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 발달 연구

        구효진,박경란,최진선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For the last decade,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fishery & agriculture area has increased rapidly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ir atypical development of language and social-emotion. Subjects of 147 children aged 3 to 6 in multi-cultural family in Chung-chung and Jul-la provinces and the compared group of 143 children aged 3 to 6 in normal family in the same location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had significantly lower language development than those in normal family. Next,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ha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self-control, and coping skills than those in normal family, while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had higher aggression than those in normal family, Last,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low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self-control, and coping skills than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high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while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low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showed higher aggression than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high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Therefore, the result confirmed the atypical development of language and social-emo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fishery & agricultural area and furthermore it suggested the effects of language delay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delay. 본 연구는 국내 농어촌지역 다문화가정 유아들과 동일지역 일반가정 유아들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발달에 관한 비교를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들에게서 나타나는 비전형적인 발달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북도 및 전라남북도 농어촌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290명(다문화가정 유아 147명과 일반가정 유아 143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언어 및 정서․사회성(공격성, 자아존중감, 자기조절, 대처능력)발달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어촌지역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은 동일지역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정서․사회성발달 중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 및 대처능력은 일반가정 유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공격성은 일반가정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과 정서․사회성발달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유아들을 대상으로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정서․사회성발달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유아 중 언어발달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이 언어발달 수준이 높은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 및 대처능력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반면, 공격성에서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발달의 문제점이 시사되었으며, 나아가 이들의 언어발달 지연이 정서․사회성발달 지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택견 수련자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성 발달 관계

        김준호,안재식,장경태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택견 수련자를 대상으로 사회성 발달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우리나라의 전통 무예인 택견 수련 참가자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성 발달 관계를 규명하여 택견의 활성화와 택견 지도자들에게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10월 기준 대한택견회 소속 지도자가 수업을 지도하 고 있는 경기도 6개월 이상 중학생 수련자 189명을 대상으로 목적적 표집방법을 이용하여 표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유의성 검증(descriptive)과 평균차 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사회성 발달 관계는 t- 검증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체적으로 전체적인 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나이에 따 른 사회성 발달 관계는 일원변량분석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체적으로 전체적인 면에서 3학년이 가장 높 게 나타났다. 셋째, 수련기간에 따른 사회성 발달 관계는 일원변량분석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체적으로 전체적인 면에서 1년 6개월에서 2년 미만인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수련형태에 따른 사회성 발달 관계는 일원 변량분석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련강도에 따른 사회성 발달 관계는 t-검증 결과 차이가 없는 것 으 로 나타났으나 대체적으로 1시간 30분 이상의 강도로 수련한 집단이 1시간 30분미만의 강도로 수련한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velopment and middle school students' Taekkyon practitioners. In this study, 189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 do who were taught more than 6 months by the coach of Taekkyon Association from October, 2016 were sampled by using objective sampling method. Data analysis was analyzed by SPSS 20.0, descriptive and t-test. One-way ANOVA was used.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ociabi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gender, t-test result, but overall, male was higher than femal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velopment and ag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ANOVA, but overall, the third grade showed the highest level. Third, the developmental relationship of sociability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showed no difference in the result of the ANOVA, but in general, the group with less than one year and six months to two years showed the highest overall score.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ocial development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type of training. Fifth, although the t-test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in the sociabi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training, the group with the intensity of 1 hour and 30 minutes or more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 the intensity of less than 1 hour and 30 minutes.

