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비공식낙인과 공격성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김보영 ( Bo Young Kim ),이지혜 ( Ji Hae Lee ),이수정 ( Su Jung Lee ),김혜자 ( Heyei Ja Kim ),이상민 ( Sang Min Lee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비공식낙인과 공격성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고,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을 검증하여 그 초기치와 변화율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 패널의 6개년 자료(중2-고교졸업)를 사용하여 비공식낙인과 공격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을 이용하여 비공식낙인과 공격성의 변화양상을 알아보았다. 이어, 본 연구에서는 성별, 폭행가해, 가정불화 경험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는지도 살펴 보았다. 분석결과, 비공식낙인과 공격성은 모두 선형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비공식낙인과 공격성의 초기수준의 개인차와 발달궤적의 개인차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비공식낙인의 초기수준은 공격성의 발달궤적의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공격성의 초기 수준은 비공식낙인의 발달궤적의 변화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비공식낙인이 공격성을 강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별과 폭행가해, 가정불화 경험을 더미변수로 추가한 결과, 비공식낙인과 공격성 초기값 모두에서 성별과 폭행가해경험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가정불화 경험은 비공식낙인 초기치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적 함의를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에 관 한 제언을 함께 추가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informal labeling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over tim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cept and the growth of the variables. 6-year longitudinal panel data,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abeling and aggression. Through latent growth modeling, temporal change of the variables was examined. Also, differences in gender, violence infliction experience, and family discord experience were tested. Both informal labeling and aggression demonstrated linear growth. Individual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the initial value and change of both variables. The initial value of informal labeling significantly influenced change in aggression, but not vice versa. That is, informal labeling intensified aggression. Gender and violence infliction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and change of both variables, while family discord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of informal labeling. Implications for counseling were discussed as well a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비공식 낙인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김민정,김순석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4 경찰학논총 Vol.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비공식낙인이 청소년비행 중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하여 기존의 선행 연구들과 낙인이론을 토대로이 연구의 주요 연구변수들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변수들을 고려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변수들에 대한 빈도분석과 집단간 평균차 이검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 고 가설채택 여부를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공식낙인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자아낙인과 주변낙인두 변수 모두 청소년의 지위비행 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아낙인과 주변낙인은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정적관계로 비공식낙 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지위비행을 더 많이 저지르는 것임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비공식낙인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연구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비공식낙인은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이는 청소년기에 자신과 주 위 사람들의 낙인이 비행행동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것이고 비공식낙인은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위험요인으로서 작 용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비공식낙인을 줄이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에 대한 성급한낙인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 요할 것이다. 낙인으로 인해 타인이나 사회에 대한적개심이나 반발심을 가지게 되면 청소년비행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비공식낙인을 줄이기 위한 사회적 인식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의 지위비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청소년들이 올바른 자아형성을 할수 있고 주변낙인을 완화할 수 있 는 사회적 인식에 대한 노력이 가정, 학교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Previously juvenile delinquents in the juvenile justice processevaluate their perceived labeling. But recently informal labelinghas an effect on Juvenile delinquency. The research purpose of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informal labeling on Juveniledelinquency focusing on the controlling effect of parents ・teachers・friends attachment. This study uses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that includes3,121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the junior high school. Inorder to achieve the goal of present study, several theories are labelingtheory and the Social bond Theory of Hirschi. It is conducted to find out that those factors could have impacton informal labeling on Juvenile delinquency focusing on the controllingeffect of parents ・teachers ・friends attachment. SPSS19.0 was used.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is carried out to confirm thatthe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 with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n order. T- test and ANOVAwere conducted with demographic factors. Correlation analysis was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As results of analyzing,the findings are as following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abeling and Juvenile delinquency,it found that informal labeling is significantly related tostatus delinquency and serious delinquency. In terms of reducing Juvenile delinquency, programs should bedeveloped to prevent informal labeling and to increase parents ・teachers ・friends attachment through cooperation with home,school, and government agencies.

