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이혼과 자녀의 적응:부모자녀관계와 자아효능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소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가족복지학 Vol.20 No.-

        본 연구는 이혼가정자녀의 적응에 있어서 부모이혼후 자녀들이 경험한 일상생활변화에 따른 이혼스트레스가 부모자녀관계와 자아효능감을 매개로하여 이혼가정자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모가 이혼한 가정의 자녀 중에서 56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부모이혼 후 자녀들이 경험한 이혼 스트레스는 이혼가정자녀의 적응과 부모자녀관계 그리고 자아효능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부모이혼 후 자녀들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와 자아효능감 또한 자녀들의 심리행동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이혼으로 인해 발생된 이혼스트레스는 부모자녀관계와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이혼가정자녀의 심리행동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모자녀관계와 자아효능감의 부분매개역할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부모이혼 후 아동의 적응문제의 예방과 개입에 대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how Parental Divorce affcets their children's adjustment through the mediator of Parental-children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other factors found in the previous studies which were important in determining children's adjustment: their sexs, ages, parental separate period, subjective financial status were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out of 566 elementary school children surveyed. The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Divorce negatively affected their children's adjustment. Second,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 impacts on children's adjustment. Third, Parental divorce have significantly affected children's adjustment in an indirect manner through the mediator of Parent and children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that is, relationship of parent-child and children's self-efficacy have been verified to be a partial mediator in children's adjustment.

      • KCI등재후보

        유아의 성별 및 형제특성에 따른 부모자녀관계와 또래관계 간의 관계분석

        이지영,이정미,이상희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arent-child relationship perceived by parents based on children’s sex and sibling structure and to find a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207 3- to 5-year-old children of kindergartens in Gyeonggi-do and their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children were bo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erceived by father and mother. On the other hand, when children were girls, fat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role of parents, participated less in parenting, and had more difficulties at discipline than mothers. Besides, in cases of only children or firstborn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 and mother existed, but in cases of laterborns, the discrepancy in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difficulty of discipline was found. Seco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erceived by father and mother according to children's sex and sibling structure. In terms of peer relationship, girls appeared to make more positive peer relationship than boys, and sibling feature was not relevant. Thir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erceived by fath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girls'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boys' negative peer relationships, which suggests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could affect peer relationships depending on children's sex. Fourth, in cases of only children, mothers’ satisfaction at parenting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in cases of firstborns,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is suggests that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may affect peer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sibling structures. This study, which inspected the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based on sex and sibling structure, is meaningful in that it figured out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differs between father and mother and is related to peer relationships.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 207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아버지를 대 상으로 유아의 성별, 형제특성에 따라 부모가 인식한 부모자녀관계 수준 차이와 부모자녀관계와 또래관계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자녀의 성별이 남아인 경우 아버지와 어 머니가 인식한 부모자녀관계 인식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자녀가 여아인 경우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부모역할 만족이 높고, 부모참여도가 낮으며, 훈육에 대한 어려움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녀가 외동이거나 첫째인 경우는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둘째이하 자녀에 대해서는 부모참여와 훈육의 어려움에서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가 인식한 부 모자녀관계 수준은 자녀의 성별 및 형제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래관계는 여아가 남아 보다 긍정적 또래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제특성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아버지가 인식한 부모자녀관계는 여아의 긍정적 또래관계와 정적상관이 있고, 남아의 부정적 또래관계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녀의 성별에 따라 부모자녀관계가 또래관계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넷째, 외동자녀의 경우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과 긍정적 또래관계가 정적상관을 보이고, 형제 중 첫째 자녀는 아버지의 부모참여와 긍정적 또래관계 간에 정적상관이 나타나 형제특성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정도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는 성별과 형제특성에 따라 부모가 인식한 부모관계와 또래와의 관계성을 살펴, 부와 모가 동일 자녀에 대해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고, 혈연 외 처음 관계를 맺는 또래와의 관계와도 상관이 있음을 밝히고 있어 부모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원가족 부모의 기대일치와 존경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성인자녀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박영신,이영남,차연실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n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The two sub-variables for parent-children relations were meeting expectations of parents and respect for parents. For achievement, there were two sub-variables; occupational achiev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were 621 male adults, with an average age of 46.6-years-old. Park, et al.'s (2018) parent-child relation and achievement questionnaires and Bandura's (1995) resiliency efficacy questionnaire were utilized in this study. A reliability of Cronbach (α=.83∼.93) was found for the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rect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 on the achievements of adult-children. When the parents' expectations of their children were met by the adult-children, the greater the adult-children's occupational achievement. The more the adult-child's respected their parents, the greater their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adult-children's achievements. When the parents' expectations of their children were met by the adult-children, the greater the adult-children's self-efficacy, which in turn produced higher occupational and academic achievements. The results show that, in Korea,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up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appeared not only during adolescents, but also into their adulthood,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roughout the lives of Korean adults. Further research into the Korean indigenous psychology of parent-child relations, such as meeting parental expectations and respect toward parents, are suggested.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원가족 부모자녀관계가 성인자녀의 자기효능감과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원가족 부모자녀관계는 부모의 기대일치와 부모 존경을, 성취는 직업성취와 학업성취를 하위변인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은 성인 남자 62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6.64세였다. 원가족 부모자녀관계와 성취 변인은 연구자가 제작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Bandura(1995)의 어려움극복효능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측정변인들의 신뢰도는 양호하였다(Cronbach α=.83∼.93).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 부모자녀관계는 성인자녀의 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원가족 부모의 기대에 일치할수록 성인자녀의 직업성취가 높았으며, 원가족 부모를 존경할수록 성인자녀의 학업성취가 높았다. 둘째, 원가족 부모자녀관계가 성인자녀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원가족 부모의 기대에 일치할수록 성인자녀의 자기효능감이 높았으며, 높은 자기효능감은 직업성취와 학업성취를 의미 있게 증진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자녀관계가 자녀의 자기효능감과 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아동 청소년기만이 아니라 성인기에도 지속됨을 밝힘으로써, 원가족 부모자녀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기대일치와 부모 존경과 같은 한국인 부모자녀관계의 토착심리와 관련된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 일탈 청소년의 토착심리 탐구: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탁수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0 No.1

