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벽 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시계열 효과 분석

        곽수란,김미정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4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생이 인식하는진로장벽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대학교 진학경로에 차이가 있는 점을 반영하여 2-3년제 전문대와 4-6년제 대학교로 집단을구분하여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최종 종속변수인 행복감은 가변적인 요인이기 때문에 3차년의 변화를 추정할수 있는 잠재성장모형인 무조건모형으로 투입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진로장벽 인식이 개인의 자아인식과 연계되는 특성을 반영하여 청소년기부터 대학생인 현재시점까지 자아개념을 외생변수로 투입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심리적진로장벽과 환경적진로장벽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의미 있게 확인되었으나 2년제대학과 4년제대학 간에는 그 방향에 차이가 있는 것을 볼수 있다. 더 나아가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행복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또한 2개 대학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자아개념이 대학생의 진로장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공통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성인기에 진입한 대학생의 행복감과 그 변화요인을 탐색할 수 있으며, 따라서 건강한 성인기 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ill determin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happiness using KEEP data. It will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barriers affect their happiness and compare difference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lleges and universities. Happiness,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is a factor that changes. Therefore, it was included the unconditional model, a latent growth model that can predict changes over a three-year period. Additionally, self-concept, which is related to individual self-cognition, was input as an exogenous variable on SEM. The analysis revealed that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barriers significantly influenced happiness. However,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olleges and universities, notably in how career barriers affect changes in students’ happiness. Nevertheless,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w commonalities in how self-concept influences perceived career barriers. Our results can help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and inform efforts to provide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entering adulthood.

      • KCI등재

        학업수행에 따른 학교적응도 추이 분석

        곽수란 한국교육사회학회 2008 교육사회학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교적응도 추이를 분석 하였다.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과 학교 기능을 비추어 볼 때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교육적, 발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는 학업부담이 점차 가중되는 시기인 중·고등학생의 학업수행 정도가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학업수행과 학교적응과의 인과관계가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급하였을 때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지 탐색하였다. 학업수행은 공부, 과외, 학업성적으로 측정하였으며 학교적응은 사회적응과 정의적응을 측정한 잠재변인이다. 분석대상은 중·고등학생 1,781명이며, 학업수행과 학교적응과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구성하여 중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추이를 탐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한국사회 청소년인 중·고등학생의 학업수행에 따른 학교적응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은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과 학교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 여겨진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hool adjustments of the Korean adolescents from junior high schools to high schools longitudinally, using a sample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which is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In considering the nature of adolescents and schools, the school adjustments for adolescents have great significance for the education and development perspectives. However, since adolescents belong to many types of social environments, there is a limit to explaining the school adjustments simply. This study examined how and to what degree the academic performance influences the school adjustments and analyzed the changed effects of the school adjustments from junior high schools to high schools. The sampling is done with 1,781 students of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sists of 5 latent and 12 observed variabl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ademic performances influence the school adjustments and the connections change the effects. It also provides a framework for promoting the sou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and raising the educational efficiency.

      • KCI등재

        인문계 학생의 학업성취 결정요인

        곽수란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문계 고 등학생의 학업성취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는 다양한 맥락과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 문에 단순하게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학업성취에 관련된 연구들은 변인과 영역을 달리 하여 끊임없이 지속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 학교, 교사, 학생의 특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그 인과관계를 탐색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의 핵심은 인지적 학업성취와 비인지적인 학업 성취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즉, 각 요인이 인지적 학업성취와 비인지적 학업성취에는 어떠한 영 향이 있으며, 그 인과관계 차이는 어떠한지 분석한 것이다. 분석방법은 가정, 학교, 교사, 학생, 학 업성취인 5개 잠재변수와 13개의 측정변수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구성하여 탐색하였다. 분석결과는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의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인지적 성취와 비인지적 성취 차이와 맥락을 탐색함으로써 교육 정상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여 겨진다. Using a sample from the 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KEE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ademic achievement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Because academic achievement is affected by many types of contexts and variables, we are limited in how simply we can explain it. Therefore studies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are continuously being carried out according to different variables and subject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raits of FAMILY, SCHOOL, TEACHER and STUDEN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what their casual relationships are. The point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comparativ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of cognitive and affective outcomes. To def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I selected 5 latent variables(FAMILY, SCHOOL, TEACHER, STUD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13 observed variables. I used the SPSS and LISREL programs to analyze descriptive results, correlations, and path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be a framework for the understanding of structure for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아동・청소년기 창의성과 공동체의식 결정요인 : 학업성취 맥락에서