      • KCI등재

        애착, 비공식낙인, 공격성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곽상은,김춘경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3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study variables which include attachment, informal labeling, aggression, and juvenile delinquency and to identify the structural paths within them. To accomplish the study aims, the study adop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the data of 2,448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 students from the fifth wave data of 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informal labeling and aggress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Second, attachment showed an indirect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informal labeling and aggression. Third, informal labeling also showed an indirect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aggression.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attachment has affected juvenile delinquency as a protective factor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formal labeling and aggression in terms of risk factors in delinquency. 본 연구는 애착, 비공식낙인, 공격성, 청소년비행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 요인들이 비행에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청소년패널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 KYPS)의 초4학년 패널 중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2,44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애착은 비공식낙인과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공식낙인은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착, 비공식낙인, 공격성은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접적인 영향 이외에도 애착은 비공식낙인을 통해서 공격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공식낙인은 공격성을 통해서 비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은 비공식낙인, 공격성을 통해서 비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애착이 청소년비행과 연결됨을 다시 한 번 증명했으며, 그 과정에서 비행행동의 위험요인으로서 비공식낙인과 공격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비행을 이해하고 예방하며 개입하는데 있어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공식낙인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낙인이론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이택호,한윤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4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mediated effects of informal labe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buse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econd, third, and fourth wav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cohort (N=3,168)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The major longitudin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abu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ssociation with future informal labeling. Second, informal labeling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association with future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buse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informal label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adolescent abuse prevention. The need for education and prevention of informal labeling was discussed, as well as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ith experience of informal labeling. Furthermore, this study may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labeling theory and contribute to increasing awareness on the longitudinal influence of adolescent abuse and informal labeling. 본 연구에서는 낙인이론과 여러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욕설 및 폭력 등의 피학대경험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공식낙인이 매개하는지 종단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비공식낙인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2 패널 2차년도~4차년도 데이터(N=3,168)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ARCL)로 분석을 진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은 비공식낙인에 종단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청소년의 비공식낙인은 학업성취에 종단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은 학업성취에 종단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이 경로를 비공식낙인이 부분 매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 예방의 방향성과 비공식낙인에 대한 예방 및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공식낙인을 받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한다고 했을 때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낙인이론을 검증한 경험적 뒷받침이 됨과 동시에 피학대경험과 비공식낙인의 지속적인 영향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 할 수 있게끔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박현수(Park Hyun-Soo),박성훈(Park Seong-Hoon),정혜원(Jung Hye-W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종단적 자료를 이용해 낙인이론을 둘러싼 두 가지 핵심적 쟁점 사항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첫 번째는 낙인이 비행의 원인이 되는가의 문제이고, 두 번째는 낙인이론의 핵심 중 하나인 누가 낙인을 당하는가와 관련하여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낙인에 대해 차별적 효과를 갖는가의 문제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횡단적 자료를 통해 낙인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나,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자료(KYPS)를 통해 시간적 선후관계에 기초한 인과모형을 설정하여 비공식 낙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시간을 고려했을 때 계층적 지위에 따라 비공식 낙인의 변화와 차이가 나타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의 논의에서는 공식 낙인보다 비공식 낙인의 효과를 다루는 것이 낙인이론의 검증에 보다 부합된다고 보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도 비공식 낙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교차지체 패널모형 및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로 낙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력보다는 비행이 낙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청소년일수록 비공식 낙인의 경험 가능성이 더 크고, 비공식 낙인이 일단 형성된 이후에도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wo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labeling theory by using longitudinal data. The first issue i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abeling and the delinquency itself. The second issue is in relation to whom is going to be labeled as a delinquent. Most previous studies have used cross-sectional data for their analyses. For this study, however, we used longitudinal data, I from the KYPS (Korea Youth Panel Survey). Nevertheless, since recent studies on labeling theory have focused on informal labeling rather than formal labeling, and have concluded that using informal labeling was the better way to examine labeling theory, this research also focused on the issue of informal labeling. In this vein, we investigated whether informal labeling has any effect on delinquency and have tried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of juveniles while also considering time-dimensions. As a result of using a cross-lagged panel model and latent growth model, we two important findings were made. The first is that the effect of delinquency on labeling was relatively greater than that of labeling on delinquency. The second is that juveniles whose parents had lower socio-economic status tended to experience informal labeling more frequently and once they are stigmatized by the people around them, the labeling effect did not disappeared easily.

