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공연불안 검사개발기초연구 1

        문영(Young Moon) 한국무용과학회 200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0 No.-

        본 연구는 무용수가 실제 공연상황에서 경험하는, 그리고 실제공연에 가장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무용수의 심리상태의 하나로서 공연불안을 타당하고 신뢰롭게 양화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함으로써 성공적인 공연을 위한 무용수 지도의 핵심적인 정보를 산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수가 공연 시 불안해지는 원인에 대한 재검토와 무용공연불안원인별 불안 정도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는 검사나 척도를 개발하는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로 시도된 본 연구는 그 이론적 배경과 방법론, 개발절차를 구제화하였다.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할 수 있는 무용수의 공연불안 검사(또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용공연불안의 개념을 정확하게 정의한 다음, 그 개념적 정의를 구체화하고, 구체화된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린 다음, 각 구체화된 세부요인을 정확히 대변할 수 있는 문항을 제작하여 검사화한 단계를 거쳐, 무용수를 대표할 수 있는 준거집단을 규정하고 표집하여 검사를 실시한 다음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무용수가 무대에서 경험하는 공연불안의 선천적 성향인 공연특성불안검사를 제작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와 기존 검사에서 사용된 불안문항에 섭렵과 검토를 실시한다. 이후 예비문항을 작성,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에 대한 검증을 거쳐 예비검사로 확정한다. 다음 예비감사를 실시하고, 예비검사실시를 통해 얻은 원 자료는 다단계 문항분석과정을 거쳐 본 검사를 구성한다. 또 완성된 검사의 신뢰도는 문항간 내적 합치도(internal consistency)를 산출함으로써 확인하고, 검사의 타당도는 타 불안검사를 실시한 다음 그 점수와의 상관계수를 산출하는 형태의 공인타당도(concurrent validity)를 산출함으로써 확인한다. 이후 완성된 검사의 타당화(validation)를 실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구개발이 이루어질 때 그 결과는 첫째, 공연불안의 본질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해 줄 것이며, 둘째, 공연불안을 타당하고 신뢰롭게 양화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해 줄 것이며, 셋째, 공연불안-공연간의 관계연구의 기초를 제시해 줄 것 이며, 넷째, 공연불안이론 구축의 기초정보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다섯째, 무용수의 지도에 요긴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One the theoretical assumption that performance anxiety is one of the critical mental states influencing dance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st which can reliably and validly quantify performance anxiety confronted by dance performers on stage, thus laying an empirical foundation for information useful to effectively teach dance performers. For this purpose, previous research findings were unexhausitively reviewed along with specifying steps of test development with necessary procedures as well as operationally defining the concept of dance performance anxiety, followed by item construction A resultant preliminary version of Dance Performance Anxiety Test was administered to a representative sample of dance performers, then being submitted to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as factor analysis, plus computing reliability (i.e., internal consistency) and concurrent validity. etc. The results are to be discussed in tem of the possibilities of 1) suggesting an empirical foundation for H theoretical nature of dance performance anxiety; 2) developing an empirically valid and reliable test which can aptly measure dance performance anxiety of basically trait nature 3) laying a theoretical basis to illucidate the anxiety-performance relationship; and 4) producing practical information useful for teaching dance performers.

