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호와 북조 사대부의 현재주의

        홍승현 ( Seng Hyun Hong ) 대구사학회 2003 대구사학 Vol.71 No.-

        Usually it is said that the tendency to distinguished ability of Shi-da-fu(士大夫) enabled to revive the powerful ruling structure of emperor in the Sui Dynasty(隋王朝). That is, the Sui Dynasty(隋王朝)could exist based on Shi-da-fu(士大夫) who were conscious of their political position in addition to the appearance of powerful emperor. Generally this Shi-da-fu(士大夫) indicates Han-zu(漢族) Shi-da-fu(士大夫) in the time of Xiao-wen-di(孝文帝) of Bei-wei(北朝). It is that their progressive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n politics, opposing the pedigree of barbarian Shi-da-fu(士大夫)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of the construction of the new times. However it would be proper to start discussion regarding the Bei-chao(北朝) Shi-da-fu(士大夫)`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from earlier time than that of Xiao-Wen-di(孝文帝). Because we can`t think Cui-hao(崔造) who understood the movement from the tribe state to the Dynasty state as Yi-feng-yi-su(移風易俗), separated from the plitical consciousness of Shi-da-fu(士大夫). Until now, the death of Cui-hao(崔造) has been understood as the evidence of national antagonism, barbarousness of Bei-wei(北朝) society or the result of barbarian Shi-da-fu(士大夫)`s opposition to the revival of the pedigree of Han-zy Shi-da-fu(士大夫). However with this unerstanding of his death as mentioned above, it becomes difficult to explain Bei-chao Shi-da-fu(北朝 士大夫)`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tradition of intense participation in reality. The ideal of Cui-hao(崔造) was that Shi-da-fu(士大夫) themselves had to become the political subject and try to recover the culture of Zhong-yuan(中原), which was, in other words, the revival of responsibility politics of shShi-da-fu(士大夫). We cam see this from the fact that the subject he was opposed by was not barbarian Shi-da-fu(士大夫) but Gong-zong(恭宗), the actual responsible person in politics at that time. Cui-Hao(崔造) thought the ideal society could be built when Shi-da-fu(士大夫) played a leading role in politics with certain political intention. And that conflicted with the power of emperor represented as Gong-zong(恭宗) The political ideal Cio-hao(崔造) wanted to accomplish is not at all a decadent and post-political society such as Nan-chao(南朝). It was just that he regarded th situation of responsibility politics of Shi-da-fu(士大夫), embodied in th mind of Confucianism, as the ideal, and that it had not yet been rooted in the Bei-well(北朝) society. Nevertheless hi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will to participate in politics made the great tradition of Bei-chao Shi-da-fu(北朝 士大夫) after all.

      • KCI우수등재

        고소설 독서 주체로서의 사대부가(家) 여성 독자층에 대한 통시적 이해 - 계층적 소설 독서 문화 취향을 중심으로

        이민희(Lee, Min-heui)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5

        고소설사에서 독자층의 실재(實在)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사대부가(士大夫家) 여성’을 고유한 독서 문화 취향을 지닌 독자층으로 보고, 그들이 보인 고소설 독서 실태를 여러 시대의 문헌 기록을 토대로 통시적으로 고찰해 그 문학 사회학적 의미를 고구(考究)하고자 했다. 16∼18세기에 사대부가 여성들의 소설 독서에 대한 파편적 기록들을 통시적으로 살필 때 사대부가 여성 독자층의 고유한 소설 독서 문화 취향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16세기 이후 사대부가 여성들은 사대부 남성들이 중국 전기소설과 중국 통속연의소설을 한글로 번역한 소설책을 다수 접하고, 국내 창작 한문소설의 한글 번역본을 읽게 되었다.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본 소설 독서는 ‘1) 사대부 남성의 중국소설번역 -〉2)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번역본 소설의 독서, 필사, 보관 -〉3) 가문 내 한글본 소설의 전승’이란 과정을 통해 통시적으로 이어졌다. 18세기에는 상층 남성들의 세책본 소설 독서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한글소설을 사대부가 여성들이 직접 선택해 읽고, 이를 소비하는 독서 주체로 성장했다. 18세기 후반에는 사대부가 여성들이 직접 한글소설을 창작하기에 이르렀다. 사대부가 여성 독자들이 여러 대에 걸쳐 한글소설을 필사, 향유, 보관, 전승하는 독서 문화 취향을 마련하고, 자기검열과 ‘일탈적 긴장감’을 통한 소설 독서 욕구를 충족해 나갔으며, 소설 독서를 소비 행위로 인식하고 화폐 경제사회의 소비 주체로 성장한 것 등에서 소설 독서에 관한 사대부가 여성 독자층의 계층적 문화 취향 형성과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How can we understand the reality of class in classical fiction history? To solve this question, this study uses the ‘upper-class female[士大夫家 女性]’ readership as an example of the reality of reading their classic novels and their literary and sociological meanings. The upper-class female readership was viewed as a social class, and the novel reading patterns and real images of aristocratic female were viewed collectively based on literature records from different ages in terms of classes, not individuals. Since the 16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have enjoyed reading Korean-language translations of Chinese popular novels, Korean-language translations of Korean-made chinese novels, and Korean-language novels. Read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s were continuously passed down through the process of 1) translating Chinese novels by upper-class men-〉2) reading, transcribing, and stor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s-〉3) transcribing Korean novels in the family. This clearly shows that read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 readers has become a hierarchical cultural taste. In the 18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chose and consumed Korean novels handled by book rental shops, and in the late 18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even created Korean novels themselves. By examining fragmentary records of upper-class female’s novel reading diachronically in the 16th and 18th centuries, it is possible for us to understand the unique hierarchical taste of upper-class females’ culture of reading novels. The taste in novel reading culture, in which upper-class female readers copy, enjoy, store, and transmit Korean novels,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satisfying the desire to read novels through self-censorship and ‘deviating tension’, and reading novels as an act of consumption. It can be characterized as the preference for reading novels of upper-class females readership, such as the fact that it has been recognized and established as a consumer in the monetary economy and society.

