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적 관점에서 본 제주도 비양도(飛陽島)의 지역특성 연구

        정광중(Jeong, Kwang Jo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2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제주도 본섬의 부속도서인 비양도를 대상으로 과거 상황과 현재 상황에 대한 비교의 관점에서 지역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여러 고문헌과 고지도에서 확인되는 비양도 관련 기록과 내용들은 주로 관(官) 지배적 시각에 입각하여 많이 다루어져 왔음을 확인할 수 있는 데, 그것들은 주로 비양도가 중요한 역사적 사건의 장소로서, 외부세력의 주요 거점 용도나 제주도 본섬 방어를 위한 재료 확보지로서, 한 시대를 풍미했던 풍수 관련 전설지로서 그리고 자연의 대변화 등과 관련된 사실들이 주류를 이룬다. 특히 17~19C에 제작된 제주 관련 고지도에는 비양도가 여러 고문헌에 등장하는 사건과 내용들을 반영함과 동시에 제작 시점에서의 지역특성이나 지리적 정보를 담아내려는 사례가 많았다. 비양도는 1884년 입도(入島)가 허락된 이후부터 사람들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1960~1980년대 중반까지는 반농반어의 섬 지역으로 이어오다가 1990년대부터는 관광객 증가로 전국적인 관광지역으로서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비양도의 관광자원은 섬 자체가 하나의 훌륭한 자원이라 할 수 있지만, 섬 내부를 구성하는 주요 관광자원의 측면에서 볼 때는 비양봉을 비롯한 애기업은돌(호니토), 펄랑못(염습지), 코끼리바위(시스택), 할망당(神堂) 및 너부배원(독살) 등에 주목할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iyangdo, an island attached to the main island of Jejudo,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its past and present conditions. The records about Biyangdo Island found in many ancient literatures and maps have primarily been studied from a public-led perspective. Most of the records include the facts representing Biyangdo Island as the venue of important historical events, a strategic point for external forces to gain a foothold, and a region providing resources to defend the main island of Jejudo. The records also include information on the making of various legends based on the practice of feng shui that was once prevalent in Korea, as well as information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nature of the island. In particular, the maps related to the Jeju region produced from the 17th to 19th centuries intended to reflect the events and information regarding Biyangdo Island mentioned in various ancient literatures, as well 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island at the time of map production. Biyangdo Island began to be inhabited by humans after the Korean government permitted entrance to the island in 1884. While most of the island"s residents were engaged in agriculture and fishing by the mid-1960s, the island has gained a status as a national tourist area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ourists since the 1990s. While Biyangdo Island is an excellent tourist resource itself, some of the noteworthy major tourist resources include Aegieobeundol(hornito), Peollangmot(salt marsh), Kokkiribawi(sea stack), Halmangdang(village shrine) and Neobubaewon(stone wall), along with Biyangbong Peak.

