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백제 불교조각의 대외교섭

        진정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1 No.-

        The Later Baekje Kingdom, founded by Gyeonhwon in 892, had for a brief period the most powerful army among the Three Later Kingdoms, and used its own reign title, Jeonggae (literally meaning “Authoritative Opening”). The kingdom was embroiled in almost permanent war with the other two Korean kingdoms, Silla and Later Goguryeo (later Taebong, and then Goryeo), over the unification of all three, until Goryeo brought about its final collapse in 936. It also maintain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not only with Goryeo and Silla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with Wuyue and Later Tang in China, and with Japan. This study focuses on the Buddhist sculptures of Later Baekje and its mutual exchanges with Silla, Goryeo, and the Chinese dynasties as part of an effort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and rediscover the valu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Later Baekje. The first part of the paper deals with various aspects of Buddhist ceremonies and rites held in Later Baekje and the Buddha statues produced by Baekje artisans for the purposes of worship. The study then takes up other topics such as the relations between Later Baekje, Silla and Goryeo (and Taebong before it) and their mutual influence on each other’s respective sculptures, as well as the Buddhist statues of the Five Dynasties in China.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892-936) is extremely short compared with other time periods in Korean history, yet the Buddhist sculpture of Later Baekje shows a unique combination of Baekje and Unified Silla styles. The Buddhist sculptural works of Taebong exhibit similar features, although they are more decorative and elaborate, while Goryeo statues tend to be more imposing figures. The stylistic differences in the Buddhist statues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lso reflect the differences in the three kingdoms’ political goals and relations with Silla. The artisans of Later Baekje actively adopted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Unified Silla statues, as evidenced by the Buddha Triad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in Wanju and the Standing Stone Buddha in Cheolcheon-ri, Naju. These statues suggest that Gyeonhwon admired the cultural heritage of Silla, as shown by the fact that he regarded himself as a provincial administrator of Unified Silla, while proclaiming that he did so in order to restore Baekje. Meanwhile, the Buddhist statues of Later Baekje show few signs of influence of the statues of Taebong or, after the later 1920s, those of Goryeo, with which it had been at war since its foundation. Interestingl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Later Baekje Kingdom (i.e. the area around present-day Naju), which had previously been occupied by Taebong and Goryeo, there are various Buddhist sculptural works made by Taebong and Goryeo artisans, including the Seated Stone Buddha of Yonghwasa Temple in Jangheung (Taebong) and the Rock-cut Seated Buddha of Bungmireugam Hermitage, Daeheungsa Temple, Haenam (Goryeo). Of the Later Baekje sculptures,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discovered at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and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of Buljusa Temple in Gunsan exhibit the influence of sculptures from Wuyue in China, which maintained close diplomatic relations with Later Baekje. Statues with a voluminous face and lean body, characteristic elements of Wuyue statues, are found mostly around Gunsan, which was a major port linking Later Baekje and Wuyue, suggesting that the Buddhist artisans of Later Baekje were under the influence of Wuyue across the Yellow Sea. 892년 甄萱이 건국한 後百濟는 한때 후삼국 중 가장 강대한 군사력을 자랑하였으며,‘正開’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후백제였던 만큼 936년 고려에 의해 멸망하기 전까지 끊임없이 三韓一統을 위한 전쟁을 진행하는 한편, 신라·고려는 물론 中國의 吳越과 後唐 그리고 일본과도 적극적인 외교를 펼쳤다. 본고는 후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복원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써, 후백제 불교조각이 신라·고려, 그리고 중국 불교조각과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후백제 佛事의 양상은 어떠하였으며, 어떠한 불상이 조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후백제 불교조각과 신라 불교조각과의 관계, 태봉과 고려 불교조각과의 영향 여부와 함께 중국 오대 불교조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후삼국기가 매우 짧은 기간이었음에도 후백제 불교조각은 통일신라 불상양식을 바탕으로 일부 백제 형식을 차용한 특징을 보인다. 반면, 태봉의 불교조각은 후백제 불상과 마찬가지로 통일신라 불상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섬세함과 장식성이 두드러지며, 고려의 불교조각은 건장함과 당당함이 극대화 되었다. 이처럼 후삼국의 불교조각이 제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후백제, 태봉, 고려가 추구하였던 정치적 지향점과 對新羅觀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특히 후백제는 완주 봉림사지 삼존불이나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에서 볼 수 있듯 통일신라 불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는데, 이는 후백제가 백제의 부흥을 표방하였음에도 견훤이 신라의 지방관을 자임하는 한편 신라의 문화를 동경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건국부터 적대적이었던 태봉이나 920년대 후반부터 적대관계였던 고려의 영향은 후백제에서 살펴볼 수 없다. 다만 태봉과 고려의 점령지인 후백제 서남해일대(나주일대)에 태봉과 고려가 직접 조성한 불상이 전하고 있을 뿐인데, 전자의 사례가 장흥 용화사 석불좌상이고 후자의 사례는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좌상이다. 또한 후백제 불교조각 가운데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입상, 군산 불주사 금동불입상 등에서는 후백제와 빈번한 교류를 하였던 중국 오월 불교조각의 영향도 살펴볼 수 있다. 이들 불상은 오월 불상에서 볼 수 있는 풍부한 양감의 얼굴과 평판적이고 홀쭉한 신체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들 불상은 지역적으로는 후백제와 오월의 중요한 무역항이었던 군산지역 인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정치뿐만 아니라 불교조각에 있어서도 후백제와 오월과의 교류가 빈번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사진에 보이는 북한 소재 불교조각의 고찰