      • KCI등재

        모-자 불안의 세대 간 전이 가능성에 대한 문헌고찰

        강현경,조성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eal the mediator of anxiety transmission from a mother to her child through literature study. For this, two hypotheses were set as follows: (1) The mother's childrearing style can be a mediator to transfer mother's anxiety to her child, (2) Child's attachment made by a mother's childrearing style can be a channel to transfer a mother's anxiety to her chil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first hypothesis was verified by showing the fact that childrearing styles of anxious mother's and the one of anxious child's mother are the same. That is, mother's childrearing style could be a potential role of learning from the mother in the development of child anxiety. Next, the mother's childrearing actions affect attachment to her child; this attachment affects the child's anxiety, and the mother's attachment transfers to her child's. In conclusion, the hypothesis that the mother's anxiety is transferred to her child's anxiety through the two mediators, the mother's childrearing style and attachment, was verified.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불안이 아동의 불안으로 세대 간 전이된다는 가설 및 그 원인적 매개요인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1)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어머니의 불안과 아동의 불안 사이를 매개함으로써 어머니의 불안을 자녀의 불안으로 전이 시킬 것이다. (2) 어머니의 양육태도로 인해 형성된 아동의 애착은 어머니와 아동의 불안 사이를 매개함으로써 어머니의 불안을 자녀의 불안으로 전이시킬 것이다. 연구결과, 불안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불안한 아동의 어머니가 보이는 양육태도가 일치함을 보임으로써 불안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어머니의 불안을 아동에게 전이시켜 불안한 아동을 만든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즉,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어머니의 불안과 자녀의 불안을 매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어머니의 불안에 의한 양육태도가 아동의 애착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형성된 아동의 애착이 아동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어머니의 불안이 아동의 불안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즉, 아동에게 형성된 애착이 어머니의 불안과 자녀의 불안을 매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애착이 매개하여 어머니의 불안이 자녀의 불안으로 전이될 것이라는 전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불안 요인 분석

        안성민 ( An Sun-min ),학수 ( Hao Shuai )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6 No.-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가 경험하는 읽기 불안의 양상과 요인, 그리고 학습자의 성별, 언어 학습 과정에 따른 불안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읽기 불안 의 측정은 외국어 읽기 불안 척도(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 FLRAS)를 활용하여 109명의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측정 결과 초급 학습자는 읽기 불안의 평균 점수가 2.95이며 중간 수준의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 요인 분석 결과, ‘낯섦에 대한 불안’, ‘자기 효능감 불안’, ‘읽기 전략 부족 불안’ 총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그중 ‘자기 효능감 불안’의 불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낯섦에 대한 불안’ 요인이 가징 낮은 불안도를 보였다. 읽기 불안과 각 문항 및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르는 것에 관한 문항들이 전체 읽기 불안과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요인별로는 ‘자기 효능감 불안’이 모든 요인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과 언어 학습 과정에 따른 불안에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에 주목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로 초급 학습자의 읽기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dealt with the patterns and factors of reading anxiety experienced by beginner Korean learners and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course. Reading anxiety was measured by 109 foreign learners using the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FLRAS). As a result of this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beginner learners had an average score of 2.95 for reading anxiety, which demonstrated an intermediate level of anxie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nxiety factor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nxiety about unfamiliarity', 'anxiety of self-efficacy', and 'anxiety of lack of reading strategies'. Among them, 'self-efficacy anxiety' was the highest, and the 'anxiety about unfamiliarity' factor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nxiety and each question and the factor, it was found that questions about what learners didn't know had a very high correlation with overall reading anxiety. Moreover the factor 'self-efficacy anxie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reading anxiety. Overall anxie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course they tak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to reduce the reading anxiety of beginner Korean learners.

      • 불안관련특성과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T-182C 유전자 다형성의 연관연구

        임세원,우희연,김계현,Lim, Se-Won,Woo, Hee-Yeon,Kim, Kye-Hy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8 정신신체의학 Vol.16 No.1

        연구목적 : 최근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차단제가 공황장애를 비롯한 불안장애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지면서 불안증상의 발생에 있어서 노르에피네프린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T182C유전자 다형성과 불안관련특질의 연관여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 169명의 여고생을 대상으로 노르에피네프린 T182C유전자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불안관련특질과의 연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불안민감성척도와 스필버그 상태-특성 불안척도의 특성불안척도를 작성하게 하여 유전자형에 따른 점수의 차이여부를 비교하였다. 결과 : 피험자는 전원여성으로 평균연령은 $16.73{\pm}0.7$세였다. 유전자 분석결과 TT형은 106명, TC형은 55명, CC형은 8명이였으며 이는 Hardy-Weinberg평형에 위배되지 않았다. 노르에피네프린 T182C유전자형에 따른 불안민감성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불안민감성척도의 하위척도와 특성불안척도에 대한 분석에서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C 대립유전자 보유여부에 따라 동일한 비교를 수행하였을 때 에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T182C유전자 다형성과 불안민감성척도를 사용해 측정한 불안민감성 및 스필버그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 특성불안간의 유의한 연관을 관찰할 수 없었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epinephrine(NET) transporter T-182C polymorphism and anxiety-related traits in Korean adolescent females. Methods : One hundred sixty-nine Korean adolescent females were tested for the NET T-182C polymorphism by PCR based methods; anxiety-related traits were evaluated using the anxiety sensitivity index(ASI) and the trait form of the Spielberg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T). Results : Scores of anxiety related trai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genotypes. Comparison between T allele carries and non carrier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T T-182C polymorphism is not associated with anxiety-related traits in Korean female adolescents.