        곽수란 한국교육개발원 2017 한국교육 Vol.44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ity and a sense of community with regards to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teachers’ fervor and student attitude during the transi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Design/ methodology/ data/ approach: This article proceeds from a basic assumption that creativity and a sense of community are forms of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confirms the effects of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teachers’ fervor and student attitudes with regards to creativity and a sense of community. The subjects were 5,978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all questions on a questionnaire from their 5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to their 1st grade at middle school; this data was drawn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13.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LISREL program to establish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ed factors for latent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Resul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effect of the teachers’ fervor on creativity and a sense of community is consistent, and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has differing effects on creativity and a sense of community. The effects of student attitude on creativity and a sense of community are consistent in some ways, but they differ in other ways, particularly in terms of their relative significance. Value: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effects of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teachers’ fervor, and student attitude and the fostering of creativity and a sense of community. The availability of this information should help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하여 공개한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차부터 3차까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업성취로서 창의성과 공동체의식 결정요인을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초 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 시점까지 부모의 교육지원, 교사열의 그리고 학생의 수업태도가 창의 성과 공동체의식 및 그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한국교육종단조사2013 1차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이 중학교 1학년 시점까지 탈락하지 않고 응답한 학생이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에 적절한 데이터로 조정한 5,978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요인 간의 인과관계 확인은 잠재 성장모형을 설정하고 LISR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열의가 창의성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공통 적인 맥락을 나타내며, 창의성과 공동체의식에 차이가 있는 것은 부모의 교육지원이다. 또한 학생의 수업태도는 드러나는 양상과 방향은 동일하지만 유의성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적 성취인 창의성과 비인지적 성취인 공동체의식에 대한 부모의 교육지원, 교사열의, 수업태도의 효과 및 변화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의 학업성취 제고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 KCI등재

        부모관여와 부모지원이 대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곽수란,이기종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교육사회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8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모관여와 부모지원이 대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성인기 발달단계에 있는 대학생 자녀에 대한 부모관여와 부모지원 중 어떤 요인이 대학적응에 더 결정적인 요인인지 확인하는 것에 초점을 두며, 더 나아가 대학이 고등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기관이라는 측면에서 교수활동과 학습활동이 매개요인으로 포함되었다. 분석대상은 KELS 8차년도 응답자 중 대학재학 중인 학생 2,173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요인은 부모관여(일상생활, 학업활동), 부모지원(학업진로, 심리사회), 교수활동(인지적, 비인지적), 학습활동(학습태도, 주도적학습) 그리고 대학적응(학업적응, 비학업적응)이다. 분석방법은 선정한 요인 간의 인과관계 확인을 위해 LISR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부모관여는 대학생의 교수 및 학습활동 인식 그리고 대학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며, 부모지원은 전체 경로에 직접 또는 매개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성인기 발달단계에 있는 대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부모의 역할을 탐색할 수 있는 정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and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using the 8th data of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It set the basic assumption that parental involvement and support have causal relationship in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is conducted the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to parental involvement and support and the mediated effects of teaching performance and learning performance. The subject of analysis are college 2,173 students. Measurement variables are parental involvement(daily life, academic activity), parental support(academic and career, psycho-social), teaching performance(cognitive, non-cognitive), learning performance(learning attitude,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adjustment(academic, nonacademic). This study is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SPSS and LISREL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parental involvement on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and school adjustment have not significant effects. but parental support have the positive significant effects. It is consider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effects of causal relationship of parent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and will be available as information for investigation role of parents i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초·중학생의 생활만족도 분석

