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영희 ( Han Young-hee ),조한익 ( Cho Han-i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지역의 만5∼6세 유아 389명으로 남아는 206명, 여아는 183명이다.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은 그림척도로 되어 있어 유아에게 그림을 보여주면서 평가하였고, 자기효능감도 유아에게 직접 질문하면서 평가하였다. 사회적 유능감 척도는 유아의 담당교사가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숙달목표지향성은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유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사회적 수행목표지향성도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적 회피목표지 향성은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유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유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숙달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수행목표지향성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사회적 유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사회적 회피목표지향성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사회적 유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389 children(206 boys and 183 girls) in K province.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measured by picture scale, self-efficacy was measured by asking children by the teacher, and social competence was measured by the teacher in charge of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ocial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and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ocial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social competence, however,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ompetence. Social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social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 on social competence by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however, social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negative affect on social competence by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 KCI등재

        부정적 감정성향과 집단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임창희(Chang-Hee 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08 경영연구 Vol.23 No.1

          조직행동 연구분야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이나 조절역할 등에 관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매우 많은 관심을 가져 왔지만 자기효능감을 결정하는 원인변수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개인수준에서만 관찰하였다. 즉, 집단효능감을 개인효능감과 정확하게 구별하지 않고 집단적 자신감이라는 개인자기효능감과 유사한 차원에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개인효능감이 자기 개인을 향한 자신감이라면 집단효능감은 집단을 향한 개인의 자신감으로 보고 그것이 개인자기 효능감과 가지는 상호관계, 그리고 개인적 특성이 개인자기효능감과 집단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정,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원의 역할 등을 파악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에 초점을 두고 이론적인 인과모형을 만들어 검토하였다.<BR>  첫째, 개인 자기효능감과 집단자기효능감의 구별성과 상관관계<BR>  둘째,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개인적 특성인 부정적 감정성향의 역할<BR>  셋째, 개인의 부정적 감정성향이 집단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때 존재하는 개인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검증<BR>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변수간 영향관계를 나타내는 이론적 경로가설과 구조모형을 정립한 후, 289명의 남녀 직장인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응답자료들을 분석하여 연구모델들의 적합도 분석, 구조모델의 비교분석 등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BR>  관련 변수들은 모두 유의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가설에서 제안한 대로 부정적 감정성향은 개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 지원 또한 개인자기효능감과 집단자기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개인자기효능감도 집단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력들은 모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모형을 만들어 분석한 결과도 제안 모형이 가장 우수한 모델로 판명되어 부정적 감정성향이 집단자기효능감에 직접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매개변수에 의해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그 외에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미래 연구자들을 위한 제언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The higher one"s self-efficacy(SE), the more likely one is to engage and persist in task-related behavior. Man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SE positively predicts coping strategy, job performance, etc., and it acts as a moderator ameliorating the negative effects of stressors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Unfortunately,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organizations could boost SE and the majority of research has focused on outcomes of efficacy beliefs, where as considerably less is known about the antecedents of SE. Moreover, although SE has been conceptualized at multiple levels of analysis, only limited multileve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E. Furthermore, multilevel researchers have apparently assumed that SE beliefs are consistent across level of analysis, yet this assumption has too rarely been tested.<BR>  We have supposed that the concepts of SE at both the personal level(PSE) and group level(GSE) are related to importan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nd that it is possible that there are unique antecedents of PSE and GS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two concepts are similar or distinct. In this research, we focus on negative affectivity as a personal traits as well as socio-emotional support, and we will prove that NA influences on GSE, and personal SE and social support have a mediating role between NA and GSE by test of the hypotheses. The data obtained from 289 mail and female workers who are working in divers organiz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e: structural equation method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with AMOS 4.0 and SPSS 12.0K for Windows.<BR>  There was a ver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SE and GSE. Finally NA is related to GSE negatively, and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PSE and social support.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relation of NA, PSE and social support and their relation with GSE are explained to a certain degree by our proposed mediating model.<BR>  In this examination, we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identifying potential discontinuities in the predictors of SE and the data analysis supported all of our hypotheses, and results provide several extensions to research on SE, personality traits, group, and multilevel processe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nagerial practices. First of all, extending research on efficacy beliefs, our study found that PSE and GSE evolved through somewhat different mechanisms. Specifically, PSE and social support and NA as a personal factor were found to be important direct predictors of GSE.<BR>  Though this study contributed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t has some limitations, and additional comment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a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ssessment on variables was done by direct reports of the respondents, for example, which the objective degree of the GSE and social support can be different compared with respondents" self assessment. Finally, it was discussed wi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성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대처: 자기효능감 수준별 분석

