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수업과 연계한 학급단위의 사회정서학습: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학교관련 성과에 미치는 효과

        신현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classroom-based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on stud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s and school-relatd outcomes. The interventions involved 176 sixth graders in six classrooms. Two classrooms implemented SEL during academic instruction, two other classrooms employed Strong Kids curriculum, and the remaining two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designed to assess peer conflict resolution, emotional intelligence, positive/negative affect, academic self-efficacy, sense of school belonging, and learning skills. Analyses of covariance, mixed-design analyses of variance, and planned comparisons revealed that SEL was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s and school-related outcomes but its effects varied with how it was implemented. First, SEL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operative resolution strategies and in decreasing both aggressive and avoidant strategies. In particular, Strong Kids curriculum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cooperative strategies and decreasing avoidant strategies than was SEL linked to academic instruction. Second, SEL was effective i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ositive affect; however, it was not effective in reducing negative affect. Strong Kids curriculum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but SEL linked to academic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positive affect. Third, SEL was effective in enhancing academic self-efficacy but was not effective in heightening sense of school belonging. SEL linked to academic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in facilitating academic self-efficacy than was Strong Kids curriculum. Fourth, SEL wa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skills. Compared to Strong Kids curriculum, SEL linked to academic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both self-management and class participation skill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light of the necessity of seeking ways to secure the intervention integrity of SEL linked to academic instruction and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schoolwide SEL programming. 이 연구는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학생의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학교관련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사회정서학습의 두 가지 실시방법(교과수업과 연계한 학급단위의 사회정서학습, 구조화된 Strong Kids 커리큘럼)의 효과를 비교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개 학급(남녀 학생 176명)을 2개 학급씩 수업연계 사회정서학습 집단, Strong Kids 커리큘럼 집단, 통제집단에 배정하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또래간 갈등해결, 정서지능, 정적 및 부적 정서, 학업적 효능감, 학교소속감, 자기관리 학습기술, 수업참여 학습기술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공분산분석과 혼합설계 분산분석 및 계획비교를 실시한 결과,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학교관련 성과를 향상시키고, 그 효과가 사회정서학습의 실시방법에 따라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협력적 갈등해결을 증가시키고 공격적 갈등해결과 회피적 갈등해결을 감소시켰다. 특히, 수업연계 사회정서학습보다는 구조화된 Strong Kids 커리큘럼이 협력적 갈등해결의 증가와 회피적 갈등해결의 감소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둘째,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정서지능과 정적 정서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구조화된 커리큘럼은 정서지능의 향상에, 수업연계 사회정서학습은 정적 정서의 증가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반면, 부적 정서의 감소에 대한 사회정서학습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학업적 효능감을 향상시켰는데, 특히 수업연계의 방법이 구조화된 커리큘럼보다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학교소속감에 대한 사회정서학습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자기관리 및 수업참여의 학습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구조화된 커리큘럼의 실시보다는 수업연계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두 가지 학습기술의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끝으로, 수업연계 사회정서학습의 처치충실성을 확보하고 학교시스템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업수월성 지향 학교에서 사회정서학습의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관한 고찰

