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ELAC: 탈식민적 라틴아메리카 통합운동

        안태환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3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4 No.2

        CELAC (Comunidad de Estados Latinoamericanos y Caribeños) was established in 2011 and has been characterized as a decolonial integration movement. That is to say, it is designed towards a independent position from the hierarchical World-System made with Eurocentrism. We would consider it as a great advance of the decolonial integration of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countries after the ALBA of 2004 and UNASUR of 2007. CELAC was founded by Chavez of Venezuela and Brasil and it is not an institutional-judicial organization but a forum based on solidarity.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integration movements as like CAN which were moved by the states and the enterprises. CELAC is moved by the social movement’s power. The peculiar thing is that have been excluded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nd have been included all the countries around Latin America and Caribbean ones including Cuba first time in the longrun 500 years’ history. CELAC is a organization of forum for the integration such as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ties to be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World-System. Especially CELAC has taken its position very independent from the central countries of Europe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also it is now showing the epistemological revolution in a sense of that the South would be the North. Also it has the meaning of ‘post-latin’ in a sense of breaking the internal colonialit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CELAC has a strong solidarity with the people exclud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human rights’. And the latin american people themselves has promoted CELAC forwards with the invisible collective power of solidarity maintained for a long time. 2011년에 설립된 CELAC(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국가공동체)은 탈식민적 라틴아메리카 통합운동이다. 즉, 유럽중심주의적 위계서열의 세계체제로부터의 라틴아메리카의 독립적 위상의 확보를 의미한다. 또는 근대성/(탈)식민성 기획의 시각에서 보면 ‘라틴아메리카’의 ‘라틴’과 ‘아메리카’의 해체 즉, “라틴아메리카 이후”의 시기로 진입한 상징적 사건이 CELAC이다. 2004년의 ALBA(미주 민중을 위한 볼리바르 동맹)와 2007년의 UNASUR(남미국가연합)에 이어 탈식민적 라틴아메리카 통합운동의 커다란 진전이다. CELAC은 베네수엘라의 차베스와 브라질의 주도로 설립되었는데 제도적 법률적 기구라기보다 연대적 포럼 형식이다. 가장 큰 특징은 미국과 캐나다를 제외한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의 모든 국가들을 통합하고 있다는 점이다. 라틴아메리카의 500여년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우리의 아메리카”(Nuestra América)의 꿈의 실현의 시작이다. 미국이 주도하는 OAS(미주기구)의 장기적 대안으로도 간주된다. 또한 미주기구에는 쿠바가 제외되었는데 CELAC에서는 쿠바가 중요한 정치 행위자로 주목된다. ALBA가 물물교환과 ‘선물주기’ 철학에 기초한 일부 지역 국가들의 대안적 비자본주의적 통합운동이고 UNASUR가 남미의 외교적, 군사적 동맹과 의회협력을 중시한다면 CELAC은 라틴아메리카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통합을 위한 연대적 포럼이자 중요한 정치 행위자로 기능하려고 한다. 특히 CELAC은 유럽세력(미국 포함)과 라틴아메리카의 관계에서 “남이 곧 북이”라는 인식론적 전환 즉 탈식민적 전환을 보여준다. 동시에 19세기 후반부에 정립된 ‘라틴’아메리카의 ‘라틴’이 함축하는 내부적 식민성을 깨트리고 ‘아메리카’라는 호칭도 “식민적 차이”로 해체하고 있는 현재의 “라틴아메리카 이후”를 상징한다는 의미에서도 탈식민적이다. 또한 사회적으로 배제된 ‘대중’과의 연대와 대중의 이익 확보를 중시한다는 의미에서도 탈식민적이다. 근대적, 개인적 인권을 넘어서는 사회적 인권의 시각을 매우 중시한다. 다시 말해, CELAC의 출범은 비가시적이지만 오랫동안 라틴아메리카 대중의 무의식적 삶의 방식에 녹아있는 ‘사회적 연대’의 힘이 추동해낸 것이다.