      • KCI등재

        消費與性別:明淸士商的休閑購物與男性特質

        巫仁恕 명청사학회 2011 명청사연구 Vol.0 No.36

        明淸시기의 여가 소비는 性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즉 男性觀이 主流였던 당시 사회에서 여성의 여가 소비는 흔히 비판의 대상으로 간주되었지만, 남성은 자유로이 여가 소비를 즐길 수 있었다. 이와 같은 性別에 따른 차이는 男性特質을 가진 소비문화를 형성했다. 본문에서는 明淸시기 士大夫들을 여가 소비의 주체로 파악했고, 소비의 시점에서 ‘男性特質’을 살펴보고자 했다. 제1절에서는 婦女의 여가 생활에 대한 明淸시기 士大夫의 비판적인 입장을 살펴보았다. 전통적인 禮制教化를 강조하는 明淸시기 사회에서 女性의 활동공간은 男性과 떨어져 있어야 했다. 따라서 남성들의 입장에서 婦女가 향을 사르고 참배를 한다거나 여행을 하는 활동은 제창할 바가 되지 못했다. 남성들은 여성이 자기들의 여행활동에 개입하는 것은 아주 범속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심지어 明淸시기 순무를 비롯한 여러 관료들은 각종 규범을 제정하여 婦女들의 그러한 활동을 금지시키고자 했다. 사실 이러한 것은 한편으로는 明淸시기 부녀들의 여가 소비에 대한 주동성과 능력을 보여주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대부들의 그러한 현상에 대한 초조하고 불안한 마음을 표현했던 것이다. 제2절에서는 明淸시기 士大夫의 여행활동과 그러한 것에 따른 男性特質을 고찰했다. 明淸시기 사대부들의 여가 활동에서 여행은 아주 중요했는데, 그들은 여행을 통해서 많은 친분을 쌓았다. 명 중기의 陽明學者 명 말기의 泰州․東林 學者들이 바로 여행을 매개로 학술적인 교류를 했다. 말하자면 명대의 이러한 社交的 여행은 전대에 비하여 더욱 빈번하고 편리했던 것이다. 청대에도 이러한 여행은 계속 지속되었다. 그러나 청초에 일부 사대부들은 여행을 매개로 反淸集會를 조직했는데, 이러한 것으로 인하여 여행활동은 한동안 청 조정으로부터 금지되었다. 그렇다고 하여 청대에 여행활동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당시 관원들 사이의 정기적인 동반여행은 아주 보편적이었다. 그 외에도 가족들이 동반여행을 하는 일도 많이 존재했는데, 아이들은 이러한 여행에서 시야를 넓힐 수 있었다. 여성들도 가끔 남성들의 여행에 참여했지만, 그들은 대부분 妓女거나 연극을 하는 배우들이었다. 明淸시기 여행활동은 대부분 대도시에 집중되었다. 제3절에서는 李日華․祁彪佳․吳騫․茂苑居士의 日記를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明淸시기 士大夫의 물품구입 취향과 그에 따른 男性特質을 고찰했다. 明淸시기 士大夫들은 여가생활에서 서적․그림․꽃․골동품을 구입하여 소장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서적이 인기가 제일 많았다. 이러한 물품의 구입 경로는 두 가지가 있었는데, 하나는 상인들이 직접 士大夫들이 거주하는 곳에 와서 물품을 판매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士大夫가 직접 도시의 시장이나 상점에서 물품을 구입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물품을 거래하는 것은 社交의 과정이기도 했는데, 士大夫들은 거래를 통하여 상인들과 어울렸고, 그들로부터 시장의 정보를 접수했다. 이처럼 明淸시기 士大夫들은 서적․그림․꽃․골동품을 위주로 구입하는데, 이러한 것은 여성들과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남성들의 구매활동은 자유롭고, 거래의 빈도와 공간에서도 여성들이 비할 바가 되지 못했다. 제4절에서는 士大夫․商人 階層의 公享的 소비문화와 그에 따른 男性特質을 고찰했다. 男性消費文化는 많은 사람들의 참여 ...