        신현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that was found effective in enhancing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preventing problem behaviors, and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sustainability of schoolwide SEL in Korean school systems pursuing academic excellence. Theoretical literature, empirical studies, SEL curricula, the U.S. laws stipulating SEL learning standards, Singapore’s SEL practices, and SEL lesson plans developed by Korean teachers were reviewed. As a result, the construc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was found to consist of five components(i.e., self-awareness, social awareness, self-management, relationship skills, responsible decision-making), and SEL was defined as the strategic process of implementing many school-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ervices designed to enhance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in a coordinated and integrated manner. Such process consisting of three phases(i.e., readines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10 stages included six sustainability factors. Methods of implementing SEL in schools were categorized into either a person-centered approach(e.g., skills training) or an environment-centered approach(e.g., creating caring, supportive and safe climate). It was inferred that the method of infusing SEL into academic learning would be more acceptable to Korean school systems than that of implementing SEL curricula in the group counseling manner. Prior empirical research showed that schoolwide SEL would improve students’ school-related attitude,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as well as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ing practices. For such positive outcomes, it would be necessary to identify roadblocks to implementing schoolwide SEL in advance and to prepare plans to break through them.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challenges for adopting and implementing SEL in Korean school system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을 증진시킴으로써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학업수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접근으로 알려진 사회정서학습의 개념을 소개하고, 학업수월성을 지향하는 국내 학교장면에 사회정서학습을 도입․적용할 필요성과 지속적으로 실시할 가능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문헌, 경험적 연구, 구조화된 사회정서학습 커리큘럼, 미국의 사회정서학습 법령과 싱가포르의 사회정서학습 사례, 우리나라 교사들이 개발한 사회정서학습 지도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회정서적 유능성의 5개 구성요인(자기인식, 사회적 인식, 자기관리, 대인관계 기술, 책임 있는 의사결정)과 개념정의(학생들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교기반의 다양한 예방 및 개입 서비스를 통합하고 조율하는 과정)가 우리의 학교현장에 적용가능하며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학교차원에서 사회정서학습을 시행하는 과정은 준비단계, 계획단계, 실시단계를 거치며, 6가지의 지속가능성 요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정서학습의 실시방법은 개인중심의 접근(기술훈련)과 환경중심의 접근(풍토조성)으로 구분되는데, 사회정서학습 커리큘럼을 집단상담으로 실시하는 방법에 비해 사회정서학습을 교과학습과 연계하는 방법이 학업수월성을 지향하는 학교현장에 지속적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론되었다. 사회정서학습은 학생의 학교관련 태도와 행동 및 학업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교사의 수업효능감과 교수방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효과를 확보하려면, 사회정서학습의 도입과 지속적인 적용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미리 확인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정서학습의 의의, 효과적이며 지속적인 시행을 위한 노력, 교실수업과 연계하는 현실적 방안,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정서학습에 관한 비판과 논쟁 고찰

        김윤경 ( Kim Yoon-ky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3

        최근 학교교육에서 학생의 정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관심과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보다 넓은 시야에서 사회정서학습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사회정서학습을 둘러싼 미국 학계의 논쟁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비판은 정서지능과 효과측정에 관한 심리학적 비판, 비도덕적 결과의 가능성에 대한 윤리학적 비판, 주류 계층의 신자유주의 질서 유지를 위한 수단이라는 정치적 비판, 교사와 학생의 비본질적 관계에 관한 교육적 비판으로 나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사회정서학습 옹호자들을 사회정서학습의 본래 취지와 성과를 근거로 반박하고, 사회정서학습의 문제점에 대해 스스로 인지하여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비판과 반론은 사회정서학습을 국내 적용하는 데 있어 우리나라 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과 적용 효과에 대한 타당한 측정의 필요성, 문화적 특수성에 대한 고려, 인성교육 방안으로 도덕성 발달에 대한 고려, 교사들의 자발적 연구와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academic interest regard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critical studies of SEL and their respective counter-arguments. Criticisms on SEL are largely fourfold. Fist, theory primarily depends upon EI(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which is yet to be accepted in the psychological field. Second, a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s value-neutral concept, education through may have an immoral output. Third, SEL can serve as an educational system that merely helps maintain the hegemony of the US mainstream class. Ultimately, from a didactic perspective, SEL ignores intrinsic relationships buil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contention to above criticisms, advocates of SEL focus their arguments on its merits. Further, they address SEL`s demerits and provide a possible improvement. As a result, in applying SEL to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e following paper suggests a necessity for standardized measurement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 Korean students, consideration of cultural idiosyncrasy, consideration of moral development as character education and necessity for teachers` voluntary researches.