        許亨旭(Huh(Heo) Hyeonguk) 미술사연구회 2021 미술사연구 Vol.- No.40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olds more than 38,170 photographs developed from gelatin dry plates. These photographs depicting archaeological, art, and architectural artifacts and ruins in Korea were produc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part of its colonial efforts. As long as this objective of these photographs is understood and they are used critically, they can be helpful in studying Buddhist sculptures that still are or once were in North Korea and are currently inaccessible due to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official documents issu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ince the documents paired with the photographs to offer further information on these Buddhist sculptures. Most Buddhist sculptures captured in th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are works produced during the Goryeo or Joseon Dynasty. This paper classifies the value of the use of thes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into three advantages that are then examined: 1. The photographs offer basic information about the sculptures, including their excavation sites; 2. They enable in-depth and extensive studies of Buddhist iconography; and 3. They show changes in sculptural styles and help with dating the sculptures. A vast body of Buddhist artworks in North Korea were lost or damaged during the Korean War. Since thes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were produced before the war, they allow the further verification of facts about the Buddhist sculptures and facilitat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original forms. An analysis of th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has revealed that iconographically identical types of Buddhist sculptures were produced throughout North and South Korea during the Goryeo period. It also indicates the distribution routes and genealogy of the sculptures. Moreover, the photographs allow us to explore the religious backgrounds of the production of sculptures, thus extending the scope of studies of Korean Buddhist sculpture. Some of th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illustrate Buddhist sculptures that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changes in sculptural styles and dating of sculptures. As a case in point, Stone Standing Buddha from the site of Mireuksa Temple, which was established around 936 in Kaesong, aptly demonstrates the regional diversity of large and medium-sized tenth-century stone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early Goryeo period. In a similar vein, Seated Bodhisattva in Bogwangjeon Hall at Singwangsa Temple in Haeju, Hwanghae-do Province attests to the adoption of styles from Yuan Dynasty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fourteenth century in the late Goryeo period. Furthermore, Gilt-bronze Seated Avalokitesvara created in 1426 at Sindeoksa Temple in Yonggang-gun, Pyeongannam-do Province and Gilt-bronze Seated Amitabha Triad produced in 1454 and excavated from Seongbulsa Temple reflect the process of early Joseon Buddhist sculpture’s transformation into a more uniquely indigenous style. Th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significant materials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 in North Korean regions that are currently inaccessible. Future examination of these photographs will lead to additional meaningful findings.

      • KCI등재

        빛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불교조각 전시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최훈이 ( Hooni Choi ),이재규 ( 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2