      • KCI등재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이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장혜원 ( Hae Won J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이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발달장애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른 음악활동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어린이집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32명의 발달장애유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7개월이었으며 중재는 주1회 30분씩 총 20회기간 발달장애유아가 생활하고 있는 본래 학급에서 실시되었다. 중재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지시적가사, 질문하는 가사, 상승하는 멜로디와 다이나믹의 변화라는 음악의 요소가 삽입된 노래부르기, 주고받는 구조라는 음악의 요소가 삽입된 연주하기와 동작하기, 같은 프레이즈가 반복되는 멜로디라는 음악의 요소가 삽입된 음악감상이었다.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비교집단 실험설계이었다. 연구결과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타인과의 상호작용, 자아개념, 자기규제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은 성별과, 장애등급에 상관없이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음악활동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은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iveness of disabled infants` social development by music activities which made of music elements facilitate social skills, in the inclusion setting. Thirty-two infa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a inclusive child-care center participated in 20 sessions consist of 30 minutes from march to september. Intervention was singing made of indicative lyrics, question lyrics, ascending melodies, changing dynamic, playing and moving made of turn taking music structures, listening made of melody with repeated the same phrase. Study design is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s results of this study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social skills improved the disabled infants` social development in the inclusion setting.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social skills improved the disabled infants` social interaction, self concepts, self regulation. As study results, music activities facilitate social skills improved disabled infants` social development regardless of sex and retardation. and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social skills improved disabled infants` sociality related the ages As a conclusion,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social skills can b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infants` sociality with disabilities in inclusion settings.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태블릿기반 사회성평가 개발 및 예비타당도 연구

        주유미,정진욱,김정호,정서원,조선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4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평가를 개발하고 개발된 각 항목의 예비타당도를 연구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 : 문헌 고찰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과 관련이 있는 사회성 요소들을 선별하고 평가의 구성 개념 을 정립하였다. 내용 타당도를 정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후 사회성평가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설계, 개발, 및 사용성 평가 등의 과정을 거쳐 평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인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한국어판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Korean version of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및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 SMS)와 개발된 사회성평가 점수 간의 상관관계 를 분석하였다.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발달 아동 32명과 발달장애 아동 16명과의 사회성 평가 결과를 평균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총 3개의 대분류 안에 8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세부 평가항목으로는 지시따 르기, 모방, 주의공유, 전상징기적 지식, 상징행동, 규칙이해, 감정지각, 조망수용이 있다. 각 항목에 대한 구성 및 과제 적절성을 델파이 조사결과 모든 항목이 CVR .8-1로 나타났다. 사회성평가의 모든 항목에 서 정상발달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수행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5.1, p = .000). 아울러 K-SCQ 및 SMS 점수와 개발한 사회성 평가 점수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9, .57, p < .01).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 평가항목을 개발하였고, 각 평가항목과 구성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성평가를 통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향후 임상과 교육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to evaluate the social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and to study the pilot validity of each developed item. Methods: Constructed concepts related to social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DD were establish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o establish the content validity, an expert panel was formed,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digital assessment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an avatar and the logic of the running, development, and usability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evaluation, th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investigated. To verify the concurrent valid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and the Social Maturity Test (SMS) were conduct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was analyzed. To examine the discriminant validity, a Mann-Whitney analysis was conducted for 32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D) and 16 children with DD. Results: The study results consisted of eight items in three major categories. Detailed items include following instructions, imitation, joint attention, pre-symbolic behavior, symbolic behavior, understanding rules, emotion perception, and perspective taking. As a result of a Delphi survey on the construct concept and task relevance of each item, the CVR of all items ranged from .8 to 1. The test scores between children with TD and D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items of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5.1, p = .000).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K-SCQ and SMS scores and the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score (-.69, .57, p < .01). Conclusion: In this study, a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was developed, and the items and composition of the assessment were found to be valid. It is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help examine the level of social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DD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 발달 영향요인 분석

