험을 하면서도 대면상담과는 다른, 비대면 화상상담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상담을 경험한 적 있는 대학생 내담자의 비대면 화상상담 경험은 크게 ‘삶의 변화로 나아감’, ‘새로운 매체가 주는 편리함’, ‘직접적 대면이 주는 불편감에서 벗어남’, ‘새로운 환경에서 비롯되는 어려움과 아쉬움’, ‘직접적으로 대면하지 못함으로써 느끼게 되는 만남의 불완전성’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화상상담이 기존의 대면상담을 대체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살피고 앞으로의 상담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이상섭식행동 여성의 상담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박경은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women who complain of abnormal eating behavior, and to propose an effective counseling method for them. To do this, a retrospective interview with 6 women who had experience of counseling on abnormal feeding was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mong them, the meaning of counseling experience of women who complain of abnormal eating problem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hermeneutically. As a result, a total of 31 sub-subsidies and 9 main subsidies were derived. Participants perceived the vulnerable self at the beginning of counseling. Subsequently, they experienced negative emotion and aggravating eating problems when they complained about difficulties with someone in love-hate 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the counseling, the level of complaining was reduced because they had a new relationship with the counselor and their psychological expectations and desires were satisfied. They also experienced invading boundary, feeling shame and anger in counseling. However, the psychological lack was reduced by having a genuine, sympathetic, and accepting experience with a counselor. Also, the effective counseling alternative was presented. 본 연구는 이상섭식행동 여성의 상담경험을 분석해 봄으로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상담의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상섭식행동 문제로 상담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여성 6명과의 회상적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그것을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중에서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이상섭식행동 문제를 호소하는 여성의 상담경험이 갖는 의미를 해석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31개의 소주제와 9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상담 초반 취약한 자기(self)를 인식하며, 애증관계에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 어려움을 호소하는 가운데 부정적 정서와 섭식문제가 악화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면서 상담 중․후반이 되어갈수록 상담사와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고, 자신의 심리적 기대와 욕구가 충족되어 호소문제 또한 줄어들게 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참여자들은 상담사와의 만남에서 경계가 침범당하며 수치심이 자극되고 분노가 일어나는 경험을 하게 된다. 하지만, 상담사를 통해 진솔하고 공감적이며 수용적인 경험을 하면서 심리적 허기짐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경험을 내담자, 상담자, 관계적 차원에서 논의하였고, 이상섭식행동 여성들과의 상담에서 상담자가 내담자를 어떻게 이해하여 상담 계획을 수립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대안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와 부모의 부모상담 도움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염은선(Eun-Sun Youm),전영주(Young-Ju Chun) 한국가족치료학회 2022 가족과 가족치료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에 대한 상담 개입 없이 부모와만 진행하는 부모상담에서 상담자와 부모의 부모상담 도움경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상담자 15명과 부모 12명을 대상으로 개념도(concept mapping)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부모상담 도움경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상담자와 부모의 최종 진술문을 이용해 부모상담 도움경험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하고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 결과, 부모상담 도움경험 인식에 대한 2개의 차원과 상담자 6군집, 부모 3군집을 도출하였다. 부모상담 도움경험 인식에 대한 상담자의 1차원은 ‘부모-자녀 관계’와 ‘부부관계’ 차원, 2차원은 ‘자녀 변화-부모 변화’로 명명되었다. 부모의 부모상담 도움경험 인식에 대한 1차원은 ‘상담자의 전문적 자질’과 ‘자녀의 긍정적 변화’, 2차원은 ‘부모 역할인식-부모 개인인식’으로 명명되었다. 상담자의 부모상담 도움경험에 대한 군집은 ‘자녀 행동의 긍정적 변화, 자녀에 대한 부모 인식 및 태도의 긍정적 변화, 자기 이해를 통한 부모역할 인식 및 자신감, 부모의 변화의지와 실천 노력, 부모의 적극적 상담참여, 부부관계의 긍정적 변화’의 총 6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부모의 부모상담 도움경험에 대한 군집은 ‘부모의 자기이해 및 내적성장, 신뢰로운 상담자의 전문성과 상담 효과, 가족관계의 긍정적 변화’의 총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개념도 연구를 통해 상담자와 부모 모두 직접적 자녀 개입 없이 부모와만 진행하는 부모상담에서 비중 있게 인식하는 도움경험이 상담에 참여하는 부모의 성장과 변화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비록 여러 가지 이유로 자녀에 대한 개입이 어렵더라도 부모가 적극적인 자세로 부모상담에 참여하여 자기이해를 통한 내적인 성장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자녀들이 상담에 참여하지 못하더라도 부모상담에서 부모의 자기이해 및 내적 성장을 통해 자녀뿐만 아니라 가족관계 전반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counselors’ and parents help experience in parental counseling when conducted only with parents without direct child interven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parental counseling help experience conducted only with parents without direct child intervention using a concept mapping research method for 15 counselors and 12 parents. Results: Two dimensions of recognition of parental counseling help experience, six clusters of counselors, and three clusters of paren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d cluster analysis. Conclusions: Through this concept mapping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elp experience that both counselors and parents perceive in parental counseling conducted only with parents without direct child intervention represents the growth and change of parents participating in counseling. In addition, even if children cannot directly intervene because they cannot participate in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positive changes occurred not only in children but also in family relations through parents self-understanding and internal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