        (연구배경 및 목적)우리 불교조각에 대한 이해는 종교의 예배대상을 넘어 우리문화의 기반을 이해하는 학술적, 예술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불교조각 전시는 불상이라는 매개체를 공간 안에 재현함으로써 예술품을 감상하게 하고, 불교 교리를 전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관람자로 하여금 감정적이고 예술적인 특별한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불교조각의 올바른 이해와 상징적 의미 전달을 위해 빛 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하고 종교적 공간 표현을 연구하여 전시 공간 연출에 대입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이에 본 연구는 불교조각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불교조각에서 빛이 가지는 의미를 짚어보고, 빛 디자인과 상징적 공간의 디자인 표현 요소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선행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디자인 요소를 종합하여 불교조각 전시연출 요소로서 빛 디자인 표현 특성을 연구 하고자 한다. 빛 디자인 개념이 적용된 종교 공간 및 전시공간 여섯 곳을 분석하여 각 공간이 가지고 있는 강점과 개선해야 할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빛 특성을 활용한 우리나라 불교조각전시 공간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분석 결과,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는 빛 디자인 요소는 체험성, 상징성, 심미성, 장소성, 인지성으로 압축되었다. 상징적 공간 연출을 위한 디자인 요소로는 상징성, 기능성, 장소성, 전이성, 심미성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특성을 중심으로 불교조각 전시공간과 같은 상징적 공간에 적용하는 빛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면 체험성, 상징성, 장소성, 심미성으로 종합된다. 사례를 분석하면 전시 공간에 잘 적용되고 있는 요소는 체험성과 상징성이고, 다소 부족한 요소는 심미성과 장소성이다. (결론)이는 불교조각 전시공간에서 심미성과 장소성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관람자가 특별한 감정적 변화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전시 연출의 조형적 측면도 강조해야 함을 알 수 있으며, 본 연구가 향후 빛을 활용한 불교조각 전시연출을 위한 기초연구로 기여하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Korean Buddhist sculptures may be used as academic and artistic references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culture. It is important that Buddhist art exhibitions provide audiences with artistic and religious experiences through formative languages, which are intended to guide people. Because religious sculptures are created to authenticate the existence of deities, light has been used to convey the concepts of holiness and power to audiences. Consequently,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examine elements of lighting design and symbolic space design and integrate common elements for maximizing exhibition effects and an understanding of Buddhist sculpture exhibits. (Method) Therefore, this research represents an examination of general understandings regarding Buddhist sculptures and the meaning of light in Buddhist art. Further, theoretical studies on lighting design and an analysis of the design elements used frequently in symbolic space design for religious and exhibition spaces were conducted. The drawn elements were analyzed collectively to identify common elements in space designs for Buddhist sculpture exhibits. (Results) The theoretical analysis reveals the most common lighting design elements, which give meanings to spaces: experientiality, symbolism, aesthetics, placeness, and recognition. Design elements for symbolic spaces are symbolism, function, placeness, connection, and aesthetics. Overall, the elements of each area can be combined and analyzed as experientiality, symbolism, placeness, and aesthetics. In case studies, exhibition spaces have strong experientiality and symbolism, but they are weak in the areas of aesthetics and placeness. Typically, exhibit spaces are designed to create strong experience elements and symbolic scenes for a broad audience; they are not intended to express lopsided religious elements in the gallery areas. (Conclusions) From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exhibit spaces for Buddhist sculptures must incorporate the active use of lighting design to express strong aesthetics and placeness that maximize the audience experience; these elements come from unique expressions of symbolism and experience.

