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절 평가에 있어서 삼차원 디지털 회전 영상에 관한 연구

        이민희,이영래,국신호,박해원,김승권,정은철,Lee, Min-Hui,Lee, Yeong-Rae,Guk, Sin-Ho,Park, Hae-Won,Kim, Seung-Gwon,Jeong, Eun-Cheol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9 No.4

        목적: 골절 평가에 있어서 삼차원 디지털 회전 영상 (three dimensional digital rotational imaging, 3D DRI)의 적용 가능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임상적으로 골절로 진단되거나 의심된 총 16명에서 골절 병변 혹은 의심 부위(7예의 척추, 3예의 골반, 슬관절 등 기타 골절6예)에 대해서 단순 촬영술, single detector helical CT(HiSpeed advantage, GE Medical Systems, Milwaukee, WIS)를 이용한 2D CT(절편두께는 3 또는 5 mm, 피치는 1:1, bone algorithm)와 volume rendering 3D CT를 시행하고 3D DRI(Integris V-5000, Philips Medical Systems, The Nether-lands)를 실시하여 얻어진 삼차원 영상에서 다면적 분할과 회색조 조작의 후처리를 적용하였다. 3D DRI를 단순 촬영, 2D CT, 3D CT와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3D DRI에서 정확하고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모두 14 예(88%)었다. 두예는 3D DRI에서만 병변을 발견 하였고 한 예는 2D CT와 3D DRI 모두에서 병변을 발견하였다. 삼차원 영상에 대한 평가에 있어 16예 모두에서 3D DRI가 3D CT 보다 정확하고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단순 찰영 혹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골절이 발견된 13예 중 한 예를 제외한 12예(92%)에서 3D DRI는 골절의 분류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3D DRI는 디지털 회전 영상에서 후처리가 가능한 삼차원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정확한 해부학적 공간 해석력으로 빠르고 쉽게 골절을 진단하고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the application of three dimensional digital rotational imaging (3D DRI) by the evaluation of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patients with clinically diagnosed or suspicious fracture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lesion or suspicious sites of all 16 cases were spines (n=7), pelvis (n=3) and so on (n=6; knee, elbow, ankle, wrist and foot). In all cases, conventional radiography, multiplanar 2D (slice thickness/pitch=3 or 5 mm/1:1)and volume rendering 3D reconstructed single detector helical CT (HiSpeed Advantage, GE Medical Systems, Milwaukee, WIS) scans and 3D DRI (Integris V-5000,Philips Medical Systems, The Netherlands) with multiplanar intersection and gray scaling as postprocessing technique were performed. 3D DRI wa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radiography, multiplanar 2D CT and volume rendering 3D CT. Results: 3D DRI provided more detail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 14 cases (88%), comparing with 2D and 3D CT scans. Two fractures were revealed only on 3D DRI other than conventional radiography and CT scans and one case was revealed on 2D CT and 3D DRI. In all cases, we could acquired more detail and additional information from 3D DRI than from 3D CT in the acquisition of 3D imaging. 3D DRI didn’t change the classification of fracture in 12 of 13 cases (92%),which revealed the fracture on the conventional radiography or CT. Conclusion: 3D DRI can diagnose and evaluate the fracture rapidly and easily with anatomical and spatial resolution by acquisition of 3D imaging with postprocessing using DRI.

      • KCI등재

        Bacillus sp. B1 사균과 Polysulfone으로 이루어진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중금속 오염 지하수 정화

        이민희,이지영,왕수균,Lee, Min-Hee,Lee, Ji-Young,Wang, Soo-K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6