        곽수란,이진순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ity and cognitive-language development in infant on temperament, parenting characteristics and childcare teachers` efficacy using the 6th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t set the basic assumption that temperament, parenting characteristics and childcare teachers` efficacy in infant(49~55 month) have causal relationship in sociality and cognitive-language development. Measurement variables are infant temperament,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parenting attitude, childcare teachers’ efficacy and sociality, cognitive-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compared the two groups (father and mother)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program be used SPSS and LISREL.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infant temperament on sociality development, mother’s education level on cognitive-language development had the positive influences. Expect for the paths had no effects. But if childcare teachers` efficacy be mediated, No effects paths had the positive effects. It is consider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effects of causal relationship of teachers` efficacy in infant on sociality and cognitive-language development and will be available as information for healthy development of infant and enhancement of parenting activities. 이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5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아기질, 부모 양육배경, 보육기관 교사 특성이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인과관계 효과를 탐색하고 있다. 분석 맥락은 일차적으로 유아기질, 부․모 학력이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부․모양육태도와 교사효능감이 유아발달에 매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변수는 유아기질, 부․모학력, 부․모양육태도, 교사효능감, 사회성발달 그리고 인지․언어발달이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모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와 LISREL이다. 분석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학력에 따라 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었고, 두 모형의 공통적인 결과는 유아기질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이다. 더 나아가 아버지학력은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만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발달은 보육기관 교사효능감의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해 주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유아기 건강한 발달을 조력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한부모동거가족 아동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산시 동구지역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최은주,고승민,황은혜 어린이재단 2009 동광 Vol.105 No.-

        본 연구는 부산시 동구지역 내 초등학생 4~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사회성발달을 조사하여 각 변수들이 아동의 사회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아동의 동거기준에 근거한 가족형태에 따른 사회성발달이 그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를 조사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부산시 동구지역 내 5개 초등학교의 4~6학년 아동 전체 1,20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환경변수가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t/F 검정,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분석을, 한부모동거가족과 부모자녀가정의 사회성발달의 차이를 보기 위해 이변량상관계수분석, 선형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사회성발달에는 매우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동의 동거가족형태에 따른 한부모동거가족과 부모동거가족간의 사회성발달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지지에 있어서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변화를 유도하기 어려운 가족의 구조적 측면에 대한 접근 보다는 아동의 사회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 향상에 대한 접근이 중요하다. 특별히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지역사회 내 한부모동거가족에 대해서는 한부모동거가족의 사회적지지망구축과 자원연계의 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최윤녕 ( Choi Yun-noung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어떠한 관련성을 나 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목적으로 수행되었다.연구대상은 교사 100명과 유아 30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평가할수 있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20.0 프로그램이 이용되었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라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은 모두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각 하위요인들 간에 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각 하위요인들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유아교사의 하위요인들 중에서는 `인격`이 가장 큰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의 배려적 사고와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이 보통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가 어떻게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연관되는지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를 통해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을 좀 더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에 바람직한 유아기 사회성 발달을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가 포함된 인성함양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인 교사의 인성함양 노력이 교육현장에서 실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consideration thinking and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0 teachers and 300 young children. Preschool teac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their own consideration think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Win. 2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the sub-scales of preschool teachers` consideration thinking and the sub-scales of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respectively. Also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the sub-scales of preschool teachers` consideration thinking on the sub-scales of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respectively.