      • KCI등재

        『三國遺事』에 보이는 미술사 자료의 분석과 검토

        최응천(Choi, Eung Ch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2

        『三國遺事』에는 塔像編 뿐 아니라 다른 여러 편 속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분량의 미술사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술사 관련 자료를 분석해 보면 탑상편에는 사지의 창건과 연혁이 10건, 폐사지의 위치 확인이 3건, 불교조각의 제작시기와 조성배경이 11건이었고 불탑의 제작시기와 조성배경 6건, 계단과 불사리 신앙 3건, 불교공예 5건, 불교회화 4건, 박물관의 기원 1건으로서 모두 43건 정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는 불교조각이 가장 많은 수효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타 편에 수록된 미술사 자료는 사지의 창건과 연혁이 17건, 불교 건축이 2건이며 탑상의 조성이 13건, 계단과 불사리 신앙 2건, 불교공예 4건, 불교회화 5건, 고대 박물관의 기원 2건으로서 45건이 확인되며 그 중에서 사지 창건과 연혁 부분이 가장 많은 17건이었다. 기타 편에 보이는 미술사 자료는 탑상 편에 실린 내용과 중복되거나 유사하지만 부언 설명이나 강조하는 내용을 보태기도 하였고 일부에서는 탑상 편에 누락된 미술사 관련 내용이 보이는 점에서 새로운 검토가 필요하다. 첫째, 『三國遺事』에 보이는 미술사 관련 자료는 탑상 편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탑상 편에서 제외되거나 전혀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운 자료의 게재가 꽤 많은 곳에서 등장된다. 둘째, 『三國遺事』에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 고대 사원의 창건시기와 조성 배경과 같은 연혁을 다룬 글이 도합 27편에 달한다. 여기에는 한 편에 몇 개의 사찰이 동시에 언급되기도 하지만 불교미술 뿐 아니라 불교사에서 사찰의 연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그 다음 가장 중요하게 평가할 수 있는 불교조각과 불탑의 자료는 도합 30편에 이르며 상대적으로 불교조각의 관련된 자료가 월등히 많았다. 또한 탑상 편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부분 중 하나가 戒壇과 舍利信仰에 관련된 부분이다. 이들은 황룡사 구층탑에 봉안된 사리를 포함하여 신라 및 통일신라 사리기 및 사리신앙 연구에 귀중한 일조를 한다. 한편 불교공예에서 가장 중요한 범종을 다룬 皇龍寺鍾· 芬皇寺藥師· 奉德寺鍾 조에서는 지금은 사라졌지만 경덕왕 754년에 황룡사 종이 주조되었으며 크기 1장 3촌, 49만 7천 5백 81근이란 중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추하면 현존하는 성덕대왕 신종의 12만근보다 3배 이상의 금속이 소요된 점에서 366㎝보다 최소 두 배 가까운 크기였다고 추정된다. 통일신라 범종의 명칭에서 지금 龍鈕라고 불리는 종을 거는 고리 부분이 고래를 무서워 한다는 葡牢로 불리었으며 지금은 사라진 撞木의 모양을 고래 형상으로 만들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신라 사리기의 구성과 형태를 볼 수 있는 자료로서 어금니를 넣은 사리기의 구성이 안쪽에 침향으로 합을 만들고 그 바깥은 순금합, 다시 백은함과 바깥에 유리로 함을 만들고 바깥 겹은 나전함으로 중첩 봉안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였다. 특히 함과 합을 구별한 것으로 보아 뚜껑의 유무에 따라 함과 합을 구분한 것으로 보이며 각 함의 폭이 크기를 줄여가며 중첩되도록 만든 것을 시사한다. 불교회화 자료는 비교적 적은 3편에 불과하지만 주로 千手千眼觀音, 普賢菩薩, 11面觀音과 같은 밀교와 관련있는 변화 관음상을 벽화 위주로 제작한 사실을 밝혀준다. 마지막으로 단편적이지만 신라 궁내에서 보물 창고의 역할을 한 天尊庫란 수장고 시설과 명칭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탑상 편 이외 편에서 보이는 미술사 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 사찰과 창건과 연혁을 다룬것이 17편 정도로 가장 많았는데, 탑상 편에서 다루지 않은 중요한 사찰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어 보다 집중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탑상 조성에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수효는 불교조각이 9편, 불탑이 4편으로서 탑상 편에 비해 적지만 良志使錫, 迎如師 布川山 五比丘, 大城孝二世父母 조는 『三國遺事』가 지닌 미술사적 가치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구체적인 자료이다. 불교조각의 경우 塑造像에 관련 기록이 많다는 것은 지금은 남아있지 않지만 당시에 소조상의 제작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점을 시사해준다. 또한 유가종의 개창주인 대덕 대현스님과 관련된 남산 茸長寺와 봉안된 미륵석조장육상은 『三國遺事』를 통해 그 실제가 입증된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戒壇과 舍利 信仰 관한 기록 가운데 금산사에 봉안되었던 사리를 나누어 金剛山 鉢淵寺에 나누어 줬다는 기록은 왜 지금 발연사에 금산사 계단과 동일한 계단이 설치되어 있는지 잘 보여주는 주는 자료이다. 두 편의 불교건축 자료 중에서 感恩寺 관련 기록과 불국사 창건에 관련된 내용은 751년 김대성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최소 774년까지 이어지다가 이후 다시 국가에서 마쳤다는 점을 밝혀주어 최소 30여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음을 시사해 준다. 그러므로 불국사 석굴암 관련 제작 시기를 규명하는데 좀 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불교회화는 그리 많지 않지만 벽 위에 53불과 聖衆 및 天神, 五岳神君을 그렸다는 구체적인 내용이 확인된다. 불교공예는 개별 설명이 없는 단편적인 六環杖, 水晶念珠, 철 솥, 石鐘에 관한 자료에 불과하여 아쉬움을 준다. 고대 수장고인 天尊庫에 관련된 기록 이전에 貴妃庫라는 국가의 보물을 보관하는 수장고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일연스님은 미술사 관련 내용이 중심을 이루는 탑상 편을 별도로 분류함으로써 그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미술사의 개념이나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는 전문적인 지식 보다는 전부터 전해오는 고대의 자료를 섭렵하고 이를 보완하는 목적이 더 컸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부분은 황룡사와 황룡사 9층목탑, 그리고 자장과 관련된 여러 창사의 연기, 또한 스님이라는 신분상 매우 귀중하게 다룰 수밖에 없었던 불사리 신앙과 관련된 부분으로 파악된다.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kyusa, 1285), compiled by a Goryeo monk named Iryeon, is one of the oldest extant books on Korean history. The chapter titled ‘Pagodas and Images’ (Tapsangpyeon) contains a wealth of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Korean art. A close examination of the chapter revealed that it contains information about forty-three references to Korean art history, including ten references to the foundation and chronology of Buddhist temples, three on the locations of closed temples, eleven on the production dates and backgrounds of Buddhist sculptural works, six on the construction dates and backgrounds of pagodas, three on ordination platforms and sarira worship, five on Buddhist arts and crafts, four on Buddhist painting, and one on the origins of museums. Of these references, the largest number of cases concerns Buddhist sculpture. The book also contains forty-five references to Korean Buddhist art history in its other chapters, including seventeen on the foundation and chronology of Buddhist temples, two on Buddhist architecture, thirteen on the construction of pagodas and images, two on ordination platforms and sarira worship, four on Buddhist arts and crafts, five on Buddhist painting, and two on the origins of museum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hapters of the book requires a careful review for the purpose of classification, because some entries overlap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hapter on pagodas and images as they were intended to provide an additional explanation or to emphasize certain facts, while others contain information omitted from the aforementioned chapter. It seems that Iryeon wrote the chapter on pagodas and images in order to focus on information about the Buddhist art of his country, indicating that he was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Buddhism’s artistic heritage. The intention behind the arrangement of the chapter seems to have been to bring together and supplement old materials rather than to introduce concepts related with art history or specialized knowledge. It is noteworthy that of the numerous Buddhist topics covered in the book, Iryeon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Hwangnyongsa Temple and its famous Nine-Story Wooden Pagoda, the Buddhist temples established by the eminent Silla monk Jajang, and the relics (sarira) of Shakyamuni Buddha, which must have been invaluable objects of worship for devout Buddhists like him.

