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다문화 부모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학교중심 다문화 부모교육을 중심으로

        김향은 한국문화교육학회 200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2 No.2

        최근 들어 국제결혼 가정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에 장기체류하는 외국인 근로자나 외국인 유학생, 산업 연수생 등의 숫자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우리 주변에서 우리와 다른 사회·문화적 배경을 지닌 다양한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요컨대 우리 사희는 이미 다인종·다민족·다문화 사희에 진입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 사희에는 단일민족 신화, 순혈주의 전통 등에 기초한 민족적 우월감과 타문화에 대한 배타성, 폐쇄성, 거부감 등이 뿌리 깊이 남아 있다. 그로 인하여 서로 다른 '차이'가 '차별'과 '억압'으로 이어지는 일이 벌어지고 있으며 사회 구성원들 간의 소외, 갈등, 부적응 등의 문제가 양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풀 수 있는 실마리를 '교육'에서 찾고자 하며, 교육을 통해 서로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바탕 위에 사회통합을 이루어 나가는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위에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서 학교중심 부모교육의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 최근 교육인적자원부의 지원 아래 시범적으로 실시된 바 있는 학교중심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토대로 그 문제점과 대책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즉, 본 연구에서는 가정, 학교, 사회 간의 유기적인 네트워킹을 통한 학교중심 다문화 부모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함으로써 효과적인 사회통합의 실천 방안으로서 학교중심 다문화 부모교육의 과제를 집중적으로 다뤄보았다. Korea already made its way into multicultural society. In our school, work, and neighborhood, it is not hard to find people who have different social-cultural background from us. Nowadays we see so many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employees and students from all over the world. However, our society is still very exclusive and closed to these people with different ra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We have serious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suppression, conflicts, alienation and cultural mal-adap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 counter-plan from the educational approaches for social integration. School-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uld be an appropriate means to settle this. In this study current status and tasks of school-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analyzed. Specifically, the concrete strategies to facilitate school-base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networking of family, school and the society were discussed.

      • KCI등재

        Q방법론을 활용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교육 경험 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김좌겸,황순원,이상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6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교육 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부모교육 경험에 대한 주관성과 그 특성을발견하여 부모교육의 후속 연구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2년 7월 28일부터 8월 30일까지 총 32일간 문헌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총 140개의 진술문을 도출했으며,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2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류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QUANL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교육 경험에 대한 유형은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 1은 부모교육이 부모의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고 생각하는 ‘부모교육 우선형’, 유형 2는 부모교육 경험 후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느낀 ‘교육필수형’, 유형 3은 부모교육이 부모자녀의 긍정적인 관계를 맺는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관계중심형’, 유형 4는 부모교육을 통해 부모개인의 변화를 강조하는 ‘변화우선형’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교육 경험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인식구조를 분류하여 확인하였으며,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부모의 자녀교육권에 대한 고찰

        김상현 ( Sanghyun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65 No.3

        1980년대 후반 민주화 이후 우리 사회의 많은 부모는 자녀교육에 대한 자신의 권리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으며, 더 나아가 그 권리를 행사하는 데에도 주저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한편 교육계 일각에서는 부모의 권리행사가 그 정도를 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부모의 자녀교육권에 대해 보다 명료한 이해를 하도록 돕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먼저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권을 정당화하는 철학적 논의들을 살펴봄으로써 부모의 자녀교육권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부모의 교육권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부모의 양육태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더 나아가 자녀 교육에 대하여 부모가 가지는 권리의 범위를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부모의 교육권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부모의 교육권은 자녀의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주어지는 권리이므로 자녀의 이익이 우선시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즉 부모는 자녀에게 생각, 태도, 신념 등을 주입하거나 비도덕적 방법으로 지배하고 통제해서는 안 되며, 부모의 교육권은 자녀의 흥미와 권리를 대변하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부모의 교육권은 자녀의 이익 즉, 자녀의 교육 받을 권리와 자녀의 행복 추구권, 자녀의 흥미, 선택권 등에 따라 존중되기도 하고 제한되기도 할 것이다. Since the democratization in the late 1980s, parents in South Korea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 parental rights over children’s education and they do not hesitate to exercise their rights. Although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parents’ educational rights for their children, there has also been growing confusion due to the lack of standards and understanding of the parental educational rights. In this circumstance, ‘students with long absences from school’ has lately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our society and explains the need of a closer look concerning parents’ educational rights. Certainly, investigation and supervision are necessary if student absence is because of child abuse. If that is not the case, that is, if parents are providing their children with some kind of education even though they are not sending children to schools, can we conclude that parents are neglecting their children? Can parents have the right to choose different methods other than a public education? Looking at a bigger picture, what are the limits parents have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To answer this question, the study has attempted both to discuss the justification of parental rights over children’s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scope of parental educational rights in South Korea.

