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한국음악사 수록 양상 및 개선방향 모색

        한영숙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9 국악교육연구 Vol.13 No.1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clude all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history, most of which are linked to activities for music appreciation. It needs to be examined how these contents can help understand the musical contexts that characterize each period of Korean music history. Thus,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content of Korean music history presented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fterward, the study identified problems and sought a direction for improvem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aspects of the Korean music history included in the music textbooks give weight to the ancient rituals of Heaven, the geomungo of Goguryeo, the giakmu(伎樂舞) of Baekje and the gayageum of Silla. It also contains a relatively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regarding beompae(梵唄: a genre of Buddhist ritual chants and songs) of the Unified Silla, murals in the mausoleum of Princess Jeonghyo of Balhae, Yeondeunghoe(燃燈會: a festival of lotus lanterns), Parlkwonhoe(八關會: a national religious festival), and Confucian ritual music at the Munmyo shrine of Goryeo. The contents for the early Joseon period focus on the musical achievements of Kings Sejong, Sejo, and Sungjong, while those of the late Joseon period focus on the pungnyu music and folk music. However, it is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since most of the music textbooks only contain partial parts of music, musical instruments, iconographical materials, and figures from each period through a mere introduction of names and fragmentary explanations. Also, some of the music textbooks use a cartoon for educational purpose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Although their intention is decent, the cartoon is limited to properly understand the whole flow of Korean music history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problems of the Korean music history in the Music textbooks are identified as inaccuracy of periodization, conceptual errors in terminology, or absence of explanation. There are no sufficient contents about the music of each period, and a clear introduction of iconographical materials and proper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are lacking.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influential figures in music and music institutes. There is almost no activity for appreciation of Korean music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To solve these problems, detailed supplementary explanations are required rather than simply presenting music terminology. In other words, distinct periodization should be suggested, and a precise meaning should be given to the concepts of terminology. Also, iconographical materials such as mural paintings in tumuli, artifacts, uigwe(儀軌: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and genre painting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Contents that help understand influential figures related to the music field should be presented. Activities for appreciation should particularly center on understanding musical piece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Music textbooks ar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so they should introduce the contents accurately. Hence,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contents of the Korean music history in music textbooks should represent musical information of each period in a more detailed and clear manner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how musical aspects have changed in the course of history as well as the musical activities of each period. 중학교 음악교과서는 한국음악사에 대한 내용을 모두 수록하고 있는데, 대부분 감상영역과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내용이 각 시대를 특징짓는 음악적 사실을 이해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한국음악사의 내용을 면밀히 고찰한 연후에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제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교과서의 한국음악사 수록 양상은 상고시대의 제천의식, 고구려의 거문고와 백제의 기악무 및 신라의 가야금에 비중을 두었다. 또한 통일신라의 범패와 발해의 정효공주 벽화를, 그리고 고려의 연등회․팔관회와 함께 문묘제례악에 대한 내용을 비교적 많이 수록하였다. 조선 전기의 음악은 세종과 세조와 성종 등의 음악적 업적에 비중을 두었고, 후기의 음악은 주로 풍류음악과 민속음악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이처럼 각 시기별로 일부의 음악과 악기 및 도상자료에 국한하여 그 내용을 명칭만 언급하거나 단편적으로 설명이 이루어졌는데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또한 일부 음악교과서는 학생들에게 흥미와 이해를 돕기 위해서 만화로 제시한 의도는 좋았으나 내용이 너무 소략하여 한국음악사 전체의 흐름과 각 시대별 음악의 특징을 올바르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한국음악사의 문제점은 시대구분의 부정확성과 용어에 대한 개념의 오류 또는 설명이 전무하다. 그리고 각 시대별로 음악적 내용의 결여이며, 명확한 도상자료의 소개와 적절한 활용이 부족하다. 아울러 음악기관과 음악인에 대한 소개가 부족하며, 음악사와 연계한 감상곡은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활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한국음악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향은 음악에 대하여 명칭만 제시하기 보다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시대구분을 명확하게 소개해야 하며, 용어의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의미 부여가 필요하다. 또한 각 시대의 고분벽화와 유물 및 의궤와 풍속화 등 도상자료를 적극 활용하여야 하며, 음악과 관련된 인물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해야 한다. 특히 감상활동은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악곡을 이해하는데 비중을 두어야 한다. 음악교과서는 교수․학습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내용을 정확하게 소개해야 한다. 음악교과서의 한국음악사는 시대별로 음악적 사실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수록하여 한 시대의 음악활동은 물론 역사의 흐름 속에서 어떠한 변화 양상이 나타나는지 올바르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외적 보상, 내․외재동기, 과제유형이 문제 해결에 미치는 효과