      • KCI등재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의 개념과 함의

        김선아,박진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造形敎育 Vol.0 No.63

        최근 여러 나라에서는 사회정서학습(SEL)이 인성교육을 위한 실천적인 대안으로서 떠오르면서 이와 관련한 프로그램을 개 발, 투입, 타당화하려는 시도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되어 온 사회정서학습에 관한 논의를 분석하고 다문화교육의 맥락에서 미술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으로 두었다. 분석의 범위는 국내에서 사회정서학습이 논의되기 시작한 2004년 이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학술지 논문 38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인성교육의 동향 안에서 사회정서학습의 법제적 기반을 고찰하여 SEL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와 시대적 필요성 을 고찰하였다. 둘째, 국내 사회정서학습 관련 문헌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투입된 SEL 프로그램의 타당성 및 효과성을 메타분석하는 한편, 교과적 관점에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문헌들을 별도로 분류, 분석하여 교과와 SEL의 연계 방식을 분석하였다. 셋째, 예술교과와 관련한 문헌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하여 다문화미술교육의 실천 방안으로서 사회 정서학습이 가지는 의미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지난 14년간의 국내의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사회정서학습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토대로 향후 다문화미술교육과 연계한 사회정서학습에 관한 담론과 실천을 확산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 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implications of SEL for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literatures related to SEL in Korea. The total number of 47 articles in the period of 2004∼2017 are collected. and ‘사회정서학습’, ‘SEL', 'Social Emotional Learning' are used as the keywords in order to search for related articles on various databases such as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Riss, DBPIA, KISS, Kyobo Scholar, and Newnonmoon.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threefold. First, the legislative ground of SEL is discussed in association with the trend of character education shedding light on the societal meanings of SEL. Second, the meta-analysis of SEL literatures i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and efficiency of SEL within the context of Korea. In addition, the articles that specifically deal with the SEL programs integrated into school subjects are analyzed so as to figure out how SEL can be linked to different subjects. Third, the meaning of SEL for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s explored in an attempt to lay the ground for further discourses and experiments of SEL in art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의 교육적 함의와 실천 방안

        이선경(Lee Su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As evidenced in recent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ies, Korean youth demonstrated strong performance in various tests of cognitive competence and high level of quality of life in these comparison. Despite the positive aspects, Korea are still confronted with various adolescent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bullying, delinquency, depression, stress, and low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action plans of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SEL) in order to improve Korea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SEL) aims at cultivating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s and skills and are expected to prevent students from engaging in problematic behaviors and lead them to accomplish academic success. To this end, the author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SEL, and then given the conceptu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the author demonstrated why and how the SEL can contribute to prevent the adolescent problems and promote th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Further, the author provided specific strategies and plans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theory of SEL into to Korean educational setting. 본 논문은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 향상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ocial emotional learning; SEL)의 교육적 함의와 구체적 실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청소년기 주관적 안녕감의 특성 및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둘러싼 쟁점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은 학교와 가정생활을 둘러싼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감과 스스로에 대한 유능감 그리고 높은 긍정적 정서 및 낮은 부정적 정서로 구성되며, 한국 청소년들이 심각한 주관적 안녕감 저하현상에 직면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역량(social emotional competences and skills)의 향상을 통해 문제 행동을 예방하고 우수한 학업 성취를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정서학습(SEL)을 주관적 안녕감 향상의 이론적·실제적 틀로 제시하고, 그 특징과 구체적 교육 효과를 관련 분야에서 이루어진 경험적, 실증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였다. 문헌 연구 분석 및 논의 결과를 통해,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의 구체적 현장적용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내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박현영(Park, HyunYoung),채수은(Chae, SooEu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2 人間發達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이 국내에서 어떠한 효과를 보이고 있는지(전체 평균 효과, 조절변인, 종속변인)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20편의 논문에서 43개의 효과 크기를 선정하고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0.79로 Cohen(1988)의 기준에 의하면 중간 효과 크기를 나타낸다. 둘째, 국내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 조절변인의 효과 크기는 아동을 대상으로 16회기 이상, 주 3회 이상 20~40분의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 종속변인의 효과 크기는 사회정서학습 역량의 효과 크기가 1.04로 가장 컸으며,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고 비교해볼 수 있는 종합적 관리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 (overall average, moderator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of the social-emotional learning (SEL) programs performed in South Korea through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43 effect sizes were selected from 20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 from 2011 to 2020. We conducted meta-analysis using the R program.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SEL programs was 0.79, indicating a median effect according to Cohen’s criteria. Second, the effect size of moderator variables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when the SEL program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for 20-40 minutes, at 16 or more sessions, and three or more times per week. Third, as for the dependent variables, the effect size of social-emotional learning competency was the largest at 1.04,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programs in future program development and to prepare a management system that can select and compare various education of humanism programs.