      • KCI등재

        한부모 자녀의 가정 내 교육적 지원과 학교에서의 교육적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생의 교육적 경험의 매개효과 및 양부모 자녀와의 다집단 분석

        김현숙 ( Kim Hyeon Suk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3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 자녀의 가정 내 교육적 지원, 학교에서의 교육적 경험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생의 교육적 경험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이러한 구조적 관계에서 양부모 자녀와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2005 1~7차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1차에서 7차까지 한부모가족 및 양부모가족으로 유지되고 있으면서 2010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한 3,507명(한부모 310명, 양부모 3,197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21.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다집단 분석,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자녀의 수능성적, 가정 내 교육적 지원, 학교에서의 교육적 경험, 학생의 교육적 경험은 양부모 자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 내 교육적 지원과 학교에서의 교육적 경험이 수능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한부모 자녀와 양부모 자녀 모두 학생의 교육적 경험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효과를 통해 수능성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본 결과 한부모 자녀와 양부모 자녀 모두 학생의 교육적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집단 분석결과 가정 내 교육적 지원 및 학교에서의 교육적 경험이 학생의 교육적 경험을 경유하여 수능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은 양부모 자녀와 한부모 자녀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 자녀의 교육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a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support within the family and educational experience within a school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of single-parent childre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in single parent and two-parent childre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05(1rd)~2011(7th) of KELS2005. This study selected 3,507(310 from single parent families and 3,197 from two parent families) who have been single-parent families and two-parent families from the 1st to the 7th, and took the 2010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Data were examin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using AMOS 21.0, and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ingle-parent children were reported to receive lower levels at CSAT scores, educational support within the family, educational experience within a school and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than the two-parent children. Second,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di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the educational support within the family and educational experience within a school affecting CSAT scores regarding both single-parent children and two-parent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for total effect, the variable that most influenced the CSAT scores was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regarding both single-parent children and two-parent children. Fourth, multi-group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ngle-parent children and two-parent childre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uggested several plans to reduce the educational gap of single-parent children.

      • KCI등재

        코메니우스(Comenius)의 부모교육론이 현대 영유아 부모교육에 주는 함의 고찰

        이신영(Lee, Shin Young),김수현(Kim, Soo Hyu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코메니우스의 영유아기 부모교육론이 현대 영유아 부모교육에 함의하는 바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코메니우스의 저술 및 관련 논문을 통해 ‘태아기 학교(3단계)’와 ‘유아기 학교(6단계)’로 불리는 영유아기 부모교육론에 대해 고찰하였다. 태아기 학교의 제 1단계는 예비부모기로 임신과 출산 준비, 제 2단계는 부모준비기로서 성경적 관점에서의 ‘부모됨’과 아버지 역할, 제 3단계인 임신 및 태아교육기에서는 태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유아기 학교의 제1단계에서는 부모의 기독교적 신앙 준비, 제 2단계에서는 모유수유 및 영의 양식을 통한 자녀 양육, 제 3단계에서는 언어 및 신체교육의 중요성, 제 4단계에서는 감각교육, 제 5단계에서는 도덕심 및 신앙심, 제6단계에서는 취학 전 사회적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코메니우스는 이 모든 단계에서 부모역할을 강조해 부모 역할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현대 영유아 부모들에게 예비부모교육, 태교, 모유수유, 부모의 역할 및 양육태도의 중요성과 가정에서부터 발달단계에 적합한 영유아기 교육과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코메니우스의 부모교육론은 현대 부모들에게 자녀 양육책임감을 갖고 가정교육의 전문가로서 성장하게 하는 의미 있는 부모교육사상이라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menius’ thoughts on parent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of modern children. His thoughts on parent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as divided into prenatal schools and early childhood schools . In fetal school, it emphasized the preparation for healthy pregnancy and childbirth before marriage in stage 1, the role of the father as well as the mother from a biblical perspective in stage 2, and the importance of prenatal care in stage 3. In early childhood School, it emphasized the preparation of parent s faith in stage 1, children rearing through breastfeeding and christian education in stage 2, the importance of language and physical education in stage 3, the importance of sense education in stage 4, morality and christian faith in stage 5, and finally pre-school social education in stage 6. Comenius thoughts reminds parents who have difficulty performing their roles as parents, such as the importance of pre-parent education, prenatal education, breastfeeding, parental role and parenting attitudes, and the nee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suitable to the developmental stage from home. In conclusion, Comenius thoughts on parent education can be seen as a meaningful theory that enables modern parents to take responsibility for raising their children and grow as experts in home education.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정필연(Pilyeon Ju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있어서 부모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재효과의 일반화를 촉진하기 위해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언어장애아동부모를 대상으로 다양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이루어진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언어장애아동부모에게 실시한 부모교육이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능력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주제어를 통해 국내외 관련문헌을 검토한 후 연구의 포함과 제외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20개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부모교육을 통한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능력의 효과크기는 무선효과모델(random effect model)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결과: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언어발달장애, 발달장애 및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졌고,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유형은 Hanen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교육은 아동의 수용 및 표현언어능력, 문법, 주고받기, 반응성 등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상호작용능력에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언어발달장애, 발달장애 및 표현언어지체아동 집단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부모교육프로그램은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능력에서 모두 효과적이며 임상에서 부모교육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 Objectives: Par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ir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ve development. In order to facilitate the generalization of language intervention, parent training programs have been widely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metaanalys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extant literature on parent training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on both children’s and parents’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Method: Using Meta-Analysis (CMA2, Comprehensive Meta-Analysis-Ⅱ, 2005),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pproach was taken to analyze 20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and exclusive criteria of our research. Effect sizes for children’s and parents’ overall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were analyzed via the random effect model. Results: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Hanen Program was found to be the most utilized parent training program. Additionally, the general target population for parent training was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developmental disorders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s. Second, the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a parent train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grammaticality, turntaking, responsiveness, and parent interaction. Lastly, three groups,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developmental disorders and expressive language delay, benefited most from the parent training.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arent training programs are effective and helpful for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increasing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Thus, paren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in the field of speech-language clinics for the best communicative outcome.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지역사회 소규모 부모교육 참여 경험