      • KCI등재

        제주도 북서부 비양도 화산체의 지질과 화산활동

        전용문,고기원,박준범,문덕철,김기표,류춘길 대한지질학회 2019 지질학회지 Vol.55 No.3

        The volcanic body of Biyangdo consists of spatter deposit, scoria deposit and lava flows from bottom to top. The lowest spatter deposit is exposed on the northern and western coasts of the islet and contains agglutinated spatters and large volcanic bombs. Biyangbong, the central part of the islet, is a scoria cone consisting of clast-supported scoria deposits. Its coastal areas are composed of the lava flows except the west, most of which possess the characteristics of pahoehoe lava flows. 40Ar-39Ar age dating suggests that the lava flows of Biyangdo formed around 26,000 years ago. The volcano was formed by strombolian eruption on land when the sea level was approximately 90 ~ 110 meters lower than it is at present. For a short period, spatters and large volcanic bombs were emitted to form a spatter cone. Its crater, then, shifted, followed by subsequent volcanic activities at Biyangbong to form Biyang Scoria Cone. During this process, the pahoehoe lava flowed through its base and formed scoria rafts and collapsed trench structures. Some lava flows formed chimney-shaped hornitos resulting from bubble burst phenomenon caused by the fuel-coolant interactions while flowing on the wetland. Volcanic activities came to an end with effusion of a small volume of aa lavas flowing southward after the pahoehoe lava flows. As the sea level rises, major portion of the spatter cone was removed by wave erosion, leaving behind several sea stacks including Elephant Rock, and Biyangbong, relatively less eroded, have remained in its original shape. Biyangdo is a textbook example to take a look at various products of terrestrial volcanic activity of monogenic volcanoes, which are hard to observe in Jeju Island. The island was thus included in the Jeju Geopark in 2014. 비양도 화산체의 지질은 하부로부터 스패터층, 분석층, 용암류로 구성된다. 최하부 스패터층은 비양도 북쪽과 서쪽 해안에 분포하며, 엉겨 붙은 스패터와 대형 화산탄들을 포함하고 있다. 분석층은 섬 중앙의 비양봉을구성하며 분석들이 역지지된 형태로 분포한다. 용암류는 서쪽 해안을 제외한 해안 전역에 분포하며, 대부분 파호이호이 용암류의 특성을 보인다. 절대연대 측정을 통해 비양도 용암류는 약 2만 6천 년 전후에 형성된 것으로추정된다. 비양도 화산체는 해수면이 지금보다 약 90~110 m 낮았던 시기에 육상환경에서 짧은 기간 동안 스패터와 대형 화산탄들이 뿜어져 나와 스패터콘을 형성하였다. 스패터콘 형성 이후 연이은 화산활동이 지금의 비양봉에서 발생하여 분석구를 형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측면을 뚫고 파호이호이 용암류가 흘러나와 스코리아 래프트와 함몰지형이 형성되었다. 일부 용암류는 습지 위를 흐르면서 연료-냉매 상호작용(FCI)에 의한 거품파열(bubble burst) 현상으로 굴뚝모양의 호니토를 형성하였다. 파호이호이 용암 분출 후 소량의 아아 용암류가 남쪽으로 흘러내린 것을 끝으로 화산활동은 종료되었다. 화산활동이 끝나고 해수면 상승에 따라 파도에 의한 침식으로 스패터콘의 대부분이 삭박되어 ‘코끼리 바위’와 시스택으로 남게 되고, 상대적으로 침식을 덜 받은 비양봉은 원형의 형태로 남겨졌다. 비양도는 제주도 본섬에서는 흔히 보기 힘든 단성화산체의 육상 화산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후 해수면 상승에 의해 섬이 된 화산체로 다양한 산물을 관찰할 수 있는 교과서적인 사례이며, 2014년 제주도 지질공원 대표명소로 추가되었다.

