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체제전환경제의 사회자본: 중국을 중심으로

        김재훈 대구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1 경제경영연구 Vol.7 No.1

        경제발전의 요인으로 물적, 인적 자본에 이어 사회자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사회자본이란 신뢰 외에 시민적 참여, 관계망 밀도, 인류애적 관용 등으로 구성된다. 사적 소유와 개별적 이익추구가 시장경제에 여러 문제를 낳는다는 점에서 사회자본은 긍정적 측면을 갖지만, 또 미시적 수준의 사회자본이 사회 전반적으로는 부정적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사회자본이 공공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려면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에 걸맞는 의식, 그것을 강제하는 각종 규칙과 법률체계, 상호 견제와 균형을 이룰 사회기구와 제도 등이 필요하다. 또 시장경제에서는 자본-임노동관계, 소득양극화가 필연적인데 중국과 같은 체제전환경제에서 거시적인 사회자본이 가능하려면 그런 사회제도들과 함께 근로대중의 권익을 대변하는 독립노조와 각종 사회보장제도가 확립되어 계급적 갈등을 완충해줄 수 있어야 한다. In these days, social capital has got more important than physical and human capital during the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It is positive because market economy has fundamental problems by private ownership and self-interest. But there are some conflict between the micro-level and macro-level social capital. Social capital can be public goods only if there are market and social consciousness, rules and regulations, social system maintaining social check and balance. Also there must be independent trade unions, social security networks against capitalist exploitation and poverty in China as a transition economy.

      • KCI등재

        사회자본과 건강한 노후 - 다층모형(Multilevel Modeling)을 활용한 사회자본의 영향 분석 -

        어유경 ( Yugyeong Eo ),김인태 ( Intae Kim ),홍석호 ( Seokho Hong ),김순은 ( Soon Eun Kim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한 노후에 대한 사회자본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층모형 접근법(Multilevel Modeling)을 적용하여 사회자본을 개인 및 지역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결속적 사회자본과 가교적 사회자본의 개념을 적용하여 노인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은 노인 개인의 신뢰, 네트워크, 참여에 대한 인식 수준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32개 기초지방정부 내 65세 이상 노인 1,0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을 활용하였다. 지역 수준의 사회자본은 지역별 신뢰 평균, 다양한 결사체의 수, 지방선거 투표율 등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이 높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높았다. 지역 수준의 사회자본의 경우, 일반화된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종교단체, 자원봉사단체, 정치단체, 산업 및 전문가 단체의 수가 많을수록, 정보공개청구율이 높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이 높았다. 반면 지역주민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시민운동단체 및 노동조합의 수가 많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이 낮았다. 요컨대 노인과의 긍정적인 관계에 기반을 둔 사회자본은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켰으나, 노인과 관계가 없는 사회자본은 노인의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오히려 악영향을 미쳤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자본을 통해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healthy aging of the elderly. Multilevel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social capital at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Also, we applied the concepts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to explain the theoretical impact of local social capital on the health of elderly individuals. Individual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the elderly person`s perception of trust, networks, and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conducted on 1,060 persons over 65 years old in 32 provincial governments was used. Local-level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the average level of trust among local residents, number of various associations, local election turnout and so on.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individual social capital were linked to a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the elderly. However, results were mixed regarding the impact of local social capital. Higher generalized levels of trust, greater numbers of religious, volunteer, political, industry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higher information disclosure application rates were linked to a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the elderly. On the other hand, higher levels of trust among local residents and greater numbers of civil movement organizations and labor unions were linked to a lower subjective health level for the elderly. These results imply that social capital can promote healthy aging if it is based o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but that it may have insignificant or adverse effects if it is not related to the elderly. Based on this analysis, policy measur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elderly through social capital.

      • KCI등재

        농촌 여성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

        김주희(Joo Hee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1 農村社會 Vol.21 No.2

