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문화재 보존 윤리규범 제정을 위한 기초연구 -유럽과 미국의 보존윤리규범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이수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0 강좌미술사 Vol.35 No.-

        보존윤리규범은 보존전문가가 업무를 하는데 있어서 직무에 필요한 기초적인 인적 자질과 재료와 기법의 선택과 유물의 가치판단에 있어서 염두에 두어야 할 원칙들을 서술하여 논리적인 사고와 사유과정을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과서와 같은 역할을 한다. 각국이나 보존협회에서는 해당 문화재와 현실에 적용 가능한 윤리규범을 개별적으로 제정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한국문화재와 보존상황에 적합한 보존윤리 규범의 제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보존윤리규범의 제정에 필요한 기초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유럽과 미국에서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보존윤리규범의 내용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미국과 유럽연합 보존윤리규범은 보존가와 행위를 정의하는 데에 있어서 유사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반면, 내용과 체제구성방식에서는 차이점이 있다. 유럽연합 보존가 협회의 전문지침서 (I)에서 보존가와 보존행위를 정의하고 보존가로서 보존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자격과 능력을 갖추기 위해 받아야 할 교육과 훈련을 명시하였으며, 타 직업과 구분되도록 전문적인 측면을 규정하고 있으며, 실제 윤리규범은 전문지침서 (lI)에서 다루고 있다. 이에 비해 미국의 윤리규범은 (I)에서 보존가가 가장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윤리규범을 다루고, (II)에서는 (I)에 정의된 내용들을 세분화하여 설명하였으며, (II)의 각 항목들을 실제로 업무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주석에서 상세하게 지침내용과 원칙의 한계, 적용 범위 등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차이점은 지역별로 보존윤리규범의 적용대상 유물과 사회적 문화적으로 처한 환경이 다른 데에 원인이 있으므로 한국에서도 보존윤리규범 제정시 이러한 사안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제정될 국내 윤리규범에서 윤리규범의 조항들은 보존가들의 윤리의식과 책임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고, 업무에 있어 늘 마음속에 담아야 할 내용들로 구성하고, 직무규범과 주석에서는 실제하는 일의 각 과정과 상황별로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는데 지침이 될 만한 세부 내용들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윤리규범 내에 혹은 별도의 문서를 통해 보존가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적·학문적·기술적 능력을 제시하고, 지속적으로 능력을 향상시키고 신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규정들을 제정하여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at analysing two ethical guidelines of European Confederation of Conservator-Restorers`Organisations(ECCO) and American Institute of Conservation for Historic and Artistic Works(AIC) in order to provide a useful framework of establishing Korean conservationethics. The comparative analysis focused on two aspects: 1. definition of conservator(or restorer in few languages) and their professional works; 2. structures and description of ethical guidelines. In terms of definition, both guidelines of ECCO and MC stress `conservator`as a experienced and educated profession with special knowledge and skills to execute their works for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for the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Their professional works, according to the guidelines, includes conservation planning, scientific analysis, treatment, documentation, and preventive conservation. Both guidelines composed of three separate parts, yet the structures and the way of composing contents shares less similarities. ECCO`s professional guidelines describes code of ethics in the second part with simple description in defining principles whereas AIC`s one place code of ethics in the first part with overarching principles followed by guidelines for practice and commentaries with detailed explanation of each principles. Considering that ethical guidelines is not a set of rules to describe `to do` and `not to do` but a useful and applicable document to guide a conservator for a rational decision-making with a logical process of thought, Korean ethical guidelines should be descriptive similar to MC`s structure of guidelines. Before establishing it, it is necessary to invite lots of discussions of various experts and related professions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terminology for conservator and their works and defining the profession, responsibilities, and the range of works. The guidelines, in addition, should use encouraging language rather than controlling and compelling one.

      • KCI등재

        증거보존조치에 관한 세도나 지침에 관한 연구

        김도훈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20 IT와 법 연구 Vol.0 No.20

        미국 증거개시절차상 전자정보가 주된 대상이 되면서, 이에 대한 보존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자증거개시절차상 증거보존조치가 필수적인 절차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중요성에 비해 증거보존조치의 전제가 되는 보존의무나 증거보존조치에 대한 미연방민사소송규칙상 명시적 근거규정은 없는 상태이다. 즉 증거보존조치가 필수적인 절차로 인식될 정도로 활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법규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정하고 있지 않아 실무상 불필요한 다툼이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세도나 컨퍼런스는 증거보존조치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2010년 증거보존조치에 관한 세도나 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2015년 개정 미연방민사소송규칙과 2017년 수정된 전자문서 제출에 관한 세도나 원칙의 내용을 반영하고, 정보보호법규와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2019년 9월 증거보존조치에 관한 세도나 지침 두 번째 버전을 발표하였다. 증거보존조치에 관한 세도나 지침은 기본적으로 보존의무 발생시기, 보존대상, 그리고 보존의무 이행절차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특히 (1) 합리성과 신의성실 그리고 비례성, (2) 증거보존조치의 주기적 관리와 교육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 민사증거법상 증거개시절차가 없지만, 증거개시절차 도입을 논의 중에 있다는 점, 전자정보의 특성에 따른 유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국제적인 사건에서 증거보존이 요구되는 사례가 발생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증거보존조치에 관한 세도나 지침에 대해 검토해 볼 가치가 있다. 이에 본고는 증거보존조치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고, 증거보존조치에 관한 세도나 지침의 구체적인 내용과 우리 제도에의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자연보존』을 통해 본 1970년대 자연보전 논의의 변화