        곽수란 한국교육사회학회 2007 교육사회학연구 Vol.17 No.1

        By using a sample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s the life satisfaction of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means a subjective well-being or the sense of happiness in daily life. Therefore, it is to be influenced by developmental stages and life domains. This study divides the life domain of students into school, home, community, peer relations, and self-awareness, and examines how and to what degree the peculiarities of each life domain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a stepwise regression test. And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of the student a regression model was established separately for both elementary(n=2,565) and junior high school (n=2,872) students. The finding of this study confirmed the properties that affects life satisfaction and change i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생활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생활만족도는 일상생활에서의 주관적인 안녕이나 행복감으로 각각의 발달단계나 생활영역에 따라 다르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생활영역을 학교와 가정 및 지역사회, 친구관계 및 자아관으로 구분하고, 그러한 생활영역에서의 특성이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있다. 분석방법은 각 생활영역의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또한 각 학교급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등학생(n=2,565)과 중학생(n=2,872) 각각의 회귀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영향 요인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기 미래 목표의식이 초기 성인기 개인역량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곽수란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uture goal consciousness in adolescence based on personal competence and happiness in early adulthood.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is article proceeds from the basic assumption that parental support in households and teacher fervor in school, which are important support bases in adolescence, have an effect on future goal consciousness in adolescence, and an effect on personal competence and happiness in adulthood. The subjects were 2,841 (male=1,321, female=1,520)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all questions on a questionnaire from their 6th wave at high school to their 9th wave in this data was drawn from the KELS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LISREL program to establish a causality between the selected factors for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teacher fervor on future goal consciousness are consistent, and are significant factors. But the effects of future goal consciousness differ significantly with regards to personal competence and happiness in adulthood. The effects on personal competence are significant and the effects on happiness are no significant. These effects are consistent with regards to gender. Values: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causality between parental support, teacher fervor, consciousness of future goals, personal competence and happiness. The usefulness of this information should help to grow developmen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 adolescence.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하여 제공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2005 6차부터 9차까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소년기 미래 목표의식이 초기 성인기 개인역량 및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청소년기 중요한 지지기반인 가정의 부모지원, 학교의 교사열의가 청소년의 미래 목표의식에 미치는 영향, 목표의식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요인이 지속적으로 초기 성인기 개인역량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 표본은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중학생 패널이 고등학생이 되는 시점에서 부모지원과 교사열의, 목표의식에 응답하고, 수능성적이 있으며, 초기 성인기 시점에서 개인역량과 행복감 항목에 모두 응답한 패널이다. 분석 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선정된 요인 간의 인과관계 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SPSS와 LISREL이다. 분석결과 부모지원과 교사열의는 청소년기 미래 목표의식에 중요한 영향요인이지만,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다. 또한 청소년기 목표의식과 학업성취는 초기 성인기 개인역량에 중요한 영향 요인이지만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거나(남학생) 부적인(여학생)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부모지원, 교사열의, 목표의식, 학업성취가 개인역량을 매개하면 행복감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기 목표의식이 초기 성인기 개인역량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건강한 청소년기 발달과 교육활동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중학교 내적 과정변인의 인과관계를 통한 학교효과 분석

        곽수란 한국교육학회 2007 敎育學硏究 Vol.45 No.2

        By using a sample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hool effect, which explores school effect through procedural variables in middle schools. The study was conducted by making a comparison of procedural variable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 culture and school features of middle schools(44 schools), between the high score of students' achievement and another school with low score. The sampling was done with a number of 2,147 students, 865 teachers by classifying high school and low school of academic achievement. To define the school effects, I selected 5 latent variables(principal's leadership, teacher's procedural variables, student's procedural variables, cognitive outcome, affective outcome) and 18 observed variables. The study took a procedure of classifying effective and ineffective school based on achievements, comparing the procedural variables between the high and low schools, understanding correlation and ultimately analyzing the differences causality. I used SPSS, LISREL program to analyze t-test, correlation and path.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be a different causality between the procedural variables in high and low schools of students' achievement.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교 학교효과를 탐색하고 있다. 특히 학교 내적 과정변인을 통해 학교 효율성을 탐색하는 ‘효과적인 학교’ 연구 틀을 사용하여 학업성취 상위인 효과적인 학교와 하위인 비효과적인 학교를 선별하여 두 학교군의 내적 특성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학업성취가 상위인 22개교와 하위인 22개교 학생 2,147명과 교사 865명이며, 분석모형은 5개의 잠재변인(교장지도성, 교사과정변인, 학생과정변인, 인지적 성취, 정의적 성취)과 18개의 측정변인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분석방법은 SPSS, LISR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학업성취가 높은 상위 중학교와 하위 중학교의 내적 과정변인 간의 인과관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