      • KCI등재

        選擧와 後漢 士大夫의 自律性

        洪承賢(Hong Seng-Hyun) 동양사학회 2004 東洋史學硏究 Vol.86 No.-

        This article is prepared so that we would be relieved from the sight Later Han & Liu-chao(六朝)after the period of the Three Slates are discontinuous and understand the two periods to be continuous and consider how the autonomous and independent aspect of Shi-da-fu(士大夫) was built and developed in the inside. Later Han was the time when the discussion about disaster was more popular than any other period. So I analyzed Wu-xing-zhi of Hou-han-shu(『後漢書』, 「五行志」) to confirm the political consciousness of Shi-da-fu(士大夫) in Later Han.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Wu-xing-zhi of Hou-han-shu(『後漢書』, 「五行志」, I could see that Shi-da-fu(士大夫) at that time were against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Empress Dowager and maternal relatives but regarded Fu-zheng(輔政)'s power as reasonable. That is because Shi-da-fu(士大夫) at that time were recognizing Fu-zheng(輔政) as an institutional system. But successive Fu-zheng(輔政) also became the object of criticism by Shi-da-fu(士大夫) because they managed elections improperly. Shi-da-fu(士大夫) in Later Han regarded a selection of talented people as the most important duty of a power holder. But Fu-zheng(輔政) neglected their duty of distinguished ability; moreover, they restricted the autonomous voting rights of regional officials by soliciting and limited the normal way of Shi-da-fu(士大夫) for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That caused Shi-da-fu(士大夫) to criticize Fe-zheng(輔政), As for Shi-da-fu(士大夫) in Later Han, the election was the only path to realize their existence as well as the way to maintain and reproduce their own independent world. So a group of Shi-da-fu(士大夫) in the end of Later Han understood the situation in which the essence of an election was damaged and elections were monopolized by specified people as the state of Bai-su-shang-feng(敗俗傷風). Then they insisted the need of Yi-feng-yi-su(移風易俗). According to the opinion of those Shi-da-fu(士大夫), all the problems of society were caused by improperness of elections, So the only solution they thought was to make elections function properly, that is, to make name and reality rightly accorded, like selecting the appropriate person for a position. Shi-da-fu(士大夫) in the course of making the independent world with the political consciousness and responsibility were confronted with another situation of election monopoly by eunuch in the end of Later Han in addition to Fu-zheng(輔政)'s. Contrary to Fu-zheng(輔政), eunuch, who didn't have any window to select the talented people mainly, chose their own children or guests, Shi-da-fu(士大夫) whose right was infringed couldn't help reacting severely. But the objection to eunuch means anti-power of the emperor at the point that the power exercise of eunuch is extension of the emperor power, Their severe reaction expressed their will that no matter how strong the emperor's power was, it couldn't destroy the society of Shi-da-fu(士大夫) arbitrarily. After all, Yi-feng-yi-su(移風易俗) Shi-da-fu(士大夫) mentioned means the removal of social morals destroying the autonomous order of themselves. In relation to the autonomy of Shi-da-fu(士大夫), another remarkable opinion in this period was the reinstatement of San-gong(三公), Shi-da-fu(士大夫) regarded the situation In which someone infringes the right of themselves like the appearance of the powerful courtier, the phenomenon an election was monopolized by maternal relative and eunuch as the result of the power loss of San-gong(三公). So they thought the power of San-gong(三公) had to be recovered to solve the successive problems. In conclusion, that indicates their intension that they would have the arbitrary exercise of the emperor power impossible organizationally. Then the political ideal of Shi-da-fu(士大夫) in Later Han would be that they made the structure whoever including the emperor couldn't exercise the power arbitrarily and administrated the whole country in the inside.

      • KCI등재

        『택리지(擇里志)』 다시 읽기 -키워드 "사대부(士大夫)"를 통하여

        임영걸 ( Young Gul R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3 No.-