        이 연구는 지난 삼십여 년간 경기도에 소재한 S 농촌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사회적 자본, 즉 접착성 사회적 자본과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이해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조사 자료는 2010년 6월부터 6개월 간 16명의 마을 여성들과의 심층적 인터뷰를 통해 구해졌으며, 이를 연구자가 1970년대 후반 10여개월간 참여관찰을 통한 민속지(ethnography) 조사와 비교하면서 논의를 진행했다. S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가 마을 안에서 마을 밖으로 확대되었다는 것 그리고 예전 그들에게 중요했던 이웃관계가 현저히 약화되었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과이다. S마을 여성들은 농경기계화가 가져다준 시간적·육체적 여유를 마을 밖 경제활동에 활용해 왔으며, 인구 감소로 인한 마을 내 관계의 감소를 마을 밖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보완해 왔다. 이러한 활동들은 의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봉사활동 또한 일상으로 받아들이게 했다. S마을 여성주민들은 도시와의 차이를 거의 느끼고 있지 않으며, 도시생활에서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적 관계망을 공적 관계망을 통해 만들어 가고 있다. 지난 삼십여 년간 S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는 접착성 사회적 자본이 감소하고 대신 연결성 사회적 자본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그동안 접착성 사회적 자본에 익숙했던 여성들이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유용성을 이용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물론 "친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보듯이 마을 내 접착성 사회적 자본이 아주 없어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마을 여성들의 마을 밖에서의 활동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그럴수록 그들의 사회적 관계망은 확대될 것이며, 이는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확대로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계는 접착성 사회적 자본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확대에 대한 예상은 조심스러워야 한다.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in social relationships among women in a Korean rural villag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author has been acquainted with the life of the village for more than thirty year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for the present study to the caus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changes of women`s social relationships, namely, the mechanization of farming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he former has reduced the economic inter-dependence among villagers and the contribution of women`s labor to the family farming. The latter has enabled women with spare labor power to easily seek new economic opportunities provided by nearby towns such as Asan tourist facilities. Sixteen women aged from the forties to the seven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The most conspicuous change in women`s social relationships can be termed as extens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village. Unlike those whose social relationships were bounded within the village in the past, women in the village now not only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official organizations sponsored by the District Office, but enjoy social gatherings formed through those formal meetings. They pursue instrumental needs and emotional satisfaction by maintaining social networks with women from other villages. Even the neighbor relationship within the village that us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women has greatly weakened. All these changes are the manifestations of the rapid decrea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ciprocal acts among villagers. The changes in social networks among the village women wer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he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in particular. The weakened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he village and their extension outside of the village were taken as the phenomenon of enlarging of the bridging social capital among women in the village, who used to lack such social capital. But their bridging social capital i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bonding social capital.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차별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을 중심으로

        우정자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20 시민사회와 NGO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ocial capital of family, the social capital of peer, and the social capital of community affect adolescents' the acts of discrimin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70 second graders of middle school who responded to the fifth survey of the first panel of the Children's Panel Survey in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social capital of family, the social capital of peer, and the social capital of community. The dependent variables are acts of discrimination. The control variables are gender, family economy level, and experiences of being discriminated. The analysis methods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ASW Statistics 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capital of family and the social capital of peer do not affect discrimination acts. Second, as the social capital of community increases, the act of discrimination decreases, and the social capital of norms and trust is identified as a factor that can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adolescents' act of discrimination. Adolescents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community-centered participation programs that increase community social capital of norms and trust in order to decrease the act of discrimi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 사회자본, 또래 사회자본, 지역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차별가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1기 패널의 5차 조사에 응답한 중학교 2학년생 370명이다. 독립변수는 가족 사회자본, 또래 사회자본, 지역 사회자본이고, 종속변수는 차별가해 행동이다. 통제변수는 성별, 가정경제 수준, 차별피해 경험이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PASW Statistics 18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 사회자본과 또래 사회자본은 차별가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 사회자본이 증가할수록 차별가해 행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범과 신뢰의 지역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차별가해 행동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청소년의 차별가해 행동을 줄이기 위해서, 규범과 신뢰의 지역 사회자본 증가에 도움이 되는 지역사회 중심 프로그램의 개발과 청소년의 참여를 적극 유도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사회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정보불평등의 영향 :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김태룡,김진석,송정현 대한지방자치학회 2009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정보불평등이 사회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의 결과, 정보불평등의 구성요소인 정보활용요인과 정보인식요인이 사회자본을 형성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배경적 변인이나 정보불평등의 영향요인들도 획일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에 따라달리 나타났으며 사회자본의 수준 또한 차원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자본의 형성을 위한 대안으로, 영향력을 달리하는 변인들의 기여도를 고려하여 기여도가 높은 정보불평등의 인식요인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끝으로 사회자본의 형성 전략은 획일적인 방식이 아니라,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요인별로 다양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학교공동체용 사회자본 측정도구 개발