      • KCI등재

        원주 법천사지의 고려시대 불교조각

        최성은(Choe, Songe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5 美術史學 Vol.- No.29

        이 글은 원주 법천사지에서 출토되었거나 수습된 고려시대 불교조각에 대해서 살펴본 글이다. 법천사지 출토의 불교조각품은 완전한 상태의 것은 없고 대부분 훼손되었거나 작은 파편에 불과하지만 불, 보살상을 비롯하여 공양상, 석등 화사석 등 다양하고 수준 높은 조형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나말여초 이래 고려시대 중기까지 크게 융성했던 법천사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출토품들 가운데 석조공양보살상의 하체부분은 법천사의 탑 앞에 공양상이 안치되어 있었음을 말해주며, 연산 개태사와 오대산 월정사, 강릉 신복사지의 공양보살상과 같은 동일한 형식의 고려시대 공양보살상들에 비해서 조각적으로 이르다고 판단되는 요소도 발견된다. 법천사지 탑비전지에서 출토한 석등의 화사석편에는 이 공양보살상들과 거의 유사한 형태의 공양상이 부조되어 석탑 앞에 놓였던 공양보살상의 도상이 석등의 장식에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출토된 사자상의 몸체를 통해 법천사에 쌍사자가 받치고 있는 석등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머리 정상이 높은 보살상은 ‘미륵’으로 생각할 수 있는 새로운 도상의 보살상이 법천사에 봉안되어 있었음을 알려준다. 법천사지 출토의 고려전기의 불교조각들은 사실적인 표현과 섬세하고 부드러운 조형성 등이 잘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조각적 특징은 아마도 당시 수도 개경에서 유행했던 불교조각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법천사가 개경의 사찰들과 긴밀한 관계에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중앙지역의 불교미술이 법천사에 이식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Buddhist sculptures of the Goryeo period unearthed from the Beopcheonsa Temple-site at Wonju. Excavated images, though mostly damaged pieces, still show a high quality of stone sculptures, which exhibit the high status of Beopcheonsa flourishing from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period on to the mid-Goryeo. An offering Bodhisattva image, only part of his lower body suviving, demonstrates that there was a pagoda and its offering image at Beopcheonsa (Beopcheon temple) in the Goryeo period. A relief of an offering image, most likely a part of stone lantern, shows a Bodhisattva with a tall cylindrical crown offering incense. This piece tells that offering Bodhisattvas placed before a stone pagoda at Woljeongsa, Sinboksa, Gaetaesa temple were holding incense. Part of the lower body of a stone lion reveals that Beopcheonsa had a stone lantern supported by two lion images, which were popular from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A stone Bodhisattva image now in the Wonju History Museum, which is quite similar to the stone Bodhisattva images of Maejiri at Wonju and of Seolbulsa at Goesan in his exaggerated high head, could be a new type of Maitreya, who will descend from the Tushita Heaven and receive enlightenment for the three preachings. The Buddhist images unearthed from Beopcheonsa temple-site are mostly stone works except for three tiny bronze images. However, since a great number of Buddhist images were made of wood, lacquer, bronze, and clay during the Goryeo Period, it is fair to assume that images made of these materials carved in subtle and delicate ways might also have been enshrined in the halls of Beopcheonsa, which were most likely burned and reduced during many wars.

