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AM 기반 신경망의 비지도 학습에 관한 연구

        박상무(Sang-Moo Park),김성진(Seong-Jin Kim),이동형(Dong-Hyung Lee),이수동(Soo-Dong Lee),옥철영(Cheol-Young Oc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1

        RAM 기반 3-D 신경망은 2진 신경망(Binary Neural Network, BNN)에 복수개의 정보 저장 비트를 두어 교육의 반복 횟수를 누적하도록 구성된 가중치를 가지지 않는 신경회로망으로서 한 번의 교육만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효율성이 뛰어난 신경회로망이다. MRD(Maximum Response Detector) 기법을 이용한 3-D 신경망의 인식 방법은 지도 학습에 기반을 둔 것으로서 학습을 통해 신경망 스스로가 범주를 구분할 수 없으며 잘 구분된 범주의 학습 데이터를 통해서만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3-D 신경 회로망에 학습 데이터의 구분 없이 신경망 자체가 입력 패턴에 따라 학습하여 범주를 구분하는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신경회로망은 판별자의 수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는 망의 유연한 확장성을 보장한다. 0에서 9까지의 다중 패턴으로 구성된 오프라인 필기체 숫자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학습 패턴으로 인식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신경망이 스스로 비지도 학습에 의해 판별자의 수를 결정하게 되며 이것은 신경망이 각각의 필기체 숫자에 대한 개념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A RAM-based Neural Net is a weightless neural network based on binary neural network. 3-D neural network using this paper is binary neural network with multiful information bits and store counts of training. Recognition method by MRD technique is based on the supervised learning. Therefore neural network by itself can not distinguish between the categories and well-separated categories of training data can achieve only through the performance. In this paper, un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is proposed which is trained existing 3-D neural network without distinction of data, to distinguish between categories depending on the only input training patterns. The training data for proposed unsupervised learning provided by the NIST handwritten digits of MNIST which is consist of 0 to 9 multi-pattern, a randomly materials are used as training patterns. Through experiments, neural network is to determine the number of discriminator which each have an idea of the handwritten digits that can be interpreted.

      • KCI등재

        비지도 외부-내부 심층 학습을 사용한 해수면 온도 위성 영상 복원

        김문업,김성주,최재영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2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8 No.5

        In order to utiliz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satellite image in practical applications, the techniques for restoring the lost temperature information is essential. We proposed a so-called unsupervised external-internal learning (UNEIL) model that does not require ground-truth images during the restoration of SST satellite images. Using the proposed UNEIL, it is possible to restore sea surface temperature information lost due to occluded clouds without using ground-truth images and excellent quality restoration results can be obtained. The proposed UNEIL largely consists of two-step learning steps: external and internal learning. In external learning,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lost area is restored in an unsupervised learning way. Next, internal learning based color restoration is performed based on structural restoration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our UNEIL outperforms other state-of-the-art unsupervised restoration methods in terms of restoration accuracy and also achieves quite similar restoration accuracy, even compared to supervised restoration models that inevitably utilizes ground-truth images. The restoration accuracy of our UNEIL is achieved within an error of 1.8 degree Celsius on average compared to the actual sea surface temperature value. 인공 위성을 통해 촬영된 해수면 위성 영상 정보를 실제 응용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손실된 온도 정보를 인위적으로 복원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수면 온도 위성영상 복원을 위해 정답 영상이 필요 없는 비지도(Unsupervised) 기반 외부-내부 학습으로 구성된 딥 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손실된 해수면 온도영상의 정답 영상이 부재해도 손실된 해수면 온도 정보를 신뢰성 있게 복원할 수 있게 한다. 제안 복원 방법은 외부- 내부 학습 2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계 외부 학습 과정에서는 비지도 학습을 기반으로 손실된 영역의구조적 복원을 진행한다. 2단계 내부 학습 과정에서는 구조적 복원 결과와 손실 영상을 기반으로 색상 복원을 진행한다. 제안 비지도 학습 기반 복원 딥 러닝 모델은 최신 다른 비지도 학습 모델들과 비교할 때 우수한 복원 성능을달성했으며 정답 영상을 필연적으로 활용하는 지도 학습 기반 복원 모델들과 비교해도 유사한 복원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실제 측정한 해수면 온도 값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섭씨 1.8도 오차내에 복원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 미술 심리 치료 분야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비지도학습 기반의 AI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최호영(Hoyoung Choi),진승완(Seungwan Jin),한경식(Kyungsik Han)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본 논문에서는 미술 심리 치료의 그림검사(Drawing Test) 과정에서 심리 치료사의 의사 결정 도움을 위해 소규모 데이터셋을 활용한 비지도 학습 기반의 모델 개발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비지도학습 기반의 VQViT(Vector Quantized-Vision Transformer)와 BEi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 from Image Transformers) 모델을 지도학습 기반의 ViT(Vision Transformer)와 Resnet-101 모델과 성능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지도학습 기반의 BEiT 가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비지도학습 기반 모델을 활용해 웹 페이지를 제작하였으며, 미술 심리 치료에서의 이미지 분류 모델 활용을 통한 전문가의 의사결정 지원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미술 심리치료 분야에서 딥러닝 기반 이미지 분류 모델 의사결정 지원 방향성을 논의한다.