        This study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under probation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focusing specifically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 total 268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their parents and 251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e two studies. In the first study, qualitative results indicate that both groups of adolescents were most likely to trust their parents than any other person and reason for their trust is reported to be based on blood relationship. Similarly, majority of parents of both groups reported trusting their children because of the blood relationship. Parents hope that their children will be sincere a person and will be able to maintain harmonious social relationship. Parent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ere more likely to report disobedience as being most problematic, whereas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report providing social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s being the most difficult. In the second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e four groups and the following set of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erms of family backgrou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as lower, they are less likely to live with both parents or natural parents, and more likely to have ran away from home than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re less likely to trust their parents and more likely to view their parents as being hostile. Third, parent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ere less likely to trust their children, more likely to view their relationship as being conflictual and hostile, and feel that they had to sacrifice for their children when compared with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delinquency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일탈 청소년들이 갖고 있는 토착심리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1,038명이었으며, 보호관찰 청소년 268명과 그들의 부모, 고등학생 251명과 그들의 부모로 구성되었다.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집단별 부모관계에 대한 사회적 표상은,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모두 이 세상에서 가장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으며, 믿고 신뢰하는 이유로서 혈연관계가 가장 중요하였다. 둘째, 부모 집단별 자녀관계에 대한 사회적 표상은, 자녀가 보호관찰을 받는 일탈 청소년이든 학교를 잘 다니고 있든, 모두 혈연관계로 맺어진 자녀이기 때문에 무조건 믿는다는 생각을 과반수 의 부모가 하였다. 또한 두 부모집단 모두 자녀가 성실한 태도를 갖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도록 기대하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자녀 양육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의 내용에서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 부모는 자녀의 불순종을, 일반 청소년 부모는 자녀의 성적이나 대학진학 등 학업문제와 자녀교육을 뒷받침해야 하는 교육비 부담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두 집단에 대한 양적 자료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구조적 환경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은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가 낮았으며, 친부모가 아니거나,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에서 가출경험이 많았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관계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이 부모에 대한 신뢰가 낮았고, 부모의 양육태도를 더욱 적대적으로 지각하였다. 셋째, 부모가 지각한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의 부모가 자녀에 대해 더욱 낮은 신뢰를 보였다. 자녀 양육태도에서도 더욱 갈등을 느끼고, 적대적이었으며, 자녀 때문에 희생되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 일탈 청소년의 토착심리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가 시도되었다.