      • KCI등재

        제주 비양도에서 염소 구제 후 식물상 변화

        최성환 ( Choi Sung-hwan ),오홍식 ( Oh Hong-shik ),박선미 ( Park Seon-mi ),반자드마니람 ( Banjade Maniram ),이준원 ( Lee Jun-won ),정영훈 ( Jeong Young-hun )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제주도 부속 유인도서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비양도에서 방목하였던 염소 구제 이후 천이과정에서 일어나는 식물상 변화를 밝히기 위해 2020년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를 통해 관찰된 관속식물은 70과 173속 201종 6아종 15변종 4품종으로 총 226분류군이었고, 분류계급에 따라 양치식물 7분류군, 나자식물 2분류군, 피자식물의 쌍자엽식물 189분류군, 단자엽식물 28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한반도 전체의 관속식물 4,552종의 약 5.0%, 제주도 전체의 관속식물 1,989종의 11.4%에 해당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Ⅴ등급 바위모시, 남가새, 황근 3분류군, Ⅳ등급 돌토끼고사리, 해녀콩, 섬오갈피나무, 갯강활 등 8분류군, Ⅲ등급 돌담고사리, 천선과나무, 왕모시풀, 갯패랭이꽃 등 17분류군, Ⅱ등급 번행초, 갯장구채, 가는갯는쟁이, 갯는쟁이 등 12분류군, Ⅰ등급 실고사리, 봉의꼬리, 참느릅나무, 동백나무 등 20분류군으로 총 60분류군이 생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은 바위모시, 남가새, 섬오갈피나무, 해녀콩 등 9분류군, 멸종위기야생식물로는 Ⅱ급인 황근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털비름, 콩다닥냉이, 잔개자리 등 31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은 13.7%이었으며, 도시화지수는 9.7%로 산출되었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에는 환삼덩굴 1종이 확인되어 확산 방지를 위해 생리학적 특성 및 생육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양도에 염소가 도입된 이후, 2003년과 2011년 식물의 종 수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염소의 방목 및 야생화로 인한 물리적 압력에 의해 식물군집의 단순화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2018년 염소 구제 후 2021년 현장조사를 통해 현재 비양도의 종 구성 및 군락이 1995년 이전의 식물상과 유사하게 나타나 식물군집이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비양도 내 식물 종 구성이 현재 자연적으로 서서히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 연구에서는 도서에 이입된 가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생태계 파괴와 구제 후 발생하는 도서생태계의 복원과정을 밝혀냈기에 앞으로 도서생태계의 보전과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이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flora, after the successful extermination of feral goats on Biyangdo, an inhabited Island in the Jeju Province in South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2020 to June 2021. A total of 226 taxa of vascular plants, belonging to 70 families, 173 genera, 201 species, 6 subspecies, 15 varieties, and 4 forma, were identified. Sixty taxa were identified as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3 taxa of grade V, 8 taxa of grade IV, 17 taxa of grade III, 12 taxa of grade II, and 20 taxa of grade I. Rare plants of 9 taxa and endangered wild plants of 1 taxon (Hibiscus hamabo) were also identified. Thirty taxa were identified for naturalized plants. The naturalized ratio was 13.3%, and the urbanization index was computed at 9.3%. Since the goats were introduced on Biyangdo,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plant species decreased in 2003 and 2011. This shows that physical pressure caused by the grazing activity of goats simplified the plant community. However when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similariti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ies on Biyangdo were analogous to those reported in 1991 and 1995. This is a result showing that the composition of plant species on Biyangdo appeared to have gradually recovered after the extermination of goats. This study will be used to inform strategie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island ecosystems. 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ecosystem restoration, as it shows the restoration process of island ecosystems, after the destructive effects of the livestock introduced to the island.

      • KCI등재

        인지언어학 관점에서 본 스페인어 비양도성 신체 소유구문 분석

        양성혜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9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analysis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for some problematic possessive constructions related to body's parts in Spanish. In corporal inalienable possessive constructions in Spanish the possessor argument is realized as a dative complement of the verb and the inalienable argument as direct object which contains a definite article not a possessive adjectiv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tried to explain why in those constructions the inalienable argument is syntactically bound to the possessor argument. Through revising their results, we found three topics not explained sufficiently and tried to clarify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problematic constructions about body's parts treated in our investigation are the following: first, some constructions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satisfactorily by applying an explanation based on [+affectedness] or [+animacy] as features of the possessor argument and second, some exceptional constructions whose inalienable argument doesn't have definite article but another determiners like demonstrative or indefinite. Finally, we tried to explain why external possessive constructions can not be modified by qualifying adjective or prepositional phrase but internal possessive constructions can be so even though they contain body's part noun. 본 논문의 목적은 스페인어에서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소유구문 중 문제가 된 몇 개의 구문에 대해 인지문법에 근거한 분석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스페인어 비양도성 신체 소유구문에서는 소유자 논항이 동사의 여격대명사로 실현되고 비양도성 논항 즉 피소유체는 직접목적어로 실현되는데, 이때 소유사를 쓰지 않고 정관사를 쓴다. 지금까지 이 구문들에서 비양도성 논항이 왜 소유자 논항에 묶여 의존적인 통사적 행태를 보이는지를 설명하고자 한 다수의 선행연구가 있었다. 이 선행연구들의 성과를 점검하면서 미완의 해결되지 않은 세 가지 문제를 도출했고, 인지문법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했다. 본고에서 다룬 세부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유자 논항이 가지는 [+피영향성]과 [+유생성] 자질을 적용해도 설명력이 떨어지는 구문들과 둘째,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피소유체가 정관사가 아닌 다른 한정사, 예컨대 지시사와 부정어 등이 사용된 예외적인 구문들이다. 마지막으로 외재적 소유구문에서는 성상형용사 및 전치사구에 의한 수식이 불가한데 내재적 소유구문일 때는 비록 신체부위 명사가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수식어를 동반하는 것이 가능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비양도성 소유구문의 명사 술어 분석