      • KCI등재

        해양 이상 자료 탐지를 위한 오토인코더 활용 기법 최적화 연구

        김현재(Hyeon-Jae Kim),김동훈(Dong-Hoon Kim),임채욱(Chaewook Lim),신용탁(Yongtak Shin),이상철(Sang-Chul Lee),최영진(Youngjin Choi),우승범(Seung-Buhm Woo)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3 No.6

        해양 이상 자료 탐지의 연구는 이전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통계 및 거리 기반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AI 기반의 해양 자료 이상 탐지 기법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AI를 활용한 해양 이상 자료 탐지 기법은 정답이 주어지는 지도학습 기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학습에 필요한 모든 자료에 수작업으로 분류 정보(라벨)를 지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비지도학습 기반의 오토인코더를 이상 자료 탐지 기법에 사용하였다. 실험으로는 오토인코더의 평가를 위해 단변수·다변수학습 두가지 실험을 구성하였고, 단변수 학습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덕적도 부이 정점 관측 자료 중 수온만 사용하였으며, 다변수 학습은 수온과 기온, 풍향, 풍속, 기압, 습도 등을 사용하였다. 사용기간은 1996~2020년의 25년간이며 학습 자료에 해양-기상 자료의 특성을 고려한 전처리 기법을 적용하였다. 학습된 다변수와 단변수 오토인코더를 활용하여 실제 표층 수온에 대한 이상 탐지를 시도하였다. 모델 성능 비교를 위해 오차를 삽입한 합성 자료에 다변수와 단변수 오토인코더를 포함한 여러 이상 탐지 기법을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다변수/단변수의 정확도가 각각 약 96%/91%로써 다변수 오토인코더가 더 나은 이상 자료 탐지 성능을 보였다.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비지도학습 기반 이상 탐지 기법은 주관적 판단에 의한 오류와 자료 라벨링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Outlier detection research in ocean data has traditionally been performed using statistical and distance-ba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Recently, AI-based methods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nd so-called supervised learning methods that require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data are mainly used. This supervised learning method requires a lot of time and costs because classification information (label) must be manually designated for all data required for learning. In this study, an autoencoder based on unsupervised learning was applied as an outlier detec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For the experiment, two experiments were designed: one is univariate learning, in which only SST data was used among the observation data of Deokjeok Island and the other is multivariate learning, in which SST, air temperature, wind direction, wind speed, air pressure, and humidity were used. Period of data is 25 years from 1996 to 2020, and a pre-process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cean data was applied to the data. An outlier detection of actual SST data was tried with a learn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utoencoder. We tried to detect outliers in real SST data using train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utoencoders. To compare model performance, various outlier detection methods were applied to synthetic data with artificially inserted errors. As a result of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se methods, the multivariate/univariate accuracy was about 96%/91%,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multivariate autoencoder had better outlier detection performance. Outlier detection using an unsupervised learning-based autoencoder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at it can reduce subjective classification errors and cost and time required for data labeling.