      • KCI등재

        비공식낙인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재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아영아 한국교정복지학회 2015 교정복지연구 Vol.- No.37

        본 연구는 비행으로 인해 사법기관에서 두 번 이상 보호처분을 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첫 번째 보호처분 이후에 경험한 비공식낙인에 대한 인식이 재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변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자료수집은 부산 소재 두 곳의 보호관찰소 및 보호관찰 관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청소년 관련 기관에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방법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이며, 성실하게 응답된 119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비공식낙인은 재비행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지지에서는 부모 및 또래지지가 재비행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절효과에서는 부모지지와 교사지지가 비공식낙인과 상호작용하여 재비행을 완충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지지와 교사지지가 높은 집단은 비공식낙인의 인식수준에 관계없이 재비행의 횟수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부모지지 및 교사지지가 낮은 집단은 비공식낙인의 인식수준이 높을 경우 재비행 횟수가 급격히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논의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awareness of informal labeling experienced after the first protective disposition influences repeated delinquencies with adolescents having received protective dispositions more than twice from judicial authorities for their delinquencies and also verify if social support has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of those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probation offices located in Busan and adolescents-related agencies providing probation program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and 119 reliably answered sheets were utilized for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informal labeling did have directly positive effect on repeated delinquencies, and about social support, parent and peer support exerted negative effect on repeated delinquencies. Regarding moderating effect, parent and teacher support interacted with informal labeling and showed buffering effect on repeated delinquencies. In other words, the group having high parent and teacher support did not indicate significant change in their frequencies of repeated delinquencies regardless of their awareness of informal labeling; however, the group having low parent and teacher support tended to show dramatically increased frequencies of repeated delinquencies when they were highly aware of informal labeling. Based on the discussion over those results, this researcher has drawn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 KCI등재

        비공식낙인이 비행친구와의 교제를 통해 비행에 미치는 영향: 낙인이론의 부분적 검증

        김중곤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3

        According to the labeling theory, deviant labels socially isolate an individual, and the isolated individual seeks delinquent subculture as a type of refuge. Based on this theoretical proposition, I examined the mediating process in which adolescents’ perceived labeling influences later delinquency through delinquent peer association. In particular, within-individual effects were estimated after controlling for all possible between-individual differences for rigorous examination of labeling theory that is developmental in nature. As a result of estimating multi-level random effects models using 6 waves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data, the perceived informal labeling had a significant within-individual effect on later delinquency. The effect, however, turned insignificant and the effect size decreased by 56% when delinquent peer association was included in the model. In order to prevent negative consequences of social isolation caused by informal labeling, providing social support groups including mentors needs to be considered. Also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ould help to strengthen resilience of adolescents. 낙인이론에 따르면, 낙인은 한 개인을 사회적으로 고립시키고, 이렇게 고립된 개인은 일종의 안식처로서 비행청소년들을 찾게 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인지한 비공식 낙인이 비행친구와의 교제를 통해 비행을 야기하는 매개과정을 실증분석 하였다. 특히 개인 간 차이를 엄격히 통제한 개인 내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발달이론의 특성을 가진 낙인이론의 본질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KYPS) 중2패널 1차수부터 6차수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다수준 임의효과 모형을 추정한 결과, 청소년이 인지한 비공식 낙인의 개인 내 변화는 다음 차수 비행의 개인 내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비행친구와의 교제를 모형에 투입하였을 때 이러한 유의성은 사라졌고 효과의 크기 역시 56% 감소하였다. 비공식 낙인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멘토와 같은 지지집단을 제공하고, 인지행동요법 등을 통해 사회의 부정적 평가를 스스로 이겨낼 힘을 길러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던 비공식 낙인의 매개과정을 엄격한 개인 내 분석기법을 활용해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는 보다 최근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매개 과정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비공식 낙인과 부모 갈등이지위 비행과 부정 정서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연구