      • KCI등재

        부모의 관계적 기독교 영성과 그들의 자녀 양육 방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유치원생 연령의 자녀를 둔 복음주의 기독교인 부모들을 중심으로-

        신승범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0 No.-

        This quantitativ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Christian spirituality and parenting styles among evangelical Korean Christian parent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70 parents from 20 churches belonging to the denomination of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from 5 cities across South Korea.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used the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 (PSDQ) to measure parenting styles, the Spiritual Assessment Inventory (SAI) to measure relational spirituality, and the Asian Values Scale-Revised (AVS-R) to assess individual’s cultural values. This study found that parents who were aware of God’s presence in their lives were more likely than other parents to teach children spiritual disciplines in the home, to believe that their spiritual maturity could impact their parenting, to exercis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parental discipline more reasonably. This study also found that parents who recognized God based on who he is, not on what he does,were more likely than other parents to teach children spiritual disciplines in the home and to believe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God could impact their parenting. Parents who had a desire to make a positive impression on God were more likely than other parents who did not to teach children Christian practices in the home, to believe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God could impact their parenting, and to exercise a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could help parents recognize that their spiritual growth was related to their parenting. Additionally, pastors and Christian educators could help parents develop their spiritual maturity and Christian parenting by offering intentional programs or other resources. 본 연구의 주목적은 유치원생 연령의 자녀를 둔 복음주의 기독교인 부모들의 영성과그들의 자녀 양육 방식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영성은 하나님과의 관계로 정의되었다. 하나님은 삼위일체의 관계적 존재이시기에 그분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 역시 관계적 존재이다. 관계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스스로를 넘어 다른 사람과, 창조의다른 모든 부분들과, 그리고 궁극적으로 하나님과 의미 있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적 관점에서 부모의 영성을 이해하고, 부모의 영성, 즉 그들의 하나님과의 관계가, 그들의 자녀 양육 스타일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표본은 5개의 도시(서울, 대전, 전주, 부산, 춘천)로부터 기독교대한성결교회에 속한 20개의 교회로부터 추출되었다. 650개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601개가 회수되었다(회수율=92.46%). 이들 가운데 연구의 기준에 적합한 570개의 표본이 연구에사용되었다. 부모들의 영성을 측정하기 위해 Spiritual Assessment Inventory (SAI)가 사용되었고 그들의 양육 스타일을 평가하기 위해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s (PSDQ)가 사용되었다. 또한, 한 개인이 문화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는지를 측정하기 위해Asian Value Scale-Revised(AVS-R)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영성이 그들의 자녀 양육 스타일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의 삶 가운데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부모들은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자녀양육을 하는데 있어 그들의 영성, 즉 하나님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실제로, 가정에서 자녀들의 영성을 개발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양육방식에 있어서도 이러한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더 권위형(authoritative) 양육스타일을 사용하며, 훈육에 있어서도 더 이성적으로 자녀들을 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연구는 또한 좋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과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부모들이 그리고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나아가는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더 기독교적인 관점에서의 자녀양육에 관심이 많은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발견들은 그들의 영적인 성장이 그들의 자녀양육 방식과도 관련이 있음을 인지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발견을기반으로, 목회자들과 기독교교육가들은 부모들이 그들의 영성을 계속해서 개발하도록 그리고 바른 기독교적 자녀 양육에 대한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자료들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상관계 부모훈련 집단상담이 자녀관계 불안을 가진 어머니의 심리적응 및 자녀와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