      • KCI등재

        사회정서학습(SEL)의 교육적 의의

        우채영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with the aim of improving both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and to determine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SEL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the CASEL website and reviewed the prior literature on SEL. The findings revealed that classroom practice in SEL was established following 2011 United States federal government policy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ct (ASELA)] and that SEL consists of an acquisition process encompassing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related to adolescents’ social and emotional abilities. Further, the findings suggest that SEL could help to address the urgent contemporary problems of high rates of youth suicide, school viol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The five core competencies of SEL would not only benefit adolescents within their school life, but could also lead to important gains in an overall healthy socialization. SEL leads to important gains i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represent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collaboration between parents, schools and communities in the emotional learning process of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청소년의 학교부적응, 자살, 학교폭력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성교육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미국의 사회정서학습(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에 대해 고찰하고, 교육적 의의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정서학습의 운영을 관리하고 있는 CASEL 홈페이지의 내용을 활용하였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교실에서 실시하는 SEL은 미국 연방정부의 『학업적, 사회적, 감성적 능력함양을 위한 학습법(ASELA)』에 제정된 것으로 아동․청소년의 사회적․정서적 능력과 관련되는 지식과 태도,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이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하여 모든 형태의 학교에서 운영하기를 기대하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이다. SEL에서 다루는 핵심영역은 청소년의 발달과업이기도 하며, 학교생활뿐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꼭 필요한 개인의 능력이다. SEL의 실행결과는 학생들의 학교생활과 학업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측면에서 SEL은 부모, 학교, 사회의 협력을 통해 학업에서 다루게 될 사회적, 정서적 학습으로서 의의가 있다.

      •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한 학교인성교육 정책방향 연구

        김윤경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04

        본 연구는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한 학교인성교육 정책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인성교육제도와 정책은 학생의 인성발달과 관련된 모든 교육활동을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정서학습 역시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요 정책 사안별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사회정서학습의 인성교육 적용방안을 구상하였다. 또한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한 인성교육 정책에서 도덕교과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도덕교과는 명시적 훈련을 담당하여야 하며, 타교과 및 교육활동의 사회정서학습을 지원하고, 가치중립적인 성격을 지닌 사회정서학습에 도덕적 방향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학교인성교육을 위해 기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아 대상 미술 기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김가현(Kim, Ga Hyun),신태섭(Shin, Tae Seob)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5

        유아의 사회정서역량은 이후의 학업능력과 적응을 예측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유아교육현장에 연계한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대상 미술 기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시에 위치한 K 유치원과 K 어린이집 만 4~5세 실험집단 44명, 비교집단 36명을 대상으로 효과의 검증을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유아 대상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주 1차시, 30~40분씩, 총 10차시를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동일한 기간 동안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대상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사회정서역량 수준이 비교집단 유아들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유아 대상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유아 대상 미술 기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Children’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is important that it helps predicting future academic ability and adaption. And it is required to be connected with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are based social-emotional learning program has on children’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To achieve the goal, 80 children aged between 4 and 5 from K kindergarten and K child care center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n= 44) and the comparative group (n= 36). For the treatment group, the art based social-emotional learning program was conducted 1 session per week, 30-40 minutes each, for total 10 sessions. For the comparative group, art based educational program was conducted during the same peri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emotional competence of the children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ccordingl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ocial-emotional learning program on children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is meaningful that it developed an art based social-emotional learning program on children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적 유능성 발달을 위한 음악교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최미영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9 음악교수법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subject related SEL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 All subjects were 5th grade students in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Korea. Experiment group was comprised of thirty students and control group was twenty nine students. Music subject related SEL program based on Strong Kids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general music teaching according to school curriculum was implemented in the control group.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ime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the program effect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levels of social-emotional symptom and sub-component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 group's levels of social-emotional knowledge, assets and resilience, and each sub-compon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findings indicates that music subject related SEL program will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 본 연구는 음악교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A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로,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29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강한 아이를 바탕으로 한 음악교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학교 교육과정에 따라 음악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의 학생들과 비교하여 사회정서적 증상과 하위요인들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사회정서적 지식의 수준과 사회정서적 특성 및 회복탄력성과 각 하위요인들의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교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적 유능성 발달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