      • KCI등재

        20세기말 미국의 라티노/라틴아메리카 미술전시- 변화양상과 쟁점

        김진아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2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3 No.3

        Over the past 25 years, Latin American art has grown immensely in the United States.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and conditions around the exhibitions particularly dedicated to “Latin American” or “Latino” art in museum exhibitions. This paper then briefly introduces the history of Latin American art exhibitions in the early and mid-twentieth century, when no visible Latino or Chicano art exhibitions were found. The focus then shifts more towards the explosion of Latin American/Latino art exhibitions held between the late 1980s and the early 1990s. During this period, Chicano and Latino art exhibition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in major art venues. What were the driving forces of such a dramatic change? With increasing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power, Latinos were expected to become a major component of the American social and cultural fabric in the near future. This paper further examines four important exhibitions that raised several issues such as the use of the terms “Hispanic” and “Latino,” the European curatorship, the debate between the formalist and the socialist, the notion of the exotic, and the self-defining culture. This is a very productive moment, in which the previous representations of “others” and their cultures were made highly problematic by deconstructing/reconstructing the tissue of American art under the rubric of multiculturalism. However, some questions still remain: the nature of multicultural politics in the art exhibition, the criteria of art classified by ethnicity, and the contesting paradigms of identity as “Latinos/Latinas.” 지난 25년간 미국에서 라틴아메리카와 라티노 미술전시는 급격히 증가했으며 관련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본고는 이러한 현상의 분기점이 되었던 소위‘라티노/라틴아메리카 미술전시 붐(boom)’(1986-1992)을 둘러싼 사회문화사적 배경을 추적하고 대표적 전시회들의 개최 양상과 문화적 쟁점들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1980년대 이전의 라티노/라틴아메리카 미술전시의 개최양상을 간략히 살펴본다. 20세기 중반까지 라티노 미술가나 그룹이 미국의 유명 미술관에서 전시된 사례는 거의 없다. 라틴아메리카계 미술전시는 멕시코와 라틴아메리카 미술에 할애되어 있었다. 민권운동시기 직후인 1970년대 중반 치카노 미술전시가LACMA에서 개최됨으로써 라티노 미술전의 등장을 알린다. 하지만 라티노 미술전의 본격적 등장은 1980년대 말에 이루어진다. 이 시기에 멕시코와 라틴아메리카 미술을 필두로 히스패닉(라티노), 치카노 미술전시가 연속적으로 열린다. 이러한 전시 개최의 동인(動因)으로는 라틴아메리카로부터의 급격한 이민 증가, 포스트모더니즘, 다문화주의, 탈식민주의 등의 담론 확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다른 이주자 그룹에 비해 문화적 동질성과 소비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던 라틴아메리카계 인구는 대형전시(블럭버스터)의 주요 스폰서였던 대기업들의 후원을 이끌어내었고, NAFTA 체결과 콜럼버스 아메리카 대륙 발견 500주년 기념 등을 앞두고 있던 미국 정부와 미술관은 라틴아메리카계 미술전시 개최에 적극 앞장섰다. 이 전시들은 미국 미술계에서소외되고 무시되던 소수자 문화를 가시화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각각‘외부적 규정’, 낭만주의적 타자화, 히스패닉 대 라티노, 자기-규정의 대안미술 등의 문제와 논쟁점을 제기하면서 향후 라틴아메리카계 전시의 향방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이 전시들은‘라티노’, ‘라틴아메리카’,‘ 치카노’등의 독립적인 범주아래 열렸던 분리주의적 전시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으며, 이러한 민족지적 라벨로 규정된 미술은 개인 혹은 출신 국가 간의 차이와 특수한 사회문화적 경험을 동질화시킬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 한편 민족 또는 언어 중심의 용어로 동시대 미술을 규정하거나 이해하는 것이 과연 적합한지에 대한 질문도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의 주류 담론과 라클라우 담론: 근대성의 시각과 ‘대중’ 주체의 시각

        안태환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9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30 No.3