      • 실시간 침입탐지를 위한 자기 조직화 지도(SOM)기반 트래픽 속성 상관관계 메커니즘

        황경애,오하영,임지영,채기준,나중찬,Hwang, Kyoung-Ae,Oh, Ha-Young,Lim, Ji-Young,Chae, Ki-Joon,Nah, Jung-Ch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2 No.5

        네트워크 기반의 공격은 그 위험성과 피해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공격 초기에 빨리 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도학습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비정상 트래픽을 탐지하는 방법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 전처리와 관리자의 분석이 요구되며 관리자의 분석이 정확하다는 보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각 네트워크의 실시간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탐지의 어려움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침입 탐지와 점진적 학습을 위해 비지도학습의 데이터마이닝 기법중 하나인 자기 조직화 지도를 기반으로 트래픽 속성 상관관계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이는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는 초기 학습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비지도 학습을 통하여 성격이 비슷한 트래픽끼리 클러스터링 한 맵을 생성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맵의 각 클러스터가 정상과 비정상 트래픽의 클러스터로 구분되기 위해 각 공격별로 추출된 규칙(rule)을 적용하여 맵을 분석한다. 이 규칙은 지도 학습을 통한 규칙 기반의 방법으로, 각 데이터 항목마다 SOM을 이용한 속성별 맵의 상관관계(correlation) 분석을 통해 생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맵을 이용하여 실시간 탐지와 함께 점진적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비지도 학습과 지도 학습을 결합한 SOM 기반 트래픽 속성 상관관계 메커니즘이 지도 학습에 비해 실시간 탐지에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Since the Network based attack Is extensive in the real state of damage, It is very important to detect intrusion quickly at the beginning. But the intrusion detection using supervised learning needs either the preprocessing enormous data or the manager's analysis. Also it has two difficulties to detect abnormal traffic that the manager's analysis might be incorrect and would miss the real time dete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affic attributes correlation analysis mechanism based on self-organizing maps(SOM) for the real-time intrusion detection. The proposed mechanism has three steps. First, with unsupervised learning build a map cluster composed of similar traffic. Second, label each map cluster to divide the map into normal traffic and abnormal traffic. In this step there is a rule which is creat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SOM. At last, the mechanism would the process real-time detecting and updating gradually. During a lot of experiments the proposed mechanism has good performance in real-time intrusion to combine of unsupervised learning and supervised learning than that of supervised learning.

      • KCI등재

        비지도 학습을 활용한 자동차 실내 소음 위치 탐색 방안

        양원석(Won Seok Yang) 한국생산관리학회 2021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2 No.2

        본 논문에서는 소리의 크기 차이로 감지되는 자동차의 주요 실내소음의 발생 위치와 시점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자동차 실내에서 밀집되어 빈번하게 발생하여 자동차 운전자에게 이질적이며 중요하게 인식되는 주요 실내소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기 위해, 인간의 소음 인식 과정을 감지, 기억, 인식의 3단계로 구분하여 모델링하고, 각 단계별로 머신러닝의 비지도 학습 기법인 밀도기반 군집분석 등을 활용한 데이터분석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향카메라로 측정된 다중 위치의 소음데이터를 활용한다. 음향카메라는 빔형성 기법을 이용하여 음향을 측정하고 형상화하는 기술로 다중 위치의 실내 음향 측정에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수치 예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 하고 머신러닝의 비지도 표현학습 방법론인 오토인코더, tSNE, 그리고 PCA를 적용하여 실내소음의 탐색 결과에 따른 소음데이터의 시각화 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은 비지도 학습이기 때문에 대단위의 훈련데이터를 구축할 필요가 없어 데이터 수집의 경제성 및 적용 대상의 유연성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lgorithm to find the location and timing of major noise in a vehicle detected by the difference in sound volume. We propose a model that describes the process of human noise recognition at three stages of detection, memory, and recognition. We present data analysis methods for each stage, including density-based clustering in machine learning to examine the location of the interior noise, generated inside the car, recognized as important and heterogeneous for the driver. We use noise data from multiple locations measured by an acoustic camera that measures and shapes the sound at a specific location using a beamforming technique. Finally, numerical examples are given for verifying the algorithm presented in this paper. In addition, interior noise data is visualized using autoencoder, tSNE, and PCA in unsupervised feature learning. Since the algorithm presented is unsupervised learning, it is unnecessary to build large-scale training data. It is therefore advantageous in terms of data collection economy and application flexibility.