        유은정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07 스페인어문학 Vol.0 No.44

        El presente trabajo pretende examinar la posesión inalienable que se expresa en las construcciones con dativo posesivo. En español estas construcciones posesivas externas incluyen la relación posesiva entre el poseedor y el poseído alienable y la entre el poseedor y el poseído inalienable. Pero comparando la construcción posesiva alienable(en adelante, CPA) con la construcción posesiva inalienable(en adelante, CPI), se halla la diferencia en la forma de participación que expresan los dos tipos de dativos. En este trabajo procuramos ofrecer un análisis minimista(Chomsky 1999, 2000, 2001) de la CPI con las características con las que se distingue entre otras construcciones posesivas externas. Mientras que el dativo de la CPA aparece, en general, con el valor benefactivo de que representa a un destinatario de la acción expresada por el predicado y puede sustituirse por un sintagma preposicional, el dativo de la CPI representa el poseedor de la parte, es decir, el todo que establece la relación posesiva inherente con la parte del cuerpo. Los nombres inherentemente relacionales necesitan la presencia obligatoria de su poseedor para la derivación convergente. Esto nos lleva a deducir que la presencia imprescindible del dativo posesivo en la CPI se relacionaría con la derivación de los nombres relacionales. Y la presencia del dativo no modifica las relaciones entre los participantes en la estructura del evento. Por lo tanto proponemos que la CPI se proyecta por dos relaciones de predicación en las distintas dimensiones; una para la cláusula materna y otra para la relación parte-todo con la categoría SD(Sintagma Determinante) en función de fase.

      • KCI등재

        기명식 선하증권의 담보 효력

        박세운(Park, Sae Woon),한기문(Han, Ki Moon) 한국무역상무학회 2012 貿易商務硏究 Vol.53 No.-

        The straight bill of lading is regarded as the documents of title except in American law after The Rafaela S case. The Carewins case also decided that the exclusion clause of bill of lading did not exempt carriers from liability when the carriers delivered the cargo to the consignee without the production of original bill of lading. And the court said that the carrier was responsible for delivering the goods against a forged bill of lading regardless of exemption clause of bill of lading in the Motis case. It may be assumed through these cases that the straight bill of lading as a document of title gives documentary security to the banks in trade finance. However, there can be some downside to the efficacy of the straight bill of lading as collateral. First, when it is subject to the English law, the shipper can arbitrarily change the consignee different from the one named in the document. Second, some bills of lading bear provisions relating to the carrier delivering the goods upon reasonable proof of identity without the surrender of an original and/or genuine bill of lading.

      • KCI등재

        구어체 페르시아어 대격 중출 구문 연구

        곽새라(Kwak, Sae-ra)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2014 중동문제연구 Vol.13 No.2

        This paper analyses double accusative constructions in spoken Persian. First, I defined the construction as the construction with two accusative arguments realized by the accusative marker -rā. Two accusative arguments in a construction are DPs, which are extended from the bare N. These arguments should form an inalienable possessive relationship, which means that the second argument of the construction is a part of the first argument and they are not separable. In the second argument, a clitic pronoun which is co-indexed with the first noun should be attached. Moreover, a double accusative construction can be separated into two events with each argument. The event with the second argument presupposes the event with the first argument. Syntactically, the two accusative arguments with an interpretable accusative feature can be licensed by Covert Multiple Agree-Checking relation with the probe, that is, VP with an uninterpretable accusative feature.