      • KCI등재

        한국 불교조각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김리나(Kim Lena)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1

        In the study of Buddhist sculptures, forms of images follow the rules of Buddhist iconography, such as hand gestures, poses, or modes of wearing garments. Styles, on the other hands, are more about facial expressions, technical process of carving or casting and its effects on the images appearance. Therefore, knowledge in Buddhist texts and iconography is prerequisite to understand the forms of Buddhist images. It appears that the forms do not change easily according to region, period or related people. But the styles reveal regional preferences, so that facial expressions of images, proportions or the modes of wearing garments, the degree of plasticity and ornamentations vary between regions. The stylistic features of images also change through the span of time. The stylistic variations are evident in that the images of India, China, Korea and Japan differ from one another, and that the Sui sculptures from the T'ang images, and that the images of the Three Kingdoms from those of the Unified Silla.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ertain iconography, one has to familiarize himself/herself with Buddhist texts, from which the formal aspects of images are derived. While the forms often retain their original meanings changes occur in the styles. In this case, one can compare the images with other examples, which could bring light to the problems such as the stylistic origins and the possible routes through which new forms and styles traveled. By making use of this method, one can figure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images, establish stylistic lineages and place certain images in a proper context i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sculpture in Asia. When one is making comparisons between images, religious activities and cultural exchanges need to be considered as well. It is needless to say that 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n Buddhist images and the related examples in India and China are important, for they reveal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Korean examples and als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eign models in Korea. Japanese sculptures are also significant in this approach, for many extant images in Japan show affinities with Korean counterparts, Presumably, some images were brought from Korea, some retain strong Korean influence and some were combination of Korean forms and Japanese style. Thus, by referring to the rich amount of images and textual sources preserved in Japan,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lost part of the original forms and styles of Korean Buddhist art.

      • KCI등재

        초·중등학교 미술교과서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 불교조각을 중심으로

        김인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1 No.2

        제7차 미술교육과정에 의한 미술 교과는 감상 영역이 확대되고 우리 미술의 특성과 배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전통 문화를 존중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현행 미술교과서 내용 구성은 우리나라 전통 미술품의 여러 영역(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이 고루 포함되어있다. 불교조각은 전통 조각의 대표로써 감상 영역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초·중등학교 미술교과서에 실린 불교조각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의도되었다. 이를 위해 현행 미술교과서에 수록된 불교조각의 학년 위계별 차별성, 영역별 편성방식, 예시작품의 특성, 서술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 미술에 대한 주관적 해석을 경계함과 동시에 타문화 미술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다원적 미학 기준을 모색하였다. 불교조각이 지닌 다양한 조형성을 교과 내용에 포함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영역별 편성 방식 및 학년 위계에 의한 단계별 구성 방안이 제시되었다. It has been understood that an artistic style of the Buddhist sculpture undergoes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 and space. The evolution of artistic style of the Buddhist sculpture, however, depends upon the secular meanings. Each of the Buddhist gods is characterized by their own religious nature and iconography. In the sculptural representation, each god displays his own artistic style, i.e. the physical proportion, facial characteristic, massiveness of work, bodily movement, and depth of the carving, etc. The beauty of the Buddhist sculpture differs from the aesthetic point of the Western art. The Buddha image is characterized by massive body and bold treatment. The Bodhisattva images are shown with slander body and delicate treatment. The guardian Kings are usually represented with powerful movement and hard treatmen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bring out a fresh interpretation of the Buddhist sculpture, and put forward some thoughts on its educational use. The multi perspective way of seeing is necessary to read the Buddhist sculpture. The present paper tried to check over the descriptions of Korean Buddhist sculpture shown on the school textbook. There is a series of the Buddhist sculptures which is frequently shown on the art textbooks. Their descriptions are based on the Western classical beauty. Such subjective criticism fails to describe the artistic quality of the Buddhist sculpture. The multi perspective way of seeing is alternative criticism, and will provide better educational explanation.