      • KCI우수등재

        신경증적 불안에 대한 불교적 이해

        이충현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2 No.-

        Anxiety is the most vital concept in the understanding of psychopathology. It is regarded as the fundamental cause and effect of all neuroses and, it is also diagnosed as anxiety disorder, one of the major mental disorders. However, it was only in the 19th century, just two centuries ago, that anxiety became such an important issue in the history of human suffering. Freud is regarded as the person who laid the foundation for today's concept of anxiety from a path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Freud's theory of neurotic anxiety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s that theory and extracts key factors that explain neurotic anxiety well. Next, this study deals with the above analysis from a Buddhist perspective. Several concepts in Buddhism that are translated as “anxiety” are reviewed. Then, key factors of neurotic anxiety will be analyzed with the concept of “defilement (kilesa),” which is also regarded as the cause of mental suffering, and it is confirmed that defilement explains neurotic anxiety well.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cept of neurotic anxiety matches the concept of defilement in both aspects: narrow and broad.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modern people involving communication between these two traditions focused on the mind and suffering. Therefore, an approach that not only compares the core causes and concepts of suffering in each tradition, but also discovers mutually compatible concept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further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these traditions and to enhance the essential understanding of human psychology and suffering. 서구 정신병리의 이해에 있어 불안은 가장 핵심적 개념 중 하나이다. 불안은 모든 신경증의 근본 원인 및 정서로 이해되거나, 진단의 맥락에서는 특정한 심리 장애로서 불안 장애이고 이는 다시 공포증, 강박증 등과 같은 하위의 신경증들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렇게 불안은 인간의 심적 고통을 해명하는데 핵심적 위상을 지니나, 인류 고통의 역사에 있어 불안이 주목받게 된 것은 불과 2세기 전인 19세기 이후부터였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병리적 관점에서 오늘의 불안 개념이 있도록 토대를 닦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신경증적 불안 이론을 불교적 관점으로 이해하는데 일차적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프로이트의 신경증적 불안 이론을 살펴보며 신경증적 불안을 설명하는 핵심 요인들을 추려낼 것이다. 그리고 불교적 관점에서 신경증적 불안을 이해할 것인데 먼저, 불안으로 번역되는 불교의 여러 개념들을 살펴본다. 그 다음, 신경증의 원인으로 간주되는 불안의 핵심 요인들을 불교 전통 내에서 역시 심적 고통의 원인으로 이해되는 번뇌의 관점으로 분석하며 어떠한 번뇌 개념들이 신경증적 불안을 잘 설명하는지도 확인한다. 이를 토대로 신경증적 불안 개념은 크게 협의와 광의의 두 측면에서 번뇌 개념들을 통해 접근가능함을 논할 것이다. 마음의 이치를 다루는 두 전통은 오늘날 서로 소통하며 현대인의 정신건강을 위해 많은 시도를 해오고 있다. 따라서 각 전통의 고통에 대한 핵심 원인과 개념들을 비교 및 해석하고 더 나아가 상호 호환 가능한 개념을 발굴하려는 시도는 앞으로 두 전통 간의 소통을 더욱 원활히 하도록 함은 물론 인간의 심리와 고통에 대한 본질적 이해도 함께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박인환 시의 불안, 죽음 의식과 이를 통한 시쓰기의 문제

