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지각된 진로장벽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검증

        김나래,이기학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4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A total of 200 university students(men=68, women=132) responded to the survey packet including measure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sca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have correlations.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yielded evidence of good fit. Third, the analyse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pported the indirect pathway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hich plays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Hig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hig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lso led to greater perceived career barriers. High intolerance of uncertainty led to hig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lso, High social comparison led to hig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o, Hig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hig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n led to greater perceived career barriers. However, the analyses of the structural model did not support the direct pathways form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o perceived career barriers.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nd psychotherapy practice. 본 연구는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지각된 진로장벽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비교 경향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지각된 진로장벽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구조모형을 설정하여 그 적합도와 개별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4년제 대학생 200명(남 68명, 여 132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비교 경향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지각된 진로장벽을 측정하였고,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지각된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확실한 상황에서 불안해하며 견디기 어려워할수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고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지각된 진로장벽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사회비교 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비교 경향성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지각된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 사회비교 경향성 →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 지각된 진로장벽 경로가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사회비교 경향성은 지각된 진로장벽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

        신수진,홍혜영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4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1 No.4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xiety,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and to verify moderated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it,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60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gi, Chung-buk, Jeon-buk, Gyeong-buk. For the measuring tool,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short type(IUS-12),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trait meta mood scale(TMMS), self concept clarity scale (SCCS)were used. The Result of research shows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significant in forecasting anxiety and the result from multiple analysis suggested that emotional clarity moderated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nxiety. Gende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moderated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the result from multiple analysis suggested that self-concept clarity moderated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nxiety,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demonstrated to both genders. That i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nxiety,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was confirmed to have moderating effec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 불안, 정서인식명확성, 자기개념명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에 대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북, 전북, 경북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US-12), 불안 척도(STAI), 정서인식명확성 척도(TMMS), 자기개념명확성 척도(SCCS)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은 불안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은 조절효과를 보였다. 여학생의 경우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남학생의 경우 그렇지 않았다. 또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 역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조절효과는 남녀 모두에게 나타났다. 즉,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개념명확성이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고 및 후속 연구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내현적자기애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특성분노의 매개효과

        유상현(Yoo Sang-Hyun),최연희(Choi Yeon-Hee),변상해(Byun Sang-Hae)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0 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측되는 내현적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특성분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7년 12월 11일부터 충남 소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261명 중 유효한 23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용한 척도는 내현적 자기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 특성분노, 인터넷 중독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SPSS v.21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인터넷 중독,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 특성분노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특성분노의 이중매개 및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청소년들의 내현적 자기애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 영향을 주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이 특성분노에 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인터넷 중독 경향성을 높인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특성분노를 다루는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 특성분노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rait anger in relation to covert narcissism, which is predicted to affect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herefore, we used 239 data from 261 students collected from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on December 11, 2017. The scale used consisted of covert narcissism, intolerance of uncertainty, trait anger, and internet addiction scal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SPSS v.21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internet addic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rait anger. Second, bo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rait anger was verified the dual mediation and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net addiction. This implies that covert narcissism of adolescents affect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it affects trait anger, so that lifts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n the resul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intervention about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rait anger for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his result are implication for reviewing about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trait anger, covert narcissism, and internet addiction.

      • KCI등재후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적 회피 및 경쟁특성불안과의 관계

        김홍백,김상태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4

        이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경쟁특성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대한 체육회에 운동선수로 등록되어 있으며,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 운 동선수 232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경험적 회피를 매개로 하여 경쟁특성불안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 가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변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경쟁특성불안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경쟁 특성불안으로 가는 직접효과와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경쟁특성불안에 대한 경 험적 회피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경쟁특성불안에 이르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사람들의 경쟁특성불안에 대한 대처에서 경험적 회피에 대해 다 루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experiential avoidance and competitive trait anxiet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32 college athlet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For data analysis,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was operated, and analyzed such as EFA, Cronbach' α, CF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achieve the study aim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experiential avoidance and competitive trait anxiety showed positive at significant level between each sub-factor. Second, this study result showed direct effect on competitive trait anxiety by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it mediates experiential avoidance to indirectly affect competitive trait anxiety. Third,, this study revealed the detailed process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ompetitive trait anxiety by identifying the role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competitive trait anxiety. This result suggest importance of dealing with experiential avoidance in reduce the competitive trait anxiety.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가희,송원영 한국건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aiming to explore the multi-dimensional variable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nd to prepare basic data that could be helpful in counsel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lower their depression level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ssumed that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is a personality trait affecting the students' depression and verified its mediating effect with self-compassion. Recently attention has paid to self-compassion being a factor related to psychological health, as a mediating variable.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data from 236 students in a university in South Korea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o measure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 developed by Freeston et al.(1994) was used. To measure self-compassion, a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SCS), developed by Kim(2008) was used, and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developed by Chun(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whil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of self-compassion wi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influenc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e more negatively people react to an ambiguous situation, which directly increases depression. A higer level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lso lowers the level of self-compassion, so people are more inclined to identify themselves with a negative situation or emotion; blame themselves; and treat themselves in an evaluative way, which has an indirect negative influence on their depression. Last, this study discussed it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 above resul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다차원적인 변인을 탐색하고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한 상담 및 치료적 개입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 특성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으로 상정하고 심리적 건강과 관련된 요인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자기자비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4년제 대학교의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활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측정하기 위해서 Freeston, Rheaume, Letarte, Dugas, & Ladoyceur(1994)이 개발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를 사용하였다. 자기자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SCS)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은 통합적 한국판 우울 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은 정적상관관계가, 자기자비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부적 상관관계, 자기자비와 우울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매개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높을수록 모호한 상황에서 부정적으로 반응하게 되어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기자비 수준이 낮아져 부정적인 상황이나 정서에 과잉 동일시되고 자신을 비난하고 평가적으로 대하는 경향이 높아짐으로써간접적으로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의 의의및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취업불안과 계획된 우연기술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유영 ( Jeong You Young ),하정희 ( Ha Jung H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계획적 우연기술에 의해 조절된 취업불안이 특성화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특성화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불안,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는 SPSS 25.0과 Hayes(2013)의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 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에 의해 조절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을 키우고 취업불안을 낮출 수 있는 방안으로써 계획된 우연기술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moderated b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For doing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from 300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seeking anxiety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was moderated b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o as to heighten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need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s a way to reinforce the level of tolerance for uncertainty and to lower job-seeking anxiety was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교사지지 및 부모 진로지지의 조절효과