      • KCI등재후보

        見佛-인도아대륙의 초기 불교 造像

        피아 브란카치오 국립중앙박물관 2016 미술자료 Vol.- No.89

        본고는 인도아대륙의 초기 불교미술을 중심으로, 부처와 부처의 가르침이 불교도들 사이에서 어떻게 시각적 형식을 갖추기 시작했는지를 고찰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간의 모습을 한 불상이 아직 나오기 전, 기원전 2세기 말~1세기 초에 조성된 바르후트(Bharhut) 스투파의 울타리에 표현된 초기 불교 서사를 면밀히 재검토한 결과, 당시의 부처는 불교도가 섬겨야 할 인간상으로서보다는 위대하게 顯現한 경의를 표해야 할 존재로 인식되었다. 바르후트에서는 부처가 역사적으로 무엇을 했는지를 크게 관심 있게 다루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부처의 일생에서 선택된 사건이 제한적이고 서사의 내용 또한 구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고 순차적이며 역사적인 석가모니의 佛傳은 아직 성문화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기원전 1세기경에 조성된 산치(Sanchi) 스투파의 문 조각들을 보면 불교도들은 석가모니의 형상을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부처는 예불 장면이나 신체에 대한 상징적 암시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실제 행적에 대한 묘사를 통해 존재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게 되었다. 쿠샨 시대(기원후 1~3세기) 간다라 북서부의 서사 미술은 실체적 부처의 행적을 중심으로 그의 전반적인 삶을 묘사하는 데 강한 관심을 드러낸다. 이 시기에 부처는 인간의 모습으로 재현되기 시작했고, 부처의 일생은 단순히 행적을 열거하는 것이 아닌 종교적 일대기가 되었다. 간다라의 서사 부조에서 삶의 일시성과 신화의 보편성은 한데 엮여 모든 사람이 따를 수 있는 하나의 모델이 되었다. 소형 스투파에는 불전 장면들이 묘사되고 그 둘레를 도는 불교도들이 이를 연대기 순으로 볼 수 있었다. 간다라 지역에서 나타나는 부처의 생애에 대한 개념적 변화는 그 서사를 극으로 각색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변화와 비슷한 것이며, 부처의 극적인 사건들은 이러한 예술적 전개에 일련의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서사를 강조하는 것은 북인도 마투라 지역의 당대 불교미술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부처를 재현한 삼차원 조각들은 광대한 쿠샨의 영토 전역에서 제작되었으나, 마투라 지역 불상에서는 부처의 몸에 대해 조금 다른 관점과 처리 방식을 보인다. 우리가 불상과 실제 사리 간의 긴밀한 관계를 발견하게 되는 것은 바로 간다라에서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early Buddhist art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and proposes new ways to look at how the Buddha and his message began to take visual form among his followers. A thorough re-examination of the early Buddhist narratives represented on the enclosure of the Bharhut stupa dating from the end of the 2nd and the beginning of the 1st century BCE, when an anthropomorphic image of the Buddha had not yet been developed, suggests that the Buddha was not yet conceived of as the human example to follow, but rather as a presence to honor in his prodigious manifestations. Tracing the Buddha’s historic actions seems to not have been a concern at Bharhut; the limited choice of life events and their lack of narrative specificity suggest that a rigorous, sequential and historical life story of Shakyamuni was yet to be codified. From the sculpture decorating the gates of the Sanchi stupa dating to the 1stcentury BCE ca., it appears that worshippers began to relate in different ways to the figure of Shakyamuni; his presence was made tangible not only through images of devotion and symbolic allusion to his physical body but also through depictions of his actual actions. In the narrative art of the northwestern region of Gandhara during the Kushan period (1st-3rd CE) emerges a strong interest in depicting a cohesive life centered on the actions of the physical Buddha. The Buddha at this time started to be represented in human form, and his life became a spiritual biography and not a simple succession of actions. In Gandharan narratives, the temporality of life and the universality of myth were always intertwined to become a viable model for all to follow. The life scenes were depicted on small stupas and were viewed by devotees in chronological order as they walked around such monuments. The conceptual transformation that the life of the Buddha underwent in this region is comparable to the one that would take place in a dramatic adaptation of the narration, and it is possible that Buddhist drama may have played a role in these artistic developments. The narrative emphasis appears irrelevant in the contemporary Buddhist art from the Mathura region in North India. Three-dimensional sculptures representing the Buddha are made throughout the vast Kushan territory, however, the images from Mathura seem also to betray slightly different treatments and views of the Buddha’s body; it is especially in Gandhara that we notice a strong link between Buddhist icons and actual Buddhist relics.