        박지은(Park, Ji-Eun)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이 연구는 박인환 시에 나타나는 불안과 죽음 의식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박인환 시에서 나타나는 불안과 죽음 의식이 단순하게 비극적 시대 상황에 처한 지식인의 수동적인 감정이 아니라, 그가 역사를 인식하는 데 보다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분’(Stimmung)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과정을 통해 박인환 시에서 주로 등장하는 모티프들(검은 신, 바람/폭풍, 종말 등)을 해석하고, 박인환 시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한 지점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의 문학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불안과 죽음 의식은 단순히 한국전쟁이라는 특정한 원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의 시에서 불안은 오히려 세계 속에 ‘내던져져 있음’(Geworfenheit)에 의한 존재론적 불안에 가깝다. 그는 이러한 존재론적 불안을 ‘바람’(폭풍)의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에게 인식되는 무의미의 세계는 ‘검은 신’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존재론적인 불안의 문제는 죽음 의식과도 연관된다. 그는 언제나 자신을 삶과 죽음 사이에 위치한 존재로 위치시키는데, 이 때 그에게 죽음은 곧 닥쳐올 어떤 것이면서 동시에 그로 하여금 현재의 삶을 계속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그에게 죽음을 인식하는 시간은 자신이 처한 현재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순간’이 된다는 것이 그의 죽음 의식의 특징적인 부분이다. 결국 그가 불안과 죽음 의식을 통해 얻게 된 것은 양심으로서의 시쓰기이다. 화자는 불안 속에서 들려진 양심의 부름을 듣고, 그는 본래적인 자기(시인이 되기)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계속한다. 이렇게 봤을 때 불안과 죽음에 대한인식은 시인이 시쓰기를 계속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 즉 박인환의 문학에서 ‘불안’은 단순하게 전쟁으로 인한 수동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의 시작(詩作) 전체를 추동시키는 근본적인 요인으로 기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박인환은 자신의 문학을 통해 특정한 시대를 뛰어 넘는 진정한 실존의 의미에 대해 질문했다. 또한 불안이라는 감정에 잠식되는 것에서 나아가 자신만의 독특한 죽음 의식과 양심의 문제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discusses Park, In-hwan’s attitude toward death and anxiety as they appear in his poetry. I argue that the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death that appears in Park’s poetry is not simply the passive emotional response of an intellectual facing a tragic era, but is instead an important mood(stimmung) that serves a more fundamental role in Park’s perception of history. Through this process, I interpret some of the main motifs of Park’s work (the black god, wind/storms, finality, and so on), hoping to provide a perspective from which to understand Park’s poetry with greater depth. The source of the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death that permeates Park’s work is not limited simply to the Korean War. The anxiety of his poetry is instead closer to the ontological anxiety of “having-been-thrown” (geworfenheit) into the world. He expresses this ontological anxiety through the image of ‘wind’ (or storms), and he represents a perceived world of meaninglessness in the image of ‘the black god.’ The issue of ontological anxiety is also linked to his consciousness of death. Park consistently locates himself in the space between life and death, so that to him death is both something fast approaching and, at the same time, the thing that repeatedly makes him aware of life. The discerning feature of this consciousness of death is that the moment the poet perceives death is the moment that forces him to see his present objectively. Ultimately what Park achieves through this consciousness of death is a poetry of conscience. From within his anxiety, the speaker hears the call of conscience, and then makes a continued effort to recover his essential self (to become a poet). In this way, anxiety and perception of death become the motivation for the poet to continue writing poetr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in Park’s work, anxiety is not only the expression of a passive emotional response to war, but in fact functions as the fundamental element that sets his entire poetic process in motion. Park thereby approaches the question of the real meaning of existence, which extends beyond a specific era, in his literary work. In addition, he moves beyond the encroachments of anxiety as an emotion to reveal a unique attitude towards death and the problem of conscience.