        한영숙,현성용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보상이 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개인의 동기유형과 과제유형에 따라 문제 해결에 대한 외적보상의 효과가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실험참여자는 대학생 127명이었다. 실험참여자들을 내재동기집단과 외재동기집단으로 구분한 후 다시 무보상조건과 보상조건에 무선 배치하였다. 과제유형은 단계적 문제와 통찰문제이었다. 보상, 동기유형, 과제유형이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삼원변량분석 결과, 보상과 과제유형의 주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과 동기유형 간 상호작용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보상과 동기유형 간 단순 주효과분석 결과, 내재동기와 외재동기 두 집단 모두 무보상조건보다 보상조건에서 과제의 정답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보상조건에서는 외재동기집단이 내재동기집단보다 문제 해결과제의 정답 수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조건에서는 동기유형에 따른 정답 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적보상이 문제 해결에 정적영향을 주며, 외적보상에 의한 동기화는 내재동기집단보다 외재동기집단이 더 강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보상이 문제 해결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문제 해결을 촉진시키는가를 알아본 결과, 문제 해결시간은 보상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whether problem solving was affected by extrinsic reward and 2) to examine whether types of motivation and task modera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reward and problem solving. In experiment, 127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types (i.e., intrinsic vs. extrinsic). Then each group was again divided into additional two groups depending on extrinsic reward (i.e., reward group vs. non-reward group). Participants in each condition solved the 4 incremental and 4 insight tasks, and numbers of correct response were measu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extrinsic reward facilitated performance regardless of task type. Also, participants in the intrinsic motivation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ose who were in the extrinsic motivation group when extrinsic reward was not given for their task performance. Motivating effect of the reward might be stronger in the extrinsic motivation group than in the intrinsic motivation group.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Time of problem solving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y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reward.

      • KCI등재

        B16 Melanoma 세포에서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영숙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4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5 No.1

        This study has attempted to figure out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Machilusthunbergii extract through the scavenging of free radial and SOD activation andinvestigate its inhibiting effect on melanin production using B16 melanoma cells. Then,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Cell viability was 100%, 99%, and 94% in 1,10, and 100 ㎍/㎖ of Machilus thunbergii extract. Second, according to measurement of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using DPPH solution, they were 9%, 55%, and 76% in 1,10, and 100 ㎍/㎖ of Machilus thunbergii extract. Third, in terms of SOD activities, theywere 4%, 54%, and 73% in 1, 10, and 100 ㎍/㎖ of Machilus thunbergii extract. Fourth,in terms of tyrosinase activities, they were inhibited by 15% and 24% in 10 and 100 ㎍/㎖ of Machilus thunbergii extract. Fifth, according to an analysis of its effects onmelanin production, the production was inhibited by 35% and 43% in 10 and 100 ㎍/㎖ ofMachilus thunbergii extract. Since Machilus thunbergii extract contains a lot offlavonoids, anti-oxidation and strong SOD activities were found. In addition, it hasinhibited melanin production by slowing down tyrosinase activities. Therefore, it appearsthat Machilus thunbergii extract would be available as an anti-oxidative or whiteningingredient in the cosmetics industry.