      • KCI등재

        북한 소재 고려시대 불교조각의 연구현황

        최성은 ( Choe Songeu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본고는 북한에 있는 고려시대 불교조각의 주요작품들을 살펴보면서,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40년간 진행되어온 우리 학계의 연구현황을 정리하고, 미술사적인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제기하여, 향후 고려시대 불교조각의 조사와 연구의 방향을 밝혀본 것이다. 북한지역 고려시대 주요 불교조각을 석불과 석탑조각, 철불. 금동불 등, 재료별로 나누어 보았는데, 지역적으로는 크게 세 지역(수도 개경을 중심으로 황해남북도, 서경이었던 평양을 중심으로 하는 평안남북도, 고려 화엄불교의 성지였던 금강산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수도 개경 일대의 불상들은 남경이었던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경기지역으로 연결되고, 여기서 다시 남한강을 따라 원주, 충주지역으로 확대된다. 수도 개경과 서경, 남경 등, 행정적으로 중요한 지역에서 경영되었던 중심사찰들이 육상로와 수로의 주요 거점에 세워진 지방의 여러 사찰들과 상호 영향관계 속에서 연결되어 있었음은 남북한 불교조각의 지리적 분포를 조망함으로써 유추가 가능하다. 남북교류를 통해 이루어졌던 금강산과 개성 지역 관광으로 일시적으로 당일 또는 단기 여행이 가능하기도 하였으나 연구자들의 실물조사는 허락되지 않는 상황이어서 도록에 게재된 도판이나 일제강점기에 촬영되었던 흑백필름을 가지고 연구되었다는 점에서 연구 환경이 매우 제한되고 열악한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소재 불상들에 대한 연구는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에 있어 제기되는 여러 문제점들을 밝히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남한 소재 자료만으로는 밝히기 어려운 점을 명확히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discuss the major images and monuments of the Goryeo period in North Korea and to summarize the scholarly research from South Korea between 1980 and present. In doing so, we will focus on several important objects or monuments of the Goryeo period in North Korea, highlight the art-histor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m, and suggest a new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of Goryeo Buddhist sculpture. Goryeo Buddhist sculptures of North Korea are categorized by their materials : stone Buddha and relief on stone pagodas, iron Buddha, and gilt-bronze Buddha. They are found mainly across three areas : in the Hwanghae province with Gaeseong(開城, Capital of Goryeo dynasty) at the center, in the Pyeongan province with Pyeongyang(平壤, West Capital of Goryeo Dynasty) at the center, and in the Gangwon Province with Mt. Keumgang(金剛山, sacred place of Avatamsaka Buddhism of Goryeo period) at the center. Buddhist images at Capital Gaeseong are connected in style and iconography to those in the Gyeonggi Province with Seoul(the North Capital of Goryeo dynasty) at the center. They also spread to Wonju(原州) of the Ganwon province and Chungju(忠州) of the Chungcheong province along the southern Han River. It is assumed from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Buddhist sculptures in South and North Korea that the major monasteries serving as religious and administrative bases in Gaegseong(Capital), Pyeongyang(West Capital) and Seoul(South Capital) were related to the temples constructed along the land and river traffic routes. To carry out cultural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emporarily allowed South Korean people to travel Mt. Keumgang and Gaeseong area on guided one-day tours(Gaeseong) or package tours(Mt. Keumgang). But it was not possible for scholars of South Korea to investigate images and monuments for their research. Unable to see real images at the major Buddhist temples of the Goryeo period, scholars used photographs published in the catalog and black and white negative films taken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for their research on Buddhist sculptures in North Korea.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research on the Buddhist sculptures in North Korea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loring many problems associated with Buddhist images and monuments of the Goryeo period.

      • KCI등재

        인도와 한국 불상의 안면 특징 비교연구

        이호억 ( Lee Ho Uk ),김영호 ( Kim Young H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불상은 붓다를 형상화한 조각상이다. 우리는 인물을 형상화한 조각상에서 가장 먼저 얼굴을 인지하게 된다. 불교는 무교를 제외하고 전 세계적으로 4번째로 신자 수가 많은 종교다. 불교의 상징 매체인 불상도 세계 각지에서 제작되었다. 그렇다면 전 세계의 모든 불상들의 얼굴은 다 같을까. 그렇지 않다. 불상은 시대별, 지역별로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도 사람인 붓다의 얼굴을 본 뜬 불상의 얼굴이 제작된 나라마다 다르다면, 그 얼굴이 달라져야할 당위성은 어디에 있는 것인가. 이에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연구대상은 인도의 간다라 지역과 마투라 지역의 사례와 우리나라 불상의 시대별 사례로 한정하였다. 인도와 한국의 불상들의 사례를 지역별, 시대별로 살펴보았다. 간다라 지역과 마투라 지역의 불상의 안면적 특징 비교를 통하여 그리스 신상 양식에 인도 토착민의 얼굴이 녹아 가는 과정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 불상의 경우 시대별로 불상의 안면을 북방계와 남방계라는 기준으로 분류하여 그 특징에 주목했다. 인도와 우리나라의 사례를 통해 연구하여 불상의 안면이 이처럼 지역화 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불교 교리의 영향이 절대적으로 작용하였다. 불상의 얼굴이 토착민의 얼굴을 닮은 것은 신을 섬기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명상과 참선을 통해 스스로 열반에 들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불경의 가르침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 사료된다. 불상의 얼굴은 불경의 가르침을 집약하여 단순하면서도 심오한 붓다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The Buddha Statue is a symbol of the Buddha. When we saw the statue with the human figure, the first thing you will see the face. The buddhism is the forth most major dominant religion in the world. As Buddhist`s visual media, Buddhist sculptures also spread around the world. Is the face of all Buddhist sculpture all around the world the same? The answer is no. then why? The Buddha Statues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by period and region. If the face of Buddhist sculpture, which is the face of the Buddha,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where is the reason to change its 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uddhist sculpture between Korea and India. The first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comparison of the Buddha Statue of india by region especially Gandhara and Mathura. The second was the comparison of the Buddha Statue of Korea by period. We looked at the process of Buddha image resembling the faces of indigenous peoples and searched for reasons from Buddhist teachings. And in case of korea, we classified the sculpture according to criteria which is Southern or Northern, In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the Buddha`s face resembles the face of indigenous peoples, not from serving God, but from the teachings of Buddhism that individuals can become Buddha by themselves in nirvana through meditation and spiritually cul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