        본고는 『택리지』의 저술의식이 두드러지는 「총론」, 「사민총론」, 「복거총론」의 「인심」조·「생리」조를, ‘사대부’라는 키워드에 주목하여 독해를 시도한 결과물이 다. 이러한 독법을 시도한 것은, 지금까지 밝히지 못한 『택리지』의 전체 구성과 논리를 발견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기 때문이다. 「총론」을 ‘사대부’라는 키워드로 읽을 때, 이중환의 조선 사대부 사회에 대한 인식과 역사의 흐름에 따른 그의 고민을 발견할 수 있다. 그는 조선의 역사성과 특수성을 들어 구성원의 혈통적 하자에도 조선 사회를 사대부 사회로 인정하고 자부심을 가졌다. 그러나 「인심」조에서 보이듯 그는 당쟁의 격화와 그에 따른 폐해로 사대 부로서의 존재 방식과 자존감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자, 자괴감과 환멸을 느끼며 사대부 사회를 이탈하여 농업·공업·상업에 종사할 것을 제안하는 데 이르렀다. 그가 이러한 방식의 삶을 제안한 것은, 조선 전역에 만연한 당쟁의 해악을 고 발하고자 함이기도 했다. 「사민총론」과 「생리」조는 사대부의 경제 활동에 대한 텍스트이다. 「사민총론」을 사대부라는 키워드로 읽을 때, 그동안의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은 진면목을 발견할수 있다. 「사민총론」은 기존의 연구처럼 평등사회를 주장한 글이 아니라, 사대부의 경제 활동의 정당성을 논증한 글인 것이다. 그는 사대부의 원류 고찰을 통해 사대부 의 경제 활동의 정당성을 획득하였는데, 이러한 논증은 그가 제시한 삶의 방식을 사대부들에게 납득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었다. 「생리」조는 사대부의 경제 활동의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이중환은 농업과 상업에 대해 깊은 이해를보여주며, 「생리」조의 곳곳에 사대부의 경제 활동의 정당성을 피력하고 경제 활동의 범위를 설정하고 있는데, 그 범위를 사대부로서의 정체성 유지로 분명히 선을 긋고 있다. 『택리지』의 경제론은 어디까지나, 살 곳을 찾아야 하는 사대부를 위해 사대부의 입장에서 쓴 경제 활동 지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중환이 『택리지』를 저술한 문제의식은 당쟁으로 인한 사대부로서의 자존감 상실에 의해 촉발된 것이며, 그가 개진한 삶의 방식과 경제론은 사대부로서의 정체성 유지라는 목표 위에 성립되어 있는 것이었다. 『택리지』 전편에는 ‘사대부’라는 키워드가 시종일관 관통하고 있는 것이다. 지리지로서의 『택리지』의 핵심 키워드가 ‘가거처’라면, 이중환의 저술의식에 있어서의 핵심 키워드는 ‘사대부’라고 하겠다. This thesis is a result of trying to read Humaneness(人心) stanza·Making a profit(生利) stanza of General theory of Taengniji(總論), General theory of four kinds(四民總論), General theory of taking residence(卜居總論), that writing consciousness of T``aengniji(擇里志) is outstanding, by focusing on keyword, ``sadaebu(士大夫)``. The reading method was tried because they expected to discover the whole organization and logic of T``aengniji, which were not discovered until now. If reading General theory of T``aengniji by keyword of ``sadaebu``, Yi Chunghwan(李重煥)``s awareness about Choson sadaebu society and worries about the historic stream can be discovered. He recognized Choson society as sadaebu society due to historicity and speciality of Choson in spite of blood flaw and was proud of the society. However, like Humaneness stanza, he couldn``t maintain existing method and pride as a sadaebu because of the intensification of party conflicts and the damages. So, he felt sense of shame and disillusionment and suggested to work in agricultural, industrial, commercial area by getting out of the sadaebu society. He suggested the life so as to report the mischief of party conflicts in the whole Choson. General theory of four kinds and Making a profit stanzas are the texts about economic activities of sadaebu. If reading General theory of four kinds by keyword of sadaebu, true characters which were not discovered until now can be found. General theory of four kinds is logical insist on legitimity of sadaebu``s economic activities, not egalitarian society like existing studies. He acquired legitimity of sadaebu``s economic activiti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sadaebu``s original stream. The logic verification was necessary to persuade the living method he suggested to sadaebu. Making a profit stanza includes concrete contents of sadaebu``s economic activities. Yi Chunghwan shows deep understanding of agricultural and commercial industry, but in the middle of Making a profit stanza, he insisted legitimity of sadaebu``s economic activities and clarifies the range of economic activities as the maintainment of sadaebu``s legitimity. Economic theory of T``aengniji can be guidance of economic activities written from an angle of sadaebu for sadaebu who must find the place to live. The critical sense Yi Chunghwan wrote T``aengniji was originated from the loss of sadaebu``s pride and living method and economic theory, he developed, were established on the goal to maintain identity of sadaebu. In the whole volumes of T``aengniji, keyword of ``sadaebu`` is constantly existing. If keyword of T``aengniji as a geographical book is ``liveable place(可居處)``, keyword of Yi Chunghwan``s writing consciousness is ``sadaebu``.