      • KCI등재

        중여음의 형성시기에 관한 연구

        한영숙 한국국악학회 2010 한국음악연구 Vol.47 No.-

        현행 가곡의 형식은 대여음과 중여음을 포함하여 5장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가곡의 원형이라 불리는 만대엽·중대엽·삭대엽을 수록하고 있는 16~17세기의 고악보에서는 3장과 4장 사이에 중여음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중여음이 언제부터 존재하기 시작했는지 그 형성시기를 고찰하기 위하여 만대엽·중대엽·삭대엽을 수록하고 있는 16세기부터 18세기 중엽까지의 고악보를 토대로 여음부분을 검토하였다. 만대엽의 여음은 대부분 후주에 존재하는데 비하여 유일하게 한금신보는 악곡의 중간에 여음이 출현하고 악곡의 뒷부분, 즉 후주에는 여음이 나타나지 않는다. 중대엽의 여음은 양금신보에서 금보신증가령에 이르기까지 후주에만 출현하다가 백운암금보부터 三旨와 四旨 사이에도 그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다. 삭대엽의 여음은 현금동문류기에서 백운암금보에 이르기까지 후주에만 나타나고, 연대소장금보에 이르러 半餘音 또는 中餘音이란 명칭으로 간주부분에 존재하기 시작한다. 만대엽과 중대엽·삭대엽의 중여음은 三旨와 四旨 사이에 언제부터 존재하기 시작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노랫말이 수록되어 있는 악곡과 간주부분에 여음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는 고악보를 비교한 결과, 만대엽은 한금신보에서만 유일하게 그 모습을 보인다. 그 이유는 금합자보에서 三旨를 종지한 연후에 바로 四旨의 선율진행이 나타났기 때문에 실제로 중여음이 존재하지 않았다. 평조 중대엽을 수록한 양금신보와 우조 삭대엽 第一을 수록한 백운암금보에서는 三旨의 노래가 끝나고 四旨의 노래가 시작될 때까지 16박 동안 진행되는 선율이 나타난다. 이 부분은 간주격에 해당하는 중여음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노래 없이 기악으로만 연주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선율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중대엽과 삭대엽이 형성되기 시작한 초창기부터 악보에 명칭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실제로 중여음 선율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urrently, Gagok is formed with five chapters, including Daeyeoeum, and Jungyeoeum. From the 16th to 17th century, however, the old scores included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which are called the original form. They did not include Jungyeoeum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of Gagok, this study reviews the Yeoeum parts of the old scores, including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from the sixteenth to the mid-eighteenth century is addressed in order to discuss the formative period of Jungyeoeum. The Yeoeum of Mandaeyeop has traditionally been located in the final part of the song. However, in Hangeumsinbo, it was in the middle part instead. The Yeoeum of Jungdaeyeop was only located in the final part from Yanggeumsinbo to Geumboshinzeunggaryung, but after Bakunamgeumbo, it was placed between the third and the fourth chapter. The Yeoeum of Sakdaeyeop was only located in the final part from Hyunguemdongmoonryugi to Bakunamgeumbo, but after Yeondaesojanggeumbo it was placed in the interlude part, called Banyeoeum or Jungyeoeum. This study compared the scores of Jungyeoeum of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and found that in the formative period, Jungyeoeum was locat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 melodies. Since Geumhapjabo did not have Jungyeoeum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Jungyeoeum of Mandaeyeop has only been represented in Hangeumsinbo. Furthermore, Yanggeumsinbo, including Jungdaeyeop in the mode of Pyungjo and Bakunamgeumbo, including the first chapter of Sakdaeyeop in the mode of Ujo, have the same or similar melodies played by only instruments without singing for 16 beats between the third and the fourth chapters. This evidence indicates that the melodies of Jungyeoeum had already existed from the initial period of formation of Jungdaeyeop and Sakdaeyeop.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