        지효숙,황경열 한국재활심리학회 2014 재활심리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자녀관계 불안을 가진 어머니의 심리적응과 자녀관계 개선을 위한 대상관계 부모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부모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다. 연구대상은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복지관 내담자 중 자녀관계 불안을 가진 어머니 16명이다. 연구도구로는 부모의 심리적 자세, 분리-개별화, 부모역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자녀관계 검사지와 질적 분석을 위한 참가자 관찰기록, 목표 세우기, 목표달성 확인 평가해 보기, 회기 별 평가서, 프로그램 전체 평가서 및 참가 소감문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관계 부모훈련 집단상담이 자녀 관계불안을 가진 어머니의 심리적 적응(심리적 자세, 분리-개별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고, 자녀관계 불안을 가진 어머니의 자녀관계(부모역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녀관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자녀관계 불안을 가진 어머니를 위한 대상관계 부모훈련 집단상담은 어머니 자신의 심리상태를 정서적으로 통찰시켜 스스로의 문제행동과 감정을 이해시키고, 궁극적으로 자녀와의 관계를 변화시켰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성과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

        박균달 ( Park Gyun Dal ),이수영 ( Lee Soo Yo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7 사회복지경영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사이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친구관계를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양육태도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등이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쳤으나, 거부적 양육태도와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모양육태도가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애정적 양육태도, 거부적 양육태도와 친구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애정적 양육태도 친구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Sobel test 검증결과 Z값이 부모의 양육태도는 부모와 자녀와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와 자녀간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변인은 중학생 학부모의 자녀 교육프로그램과 부모-자녀 간에 중요한 요소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friendship,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 - chil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friendship. First, what is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friendship? Second, what is the impact of parenting attitudes on parent-child communication?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the friendship, but rejective parenting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did not affect the friendship. Second, parental open communication has an effect on friendship, but dysfunctional communication has no effect on friendship. Third,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ope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Fourth, parent - chil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affectional parenting attitude,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parent - child open communication, and affectional parenting attitude friendship. Fifth, the Sobel test result shows that the Z value affects parent - child communication and child's friendship. Therefore, open communication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hould be included as an important factor between parents' child education program and parent - child.