        김태선,김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학교공동체를 위한 사회자본이 어떠한지를 밝히는 목적으로 사회자본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소(신뢰, 네트워크, 규범)를 고찰해 보고, 그간 수행된 교육부문에서의 사회자본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학교공동체를 위한 사회자본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국내외 연구자들의 문헌 분석, 선행연구 검토 그리고 수차례에 걸친 의견수렴과정을 통하여 우리나라 학교공동체에서 요구되는 사회자본의 범주로서 3개의 하위영역 신뢰, 네트워크, 규범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들 구성요소를 기초로 신뢰는 사람에 대한 신뢰와 제도에 신뢰로 구성하고 측정하는 문항은 10개, 네트워크는 의사소통, 학교참여, 사회적 관계로 구성하고 측정하는 문항은 28개, 규범은 호혜성과 사회적 통제로 구성하고 측정하는 문항은 12개로 총50개였다. 이렇게 개발된 사회자본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학교에서 어떤 사회자본이 부족한지 알아낼 수 있고, 부족한 요인 에 대한 육성방안과 실천적인 전략을 모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해 필요한 사회자본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힘으로써 부족한 사회자본을 어떻게 형성시킬 것인가에 대한 정책적 논의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전북지역에 있는 학교구성원들에 한정해서 조사되었다. 사회자본의 육성은 학교를 중핵으로 하여 가정, 지역사회 등이 서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역할 분담을 통하여 육성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별로 부족한 사회자본을 어떻게 형성시킬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 실천전략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ormation of social capital for a school community. Social capital can be defined as a shared norm, trust and value, and a network among people to promote cooperation from a variety of group activities and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The researcher reviewed literature on the social capital part of education and interviewed experts in this field and teachers. As a result of this progress, seven factors social capital were determined: trust (personal trust and system trust), network (communication, school participation, social relationship), norm (reciprocity, social control). The factors of social capital consists of 50 items. The trust factors consist of 10 items, the network factors consists of 28 items, the norms factors consists of 12 items and 50 items respectively.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research trends, developing a social capital questionnaire for a school community. It is imperative that we establish a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the members for a breakthrough in times of the crisis. It is very important to change the school community spirit from private faith.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s necessary to improve partnership in a school community. To foster social capital, the function of school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We need to draw an all-agreeable definition of social capital by constructing a theoretical framework and developing more objective and accurate tools for social capital measur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사회자본과 범죄학이론

        신동준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4

        사회자본 개념은 많은 사회과학자들로부터 주목을 받아왔고, 범죄학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사회자본은 개념의 지나친 포괄성과 모호성 때문에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또한 사회자본 개념이 정말 새로운 개념으로서 가치를 갖는가의 문제 등으로 많은 논쟁이 이루어져왔다. 이 논문은 사회자본 개념을 활용한 범죄학 연구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사회자본 개념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사회자본이 범죄학 분야에서 새로운 개념으로서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한다. 사회자본 개념을 활용한 범죄학 연구들은 범죄학이론이 사회자본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그 맥락을 명확하게 밝혀준다. 사회자본의 긍정적 측면은 사회통제이론과 사회해체이론을 통해서, 그리고 사회자본의 부정적 측면은 차별접촉이론을 통해서 잘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자본의 이러한 이중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ㆍ사회구조적 맥락에 대해서는 아노미이론과 차별기회이론이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본다. 이 논문은 사회자본 개념이 기존의 범죄학이론에 새롭게 기여하는 바가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개념 통합을 통한 이론통합의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이러한 통합이 과연 논리적으로 가능하며 범죄학 발전에 대해 실질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가 존재한다. 사회자본이 학문적으로 유용성을 확보하려면 사회자본 ‘이론’을 구성하기 이전에 그 개념을 좁게 잡아 경제적 동기의 차원으로 제한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론적 지향점에 따라 사회자본 개념을 달리 활용하면서 사회자본의 맥락 의존성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 도시 인프라 구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혜미,최준규 한국미래행정학회 2014 한국미래행정학회보 Vol.3 No.1

        지금까지 사회자본의 측정 혹은 그 영향요인을 도출하는 많은 연구들은 참여나 네트워크와 같은 개인의 행태적 차원을 종합하여 연구를 진행해왔다. 일부 사회자본 이 가지는 구조적·물리적 부문을 강조하고 있는 연구에서 조차도 영향요인을 구체화 하지 못하거나 규범적 수준에서 진행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도시의 물리적 요 소, 인프라 구조 등은 도시 거주민들의 행태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러한 영향관계는 지역 커뮤니티의 사회자본에 있어서도 밀접한 상관관계 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의 공간적 요소가 사회자본 형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일 수 있음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도시현황 지표를 활용하여 사회자본에 대한 도시 인프라 구조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사회자본의 개념을 정리하고 현재까지 사회자본의 영향요인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 를 검토하였다. 특히, 도시의 공간적 요소와 관련된 사회자본의 물리적 영향요인을 검토하고 주요 지표를 도출하여, 도시의 인프라 구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적으로 제시된 실증분석 결과는 대부분 유의미한 결과를 산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변수가 가지는 수준과 특성의 문제, 내용적 타당성의 문제, 표본의 크기 문제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향후 사회자본 연구에 있어서 도시지표의 활용 가능성 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In many research related to the social capital, those studies focused on the behavioral dimension of social capital, such as private network,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The structural perspectives of social capital have been relatively less emphasis than the behavioral or cognitive perspectives. So far, although the physical elements and infrastructure of the city have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to change the behavior of the inhabitants of the city, those factors are not treated as significant ones in local communi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emphasize that the urban physical factors could be key elements of social capital and examine the impact of urban infrastructures empirically. To this end,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part of generally discussed concept of social capital, and arranges a variety of factors. Especially the analysis presents spatial indicators related to social capital among existing theories. In addition, we empirically conduct the exploratory analysis on the impact of urban infrastructure on social capital.