        유류 및 중금속 오염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토착 미생물인 Bacillus sp, B1 사균(dead biomass)과 polysulfone + DMF(N,N-dimethylformamide) 용액을 혼합하여 제조한 비드(지름 2mm 이하)형 미생물 담체를 이용하여 중급속 오염 지하수를 정화하는 배치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담체에 흡착된 중금속의 특성과 구조를 분석하여 미생물 담체에 의한 중금속 제거 기작을 규명하였다. 담체 내 Bacillus sp. B1 사균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담체들을 이용하여 오염수로부터 납 제거효율을 규명함으로써 미생물 담체 제조에 사용되는 최적의 사균 농도(%)를 결정하였으며, 오염수에 대하여 첨가하는 미생물 담체의 농도변화에 따른 중금속 제거효율을 규명하는 실험을 실시하여 최적의 중금속 제거효율을 가지는 오염수 내 담체 첨가량(농도; g/L)을 결정하였다. 담체 내 사균 농도가 0%(유기중합체로만 형성)와 1%인 경우 제조된 담체의 납 제거효율이 3% 미만으로 polysulfone + DMF 만으로 이루어진 담체는 중금속 제거효과가 거의 없으며, 담체 내 미생물 기질 부분에 의해 대부분의 중금속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 미생물 담체 비용과 제거효율을 고려하면 사균 5%를 혼합하여 제조한 미생물 담체를 2g/50mL 농도로 오염수에 주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담체와 오염수의 반응(흡착)시간에 따른 납과 구리의 제거 반응 실험 결과 두 시간 이내에 평형상태에 도달하여, 현장에서 다량의 중금속 오염 지하수를 짧은 시간(수 시간 이내)에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생물 담체의 중금속 제거효율은 넓은 pH 범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pH 2-3인 경우 제거효율이 최대로 나타나 pH가 낮은 침출수, 산성폐수의 중금속 처리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오염수의 중금속(Pb, Cu, Cd) 초기 농도변화에 따른 미생물 담체의 제거율 실험 결과 납, 구리, 카드뮴의 경우 10mg/L 이하의 농도를 가지는 오염수에서 80% 이상의 제거 효율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국내 오염 지하수의 중금속 농도가 이보다 낮은 것을 감안할 때 본 실험에서 사용된 조건을 적용하여 미생물 담체를 이용하는 경우 다량의 중금속 오염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납 제거 배치 실험 전/후 미생물 담체(bead)의 내/외부 구조를 SEM/EDS 및 TEM으로 분석한 결과 담체 내/외부 모두 다양한 크기의 다공질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외부 표면뿐 아니라 내부 면까지 납이 다량 흡착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에서 제조한 미생물 담체가 외부 표면 흡착에만 제한되었던 기존의 polysulfone 담체보다 중금속 제거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미생물 담체에 형성된 납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담체의 주된 중금속 제거기작은 담체 내/외부 표면(특히 사균 기질과 polysulfone 물질 경계부)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흡착이었다. Remediation process by using the bio-carrier (beads) with dead Bacillus sp. B1 and polysulfone was investigated for heavy metal contaminated groundwater. Sorption batch experiments using the bio-carrier were performed to quantify the heavy metal removal efficiencies from the contaminated solution. The analyses using SEM/EDS and TEM for the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 of precipitates on/inside the beads were also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orption mechanism by the bio-carrier. Various amounts of freeze-dried dead Bacillus sp. B1 were mixed with polysulfone + DMF(N,N-dimethylformamide) solution to produce the bio-carrier (beads; less than 2mm in diameter) and 5% of Bacillus sp. B1 in the bio-carrier was optimal for Pb removal in the solution. The removal efficiency ratings of the bio-carrier for Pb, Cu and Cd were greater than 80% after adding 2g of bio-carrier in 50ml of aqueous solution (<10mg/L of each heavy metal concentration). Reaction time of the bio-carrier was very fast and most of the sorption reaction for heavy metals were completed within few hours. Batch experiments were duplicated at various pH conditions of aqueous solutions and Cu and Pb removal efficiencies highly maintained at wide pH ranges (pH 2-12), suggesting that the bio-carrier can be useful to clean up the acidic waste water such as AMD. From SEM/EDS and TEM analyses, it was observed that the bio-carrier was spherical shape and was overlapped by many porous layers. During the sorption experiment, Pb was crystallized on the surface of porous layers and also was mainly concentrated at the boundary of Bacillus sp. B1 stroma and polysulfone substrate, showing that the main mechanism of the bio-carrier to remove heavy metals is the sorption on/inside of the bio-carriers and the bio-carriers are excellent biosorbents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 ions from groundwater.