        박영신,손주연,송옥란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3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behavior of adults based on their level of self-efficacy. A total of 899 adults (399 male; 500 female), each with a child attending eithe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ter-rater reliability for the open-ended questionnaire utilized in the study was 93.4%, with a Kappa coefficient of .92. The range of Cronbach α for the variables measured through a quantitative method was .87∼.9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presenta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 about their most painful stress experiences were, financial difficulties, child rearing and duties of workplace. The Lower Efficacy group, compared to the Upper Efficacy group, responded much more with financial difficulties related respon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tress symptoms according to level of self-efficacy. The Lower Efficacy group expressed stronger levels of stress symptoms when compared to the Upper Efficacy group. Second, in terms of social support,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received the most help from their family members, followed by none(self), and friends. When comparing the two efficacy groups, the Upper Efficacy group responded most frequently that they received social support from their family members, whereas the Lower Efficacy group indicated non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lational conflict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Upper Efficacy group showed much less conflict in parent-child relations, spousal relations and relations with their boss, compared to the Lower Efficacy group. Third, for the type of social support participants received,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emotional support, followed by none, and advice. Relatively, 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with each other, the Lower Efficacy group responded more frequently with none, whereas for the Upper Efficacy group responded more frequently with adv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emotional support received according to level of self-efficacy. The Upper Efficacy group received much more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spouses and their bosses compared to the Lower Efficacy group. Fourth, the most frequently adopted coping style to stress was self-regulation, followed by direct problem solving, and nothing(none). The most frequent response for the Upper Efficacy group was direct problem solving, whereas for the Lower Efficacy group was nothing(non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ping efficiency to stress according to level of self-efficacy. The Upper Efficacy group coped more efficiently with stress than the Lower Efficacy group. 이 연구는 자기효능감 수준별 성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대처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초, 중, 고등학생 자녀를 둔 성인 899명(남 399, 여: 500)이었다. 자유반응문항에 대한 채점자간 신뢰도는 93.4%, Kappa 계수는 .920이었으며, 양적 측정변인의 신뢰도는 α=.87∼.92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성인의 스트레스 생활사건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대표적이고 그 다음으로 자녀 양육, 직장 업무 등이 포함되었는데, 자기효능감 하집단이 상집단보다 경제적 어려움을 많이 지적하였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스트레스 증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하집단이 상집단보다 스트레스 증상이 강하였다. 둘째,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원 제공자는 가족이 가장 대표적이었고, 이외에 자기자신, 친구 등의 순서로 포함되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은 가족의 지원을 가장 많이 받는 반면에, 하집단은 사회적 지원 없이 자기자신이 해결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인간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부모자녀관계와 부부관계 및 직장상사관계에서 갈등이 적었다. 셋째,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원 유형으로는 정서적 지원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도움 없음, 조언 등이 포함되었는데, 자기효능감 하집단은 상집단보다 도움없음이, 상집단은 하집단보다 조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정서적 지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배우자나 직장상사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았다. 넷째,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방법으로 자기조절, 직접적 문제 해결, 없음 등이 부각되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은 직접적 문제 해결이, 하집단은 대처방법 없음이 가장 많았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스트레스 대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스트레스 대처를 더 잘 하였다.