      • KCI등재

        비지도 학습 기반의 임베딩과 오토인코더를 사용한 침입 탐지 방법

        이준우 ( Junwoo Lee ),김강석 ( Kangseok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2 No.8

        최근 지능화된 사이버 위협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패턴 혹은 시그니처 기반의 침입 탐지 방식은 새로운 유형의 사이버 공격을 탐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데이터 학습 기반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이상 징후 탐지 방법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지도학습 기반 이상 탐지 방식은 학습을 위해 레이블 된 이용 가능한 충분한 데이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정상 데이터로 학습하고 데이터 자체에서 패턴을 찾아 이상 징후를 탐지하는 비지도 학습 기반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시퀀스 로그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시퀀스 정보를 보존하는 잠재 벡터(Latent Vector)를 추출하고, 추출된 잠재 벡터를 사용하여 이상 탐지 학습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각 시퀀스의 특성들에 대응하는 밀집 벡터 표현을 생성하기 위하여 Word2Vec을 사용하였으며, 밀집 벡터로 표현된 시퀀스 데이터로부터 잠재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비지도 방식의 오토인코더(Autoencoder)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오토인코더 모델은 시퀀스 데이터에 적합한 순환신경망 GRU(Gated Recurrent Unit) 기반의 잡음 제거 오토인코더, GRU 네트워크의 제한적인 단기 기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1차원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오토인코더 및 GRU와 1차원 합성곱을 결합한 오토인코더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데이터는 시계열 기반의 NGIDS(Next Generation IDS Dataset) 데이터이며, 실험 결과 GRU 기반의 오토인코더나, 1차원 합성곱 기반의 오토인코더를 사용한 모델보다 GRU와 1차원 합성곱을 결합한 오토인코더가 훈련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잠재 패턴을 추출하기 위한 학습 시간적 측면에서 효율적이었고 이상 탐지 성능 변동의 폭이 더 작은 안정된 성능을 보였다. As advanced cyber threats continue to increase in recent years, it is difficult to detect new types of cyber attacks with existing pattern or signature-based intrusion detection method. Therefore, research on anomaly detection methods using data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increasing. In addition, supervised learning-based anomaly detection methods are difficult to use in real environments because they require sufficient labeled data for learning. Research on an unsupervised learning-based method that learns from normal data and detects an anomaly by finding a pattern in the data itself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tract a latent vector that preserves useful sequence information from sequence log data and develop an anomaly detection learning model using the extracted latent vector. Word2Vec was used to create a dense vector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quence, and an unsupervised autoencoder was developed to extract latent vectors from sequence data expressed as dense vectors. The developed autoencoder model is a recurrent neural network GRU (Gated Recurrent Unit) based denoising autoencoder suitable for sequence data, a one-dimension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autoencoder to solve the limited short-term memory problem that GRU can have, and an autoencoder combining GRU and one-dimensional convolution was used. The data used in the experiment is time-series-based NGIDS (Next Generation IDS Dataset) data, an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n autoencoder that combines GRU and one-dimensional convolution is better than a model using a GRU-based autoencoder or a one-dimensional convolution-based autoencoder. It was efficient in terms of learning time for extracting useful latent patterns from training data, and showed stable performance with smaller fluctuations in anomaly detection performance.

      • KCI등재

        정보검색 기술을 이용한 비지도 학습 기반 문서 분류 시스템 개발

        노대욱(Dae-Wook Noh),이수용(Soo-Yong Lee),나동열(Dong-Yul Ra)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4 No.2

        문서분류기의 개발에 있어 지도학습기법을 이용할 경우 많은 양의 사람에 의한 범주 부착 말뭉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의 구축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최근 이러한 범주 부착 말뭉치 대신 원시말뭉치와 범주마다 약간의 씨앗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여 문서분류기를 개발하는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론 하에서 다른 연구에서의 결과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비지도학습 기법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기법의 특징은 씨앗 단어에서 출발하여 평균상호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대표단어 및 그들의 가중치를 학습한 다음, 정보검색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그 가중치를 갱신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높은 성능의 시스템을 개발 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for developing a text classifier using supervised learning, a manually labeled corpus of large size is required. However, it takes a lot of time and human effort. Recently a research paradigm was proposed to use a raw corpus and a small amount of seed information instead of manually labeled corpu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that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better performance than other related works. The characteristics of our approach is that average mutual information is used to learn representative words and their weights and then update of the weights is done using a technique inspired by the works in information retrieval. By iterating this learning process it was shown that a high performance system can be developed.