      • KCI등재

        언어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도 및 구성 요인 분석

        안성민(Sung-min An),학수(Shuai Hao) 동남어문학회 2023 동남어문논집 Vol.1 No.55

        이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양상을 살핌으로써 말하기 불안의 하위 요인을 분석하고 학습자 특성에 따른 불안 차이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어 초급 학습자 11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불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은 낮은 수준이었으며 불안의 구성 요인은 ‘자기 효능감 불안’, ‘이해 실패 불안’, ‘부정적 평가 불안’으로 나타났다. 전체 말하기 불안과 각 문항 간 상관분석에서는 제2 언어 교실 상황에서 갑자기 일어나는 말하기 상황 관련 문항들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구성 요인 간 상관분석에서는 ‘자기 효능감 불안’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과 한국어 과정에 따른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에 주목하였으며 학습자 특성에 따른 불안 차이를 분석하고 그 양상 및 특성을 정리하여 말하기 교육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ub-factors of speaking anxiety and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aspects of Korean speaking anxiety among Korean learn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10 foreign students at K University on Korean speaking anxiety. As a result of the survey, Korean speaking anxiety of Korean learners was low, and the constituent factors of anxiety were “self-efficacy anxiety,” “understanding failure anxiety,” and “negative evaluation anxiet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verall speaking anxiety, each question, and factor anxiety, it was found that the sudden speaking situation and related questions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situation were most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xiety” in factor-specific anxie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Korean speaking anxiety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the Korean language courses they take. This study focused on the speaking anxiety of Korean learners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사회불안과 신체내부지각의 관계 고찰 : 신경생리적 기제를 중심으로

        홍영근(Young Keun Hong) 한국명상학회 2021 한국명상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과 신체내부지각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내부지각과 마음챙김을 병행하여 사회불안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신체내부지각과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불안이 낮은 사람들은 내부지각을 통해 불안이 경감되고,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내부지각을 통해 불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내부지각을 수행했을 때, 불안이 증가한 이유는 첫째, 사회불안이 있는 사람들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등의 인지적 편향으로 인해 신체내부감각을 부정적으로 해석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폴트모드네트워크의 활성화로 인해 자기초점주의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같은 자기관련사고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앙집행네트워크와 디폴트모드네트워크 사이에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오른쪽 전측 뇌섬엽의 기능상의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사회불안이 낮은 사람들과 달리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내부지각으로 인해 불안이 높아지는 이유는 신체내부감각에 대한 부적응적 해석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부지각을 이용하여 불안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한 결과 첫째, 일반인의 경우 내부지각의 정확성을 증가시킴으로 인해 불안이 감소하였다. 둘째,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마음챙김 훈련 후 내부지각의 정확성을 증가시켰을 때, 불안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신체내부지각의 생리학적 기체를 통해 사회불안의 원인을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신체내부지각을 기반으로 사회불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disorder and interoception, and examined the ways to improve social anxiety disorder by combining interoception and mindfulness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oception and social anxiety, it was found that those with low social anxiety were reduced by interoception, and those with high social anxiety were increased by interoception.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anxiety when the people with high anxiety performed interoception wa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bias such a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f people with social anxiety negatively interpreted the internal sense of the body. Second, the fear of self-focused attention or negative evaluation due to activation of the default mode network was confirmed to be due to the increase in self-referential though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 of the right front insula, which acts as a switch between the central execution network and the default mode network, is a problem.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people with high social anxiety, unlike those with low social anxiety, have increased social anxiety due to interoception because of maladaptive interpretation of body internal sens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thod to reduce anxiety by using interoception, first, anxiety was reduced 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interoception in people with low social anxiety. Second, in the case of people with high social anxiety, anxiety decreased when the accuracy of interoception increased after mindfulness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ble to explain the cause of social anxiety more specifically with interoception,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social anxiety based on interoception. Finally,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범불안장애에 대한 명상과현실치료의 통합적 이해