      • KCI등재

        다문화가족 유아의 사회성발달을 위한 누리과정 음악활동에 대한 조사연구

        장혜원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4

        본 연구는 다문화통합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다문화가족 유아의 사회성발달을 위한 누리과정 음악활동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6개의 다문화통합어린이집 담임교사 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9년 2월 25일부터 5월 31일까지 3개월이었다. 그 결과 누리과정 음악활동에서 다문화가족 유아의 사회성발달 목표를 계획하여 중재하는 교사보다 계획하여 중재하지 않는 교사가 조금 많았다. 누리과정 음악활동에서 계획하여 중재 할 수 있는 다문화가족 유아의 사회성발달 목표는 타인과의 상호작용, 자아개념, 자기규제 순이었다. 또래와 함께 즐기기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자신감 나타내기는 자아개념에서, 자율성은 자기규제에서 가장 많이 계획 및 중재할 수 있는 하위목표이었다. 교사가 가장 많이 실행하는 누리과정 음악활동 종류는 노래부르기, 주로 사용하는 음악교육자료는 일반 누리교육과정의 음악활동자료, 가장 큰 어려움은 음악선곡 등 음악적 지식 및 기술의 부족이었다. 다문화가족 유아가 가장 선호하는 음악활동 종류는 음악에 따라 율동하기이었으며 주로 참여하는 음악활동 유형은 일반유아와 함께 참여하는 대그룹 일반음악시간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다문화가족 유아의 사회성발달을 위해 교사가 계획 및 중재할 수 있는 누리과정 음악활동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시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usic activity programs which are currently offered to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ttending multicultural integrated daycare centers to improve their sociality. The study period is 3 months, from February 25 to May 31, 2019. For this study, the database is collected from 82 teachers in 26 multicultural integrated daycare centers in Seoul about plan, intervention, and music activities. Results 1)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more teachers who do not plan on social development goals than teachers who did. 2) The social development main goals that teachers can plan and intervene in Nuri-curriculum music activities to develop the socia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 the order of ‘interaction with others’, ‘self-concept’, and ‘self-regulation’.: The sub-goals of social development which were most frequently provided were ‘enjoying with peers’ in interaction with others, ‘expressing confidence’ in self-concept and ‘autonomy’ in self-regulation. 3) The most informative music educational material for teachers was the ‘Nuri-curriculum’. The difficulty of teacher intervention was lack of professional music skills such as selecting music. Singing was the most frequent teaching method among Nuri-curriculum. However,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preferred 'moving with music' and they participated in a large group of regular music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music activities of the Nuri-curriculum that teachers can plan and intervene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 및 자녀의 사회성발달 간의 관계

        한영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 between marriage satisfaction,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of the mother with younger children.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260 mothers with a child aged 1~5 at ten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in Jeonju.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ther’s marriage satisfaction did not have much direct effect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ir younger children. Secondly, mother’s marriage satisfaction had direct impacts on their parenting efficacy. Finally,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d important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their marriage satisfaction and the social development of younger children. The findings imply that mother’s parenting efficacy is a critical variable in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ir younger children and that mothers should increase their perceived level of marriage satisfaction to develop their efficacy properly.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 자녀의 사회성발달 간의 인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J시 소재하는 어린이집 10곳의 만 1세~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60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측정도구로는 결혼만족도 척도(K-MSI), 양육효능감 척도, 사회성발달 척도(PIPP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 21.0을 이용하여 구조적 관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자녀의 사회성발달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양육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결혼만족도와 영·유아 사회성발달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의 사회성발달에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자녀의 사회성발달 간의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영·유아기 사회성발달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변인인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 증진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본 연구가 이러한 개발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음악줄넘기운동을 통한 초등학교아동의 사회성발달 효과

        이대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music jumprope exercise on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0 students in two different fifth-grade classes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Incheon.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30 development each.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music jumprope during a 10- weeks period of time, and the control group just took normal physical education.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ANCOVA and t-test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regarding relations between gender and overall social develop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the boys and girls, but the boys showed better improvement in autonomy, one of five social sub-areas, than the girls. Second, the pretest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equivalent, but the experimental group made better progress in the post-test than the control group. The former was far better than the latter in every subarea of sociability.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music jumprope had an evident effect on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 mutual cooperation contribut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cause they had more time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in the course of getting music jumprope together. 본 연구는 음악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발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60명을 표집 하였다. 표집대상은 10주간의 음악줄넘기 운동을 실시하는 실험집단 30명과 음악줄넘기를 하지 않고 체육교육과정에 맞추어 정규수업을 실시하는 비교집단 30명으로 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SPSS 12.0통계 프로그램으로 ANCOVA, t-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험집단에서 성별에 따른 전체적인 사회성발달은 남녀 성별에 대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성발달의 하위영역 5개중 ‘자율성’ 부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발달 하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있어서는 사회성발달의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이 비슷한 결과를 보여 동질 집단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사회성 발달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학생의 음악줄넘기 운동이 사회성 발달과 그 하위 영역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들과 음악줄넘기 운동을 하면서 상호 작용하는 시간이 많아지므로 서로 협동하는 가운데 인간관계가 원활하게 형성된 결과라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