        조미정(Cho, Mijung),염지숙(Yeom, Jis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1

        이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소규모 부모교육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러한 경험이 어머니로서의 삶에 어떤 의미를 주는가를 탐구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인 모카가 참여하는 부모교육 모임인 풀씨모임 관찰, 모카와의 대화, 연구자 저널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부모교육에 참여하면서 모카는 대화와 토론을 통해 경험을 공유하면서 양육문제를 해결하였고, 부모교육에 남편과 아이와 함께 참여하면서 가족을 더 잘 이해하고 지지하게 되었으며, 강의내용을 실제 양육에서 실천하였다. 또한 부모들의 자발적 모임인 자조모임에서 모카는 주도적으로 모임을 이끌며 개인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었다. 그러나 모카는 부모교육에서의 교육내용과 자녀가 다니는 어린이집에서의 상담내용이 달라 고충을 겪었으며, 자조모임에 소극적인 부모들과 갈등도 겪었다. 이러한 경험은 모카에게 부모교육에서의 배움을 사회적으로 실천하면서 자신의 행위주체성을 발휘하고, 풀씨모임 부모들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성찰적 자아를 구축하는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지녔다. 이 연구의 결과는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부모교육지도자 양성 프로그램 개발, 부모교육을 위한 정책개발과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a mother with young children while she was participating in a community-based parent education group.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ver 6 months through observations of the parent education meetings, conversations with Moka who was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and various research journal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arent education meetings, Moka solved parenting problems by sharing experiences through dialogues and discussions with the other parents. By participating in the meetings with her husband and two children, she came to understand and support her family better than before. She also tried to practice the theories from the lectures in caring f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through the self-help group, which consists of a voluntary group of parents, Moka was able to show her personal capabilities by leading the group. However, she faced difficulties because the principal of the daycare center that her children were attending shared different perspectives than those that she gained in parent education group. She also suffered from conflicts with parents who were being passive in self-help groups. Through these experiences, Moka had opportunities to exert her agency as a mother while practicing her new found knowledge from the parent education group into broader society and to build up a reflective self, based on her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parents in th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parent education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and policy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parent education.

      • KCI등재

        부모: 신앙교육의 주체인가?