        양영애 한국명상상담학회 2011 명상심리상담 Vol.6 No.-

        본고는 범불안장애에 대한 명상과 현실치료의 통합적 이해를위한 문헌중심의 소논문이다. 범불안장애란 무엇인지, 범불안의 원인이 외부에서 오는 것인지, 내부의 어떤 요인 때문인지, 그리고 피할 수 없는 불안을 어떻게 대처 하는 것이 지혜로운지에 대한 궁금증과 관심 때문에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이에 대한 대처전략으로써, 현실치료를 중심으로 다른 이론과의 차이를 간단히 살펴보고, 현실치료에서 다루지 못하는 성장욕구의 충족을 위해 명상을 도입함으로써 통합적 관점으로 범불안 장애를 이해하고자 했다. 이것을계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불안장애의 하위범주인 ‘범불안장애’는 과도한 불안과 더불어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길한 기대를 가지며 이러한 걱정이 잘통제되지 않는 불안을 경험할 때 진단되는 불안장애로서 항상 걱정에 시달리는 것과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이나 상황이 모호한 경우가많고, 외적인 상황과 관계없이 불안을 경험한다는 것이 주된 특정이다. 둘째, 불안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연적인 동반자로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우리에게 언제나 가분은 주어진다’고 말한다. 불안은 우리 마음의 한 부분이며, 어떤 기분으로 살 것인가는 각자의 몫으로 행복해지기위해서 우리는 언제나 책임 있는 선택윤 할수 있는 존재이다. 셋째, 범불안의 원인은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범불안 장애의 원인은 뇌(특히 후두엽)의 기능에서 찾기도 하고, 욕구충족을 위한 선택, 무의식적 소망, 환경자극에 대한 학습의 결과, 인지도식, 자동적 사고, 심상, 비합리적 신념, 흥분에너지와 지지간의 간격차이, 미래 상태와의 동일시, 미해결과제, 접촉경계혼란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그것이 외부에서 오는 것보다는 내부의 많은 요인에의해 범불안 장애를 겪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범불안장애에 대한 진단과원인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고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치료에대한 연구가 다른 장애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는 것이다. 다양한 원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인간의 섬층적인 부분까지 포함하는 치료적 전략과 범불안 장애에 대한 임상적, 생리적, 섬리적, 실존적, 철학적, 종교적 등 다양한 관점의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접근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범불안 장애에 대한 치료는 증상이나 원인이 매우 다양하여 단일 치료법으로는 치료가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버틀러 (Butler등, 1987)의 연구에서처럼, 치료효과의 지속성은 연구자가 지향해야할 목표이자 과제인데, 범불안장애에 대한 치료적인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위해서는 명상과 심리치료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연구자의 ‘범불안장애에 대한 명상과 현실치료의 통합적 이해’는 후속 연구를 위한 출발점이자 많은 과제를 남기며, 섬리치료와 명상의 통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등 다양하고 구체적인 치료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is the literature-centered essay to understand the-integration of mindfulness and reality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need for research was brought about from the curiosity and the interest that ‘what i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here is the cause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from?(e.g., inner or external), and ‘what is the wise ways how we can cope with the anxiety if we may not avoid it?’. As the coping strategies of this, I will investigate briefly the differences between reality therapy and other therapies focusing reality therapy, and be eager to figure out generalized anxiety disorder?”,‘where is the cause of an integrated perspective derived from adopting mindfulness, because reality therapy couldn"t deal with the need of development.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is obtained:Firstly,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at is a subcategory of anxieties has excessive anxiety, concerns about the future and ominous expectation, and this disorder is diagnosed when these kinds of concerns aren't controlled well.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re that the patient is always suffered from concerns, the stimulus or situation arousing the anxiety is unclear, experiencing the anxiety regardless of external situations .secondly, we have no choice but to live with anxiety as the lifetime companion, Martin Heidegger says that ‘everyone is always given feelings’. Anxiety is a part of our mind, there fore we are responsible for our own feelings. To be happy, we should choose what to do by ourselves. Thirdly, the causes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re widespread and various. One of them has to do with the brain(particularly the occipital lobe), on the other hand, we might consider a number of causes such as the choice to serve one' swill, unconscious wish, learning effect of environmental stimulus, cognitive schema, automatic thoughts, imagery, irrational belief, the gap between excitement energy and support, identification with future's situations, unsolved problems, contact confusion etc. But the patients suffer from not external causes but various inner causes. In this study, I found that relatively there are very few studies for therapy in comparison with other disorders, while the diagnosi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the studies are richer. Given a variety of causes, for appropriate treatment, I suggest that we need the therapeutic strategies including in-depth factors of human being, and an approach and understanding which are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having different perspectives such as clinical, physiological, psychological, existential,philosophical, religious perspective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Lastly,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ith single approach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symptoms and causes. Like butler et al. (1987) study suggests, although the durability of curative value is the goal and task of researchers, the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is needed to keep the curative value continuousl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meditation and reality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s the starting point for further studies, and also has many problems. I also suggest that an Strategic approach of treatment that is various and specific is needed such as development of integrated program including psychotherapy and mindfulness, effectiveness verification etc.