      • KCI등재
      • KCI등재

        Lime (CaO) and Limestone ($CaCO_3$) Treatment as the Stabilization Process for Contaminated Farmland Soil around Abandoned Mine, Korea

        이민희,이예선,양민준,김종성,왕수균,Lee, Min-Hee,Lee, Ye-Sun,Yang, Min-Jun,Kim, Jong-Seung,Wang, Soo-Kyn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 2008 자원환경지질 Vol.41 No.2

        국내 폐광산 주변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 복원을 위해 석회(CaO)와 분쇄한 석회암($CaCO_3$)을 안정화제로 이용한 토양 안정화 공법의 효율을 규명하는 배치 및 대형 칼럼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토양은 경북 군위군에 위치한 아연 폐광산 지역의 오염 농경지 토양을 이용하였으며, 안정화제의 함량은 오염토양 대비 0, 0.5, 2, 5%로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안정화제에 의해 토양으로부터 용출되는 중금속 농도 변화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안정화제의 중금속 저감 효율을 규명하였다. 배치실험 결과, 가루상의 석회나 석회암 0.5%를 토양과 혼합하여 안정화제로 사용한 경우, 오염토양으로부터 As, Cd, Pb, Zn의 중금속 용출 농도는 안정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토양으로부터의 용출 농도를 기준으로 각각 70, 77, 94, 그리고 95% 감소하여 중금속 용출 저감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객토법을 모사한 대형 칼럼실험 결과, 2% 입상 석회 첨가에 의해서 As, Cd, Zn의 토양 용출은 안정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토양 용출 농도를 기준으로 각각 63, 97, 98% 감소하였다. 입상 석회암을 안정화제로 이용한 칼럼에서는 2% 석회암 첨가에 의해서 As 용출 농도는 135.6${\mu}g/L$에서 30.2 ${\mu}g/L$ 감소하여 약 46% 이상의 감소율을 나타내었으며, Cd와 Zn의 경우에는 97% 이상 감소하였다. 배치 및 칼럼실험 결과 석회암의 중금속 용출 저감 효율이 석회의 저감 효율과 매우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토양으로부터 중금속을 안정화시키는데 입상 석회와 석회암 모두 효과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산성화 방지를 위해 토양개량제로 주로 사용하였던 석회의 과도한 토양 내 첨가가 토양의 급격한 pH 증가를 일으켜 농작물 재배에 악 영향을 주게 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배치 및 대형 칼럼실험을 통하여 토양 내 첨가에 의한 pH 증가가 거의 없으며 비용 측면에서도 석회보다 훨씬 저렴하지만 중금속 용출 저감 효과가 비슷한 석회암이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 복원을 위한 새로운 안정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mixing treatment process using lime (CaO) and limestone ($CaCO_3$) as the immobilization amendments was applied for heavy metal contaminated filmland soils around Goro abandoned Zn-mine, Korea in the batch and pilot scale continuous column experiments. For the batch experiments, with the addition of 0.5 wt.% commercialized lime or limestone, leaching concentrations of As, Cd, Pb, and Zn from the contaminated filmland soil decreased by 70, 77, 94, and 95 %,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without amendments. For the continuous pilot scale column experiments, the acryl column (30 cm in length and 20 cm in diameter) was designed and granulated lime and limestone were used. From the results of column experiments, with only 2 wt.% of granulated lime, As, Cd, and Zn leaching concentrations decreased by 63%, 97%, and 98%, respectively. With 2 wt.% of granulated limestone, As leaching concentration reduced from 135.6 to 30.2 ${\mu}g/L$ within 5 months and maintained mostly below 10 ${\mu}g/L$, representing that more than 46% diminution of leaching concentration compared to that without the amendment mixing. For Cd and Zn, their leaching concentrations with only 2 wt.% of limestone mixing decreased by 97%,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without amendment mixing, suggesting that the capability of limestone to immobilize heavy metals in the filmland soil was outstanding and similar to that of lime. From the column experiments, it was investigated that if the efficiency of limestone to immobilize heavy metals from the soil was similar to that of lime, the limestone could be more available to immobilize heavy metals from the soil than lime because of low pH increase and thus less harmful side effect.