      •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용준(Kim, Yong-jun)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21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취업준비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취업준비를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의 효율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을 두고, C시의 M대학과 C대학의 졸업예정 학생인 2학년과 3학년과 1학년 중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요약과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가 높을수록 진로준비 행동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정서적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 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1단계에서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고, 2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종속변수인 진로준비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면서 2단계보다 감소하였고,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취업상담시 사회적 지지체계를 충분히 개발해 주어 진로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진로 프로그램 개발 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with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among the second, third, and first year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graduate from University M and University C in C city. A summary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mater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mater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ffec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 parameter in the first stage, which met the mediating condition, and in the results of the second-stage parameter analysis,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met the mediating condition. In the results of the third-stage parameter analysis,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significant and decreased compared to stage 2, and the paramet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showing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ocial support system during employment counseling to support career preparation, and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helps through program development that can increas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en developing career programs.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서경희,곽원준,심지현 한국취업진로학회 2015 취업진로연구 Vol.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심리적 요인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경력단절 후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의 진로적응성(career adaptability)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경력단절여성 분포비율이 높은 시도를 선정한 후 해당 지역에 위치한 여성취업지원기관을 이용하는 구직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다중회귀분석귀분석과 일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적응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 있어 사회적지지는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경력단절여성의 진로발달에 있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인지하는 사회적지지의 상담에 있어서의 중요성이 도출되었다. 즉, 재취업을 희망하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진로 관련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개인적관계망과 제도적관계망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롤모델 및 유사한 상황의 경력단절여성들과의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집단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연구의 표집 대상은 다양한 지역, 연령, 과거 경력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부 시도의 여성 취업지원기관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응답자의 자기보고방식에 의해 변수들을 측정함에 의한 한계가 있어 향후 다각도의 측정방법을 통해 심층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hich were th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on career adaptability that is an attitude and also an ability, with which women hoping to get a job again after career discontinuity should be equipped while interacting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career. To this end, this study revealed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adapt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by targeting those women hoping to get a job again among the women who experienced career discontinuity due to pregnancy, childbirth, child-rearing and care of family members, etc. Through the results hereof,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to be used for career counselling and consultation in order to allow those career-interrupted women to successfully get a job and conduct their career development continuously in the rapidly changing job environment.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 was undertaken.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for 10 days with a total of 400 female job seekers who were using the career support center for women located in the nation's 7 major cities having a high degree of distribution for the career-interrupted women by using tiered cluster sampling method. In the end, a total of 359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for survey tool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four areas such as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scal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utilized. As for data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univariat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uch as SPSS 21.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adaptability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 birth region, degree of work support of a spouse (family member). It was found that those women living in the capital area with college degree or higher educational level who had a high degree of spouse (or family) support had a relatively high degree of career adaptability. Second,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areer adaptability. Third, it was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was playing the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such as problem-solving, goal setting and career adaptability. Thus, it was possible to deduct the implication that the career guidance by t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to consider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interrupted women.

      • KCI등재

        창업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한준,최대수,성창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mentoring as an effective support method to increase the awarenes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as demonst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mentor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itive role of entrepreneurial mentoring was confirmed as an influencing factor to increase the intention of young prospective entrepreneurs to set up and increase their expectations for social support. Specifically, entrepreneurial mentor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pectively,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mentor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ully mediated between entrepreneurial mentor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entrepreneurial mentoring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s self-confidence and efficacy increased when they recognized the belief or utilization of social support. Finally, by confirming that entrepreneurial mentor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that social support mediates between entrepreneurial mentor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entrepreneurial mentoring program raise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and helps founders to social suppor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as a way to raise the awareness and effect of startup supporting policy in practice as well.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인식과 창업의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지원 방안으로서 창업멘토링의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창업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의도를 높이고 사회적지지에 대한 창업자의 기대감을 높이는 영향요인으로서 창업멘토링의 긍정적인 역할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창업멘토링은 창업의도,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지지는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멘토링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멘토링과 창업의도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에게 창업전문가의 멘토링은 가까운 미래에 창업을 선택하려는 개인의 욕구를 나타내는 창업의도, 주변인이나 학교, 정부의 지원을 통하여 사회적인 도움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믿음을 나타내는 사회적지지, 그리고 창업가로서 수행해야 하는 역할과 과업을 계획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신념을 나타내는 창업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하였다. 또한 사회적지지가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적지원에 대한 믿음이나 활용을 높게 인식할 때 개인 스스로 자신에 대한 믿음과 효능감도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업멘토링이 사회적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지지는 창업멘토링과 창업의도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이 창업지원 정책을 포함하는 사회적지지에 대한 창업자의 인식 개선과 창업의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정인숙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포함하는)과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9.0으로 분석한 결과, 적성에 맞추어 입학한 집단, 주관적 학교성적이 높은 집단, 외향적인 집단과 리더십이 높은 집단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연령이 낮은 집단, 외향적인 집단과 리더십이 높은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다. 적성에 맞추어 입학한 경우 셀프리더십이 높았고, 여학생과 주관적 학교성적이 높은 집단의 학업수행이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수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성별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수행을 10.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반복연구 후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을 돕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related factors of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including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self-leadership and academic performa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The general self-efficacy scores of the subjects in who’re admitted according to aptitude, higher school grades, extroverts, and higher leadershi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weren’t. The social self-efficacy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younger ages, extroverts and higher leadership. Self-leadership was higher in those who’re admitted according to aptitude. Academic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emales and higher school grades. Social self-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leadership, and negatively with academic performance. Explanation rate of sex,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on academic performance was 10.5%.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as a basis for developing guidelines of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 self-leadership and academic performance after repeated studies.