      • KCI등재

        소비자불안의 수준과 영향요인: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병을 중심으로

        사지연 ( Jee Yeon Sah ),여정성 ( Jung Sung Yeo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소비자와 전문가 사이에 존재하는 과학지식의 격차를 인정하고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을 보다 중립적인 시각에서 다루고자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병에 대한 소비자불안의 수준과 그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이 때 소비자불안의 영향요인으로는 지식과 신뢰, 위험인식을 다루었으며, 각각의 변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과 크기를 사례별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일반소비자 509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패널조사가 수행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소비자불안의 수준은 광우병,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불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ㆍ인구학적 변수는 사례마다 서로 달랐다. 특히 유전자재조합식품과 식품첨가물에 대한 불안수준은 나이가 많을수록, 기혼자이거나, 전업주부일 때 높게 나타난 반면 광우병은 정치성향이 진보적일수록 높은 불안수준을 보였다. 둘째, 객관적ㆍ주관적 지식, 정보제공원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등이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 병에 대한 소비자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위험인식 중 통제가 어렵다는 인식과 성별, 객관적ㆍ주관적 지식, 정부 및 인터넷에 대한 신뢰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 사례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통제가 어렵다는 인식이 유일했고, 나머지 변수들은 사례별로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셋째, 소비자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해본 결과, 유전자재조합식품은 통제가 어렵다는 인식 다음으로 객관적 지식이, 광우병은 통제가 어렵다는 인식 다음으로 정부에 대한 신뢰가 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비자불안수준의 감소를 위해 각 사례별로 우선시해야하는 변수의 종류가 서로 다름을 시사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는 효과적인 소비자불안의 감소를 위해서는 불안 수준이 높은 사례와 소비자집단을 파악하고, 사례별로 다른 소비자불안에의 영향요인을 고려함으로써 소비자불안감소를 위한 정책적 자원들이 적재적소에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함을 제언하였다. Consumers express subjective emotional reactions to technologies compared to experts, who make a logical, objective risk assessment. Considering the gap in scientific knowledge between consumers and experts, it is understandable and even natural.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plores the levels of consumers’ emotional reactions, that is, anxiety, and identify its determinants. As the object of anxiety, we selected genetically modified food (GMO), food additives, and mad cow diseases because consumers worry about these cases more than experts as it have both characteristics as food and technological risk. For this research, an online panel survey was performed on 509 adult consumers, and based on th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vels of consumer anxiety was higher in order of mad cow disease, genetically modified foods, food additives. Comparing with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s the anxiety level of mad cow disease was more increased than other two cases. Considering circumstances around mad cow disease in 2008, the result indicates level of consumer anxiety is influenced by social issues. Therefore, we should monitor the changes in level of consumer anxiety and correspond to these changes rapidly. Second, the variables which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nxiety levels of consumer groups was not same on each case. For GMOs and food additives, high levels of anxiety appeared in older, married, and housewives groups, whereas groups who had more liberal political tendencies showed a higher level of anxiety for mad cow disease. This result reflects what consumer groups show the relatively high level of anxiety and indicates who should be considered to manage consumer anxiety more efficiently. Thir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erception of uncontrollable state was the only variable whi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s’ anxiety in all three cases. Meanwhile, the other variables showed different influences and different relative power of impact on consumers’ anxiety in each case. First, in GMO foods,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risk perception of uncontrollable state(+), and gender(+, 0=male/1=female)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 anxiety. Second, in the case of food additives, only the risk perception of uncontrollable state(+) and gender(+, 0=male/1=female)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levels of consumer anxiety. Finally, in the case of Mad Cow Disease, objective knowledge (-), trust of the government(-), trust of online communities and blogs(+), and the risk perception of uncontrollable state(+)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levels of consumer anxiety. Comparing each variable’s relative power of impact, objective knowledge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which affects levels of consumer anxiety on GMO foods, while trust of the government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in relation to Mad Cow Disease. This result shows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different strategies for different cases to reduce consumer anxiety more eff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for the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consumer anxiety we should allocate government resources in the right places by finding cases and groups which show high levels of anxiety, and considering different factors which affect levels of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