      • KCI등재

        일반논문 : 선조 광해군시대 문인사대부(文人士大夫)의 불승(佛僧)과의 시적 교유 -이정구(李廷龜)와 이안눌(李安訥)을 중심으로-

        김상일 ( Sang Il K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1 No.-

        이 논문은 선조 광해군대의 문인사대부(文人士大夫)와 불승(佛僧)이 시를 매개로 교유했던 사정을 고구한 것이다. 특히 그 시대의 대표적인 문장가 이정구(李廷龜)와 시인 이안눌(李安訥)의 시문집에 들어 있는 불승 관련 시문을 통해서 그들의 불승들과의 교류가 어떠했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의 유가사대부(儒家士大夫)들은 주자성리학(朱子性理學)적 지배이념으로 불승을 이단으로 배척하였다. 그러면서도 국가의 토목사업과 전쟁터는 물론 종이 제조와 같은 생산 현장에까지 불승들을 동원하였다. 따라서 지배층인 사대부와 일반 민중보다 낮은 위치에 있던 불승 사이에 평등한 만남은 이루어질 수 없었다. 그런데 16세기 말 선조 때 일어난 임진왜란은 이러한 유가(儒家)와 불가(佛家)사이의 관계를 개선토록 했다. 그것은 이전에 없었던 대규모의 왜란을 당해서 서산(西山), 사명(四溟) 등과 같은 의승장(義僧將)이 크게 활약하였고 전후 복구 사업에서도 불승들의 역할이 컸기 때문이다. 유가사대부들은 이전과 달리 불승들에 대해 얼마간 관용의 태도를 보였다. 한편, 선조 광해군대는 시인 문장가가 많이 배출된 ``문장의 시대였다. 삼당(三唐)과 사대가(四大家), 이재(二才)가 나와서 문명을 떨친 시대였다. 그런데 이들 문인사대부(文人士大夫)의 시문집에는 이전에 비해 불승들과 교류한 시문이 쉽게 발견된다. 이런 점은 이들과 불승들이 시문을 매개로 교류의 폭을 넓힌 것임을 뜻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점에 착안하여 당대의 문인사대부의 표본인 이정구와 이안눌의 불승 관련 시문을 고구하여 불승과의 교유를 살펴본 것이다. 이정구는 불교와 불승에 대해 탐닉하지 않았지만 배척하지도 않는 중용적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다만, 고승(高僧)과 시승(詩僧)이 있다고 하면 적극 찾아가 교유하였다. 그는 서산, 사명, 청매(靑梅), 쌍익(雙翼)등과 교유했는데 이들은 모두 임진왜란 때의 의승장(義僧將)이다. 특히 이정구는 서산, 사명과 청매 등의 고결한 인품을 깊이 사모하였다. 때문에 서산의 비문을 지었고 사명의 처소를 찾아가서 시를 수창(酬唱)하였으며 청매의 문집에 서문을 지어 주었던 것이다. 그리고 전쟁과 그 복구 사업으로 고통을 받는 불승들의 처지를 동정하고 시를 지어 주어 위로하였다. 이안눌의 시문집에는 불승 소재의 시가 300여 수가 실려 있다. 이들 시편에서 그의 불승에 대한 태도와 그들과의 교유의 내막을 잘 알 수 있다. 이안눌이 그들에게 주거나 수창한 시를 보면 그가 불승들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고 관용적인 태도로 교유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막하를 수시로 드나드는 수많은 불승과 선담(禪談)을 나누며 우의를 다졌다. 특히 시승인 희안(希安), 수초(守初), 충휘(沖徽) 등과는 교유가 깊었다. 이상에서 문인사대부인 이정구와 이안눌이 불교와 불승을 배척하기는 보다는 오히려 관용적인 태도로 대우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그들이 시를 매개로 불승들과 친밀하게 교류하였음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이정구나 이안눌과 같은 문인사대부들이 불승들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선조 광해군 시대에 불승들이 크게 활약했던 사정과 맞물려 있었음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carries the topic that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and buddhist(佛僧) interrelate through the exchange of poems in the era of King Seon Jo(宣祖) and Kwang Hae Gun(光海君). Especially, It is focused on how they interrelated through the literary works related with monks written by the typical writer Lee Jeong Gu(李廷龜) and the poet Lee Ann Nul(李安訥) at the era of the King Seon Jo and Kwanghae Gun. Noblemen excluded monks as the heretics while they were insisting the theory of Juja`s Neo - Confucianism(朱子性理學) that they must more study the Confucianism than Buddhism. At the same time, they forced them to participate to public works and works. They even imposed them to pay a tribute such as paper. Therefore, there was never the friendship between noblemen and monks who were treated humbl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reformed through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in 1592. Because the Uiseungjang(義僧將) the monk who fights against to Japanese invasion) such as Seosan(西山) and Samyung(四溟) repelled the Japanese army. They also made many efforts at restoring their homeland. Then, noblemen treated them tolerantly. Particularly, they give and take some poems with the intelligent monks or the monks who wrote poems very well. Meanwhile, this era is called ``Literary Generation`` when many writers and poets emerged such as Samdag(三唐), Sadaega(四大家), Leejae(二才). But their literary works that had been given to monks were discovered more easily than those that had discovered before. That means the noblemen and monks improved their relationship through exchanging their works. Therefore, this manuscript has an eye this point and carries the literary works of Lee Jeong Gu(李廷龜) and Lee Ann Nul(李安訥). Lee Jeong Gu didn`t exclude and indulge in Buddhism. But He always met prominent monks who wrote poems very well. He also had a good friendship with Seosan, Samyung, Chungmae(靑梅), Ssangik(雙翼) who they had been the Uiseungjang(義僧將)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Especially, he respected their personality. Then, He inscribed a Seosan`s epitaph, met Samyung to give him a poem and write a preface to Chungmae`s works. He also wrote some poems out of pity monks who had tried to restore their country. His works is dealt with things related to monks and is estimated about 300 works. We can easily understand about friendship between he and monks through his works` meaning. He especially got along with HeeAnn (希安), SueCho(守初), Chungwhee(沖徽). We can know that he was kind to them tolerantly through his works that he had given them. Finally, we can understand Lee Jeong Gu and Lee Ann Nul treated Buddhist and monks generally more than they excluded them, and know that they had a relation through their poems. Likewise, the friendship between monks and literary noblemen is able to be related to true that the monks fought against to Japanese invasion in 1592.