      • KCI등재

        배드민턴 프로그램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신체적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정성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badminton program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the social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the “recognized physical competence” and the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the sub-domains of it, of the experimental group are all improved after the badminton program was implemented. However,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the sub-domains of the control group are not improved. The result proves the badminton program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Second, like the physical self-efficacy, the social self-efficacy, and the “social efficacy” and the “relation efficacy”, the sub-domains of it, of the experimental group are all improved after the badminton program was implemented, and the social self-efficacy and the sub-domains of the control group are not improved. This suggests the badminton program is an effective education activity to improve the social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s well as the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ly, the conclusion and the discussion in the study are hoped to be used in a basic data to help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ie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invigorate a badminton class or club activity for them in school fields.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인 배드민턴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신체적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N=10)과 통제군(N=10)으로 나누어 배드민턴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신체적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 검사 도구를 통한 사전검사, 30주간의 배드민턴 프로그램에 참여, 사후검사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하위 영역인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모두 사후에 크게 향상 되었으며, 이에 반해 통제군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각 하위 영역 모두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한 방법으로 배드민턴 프로그램이 효과적인임을 입증한다. 둘째, 실험군의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하위 영역인 ‘사회성 효능감’, ‘관계 효능감’도 모두 사후에 크게 향상 되었다. 통제군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각 하위 영역 모두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배드민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뿐만 아니라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도 매우 효과적인 교육활동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진로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김지훈,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4 實科敎育硏究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진로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서 사회적 지지가 갖는 매개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 17개 시·도 중 5개 지역(경 기, 충남, 대전, 세종, 대구)의 초등학교 5, 6학년으로 하였다. 총 4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적으 로 400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ver 21.0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높은 집단이 진로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진로 자기효능감 이 높은 집단이 아버지의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이 아버 지의 역할수행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녀의 진로 자기효능감 사이에 사회적 지지가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를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역할수행과 진로 자기효능 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사회적 지지를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자면, 첫째,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하고 있는 아버지의 역할수 행만을 다루었는데, 연구의 타당성을 좀 더 높이기 위해 아버지를 함께 연구대상을 참여시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아버지의 실제 지지를 함께 살펴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어머니의 역할수행에 대한 검사를 병행하여 종합적으로 검토, 비교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지각이 진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데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여러 변인에 대한 매개 효과 또는 조절 효과 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career self-efficacy perceived by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in 5 out of 17 cities and provinces (Gyeonggi, Chungnam, Daejeon, Sejong, and Daegu). A total of 4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00 copies were finally used for the study.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was SPSS ver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ith high father's role performance showed high career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group with high career self-efficacy showed high social support for the father, and the group with high social support for the father also showed high role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the child's career self-efficacy, the regression mod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ocial suppor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performance and career self-efficacy. In other words, the father's role performance indirectly affects the career self-efficacy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social support. To mak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only dealt with the role performance of the father perceived by the child, and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actual support of the father by participating the father together. It will also be meaningful to comprehensively review and compare the mother's role performance in parallel. Secon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influence of children's perception of the role of father on career self-efficac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r moderating effect on various variables.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내재적‧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구조적 관계

        박해임(Park, HaiIm),천성문(Cheon, SeongMoon),조은미(Cho, Eu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그것을 매개하는 변인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5개의 4년제 대학 신입생이며,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14일간 총 320부를 배부하여 이 중 33부를 제외한 28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회적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을 활용하여 2단계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고, Bootstrap 분석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째, 내재적 외재적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자기효눙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 대학생횔적응은 각각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 부분매개하고 있고,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을 완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신입생들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을 높여 대학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상담과 프로그램의 개입이 필요함을 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 related to freshman 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mediating variables them in their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reshmen at five 4-year colleges in Busan. A total of 320 copies were distributed for 16 days from June 1, 2017 to June 16, 2017, and 287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37 copies. The research tools used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basic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23.0, and were analyzed two-ste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Amos 21.0, were ver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rough Bootstrap analysis.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respectively,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is partially mediated by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between relationship with th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is completely mediated by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between relationship with the college life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counseling and program intervention are needed to help adapt to college life, so the college freshmen should increas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