      • KCI등재

        제강슬래그와 석회석을 이용한 비소오염 농경지 토양 안정화 연구

        이민희,전지혜,Lee, Min-Hee,Jeon, Ji-Hy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4

        제강슬래그와 석회석을 이용하여 비소로 오염된 농경지 토양으로부터 비소 용출을 안정화 시키는 배치 및 대형 칼럼 실험을 실시하여, 제강슬래그와 석회석이 토양 내 비소안정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토양의 비소 농도가 토양오염우려기준 농도의 약 2배(12.3 mg/kg)인 전남 광양 주변 초남광산 주변에 위치한 밭토양을 대상으로 안정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안정화제로 사용한 제강슬래그 이화학분석 결과 비소 공침 효과가 높은 Ca, Fe, Al, Mg 산화물 함량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화제 종류별 비소 용출 저감 효과를 규명하고 최적 안정화제 주입 비율을 선정하기위한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토양 대비 석회석(또는 제강슬래그)의 첨가 비율을 1, 2, 3% 로 설정하여 비소 용출 저감 효율을 규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석회석과 제강슬래그를 다양한 비 율로 혼합한 혼합안정화제도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치실험 결과 오염토양으로부터 용출되는 비소 농도는 1% 와 3% 석회석 첨가에 의해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오염 토양의 비소 용출 농도 대비 각각 51%, 62% 감소하였다. 1%와 3% 제강슬래그를 오염토양에 첨가한 경우 비소 용출 농도는 각각 46%, 52% 감소하였다. 석회석 1%+제강슬래그 1%, 석회석 1%+제강슬래그 2%, 석회석 2%+제강슬래그 1%를 첨가하여 실험한 경우, 비소 용출농도는 각각 63%, 62%, 72% 감소하였다. 비소 용출 농도 및 용출 누적량을 계산하여 안정화공법에 의한 비소 오염 토양의 장기적 안정화를 예측하고자 인공강우에 의한 연속 용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수시스템 및 격자형의 하부 스크린이 설치된 직경 15 cm, 높이 100 cm 의 대형 아크릴 칼럼을 제작하였으며, 용출시험 결과로부터 비소 용출 저감 효과가 뛰어난 석회석 2%+제강슬래그 1%를 혼합하여 연속 칼럼 실험의 안정화제로 사용하였다.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칼럼의 경우 인공강우에 의한 비소 용출 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 $50-80\;{\mu}g/L$ 를 유지하였다. 2% 석회석과 1% 제강슬래그를 오염토양과 혼합한 칼럼의 경우 비소 용출 농도는 1년 이내에 80% 이상 감소하였으며, 지하수 생활용수기준치인 $50\;{\mu}g/L$ 보다 낮게 나타나 오염토양으로부터의 비소의 안정화 효과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석회석과 제강슬래그의 비소 안정화 기작을 규명하기위해 석회석과 제강슬래그를 3가비소(arsenite) 용액과 혼합하여 반응시 켜 공침된 광물 결정에 대하여 SEM/EDS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방해석($CaCO_3$) 이외에 포틀랜다이트(portlandite)와 칼슘-비소 산화물(Ca-As-O 계열)이 추가로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추가 생성 광물에 의한 비소 포획이 주요 비소 고정 기작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abilization process using limestone ($CaCO_3$) and steel making slag as the immobilization amendments was investigated for As contaminated farmland soils around Chonam abandoned mine, Korea. Batch and continuous colum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quantify As-immobilization efficiency in soil and the analyses using XRD and SEM/EDS for secondary minerals precipitated in soil were also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Asimmobilization by the amendments. For the batch experiment, with 3% of limestone and steel making slag, leaching concentration of As from the contaminated soil decreased by 62% and 52%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without the amendment. When the mixed amendment (2% of limestone and 1% of steel making slag) was used, As concentration in the effluent solution decreased by 72%, showing that the mixed of limestone and steel making slag has a great capability to immobilize As in the soil. For the continuous column experiments without the amendment, As concentration from the effluent of the column ranged from 50 to $80\;{\mu}g/L$. However, with 2% limestone and 1% steel making slag, more than 80% diminution of As leaching concentration occurred within 1 year and maintained mostly below $10\;{\mu}g/L$. Results from XRD and SEM/EDS analysis for the secondary minerals created from the reaction of the amendments with $As^{+3}$ (arsenite) investigated that portlandite ($Ca(OH)_2$), calcium-arsenite (Ca-As-O) and calcite ($CaCO_3$) were main secondary minerals and the distinct As peaks in the EDS spectra of the secondary minerals can be observ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precipitation might be the major mechanisms to immobilize As in the soil medium with limestone and steel making slag.