      • KCI등재

        미시적 사회적 자본의 동태성이 사회적 기업의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사랑의줄잇기’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진,유한나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19 사회적기업연구 Vol.12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how dynamics of micro-level social capitalon sustainability of social capital.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astudy was examined through a case of ‘Empathy Shop’ in Seoul, Korea. Forthis purpose, social capital used by social enterprises is divided into‘micro-level and macro-level’ based on precedent studies, and ‘structure,cognitive and relational capital’ is considere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reas follows: First,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is enhanced by utilizing socialcapital.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micro-level socialcapital affecting performance at each stage of social business development. Thir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throughthe continuous management of social capital that is accumulated through thedynamic nature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will provide practice of socialcapital dynamism across the social business sector.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여 지속가능성을 확보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자본 활용을 살펴보기에 적합한 ‘사랑의줄잇기’ 사례를 선택하여 모기관(교회)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 활용이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사회적 기업이 활용하는 사회적자본을 ‘미시적, 거시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그 중 미시적 사회적 자본의 활용을 검토하기 위한 관점으로‘구조적, 인지적, 관계적 자본’을 규정한다. 사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 활용은 사회적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킨다. 둘째, 사회적 기업의 변화 단계별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의중요도에 차이가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동태성(dynamics)’으로 인해 기 축적된 사회적 자본의 지속적인 유지 및 관리를 통해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 KCI등재

        자본조달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

        조상민(Sangmin Cho),강선아(Suna Kang),홍순욱(Soonwook Hong) 대한경영학회 2020 大韓經營學會誌 Vol.33 No.2

        본 논문은 기업의 재무활동과 사회적 책임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긍정적이라는 의견과 단지 이익을 감소시키는 비용에 지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대립되는 상황에서, 기업의 자본조달 여부와 자본조달 방법에 따른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영향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긍정적이라는 입장에 대하여 추가증거를 제시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자본공급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라면 정보비대칭이 더 큰 경우 사회적 책임활동이 더 크게 증가할 것이다. 검증을 위하여 1993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본조달을 실시한 경우 자본조달을 하지 않은 경우보다 사회적 책임활동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자본을 통해 자본을 조달한 경우 부채를 통해 자본을 조달한 경우보다 사회적 책임활동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자본조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수준이 높은 것은 부채조달이 아닌 자기자본조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수준이 높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자본을 조달하는 기업의 경우 자본공급자와의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키려는 의도가 강할 것이며, 자기자본을 조달하는 경우에는 부채를 조달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정보비대칭 수준이 높고 정보비대칭 완화로 인한 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주주는 채권자와 달리 사회적 책임활동을 통한 가치 증가에 대한 청구권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기업이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는 이유가 기업의 위험을 감소시기 위한 것이라는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본 논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평가가 서로 대립되는 상황에서 기업의 자본조달 여부, 자본조달 방법을 활용하여 이러한 논란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finance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re are pros and c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hereafter ’CSR’). The affirmative side insist that management use CSR to decrease the risk of firm and the negative side emphasize the management’s opportunistic behavior of CSR. If management use CSR to mitigate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firm and capital suppliers, the CSR level is higher in case of equity capital raising rather than in debt capital raising. To examine this, an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for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s securities market from 1993 to 2017. Charitable contribution is used for CSR because it could measure the CSR more objectively and more dir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ported that the capital raising firms have higher level of CSR rather than non capital raising firms. Second, it is documented that the level of CSR in the equity capital raising firms is higher than in debt capital raising firms. These results support the affirmative opinion of CSR The equity capital raising firms have higher information asymmetry and the shareholders could have the fruits of CSR more than the creditors, so the higher level of CSR in the equity capital raising firms means that management use CSR for decreasing firm’s risk not for private benefit of management. The followings are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First,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purpose of CSR with capital raising. Second, this paper used charitable contribution for CSR proxies to emphasize the objective and direct characteristics of CS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