      • KCI등재

        중년자녀의 시각을 통해서 본 노부모와 중년자녀 간 교환관계에 관한 연구

        김은정(Eunjung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8 현상과 인식 Vol.42 No.4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부모와 중년 자녀 간 관계를 상호성을 중심으로 한 교환관계를 통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6-60세의 중년남녀 15명(남성 5명, 여성 10명)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중년 자녀의 시각을 통해서 본 노부모 자녀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부모와 중년 자녀 간 교환관계에서는 보상과 비용이 동시적으로 진행되기보다는 매우 장기적인 시간을 통해서 그 상호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노부모와 중년 자녀 간 관계는 장기간의 생애과정을 걸쳐서 일어나는 보상과 비용 관계이므로 라이프코스 퍼스펙티브를 기반으로 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 셋째, 한국 사회의 젠더관계는 부모 자녀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비혼 여성 자녀의 경우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부모 부양의 주체로 간주되고 있어서, 비혼화와 고령화가 함께 가면서 젠더 관계가 여성에게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노부모-중년 자녀 간 관계는 당사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 전체와 연관되면서 일어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중년 자녀는 노부모와 자녀에 대한 이중 돌봄의 책임을 맡게 되면서 갈등과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이로 인해 노부모 중년 자녀 관계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일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넷째, 노부모와 자녀 간의 교환관계는 부모의 연령이 높아지고 건강이 악화됨에 따라 부모가 자녀에게 크게 의존하게 되면서 교환관계의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어 간다. 이 경우 자녀들은 가족 외 돌봄을 택하면서 교환관계를 약화 또는 교환 관계로부터 퇴각하게 된다. 고령화 사회에서 가족 외 돌봄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므로, 향후 가족 외 돌봄에 대한 질 개선 및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aging parents and their middle-aged children in amazingly fast aging Korean society. 15 subjects (10 females and 5 males) aged 46 through 60 were interviewed to understand how they perceive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First, the exchange of resources between aging parents and their children has taken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us, the life course perspective, which addresses the long term development in a family, needs to better understand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enerations. Second, the patriarchal customs had an adverse impact on the unmarried female children; They were considered and pressured to be primary caretakers for their aging parents by not only the parents but also their married siblings. Forth,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parents and their children needs to be understood in a family as an organized whole rather than in a specific parent-child dyad. For example, middle aged children who had experienced the struggles from the double burden of care for both their own young children and elderly parents, would have decreased the amount of care for their parents to meet the needs of their own children. Forth, as parents were getting old and fragile, they became depend on their children, and thereby weak/vulnerable in the exchange relationship. The children tended to withdraw from the exchange relationship by adopting the non-family care, which had been long stigmatized in Confucian society. This study suggests the change of views on the non-family care to deal with the incredibly fast growing aging population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한부모가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정현,박정윤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청소년기 자녀가 긍정적으로 성장하고 발달할 수 있는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적 및 상담적 지원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패널자료 중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한부모 34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2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술통계분석 결과,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한부모들은 이혼 이후 부모-자녀관계가이혼 전과 비교해 큰 변화를 지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결과, 한부모의 소득수준이 높고,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이 많으며,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자녀와의 인터넷 사용 갈등이 적다고 지각하는 한부모는 부모-자녀관계의 변화를 더 긍정적으로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한부모와 청소년 자녀관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부자가족보다는 모자가족이, 한부모의 소득수준이높을수록, 한부모가 임시근로자 혹은 일용근로자일 경우,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자녀와 인터넷 갈등을 적게 느낄수록 한부모와 청소년 자녀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의 부모-자녀관계변화의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한 가족생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상담적 개입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support measures to provide a positive environment for the adolescent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to grow and develop. Method: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342 single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from the Single-Parent Families Survey Panel and analyzed it using SPSS 27.0. Results: First,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single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did not perceive significant change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fter divorce compared to before divorce.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ingle parents with higher income levels, spending more time with their children, experiencing fewer child-rearing difficulties, and having fewer conflicts over their children’s internet use tended to perceive more positive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adolescent children. Third,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ve influences of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changes in single parents’ relationship with their adolescent children and found that they perceived more positive changes in mother-child families than father-child families, as well as with higher income levels, temporary or day-to-day worker status, spending more time with their children, and experiencing less conflicts over children’s internet use.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change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single-parent families with an adolescent child. It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family life programs to help the familie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provide useful data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 KCI등재

        부모자녀관계중심 학부모상담모형 구안

        강진령,강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1

        Parents have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source in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parent counseling model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 and child that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student's adaptability to school life. To achieve the purpose, the principles of constructing a model, procedure, and component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 On the basis of these literature review, the parent-child relationship-focused parent counseling model was constructe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focused parent counseling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omponents: elements, structures, contents, and procedures as well as skills for each step. Each step is constructed to proceed in order of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children, setting goals, and practice.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focused parent counseling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was testified. In addition, more empirical studies are to be conducte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as well as to enhance its quality. 학교와 가정의 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 진로, 인성․사회성 발달을 돕기 위해 학부모와 학생 자녀의 관계증진에 초점을 맞춘 학부모상담 모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관계에서 도움이 필요한 학부모들을 위한 상담의 과정, 단계별 절차, 기법 및 전략 등을 설정하여 학교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부모자녀 관계에 초점을 맞춘 학부모상담모형을 구안하는 것이다. 모형구안을 위해 학부모 상담의 특성 및 부모자녀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학부모의 요구 및 실태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모형의 요소 및 구조와 내용, 단계별 절차와 기법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 가지 모형 도식과 상담의 과정을 제시하는 한편, 세부구조로는 자기이해, 자녀이해, 목표설정, 그리고 실행의 4단계로서 재순환 과정을 거치도록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된 부모자녀 관계중심 학부모상담모형의 현장 적용을 위한 다양한 개입방법에 대해 논의되었다. 또한 구안된 학부모상담모형의 효과검증을 위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와 모형의 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