      • BH4 responsive PKU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유전자분석

        이민희,김지원,이정호,이동환,Rhee, Minhee,Kim, Jiwon,Lee, Jeongho,Lee, Dong Hwan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3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3 No.2

        Purpose: Phenylketonuria (PKU) is the first inherited metabolic disease of which treatment is known. We performed this study to find out clinical symptoms and prognosis of tetrahydrobiopterin (BH4) responsive PKU patients and genetic relation. Methods: Clinical, biochemical, genetic analysis were done retrospectively in 23 patients diagnosed BH4 responsive PKU in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00 to September 2012. Results: Patients were classified to mild hyperphenylalaninemia and mild phenylketonuria with initial plasma phenylalanine level below 20 mg/dL. After BH4 loading, blood phenylalanine decrease level ranged between 37% and 99%. Initial treatment with low phenylalanine formula or BH4 was started before 2 month after birth except 2 patients. And one of them resulted in developmental delay in language and social activity. The others showed satisfactory progress without developmental delay. In genetic analysis, of 46 allele, R241C allele mutation was identified most commonly (41%). R241C/A259T, R241C/R243Q, R241C/V388M, R241C/T278I was detected in 5 (21.7%), 3 (13%), 2 (8%), 2 (8%)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R241C mutation was detected most frequently in this study group and R243Q mutation which is known to be prevalent in Korean PKU patients was found in 4 patients (8.6%).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s important in PKU patients.

      • KCI등재

        도심 터닐보행로의 조도 및 불쾌글레어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이민희,박진철,김원우,Lee, Min-Hee,Park, Jin-Chul,Kim, Won-Woo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3 No.9

        최근 거리상의 이점에 의해 도심 터널에 보행로의 추가 설치가 늘어남에 따라 터널 내 환경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도심 터널 보행로의 조도 및 불쾌글레어를 측정하여 실제 보행자가 느끼는 빛 환경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도와 불쾌글레어의 물리적인 측정은 동작구에 위치한 'S터널'을 대상으로 야간과 주간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다. 또한 실제 보행자가 느끼는 주관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밝기와 불쾌 글레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보행자는 야간보다 주간에 보행로를 어둡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쾌글레어 지수는 야간의 경우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에서 실시하고 있는 '터널보행로 환경개선 사업'에 있어 조명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Recently, additional pedestrian passages are installed on urban tunnels in Korea. The lighting environment of the pedestrian passages should be appropriate to pedestrians. In this study, illuminance and discomfort glare where measured for determining the actual impact that pedestrians will be influenced by the tunnel lighting condition. Illuminance and discomfort glare were measured in 'S tunnel' which is located in Dong-Jack, Seoul, at day and night. And field survey on illuminance and discomfort glare was conducted to identify subjective responses of pedestrians. From the results of measurements and the survey, it is known that the lighting environment of the pedestrian passage in the tunnel is slightly dark especially at day time. UGR values which were measured at night were also higher than that at day. The results and method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data fo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Pedestrian passage in Tunnel' project which was begun by Seoul City at 1st December 2008.

      • KCI등재

        반복이 있는 랜덤화 블록 계획법에서 정렬 방법을 이용한 비모수 검정법

        이민희,김동재,Lee, Min-Hee,Kim, Dong-Jae 한국통계학회 2012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9 No.1

        반복이 있는 랜덤화 블록 계획법을 검정하는 비모수 검정방법에는 Mack과 Skillings (1980)가 제안한 검정법이 있다. 이 방법은 각 블록의 처리에서 반복된 각 관측값 대신에 반복된 관측값들의 평균을 이용하여 순위를 매기기 때문에 정보의 손실이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Hodges와 Lehmann (1962)이 제안한 정렬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비모수 검정법을 제안한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여러 비모수 검정방법들의 검정력을 비교하였다. Mack and Skillings (1980) proposed a typical nonparametric metho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replications. However, this method may lose information because of the use of average observations instead of individual observ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onparametric method that employed an aligned method suggested by Hodges and Lehmann (1962) under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replications. In addition, the comparative results of a Monte Carlo power study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