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친구관계 비교 분석

        김의철,박영신,탁수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relationship with friends among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out any criminal record. A total of 510 respondents (253 adolescents under probation, 257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indicate that both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reported that they talk to talked to their friends when they were lonely, that they were comfortable when they are with their friends, and that they trusted their friends unconditionally. However, the two groups showed a difference in the place that they meet their friends.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re likely to meet their friends at Internet Cafe to play internet games, while high school students are likely to meet their friends near their school.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adolescents under probation had more friends who were expelled from school, who were under probation and who have been previously incarcerated. For adolescents under probation, compared to first time offenders, the repeat offenders were more likely to have friends who were under probation and who have been previously incarcerated. When discriminant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two groups can be distinguished by the number of friends expelled from school, number of friends under probation, and number of friends who have been previously incarcerated. For adolescents under probation, compared to first time offenders, the repeat offenders could be distinguished by the number of friends expelled from school, number of friends under probation, number friends who have been previously incarcerated, and number of times their partners in crime were under probation or incarcerated.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친구관계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총 510명으로서, 보호관찰청소년 253명(재범 51명, 초범 202명)과 범죄 경력이 없는 일반청소년 257명이었다. 분석결과,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 모두 괴로울 때 친구에게 의논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친구와 함께 있으면 편안하다고 지각하였고, 친구이기 때문에 무조건 신뢰하는 경향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친구와 구체적인 활동 장소 및 활동 내용을 보면, 보호관찰청소년은 친구와 주로 PC방에서 게임을 하고, 일반청소년은 주로 학교에서 같이 노는 경우가 많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또한 보호관찰청소년은 일반청소년보다 퇴학된 친구 수, 보호관찰 받은 친구 수, 소년원 경력이 있는 친구 수가 더 많았다. 보호관찰 경력별로 보면, 재범집단이 초범집단보다 공범친구가 보호관찰을 받거나 소년원에 다녀온 횟수가 더 많았다.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을 판별분석한 결과, 퇴학된 친구 수, 보호관찰 받은 친구 수, 소년원 경력이 있는 친구 수가 두 집단을 판별하는 매우 의미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재범 및 초범 보호관찰청소년을 대상으로 판별분석을 한 결과, 퇴학된 친구 수, 보호관찰 받은 친구 수, 소년원 경력이 있는 친구 수만이 아니라, 공범친구의 보호관찰/소년원 경험 횟수도 의미있는 판별변인으로 포함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사이버 자기개념, 자기효능감, 친구관계, 주관적안녕감과 학업성취도: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비교

        김의철,박영신,탁수연,김정희,오미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elf-concept in the cyberspace, self-efficacy, relationship with friends,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grade among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and those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A total of 1,057 adolescents (male=545, female=512), 326 from middle school, 361 from high school, and 370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onception of self in the cyberspace indicates that those adolescents addicted to Internet reported that in the cyberspace they have fun, followed by they are the same as in real life, they spend time in cyberspace and they can become an imaginary person. Those adolescents not addicted to Internet reported that in the cyberspace they are the same as in real life, followed by they spend time in cyberspace and they can become an imaginary person. When they play Internet games, majority of adolescents in both groups reported that it is fun, followed by they become engrossed and they become aggressive. Second, those adolescents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had higher scores on self-efficacy than those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including self-regulatory efficacy for learning, relational efficacy, and resiliency of efficacy. Third, the number of friends and close friends that adolescents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However, those adolescents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were more likely receive social support from friends and were less likely to be social excluded than those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Fourth, those adolescents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Fifth, those adolescents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academic grade than those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인식집단의 사이버 자기개념과 인간관계, 심리 행동특성을 이해하는데 주된 관심이 있다. 이를 위해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사이버 자기개념, 자기효능감, 친구관계, 주관적안녕감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최종 분석대상 수는 1,057명(남 545명, 여 512명)이었으며, 학교별로는 중학생 326명, 일반계 고등학생 361명, 특성화 고등학생 370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사이버공간에 있을 때 자기인식에 대해 질적 분석을 한 결과, 인터넷 중독인식집단은 재미있다가 가장 높은 반응률을 나타내고 그 다음으로 평소와 같다, 시간을 보낸다, 가상인물이 된다 등의 순서를 보였다. 반면에 인터넷 비중독집단은 평소와 같다가 가장 높은 반응률을 나타내고, 그 다음으로 재미있다, 시간을 보낸다, 가상인물이 된다 등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인터넷에서 게임할 때 자기인식으로는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 모두 재미있다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는데, 응답자의 반수가 이에 해당하였다. 그 다음으로 몰입한다, 거칠어진다와 같은 범주들이 포함되었다. 둘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자기효능감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관계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이 더 높았다. 셋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친구관계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친한 친구 수와 가까운 친구 수에서 모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비중독집단은 중독인식집단보다 친구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따돌림을 적게 경험하였다. 넷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주관적안녕감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훨씬 주관적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객관적 성적만이 아니라 주관적 성취지각에서도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김의철,박영신 한국건강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9 No.4

        This article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t home, school, work and leisure settings.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pproach, a total of 3,406 participants (1,331 adolescents 2,075 adults)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present authors. First, for the overall quality of life, factors that raise quality of life for adolescents are self-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For adults, they are financial security, self-regulation, and harmonious family life. Second, adolescents report higher levels of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also for the quality of life at home and leisure settings than adults. Third, males respondents report higher quality of life at leisure settings than female respondents. Fourth, those respondents with higher levels of achievement report higher quality of life. Within the home setting,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for both adolescents and adults are harmonious family relationships and financial security. Within the school setting,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r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in the work setting,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s harmonious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 adult sample, those respondents with a high level of achievement report their occupational achievemen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t work. Those respondents with moderate level of achievement report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ose respondents with low levels of achievement report financial security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for the leisure setting, adolescents report personal hobbies and adults report financial security as being the most important factor. 이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과 성인 세대의 삶의 질 인식과 관련된 토착심리를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청소년과 성인의 종합적인 삶의 질 뿐만 아니라, 하위영역으로서 가정생활과 여가생활에서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을 다루었다. 또한 청소년 경우는 학교생활에서 삶의 질을, 성인 경우는 직장생활에서의 삶의 질을 하위영역으로 추가하였다. 이러한 각 영역에 대해,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삶의 질 수준에 대한 지각의 차이를, 세대별 성별 및 성취정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3,406명으로서, 청소년 1,331명과 성인 2,075명이었다. 질문지는 연구자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자료는 2004년 4월-6월에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종합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서, 청소년은 자기조절, 학업성취, 원만한 인간관계가, 성인은 경제적 요인, 자기조절, 화목한 가정이 중요하였다. 둘째, 청소년과 성인은 삶의 질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청소년이 성인보다 가정생활과 여가생활 및 종합적인 삶의 질을 더욱 높은 것으로 지각하였다. 셋째, 성별로는 여가생활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남자가 여자보다 여가생활에서 삶의 질이 더 높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성취정도별로는 높은 성취를 하는 사람일수록 삶의 질을 높게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정생활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청소년과 성인 모두 화목한 가족관계, 경제적 여유를 대표적으로 지적했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는 친구관계, 학업성취였다. 성인의 직장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는 남녀 모두 원만한 인간관계를 대표적으로 지적했다. 직장생활성취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성취 상집단은 성취감을, 중집단은 원만한 인간관계를, 하집단은 경제적 요인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다. 여가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청소년은 다양한 취미생활을, 성인은 경제적 여유를 가장 많이 지각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