      • 저작인격권 포기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남수경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5 Law & technology Vol.11 No.2

        베른협약에서는 저작인격권의 포기에 대해 명문으로 금지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저작인격권 포기는 각국에서 입법으로 규정되어 있거나, 명문의 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해석에 맡겨져 있다. 영미법계에서 저작인격권 포기의 명문 규정은 일종의 불협화음을 해소하기 위한 입법적 의도라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 대륙법계에서 탄생하고 발전한 저작인격권은 ‘일신전속성’이라는 개념적 울타리에서 ‘포기’와는 친숙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이 무색할 만큼 각국의 입법 태도는 다양하고, 이는 저작인격권의 포기에 관한 논의에서 보다 유연한 사고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우리 학설은 저작인격권의 일신전속성에 비추어 저작인격권은 포기될 수 없다는 견해가 다수설이다. 그러나 저작인격권의 자연권성을 부정하거나, 저작인격권의 특수성을 긍정하는 입장에서 저작인격권의 포기성을 긍정하는 소수설이 제기되고 있다. 저작인격권은 저작물을 매개로하는 인격적 이익을 보호한다는 점에서 성명권, 명예권, 초상권 등과 완전히 구분되는 별개의 권리라고 보기 어렵다. 그리고 비포기성은 저작인격권의 본질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동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개념이다. 결국 저작인격권의 본질이 인격적 이익 보호에 있다면, 반대로 저작자의 인격적 이익을 훼손하지 않은 범위 내의 저작인격권 포기는 인정됨이 타당하다. The Berne Convention does not have statutory provision with respect to waiver of moral rights. It means that each country has a choice to allow moral rights to be waived. The arguments in waiver issue, however, may be relevant to two legal system which are common law and civil law. The common law countries has a difficulty with adopting moral rights protection, which is closer to civil law system. Therefore, a legislator have tried to stipulate waiver provision to the Copyright Act, attempting to resolve legal dissonance and make delicate balance. In the contrast, civil law countries were not familiar with waiver of Moral rights, because they have traditionally regarded moral rights as inalienable rights and have restricted the possibility of waiving the rights. To such an extent the criteria between civil law and common law countries is meaningless, moral rights protection are variable in international legal system indeed. The variety of law-making is able to provide clue to flexibility in waiver issues of the rights. Meanwhile, there are two different approaches to possibility of waiver of moral rights in Korea, one is opposed to waiver of the rights in that personalities can not be waived and exchanged. The other is favor of possibility of the rights in that moral rights are distinct from personal rights. However, Moral rights is aimed to protect personal interests of author, because of special connection between authors’s personality and the work. It can not be distinguished from other personal rights. Furthermore, impossibility of moral rights can be a flexible notion to be understood when it does not eviscerate moral rights protection under the Copyrights Act. In other words, moral rights can be waived in the circumstances where the essence of personal interest, such as author’s reputation, can be protected properly.

      • KCI등재

        Major Subject Honorification in Inalienable Possession Constructions

        Doo-Won Lee 한국중원언어학회 2014 언어학연구 Vol.0 No.33

        The subject honorification marker si-marked predicate must have an honorific subject in Spec-TP in order for the unchecked feature of the subject honorification marker si on T to be discharged in the Spec-head relation with the honorific subject. EPP raises the grammatical subject to Spec-TP, whereas the major subject (i.e., nominative possessor in multiple nominative constructions (MNCs, hereafter)) undergoes focus movement to Spec-FocP over TP. The honorific feature of the subject honorification marker si is classified into two kinds: One is discharged for the genuine subject and the other is discharged for the major subject. The nominative/topic-marked major subjects occupy Spec-FocP/CP, respectively. If in the inalienable possession construction, not the grammatical subject, but the major subject is honorific, the unchecked honorification feature of the marker si on T should percolate up to Foc/C in order to discharge its feature in the Spec-head relation with the honorific major subject in Spec-FocP/CP. As a result, this induces major subject honorification, which is what is at stake in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