        신승범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8 N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well Christian parents teach and pass on the Christian faith to their children. With Sunday school movements spreading, church and Christian educators have been considered fully responsible for children’s faith formation. However, recently, family and parents have been back in the spotlight once again as actors for education in faith and teachers of faith as well.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20 parents from churches belonging to evangelical denominations in Korea.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used the Family Faith Education Questionnaire in order to assess the teaching practices of Christian parents. The results found that there is a gap between parental awareness and practice. In fact, most parents consider family as a significant educational spot. It was also given that parents are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for children’s faith development.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parents are not doing well in teaching faith to their children. Additionally, other results found that mothers, younger parents, and highly educated parents are more likely to have an interest in children’s faith formation than fathers, the older generation, and lower educated par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리스도인 부모가 자녀의 신앙교육을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주일학교운동이 확산되면서, 교회와 사역자 또는 교사는 자녀들의 신앙형성에 전적인 책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가정과 부모가 각각 신앙교육의 현장으로 그리고 신앙의 교사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부모들의 신앙교육의 실제를 점검해 보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복음주의 교단에 속한 교회에 출석하는 420명의 부모들이다. 부모들의 가정신앙교육을 측정하기 위하여 5개의 하위변인, 즉 ‘교회교육관심도’, ‘가정신앙교육실행’, ‘교회교육만족도’, ‘신앙교육가치’, ‘교회교육연계’, ‘성경적양육’이 포함된 연구자에 의해 제작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앙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천에 괴리가 있음을 보여준다. 거의 대부분의 부모들은 가정을 기독교교육을 신앙교육의 중요한 현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게다가, 누가 자녀의 신앙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묻는 질문에 부모라고 응답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부모가 가정에서 자신에게 맡겨진 신앙교사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어머니가, 보다 젊은 부모가, 그리고 학력수준이 보다 높은 부모가 각각 자녀신앙교육에 더 많은 관심과 실행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모발달단계에 따른 기독학부모교육과정 연구

        박상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Traditionally,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understood as something that a Christian teacher teaches for Christian students. However, since an important main agent of Christian education is parents according to the biblical approach, curricula for Christian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through which Christian parents can nurture their children on the basis of Christian viewpoints should be central in Christian education. Especially, in this country where the importance of academic achievement is emphasized, a curriculum is necessary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specifically, rather than for Christian parents in general.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sign a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that helps Christian parents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and practice their own role as Christian parent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the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depen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parents, which are deep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age and stages of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a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arents proposed by Galinsky, in the light of the Christian parents’ relationship structures, including their relationship with God, their own self, their spouse, and their children, with education/study, with schools, teachers, and other parents, and with God's Kingdom. 전통적으로 기독교교육에서 있어서 교육과정은 교사가 학생에게 가르쳐야 하는 내용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의 중요한 주체가 부모이고, 부모가 자녀를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잘 양육할 수 있도록 부모를 세우는 부모교육과정은 기독교교육과정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더욱이 자녀의 학업이 중요시되는 이 사회 속에서는 기독학부모로서의 역할을 건강하게 감당하도록 돕는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그들을 기독교학부모의 정체성을 지니고 기독학부모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감당할 수 있도록 세우는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은 어떤 연령대의 자녀를 둔 부모인가에 따라 그 내용과 성격이 다를 수밖에 없다. 자녀의 발달에 따라 부모도 발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하는 자녀들을 기독교적 관점으로 올바르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부모발달단계에 맞는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이 개발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갈린스키의 부모발달단계에 근거한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을 제시하되, 기독학부모의 관계구조, 즉, 하나님, 자신, 자녀, 교육(학업), 가족(배우자), 학교(교사), 다른 학부모, 하나님 나라와의 관계에 비추어 교육내용을 제안한다.

      • KCI등재

        부모교육 참여정도와 기관만족도 및 교육공동체 인식 비교 연구: 유아 부모와 초등 부모를 대상으로

        이윤아(Lee, YoonA),박희경(Park, HeeKyung):정계숙(Chung, KaiSook),박수홍(Park, Su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본 연구는 유아 자녀를 둔 부모와 초등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공동체로서 유아교육기관 및 초등학교에 대한 인식, 부모교육 참여정도, 기관만족도를 살펴 보고자 한 것으로, B시와 K지역의 유아 자녀를 둔 부모와 초등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설문지는 유아 부모 대상이 총 544부, 초등 부모 대상이 총 422부이며, 빈도분석,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 부모는 부모의 학력과 월수입에 따라 교육공동체 인식에 차이가 있었고, 월수입에 따라 부모교육 참여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초등 부모는 학력과 월수입에 따라서 교육공동체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교육공동체 인식과 기관만족도는 유아 부모가 초등 부모보다 더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교육 참여정도는 유아 부모보다 초등 부모가 더 높았다. 넷째, 유아 부모는 교육공동체 인식과 부모교육 참여정도, 기관만족도 사이에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초등 부모는 부모교육 참여정도와 기관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육공 동체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institutional satisfaction between early childhoods’s par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It conducted surveys targeting early childhood’s par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in B city and K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finds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nd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ccording to their monthly income, which figures are from early childhood’s parents. Second, it shows meaningful figure about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Third, early childhood’s parents have higher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institutional satisfaction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Forth, it shows correlations which are the higher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higher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institutional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