      • KCI등재

        광해군대 문인 사대부의 불교 인식과 승려와의 시적 교유

        김상일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조선은 新儒學인 性理學으로 입신한 사대부가 중심이 되어 건설한 나라였다. 사대부들은 집권층으로서 유교를 정치의 근본이념으로 삼아 사회 전반에 이 논문은 조선중기 文人士大夫의 불교인식을 살펴 본 것이다. 특히 이 글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유가사대부들이 불교와 불교인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진행한 것이다. 불교는 조선조의 유가사대부에게는 이단으로 배척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유가사대부들은 불교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기 시작한다. 그것은 전투와 방비 등에서 불교 義僧軍의 활약이 매우 컸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西山과 四溟 등이 인솔한 의승군은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많은 전과를 올리는 한편, 군량 수송, 산성 축조, 방어진지 구축에서도 관군 이상의 활약을 보였다. 그리고 전 후의 여러 가지 복구사업과 궁궐 수리, 산성의 수축과 방비에서도 크게 활약하였다. 이러한 의승군의 활약상을 보면서 유가사대부 지배층은 불교인과 불교를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시선으로 보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유가사대부 가운데 문인사대부들은 서산, 사명 같은 僧將이나 詩僧들과 빈번하게 접촉하고 불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시도하였다. 이 글에서는 당대의 대표적인 문인사대부인 柳夢寅과 許筠의 불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유몽인은 어떤 佛書를 보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불경 문체를 모방해 지은 글과 승려들에게 준 글에서 그의 불교에 대한 인식을 단편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유몽인은 유가사대부로서 유교적 시각으로 불교를 인식하였다. 그의 ‘人間佛論’은 그러한 관점과 견해를 담은 불교적 의론이다. 그러나 그가 지은 寓言에 투영된 自得論과 活語論은 그가 禪佛敎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허균은 유학자이면서도 수천 권의 불서를 읽고 불교를 인식한 불교인이었다. 한편 그는 西山, 四溟, 海眼 등의 선승과 교유하며 그들에게 禪을 배우고, 선과 修禪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쟁적으로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리고 불교를 신앙하다가 관직에서 파면되기도 하였다. 이런 점에서 허균은 유몽인에 비해 불교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에 있어서도 매우 적극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e topic of this paper is how Korean literary noblemen accept Buddhism in the era of King Seon Jo and Kwang Hae Gun.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he change of confucian noblemen’s perspective about Buddhism and Buddhist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research can add new cognition about Korean literature and Buddhism history in the mid-Chosun. Buddhism was what Korean literary noblemen thought as the target of rejection. But this perspective started to be accepted as new cognition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reason that it was accepted is so many Uiseunggun(Buddhists’ army that fights against to Japanese invasion) tried to resist to Japanese army. Uiseunggun that Seosan, Samyung led to war not only won so many battles but also was more active in transporting provisions, constructing fortresses than the royal forces did. After war, they also took an active part in post-war reconstruction work and fixing castles. These their works changed the view of confucian noblemen about Buddhism. Especially, literary noblemen frequent connect to the monk who wrote many poems such as Saseung and Samyung. And they also tried to accept new cognition to them. This paper focused on Yu mongin and Heo Gyun who represent famous literary noblemen that time. Yu mongin never talked about what Buddhist scriptures he had read in detail. But he showed fragmentarily his opinion about Buddhism in his literatures that he had imitated Buddhist scriptures to give monks. He accepted Buddhism as a confucian nobleman in confucian perspective. <Inganbullon> is the paper handling his opinions in <Hyoneungumgyung> written by him. However, his style of writing helps to know his cognition about Zen Buddhism. Heo Gyun is Buddhist who read thousands of Buddhist scriptures while he is a confucian nobleman. He also interrelated with Zen monks such as Seosan, Samyung and Hae Ann and learned Zen from them. And he controversially talked about his opinion regarding Zen and studying Zen. But his opinion and devotion to Buddhism made him dismissed from his position. In these points, we can know Heo Gyun had more positive tendency than Yu mongin did.