      • KCI등재

        NIDS의 비정상 행위 탐지를 위한 단일 클래스 분류성능 평가

        서재현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1

        본 논문에서는 단일 클래스만을 학습하여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 상에서 새로운 비정상 행위를 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류 성능 평가를 위해 KDD CUP 1999 데이터셋을 사용한다. 단일 클래스 분류는 정상 클래스만을 학습하여 공격 클래스를 분류해내는 비지도 학습 방법 중 하나이다. 비지도 학습의 경우에는 학습에 네거티브 인스턴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분류 효율을 내는 것이 어렵다. 하지만, 비지도 학습은 라벨이 없는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적합 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포트벡터머신 기반의 단일 클래스 분류기와 밀도 추정 기반의 단일 클래스 분류기를 사용 한 실험을 통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공격에 대한 탐지를 한다. 밀도 추정 기반의 분류기를 사용한 실험이 상대적으로 더 좋은 성능을 보였고, 신규 공격에 대해 낮은 FPR을 유지하면서도 약 96%의 탐지율을 보인다. In this study, we try to detect anomalies on the network intrusion detection system by learning only one class. We use KDD CUP 1999 dataset, an intrusion detection dataset, which is used to evaluat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ne class classification is one of unsupervised learning methods that classifies attack class by learning only normal class. When using unsupervised learning, it difficult to achieve relatively high classification efficiency because it does not use negative instances for learning. However, unsupervised learning has the advantage for classifying unlabeled data. In this study, we use one class classifiers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s and density estimation to detect new unknown attacks. The test using the classifier based on density estimation has shown relatively better performance and has a detection rate of about 96% while maintaining a low FPR for the new attacks.

      • KCI등재

        적대적 생성 신경망을 활용한 비지도 학습 기반의 대기 자료 이상 탐지 알고리즘 연구

        양호준,이선우,이문형,김종구,최정무,신유미,이석채,권장우,박지훈,정동희,신혜정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4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전문가에 의해서 이루어지던 국가 대기오염 측정망 데이터들의 이상 탐지 작업을 인공지능을 통해 자동화하고자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이상 탐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환경과학원에서 제공받은 기상자료 데이터의 결측치 및 이상치를 분석하여 학습데이터를 생성하였으며 비지도 학습 방식의 BeatGAN 모델에 기반하여 커널 구조 변경과 합성곱 필터층 및 전치 합성곱 필터층의 추가를 통해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여 이상 탐지 성능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모델의 생성적 특징을 활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학습에 사용하는 재학습 알고리즘을 구현 및 적용하여 기존 BeatGAN 모델뿐 아니라 다른 비지도 학습 모델인 Iforest, One Class SVM과 비교하였을 때 제안모델의 성능이 가장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산업현장에서 센서의 이상, 점검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학습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 추가 적인 비용없이 과적합을 피하며 제안하는 모델의 이상탐지 성능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nomaly detection model using deep neural network to automate the identification of outliers of the national air pollution measurement network data that is previously performed by experts. We generated training data by analyzing missing values and outliers of weather data provided by the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based on the BeatGAN model of the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we propose a new model by changing the kernel structure, adding the convolutional filter layer and the transposed convolutional filter layer to improve anomaly detection performance.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generative features of the proposed model to implement and apply a retraining algorithm that generates new data and uses it for train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odel had the highest performance compared to the original BeatGAN models and other unsupervised learning model like Iforest and One Class SVM.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method to improve the anomaly detection performance of proposed model while avoiding overfitting without additional cost in situations where training data are insufficient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sensor abnormalities and inspections in actual industrial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