        This article analyzes the main stream discourses and Laclau's of the Latin American Populism. Populism is a theory with the very difficult and ambiguous themes. But specially Populism is indispensable to understand the Latin American Politics. Because the antagonistic front between the minority elite of oligarchy and the majority people is a key word to comprehend the Latin American Politics. The main stream discourses indicate Germani's that interpret the populism of the 1940-50s and Weyland's that treat the Neopopulism of the 1980-90s. Laclau's appeared after the 1990's. Germani interprets the populism as a manipulation, propaganda and mobilization of the people. And also interprets as a class-alliance in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national development. Weyland affirms that the latter disappears and the former remains. That is to say, the main stream discourses show the perspective of the hierarchical modernity which discloses that the elite sees the people as a object and emphasizes the national development. Meanwhile, Laclau interprets the populism very differently with the main stream's. According to him, the populism is not a ideology but political logic that promotes the radical democracy. The starting point is the appearance of the people as a subject. It emphasizes the demand of the people. More concretely the equivalent chain of the people. 이 논문은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을 해석하는 주류 담론과 라클라우 담론에 대한 분석이다. 포퓰리즘은 매우 복잡하고 애매하여 한 마디로 규정되기 어려운 주제이다. 그러나 포퓰리즘은 특히 라틴아메리카의 정치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소수의 과두 엘리트/다수 대중의 대치전선이 라틴아메리카 정치를 이해하는 핵심어이기 때문이다. 주류 담론은 1940-1950년대의 포퓰리즘을 해석하는 헤르마니와 1980-1990년대의 네오포퓰리즘을 다룬 웨이랜드를 가리킨다. 라클라우 담론은 1990년대 이후 출현하였다. 헤르마니는 포퓰리즘을 지도자에 의한 대중의 조작, 선동, 동원으로 해석한다. 또한 국가발전 ‘과도기’의 계급동맹으로 해석한다. 웨이랜드는 신자유주의 시대에 후자는 사라지지만 전자는 그대로라고 주장한다. 즉, 주류 담론은 엘리트가 대중을 객체로 바라보는 위계적 근대성의 시각을 보여준다. 국가발전을 중시하는 것도 근대성의 시각이다. 한편, 라클라우는 주류 포퓰리즘과는 전혀 다르게 해석한다. 포퓰리즘을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급진 민주주의를 추동하는 ‘정치의 논리’라고 해석한다. 그 출발점은 대중이 객체가 아니라 스스로 주체로 출현하는데 있다. 즉, 대중의 요구를 중시한다. 구체적으로 대중의 ‘등가적 연쇄’를 중시한다.

      • KCI등재

        인류세 시대와 아메리카 선주민의 관점주의

        박정원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20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31 No.3

        Anthropocene, as a new geological age, has been coined not only to give an alarm for today’s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crisis, but also to demonstrate in the field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at the human being has been a destructive and decisive force on the ecosystem. In this sense anthropocene discourse is understood as a critique of anthropocentrism permeated in the modern Western world. For an ontological turn in the anthropocene, Latin American scholars shed a light on the Amerindian perspectivism. Eduardo Viveiros de Castro states that for Amerindian natives an original condition common to humans and animals is not, as the Western people usually think, “animality” but rather “humanity.” Therefore, all the non-human beings are endowed with “spirit” and “personhood”, and they see the world and communicate from their own perspective. By (re)building an interspecies relation through the anthropomorphism, Amerindian perspectivism serves us an antidote to anthropocentrism. 기후변화와 환경위기가 대두되면서 등장한 인류세는 인간이 지구시스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질학적 주체가 된 새로운 시대에 진입했음을 주장한다. 최근 인류세 논의는 인문학과 사회과학으로 확장되면서 근대 이래로 확립된 인간중심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인류세를 초래한 서구주도의 존재론을 성찰하며 라틴아메리카 연구자들은 아메리카 선주민의 관점주의에 주목한다. 비베이루스 지 까스뜨루는 서구의 철학적 전통과 달리 선주민들에게는 인간과 동물의 공통 조건이 “동물성”이 아닌 “인간성”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모든 비인간 존재자는 “영혼”과 “인격”을 지니며, 자신의 “관점”을 통해 세계를 인식하고 소통한다. 자연을 포함한 다양한 비인간 존재의 의인화를 통해 이들과의 관계를 복원하고 교섭하는 아메리카 선주민의 관점주의는 인류세를 초래한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해독제 역할을 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