      • KCI등재

        남정일헌(南貞一軒) 시세계(詩世界)의 특징(特徵)

        김여주 ( Yeo Ju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2 No.1

        南貞一軒은 조선후기 구한말에 牛溪 成渾의 10세손 成大鎬의 부인으로, 젊은 시절은 서울에서 만년은 호서지역에서 보낸 전형적인 士大夫家의 여성 시인이다. 18세기 이후 문학의 담당계층이 확대되고 서울의 도시적 발달과 생산성 향상은 삶의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와서 士大夫나 中庶 계층의 심미적 취향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은 역설적이게도 여성작가들에게 창작활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주었다. 조선후기 서울 한강변을 중심으로 三湖亭에서 본격적으로 詩會를 가지면서 詩作活動을 전개했던 여성작가들은 신분적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로웠던 小室 계층으로, 金雲楚, 金錦園, 朴竹西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典型的인 士大夫家 女性作家로는 徐令壽閤이 있으며, 호서지역에서는 畿湖士林의 학문적 영향 아래 金浩然齋, 任允摯堂, 姜靜一堂 등의 士大夫家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이렇게 여성작가들은 각자의 신분적 상황과 성격에 따라 다양한 시세계와 철학적 사고로 창작활동을 하였다. 이러한 다양성은 조선후기 문단의 다양한 변화가 끼친 큰 영향력과 남성들과의 관계에서 상호간의 능력 인정과 보이지않는 지원이 밑바탕이 되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본고는 이 다양성의 한 면모를 19세기 말 근대 이전의 여성작가로 태어난 남정일헌의 삶과 시작품을 통해 찾아보았다. 『貞一軒詩集』 57題 65首의 시작품은 정일헌 스스로 詩稿를 태웠기 때문에 모두 유실 될 것을 염려한 아들 台永이 남은 원고를 모아 시집으로 발간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작품수가 많지 않아서 정일헌의 시 특징의 전모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는 한계점과 시작에 대한 소극적 의식을 드러내는 주요한 두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초반기에 쓴 시로 추정되는 문집 앞부분의 시들은 시 형식도 주로 絶句詩와 五言律詩들로 짧고 단순한 시 형식을 통해 일상에서의 삶의 소박한 모습을 담박한 분위기로 그렸다. 주로 가족 간의 일상을 그리거나 주변의 일상적 소재를 통해 삶의 소박한 모습을 그려내면서, 서글픈 상황도 傷心이 크게 드러나지 않게 일상을 담담하게 그려내는 표현방식을 보여준다. 뒤로 가면서는 좀 더 자신감 있게 시작활동을 하면서 사대부가 부녀로서 사대부적 의식에 기반하고 있다. 시 전반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이 사물 자체에 의미를 두고 그 이치를 찾아서 참신하게 표현하면서 사물의 흥취도 놓치지않는 시인의 면모를 보여준다. 이러한 면모는 당대에 시와 산문 모두에 걸쳐작가적 역량을 가진 인물로 식자층 사이에서 신망이 두터웠던 李建昌의 정일헌에 대한 평가에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악부시와 같은 자유로운 시체에서 다양한 제재들과 세시풍속의 제재를 활용하여 여성에게 제한적일 수도 있는 소재나 정감들을 폭넓게 넘나들고 있다. 「遊仙詞」·「採蓮曲」 등의 시 짓기를 통하여 소재와 정감의 다양함과 자유로움을 누리고 있으며, 세시풍속의 시에서도 시어들을 다양하게 활용하면서 자신만의 시각으로 색다른 정감들을 표현하였다. 여성작가 정일헌의 시작품을 통해 구한말 근대 이행기의 여성시인의 면모를 살펴보면서 남성 지식인[사대부]의 모습과 많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을 사대부가 여성시인의 한계로 볼 수도 있겠지만, 한편으로 는 조선후기 여성문인들의 다양한 창작활동들이 집적되고 남성작가들 혹은 가족들의 지원 속에 자연스럽게 여성시인이면서 독립적인 시인의 모습으로 성장하게 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겠다. 남정일헌 시세계의 특징을 근대 이행기의 여성문학의 발전적 면모로 인정하는 시선으로 바라볼 때 그녀의 문학사적 위상이 제대로 드러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Nam Jeongilheon(南貞一軒) was the wife of Seong Daeho(成大鎬) who was a 10th generation descendent of Woogye Seong Hwon(牛溪 成渾) from the late period of Chosun. She was the typical female poet of Sadaebuga(士大夫家) who lived in Seoul in her younger years and spent later years of her life in Hoseo(湖西). After 18th century when the class in charge of literature expanded and the change in the way of life caused by Seoul``s development as a city and improved productivity led to the proliferation of aesthetic taste of Sa Dae Bu(士大夫) or the middle-class bracket. These state of the time paradoxically became the basis for female authors`` creative activity and they endeavored in the activity with various poetic world and philosophical thinking according to their own social status and characters. This diversity were possible because of the large influence of various changes in the late Chosun``s literary circle and the silent support and recognition of the female authors from men. This article studied the aspect of this diversity by looking at the life and works of Nam Jeongilheon(南貞一軒) who was the female author from the late 19th century before the modern era. 『Jeongilheon Poetry Collection(貞一軒詩集)』 was put together by her son Taeyeong(台永) who worried that his mothers``s intention to burn all her poems would lead to the loss of the entire work. Her early works had the structure of verse poem and five cadence poem where she depicted a simplicity of everyday life in a forthright and simple manner using the short and compact structure. Life``s simplicity was portrayed through subject matters such as everyday occurrence between family members and her surroundings. The way in which she used the calm and composed expression in depicting the sad situation made the sadness not shown conspicuously. Her works from later period, as she became more confident, wa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Sadaebu(士大夫) as a lady. The poems showed the aspect of her as a poet where she put meaning to the things themselves when looking at things and expressed the logics attached in a new way without failing to catch the joys of the objects. Lastly in Akbusi(樂府詩) where the structure was free-from, she was expressing her own unique views freely about diverse subject matters and feelings that were somewhat restricted to women by utilizing various subject matters such as seasonal customs of the time. It could be seen that from the work of Jeongilheon(貞一軒), the female poets of the transitional period of late Chosun,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male intellectuals [Sadaebu(士大夫)]. This could be considered as a limitation of female poet of Sadaebuga(士大夫家) but also be concluded that the female authors of late Chosun naturally grew to be independent poets as their various creative activities were accumulated and they gained support from male authors and families. Nam Jeongilheon(南貞一軒)``s status in literary history could be properly established when her unique poetic world was viewed in the manner which acknowledged it as the growing aspect of women``s literature in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era.