        김재은,이동혁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informal stigma, marital conflicts, and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s. 2,713 middle school 2nd graders participating in 2nd-5th year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respondent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to identify the mutual influences and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the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aspects of linear transformation between informal stigma, marital conflicts, status delinquency, and negative emotions. Also,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regarding both initial values and individual difference of development trajectories. Concerning the changes in each variable, first, few changes were found in informal stigma. Second, the marital conflicts decreased gradually. Third, the status delinquency increased for four years, and lastly, negative emotions decreased gradually.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he initial value of informal stigma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status delinquency, whereas it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nge rate of status delinquency. Also, the initial value of informal stigma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negative emotion, while it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nge rate of negative emotion. The change rate of informal label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oth status delinquency and negative emotion. Nonetheless, the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marital conflict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both status delinquency as well as negative emo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비공식 낙인과 부모 갈등이 청소년의 지위 비행과 부정 정서에 어떠한 종단적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으로 한국 청소년패널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에서 실시한 2-5차 연도 설문에 모두 응답한 중학교 2학년 패널 2,713명을 선정,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공식 낙인, 부모 갈등, 지위 비행, 부정 정서의 항목에서 선형의 변화 양상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초기치와 발달 궤적의 개인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변인 간 인과관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비공식 낙인의 초기치는 지위 비행의 변화율과 부정 정서의 변화율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지위 비행의 초기치, 그리고 부정 정서의 초기치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공식 낙인의 변화율은 지위 비행과 부정 정서에 통계상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준다. 하지만 부모 갈등 초기치와 부모 갈등 변화율의 경우, 지위 비행의 초기치, 변화율, 그리고 부정 정서의 초기치 및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 해 볼 때,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거나 지위 비행을 보이는 청소년들을 상담할 때, 이들이 비공식 낙인을 인식하고 있지 않은지 탐색해 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비공식 낙인, 비행의 관계

        장은비,이상민,최현주,하규영,박은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1 No.1

        This research examines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Child Relationship, Informal Labeland Delinquency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More specifically, using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is study analyzed the third, fourth and fifth wave data whichincluded 1,084 students with a delinquent histo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Parent-Child Relationship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linquency, and Informal Label had positiverelationship with Delinquency. Next, female students showed more Parental Attachment and ParentalMonitoring, but less delinquency behavior than male students did. Lastly, there were gender difference inrelationship among Parent-Child Relationship, Informal Label and Delinquency. That is, in case of femalestudents,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reputation influenced on Delinquency. On the other hand, malestudents’ delinquent behaviors had impact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reputation. The findingssuggest that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adolescent delinquency should be gender specific. Theimplications of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부모-자녀 관계, 비공식 낙인, 청소년 비행의 종단적 상호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패널조사(KoreaYouth Panel Survey: KYPS)의 중2패널 중 고등학생 자료인 3, 4, 5차년도 자료에서 비행을 한번이라도 경험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남녀 고등학생 총 1,08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자녀 관계와 비행은 부적 상관, 비공식 낙인과 비행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부모 애착이 높고 부모 감독도 많이 받는 반면, 비행은 덜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자녀 관계, 비공식 낙인, 비행 간 관계에서는 남녀 간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의 경우 부모-자녀 관계와 비공식 낙인이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남학생은 비행이 부모-자녀 관계와 비공식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비행 발생 경로에 있어 성별 차를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성과 비행을 예방, 개입하는 데 필요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반복적 비행과정에서 나타난 비공식낙인의 효과

        최수형(Choi Soo-Hye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 패널자료를 통해 비공식적 낙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비행을 반복적으로 저지르게 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비행의 죄질에 따라 비행의 유형을 경비행과 중비행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경비행과 같이 사소한 비행을 반복적으로 저지르는 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중비행과 같이 보다 심각한 비행을 반복적으로 저지르는 과정에서도 비공식낙인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경비행을 반복적으로 저지르는 비행과정에서 나타난 비공식낙인의 영향력이 중비행을 반복적으로 저지르는 비행과정에서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행을 지속적으로 저지르는 청소년에 대한 정책마련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비행유형에 따라 적절한 대안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is study seeks to test a labeling theory on persistent delinquenc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mpiled from the Korea Youth Panel, compil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Delinquency is classified into minor delinquency and serious delinquency. We conclude that juveniles who engage in delinquency experience informal labeling and juveniles who are informally labeled engage in repeat delinquency. Therefore, informal label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peated delinquenc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Informal labeling has a greater effect on minor delinquency than serious delinquen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they demonstrate how positive attitudes and understanding of juvenile delinquents must form the basis of prevention programs for persistent delinquency. The findings also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attempt to diversify its search for the causes of persistent delinqu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