        강재홍(Kang, Jaehong),김진희(Kim, J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교사지지 및 부모 진로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방법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중학생 390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상관관계,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태도성숙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교사지지 및 부모 진로지지 간에도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 교사지지, 부모 진로지지와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 간에는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교사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부모 진로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에게 부모 및 교사의 진로에 대한 지지와 격려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으로 인한 불안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진로태도성숙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중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검증한 데 의의가 있으며, 진로지도와 상담에서 부모와 교사의 지지체계를 강화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 support and parent career support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grade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teacher support scale, and parent career support scale for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 in three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Among the sample, 375 data were used for final result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22.0 Windows program. Results First, intolerance of uncertain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teacher support, and parent career support. In addition, teacher support and parent career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support i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of career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career supp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of career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argues that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careers by parents and teachers could help middle school students reduce anxiety and stress due to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likewise contribute to career attitude maturity. This study is critical in verifying the negative effect of lack of endurance on uncertainty in career development process, and suggests the need to strengthen the support system provided by parents and teachers in career counseling.

      • KCI등재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희정,홍혜영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and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430 college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using scale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career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stress, and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addition, career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decision lev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verified as important mediator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n career decision leve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to understand and lower the career stress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and to develop a program to increas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진로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진로스트레스는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각각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스트레스를 이해하고 낮출 수 있는 전략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 전공 석사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적응성간의 관계: 자기성찰을 통한 진로탐색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황진아,김은하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career search self-efficacy in under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adaptability among master’s-level counseling students. In addition, the ability of self-reflection to serve as a moderator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was investigated. Among 190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masters’ program in counseling psychology (and education), mediated moderation analyses using SPSS Macro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career search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self-reflection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As the level of self-reflection decreased, the negativ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career search self-efficacy became stronger. Third, the interaction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elf-reflection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career search self-efficacy, which supporte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through self-reflection. That is, when the level of self-reflection was low or on average, people wi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low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thus, had low career adaptability. However, when a level of self-reflection was high, people wi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did not have low career adaptability because their career search self-efficacy was not low.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상담 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하 상담석사생)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적응성간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을 통한 진로탐색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190명의 상담석사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적응성간의 관계를 진로탐색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성찰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탐색효능감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기성찰의 수준이 낮을수록,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탐색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적응성간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을 통한 진로탐색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자기성찰이 낮거나 평균인 사람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높으면 진로탐색효능감이 낮아져 진로적응성이 낮지만, 자기성찰이 높은 사람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높더라도 진로탐색효능감이 낮지 않아 진로적응성이 낮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기여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상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남녀 대학생의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고민위 ( Min Wee Ko ),강지현 ( Ji Hyeon Ka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5 人間理解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남녀 대학생의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한 2,3년제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93명을 대상으로 진로탐색장애검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및 완벽주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장벽간 그리고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진로장벽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적응적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는 여학생에게서만 유의미하였고,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역시 여학생에게서만 그리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낮을 경우에서만 확인되었다. 반면, 남학생에게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주효과만이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을 낮추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나 완벽주의와 같은 성격적 변인과 성별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barriers of university students. Data from 393 student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er barrier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rier barriers, as well as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carrier barriers.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adaptive perfectionism was identified only for female stud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identified only wh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low in females. For male students, only the main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ersonality factors, such a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fectionism, as well as gender to decrease career barr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