      • KCI등재

        필원잡기 서사적 단편의 존재방식과 서거정의 세계관

        이강옥(Lee, Kango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7 No.-

        『필원잡기』의 서문과 발문에는 필기집에 대한 당대인의 생각이 정리되어 있다. 서문과 발문들은 필기집에 신유학 교양을 갖춘 사대부들의 일상이 수용되는 것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것은 사대부일화의 형성에 대한 인식을 정확하게 했다는 증거이다. 『필원잡기』에는 신화, 전설, 민담 등 허구적 단형서사와 사대부일화, 평민일화 등 사실적 단형서사가 실려있고, 또 교술적 단편들도 적잖다. 교술적 단편들이 사대부일화를 감싸고 있는 형국이며 신화나 전설, 민담 등이 일화로 변환되는 양상도 뚜렷하다. 서거정은 새로운 세상을 이끌어줄 이상적 인물들을 부각시키고자 했기에 『필원잡기』에서 이상적 사대부상을 보여주는 사대부일화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이상적 사대부상은 탈이념적이고 탈정치적 성향이 강하다. 실제로는 조선 초기 정치 현실에서 중심 자리를 차지하고 정치적 소용돌이에 휩쓸린 정도전이나 신숙주 같은 인물의 경우조차도 철저히 그런 정치적 흔적을 제거해내고 일상적인 사소한 행실을 중심으로 그 일생을 재현했다. 사대부의 옳고-그른 행위보다는 잘하고-못하는 행위를 중심으로 그 행실을 보여주었다. 상식과 예상을 벗어나는 일탈을 통하여 이상적이고 매력적인 사대부상을 형상화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바람직하지 못한 버릇도 있고 실수도 하지만, 그 때문에 심각한 불이익을 받거나 처벌을 받지 않는다. 오히려 그런 일탈 덕으로 임금이나 상급자로부터 총애를 받게 된다. 일탈은 이상적 사대부를 더 매력적 인물로 만들어주기도 하였다. 심지어 탈옥이나 반란, 죽음 등의 심각한 상황에서도 낙관적 전환 서술이 이루어지며 웃음을 창출하는 쪽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필원잡기』는 대상인물의 언행이나 사건의 전개과정을 지극히 단순화시켜 간략하게 제시하고 진술하는 특징을 보인다. 단순 사실이나 사건을 특별한 서술의식을 개입시키지 않고 소극적으로 서술하는가 하면 범주나 성격이 단일한 모티프나 행위 등을 대등하게 나열하는 것이다. 나열의 서술방식은 서술대상의 시대와 서거정 자신의 시대가 분열보다는 조화를 지향한 것과 관련될 것이다. 설사 시대가 분열상을 보인다 하더라도 그것을 분열이 아니라 조화의 계기로 수용한 것과도 관련된다고 본다. 나열의 서술방식과 달리 사람 사이의 차이를 더 부각시키려 한 것이 대조의 서술방식이다. 『필원잡기』의 대조는 대조되는 한쪽을 부정하고 비난함으로써 다른 한쪽을 찬양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한쪽의 긍정적인 면을 인상적으로 드러내는 경향이 더 강하다. 아주 희미하게나마 나타나는 대립 갈등의 요소들도 서사적 갈등구조를 창출하는 데까지 이르지는 않는다. 또 한 인물이 상대 인물에 대해 우위에 있게 한 요소는 인성이나 능력 등 개인 수준의 것이지 집단의 처지나 이념을 대변하는 수준의 것이 아니다. 서거정은 세상의 일들을 문제적인 것으로 포착하기 보다는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한 뒤 호기심을 끄는 부분들을 선별하여 담았다. 특히 정치적 함의가 있는 사례들은 철저하게 그 정치성이나 이념성을 소거시킨 뒤 수용하였다. 세상을 분별하고 견주면서도 상반되는 두 쪽 중 한쪽을 칭찬만 하지 다른 쪽을 비난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서거정의 낙관주의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대조의 서술방식은 기본적으로 세상을 일부를 배제하려는 지향을 강하게 가진 것이기에 서거정의 낙관주의와 조화를 이루기 어려웠다고 판단한다. 그 결과 『필원잡기』를 주도하는 서술방식은 말장난 혹은 말대꾸의 방식이었다. 말장난의 서술구조는 준거(발언), 중심발언, 반응 등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 단계에서는 재미나고 널리 알려진 사실이나 발언을 제시한다. 이는 상식이나 통념의 제시이면서 상대 인물에게 농담 걸기에 해당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그에 대한 주인공의 발언이 제시된다. 이것은 기발한 아이디어나 말의 형식으로 기존 상식이나 통념을 뒤엎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존 사실이나 체제에 대한 진지한 문제제기는 아니다. 웃음 창출을 위한 전복이다. 마지막 단계에서 듣는 사람들의 공감 반응이 제시된다. 공감의 웃음이나 찬사이다. 이때의 웃음은 기존 질서나 기존 인간관계를 유지하게 하거나 더 돈독하게 한다. 말장난이나 말대꾸는 형식적으로는 기존 상황이나 통념을 뒤엎지만 내용적으로는 오히려 기존 상황의 가치를 드높인다. 그런 점에서 삼단구조의 말장난 혹은 말대꾸야말로 『필원잡기』가 추구한 탈이념적 낙관적 지향에 가장 잘 대응되는 서술방식이다. This article analysed the contents and genres of Pilwonjapgi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strategy and world view of the editor Seo, Geojung. By analysing the preface and epilogue of Pilwonjapgi, I searched the people's thoughts about Pilgijip(筆記集). In Pilwonjapgi exist not only the fictional genres, myths, legends, and folktales, but also nonfictional genres, anecdotes, and didactic essays. As Seo, geojung wanted to illuminate the ideal man who would lead to the new society of Chosun dynasty, he gathered many Sadaebu-anecdotes(士大夫逸話) which showed the ideal Sadaebu. Ideal image of Sadaebu in Pilwonjapgi was inclined to be remote from ideology or politics of the era. For Sadaebu, ability was more important than morality. The ideal and attractive image of Sadaebu was created through their deviant behaviors also. Even such serious situations as prison breakout, rebellion, and death resulted in optimistic storytelling and laughing. Enumeration and contrast were characteristic narrative strategies of Pilwonjapgi. By enumerating character's actions and words, Pilwonjapgi suggested diverse facts without injecting any kinds of narrative consciousness. And by contrasting two parts, Pilwonjapgi emphasized the positive aspects of both side. These strategies best represent the optimistic viewpoint of Seo, geojung. The leading narrative strategy of Pilwonjapgi was word games. Externally the word games overturn the existing situation or common notion, but they reinforce the virtue of the existing situation in reality. The word games are the most appropriate narrative strategy for the optimistic, trans-political inclination of Pilwonjapgi.

      • KCI등재

        복고풍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의 재현(再現) -현행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신진 사대부" 서술 검토-

        김광철 ( Gwang Cheol K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2

        현행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서 신진 사대부는 공민왕대 개혁정치와 관련하여 서술되고 있다. 그 내용은 9종 교과서가 비슷한데, 성장 시기는 공민왕대, 출신은 지방 향리나 하급 관리 자제, 사상경향은 성리학, 입사로는 과거, 외교노선은 친명 등으로 서술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새 교과서의 신진 사대부 서술 방식은 1970년대에 구축된 ‘신흥사대부론’을 수용한 것이며, 교과서 측면에서는 1990년대 판 국정교과서 『국사』(상)의 계통을 잇는 것이다. 2002년판 『국사』가 신진 사대부를 제한적으로 접근한 것과 비교하면, 새 교과서는 이를 발전적으로 이어 받은 것이 아니라 1990년대 판으로 회귀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신진사대부의 범주 설정, 사대부층 형성 시기에 대해서 재검토가 요구되며, 사대부의 등장 시기에 대해서도 고려 말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고려전기로 올려 서술하는 방법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blishing system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changed from a government designated system to a government-authorized system according to the history curriculum of the revised course of study in 2007. The current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History』①·② was described as focusing on the political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And it involves the various learning materials. This study has analyze the contents and explanations of Shinjin-Sadaebu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It has now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Shinjin-Sadaebu came from local clerical professions through passing the literary examinations. And they are thought to have become the Neo-Confucianism scholar and builder of the new Choson dynasty, rejecting the Buddhism. But understanding method of Shinjin-Sadaebu was trapped in the framework of Sinheung-Sadaebu theory(新興士大夫論) made in the `70s. Therefore, the categories and disposition of Shinjin-Sadaebu should be reviewed. And it must be set the Sadaebu(士大夫)`s formation time in early Gorye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