        원주영,현재환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24 생태환경과역사 Vol.- No.12

        기존 연구들은 1960~70년대 한국의 자연보호나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적 전환의 배경을 미국 과학자들의 ‘지식 전파’에서 찾으며 한국자연보존협회 소속 생물학자들의 자연보존 운동을 미국 중심의 “자연보전”(nature conservation) 논의를 일방적으로 수용한 결과로 이해해 왔다. 이 글은 협회의 대중계몽지인 『자연보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은 전파론적 서사에 문제를 제기한다. 1960년대 중후반 협회의 생물학자들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인사들과 교류하면서 “conservation”과 “preservation”의 차이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지만, 이를 “자연보존”의 한 방법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했다. 1970년대 초중반 국가권력과의 제휴 하에 대중 계몽 운동으로서 자연보존 운동을 추진하던 시기에 자연보존협회 인사들은 자연보존을 자연애호와 동일시하며 보존이라는 용어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했으나, 1970년대 후반 국가가 직접 관 주도의 자연보호 운동을 추진하면서 학술적 연구에 집중하는 단체가 된 자연보존협회의 생물학자들은 정부의 자연보호와 자신들이 추구하는 자연보존을 구별하며 자연보존을 학술적, 개념으로 새롭게 정의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학술적 활동으로서의 자연보존과 정부 주도의 대중 동원 운동으로서의 자연보호를 개념적으로 구별하는 과정에서 국가권력에 친화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독재 정부의 자연보전 정책을 비판할 수 있는 공간을 작게나마 만들기 시작했다. Through an in-depth examination of Chayŏnbojon Magazine, a popular environmental magazine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KACN, Han'gukchayŏnbojonhyŏp'oe) from 1968 to the present, this paper explores the evolution of terminology related to nature conservation in South Korea during the 1970s. Initially, KACN biologists used the terms “preservation,” “conservation,” and “protection” interchangeably under the umbrella concept of “pojon” (보존). However, in the mid-1970s, while promoting the Chayŏnbojon movement (자연보존 운동)— an environmental campaign financially backed by Park Chung Hee’s authoritarian regime—they continued this ambiguous usage of “pojon.” The shift began in 1977 with the government’s launch of the nationwide Chayŏnboho movement (자연보호 운동) and the announcement of the Korean National Conservation Charter in 1978. During this period, the KACN started to delineate a clear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pojŏn” (보전) and “pojon,” a distinction that the government also adopted. The KACN biologists defined “pojon” as their specialized domain, separate from the government-led Chayŏnboho movement, and began to criticize the government’s pro-development policies. Despite this criticism, by the 1990s, the KACN had to conform to the new definitions, resulting in the current usage where “pojŏn” translates to “conservation” and “pojon” to “preservation” in Korean.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se terminological shifts were closely tied to changes in KACN’s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goals, influenced by its political involvement and subsequent (relative) disengagement from the authoritarian regime in the 1970s.

      •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훼손상태에 따른 보존처리 상관성 연구

        이명성,전유근,이미혜,이재만,박성미,김재환,Lee, Myeong Seong,Chun, Yu Gun,Lee, Mi Hye,Lee, Jae Man,Park, Sung Mi,Kim, Jae Hwan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保存科學硏究 Vol.34 No.-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정기조사 이후에 많은 석조문화재가 보수 보존처리 되었지만 아직까지 훼손상태 및 등급에 따른 보존처리 기준이 모호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훼손유형 및 등급에 따른 보수 보존처리의 원인을 통계분석하여 석조문화재의 훼손등급과 보존처리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 석조문화재의 모든 훼손유형에서 3등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등급별로 보면 4등급은 풍화상태가 143건, 5등급은 생물영향이 61건으로 가장 많았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실시된 보존처리는 총 211건으로 집계되었다. 보존처리 유형은 표면세정(134건, 26.1%), 수지접합, 강화처리 등이 가장 많이 실시되었다. 석조문화재에 대한 직적접인 처리 이외에도 석조문화재의 보존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보호각 설치, 배수로 정비, 주변정비공사 등이 실시되었다. 보존처리율은 전반적으로 훼손등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성암석에 따라서는 변성암 및 퇴적암이 화성암으로 구성된 석조문화재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시대에 따라서는 삼국시대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축조된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율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최대훼손등급에 따른 보존처리율 살펴보면, 5등급에서 매우 높은 약 80%정도의 비율을 보이며 2012년에 보존처리된 석조문화재 수를 합하면 보존처리율은 더 높아진다. 이 결과는 향후 국내 석조문화재의 훼손상태에 대한 보존처리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priority criteria of the need of conservation treatment for stone cultural heritage, although many of them have been treated and restored over the past decade. This study approached the correlation between damage grade and the need of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damage diagnosis of stone cultural heritage carried out from 2001 to 2005. The number of Third-graded (from First to Fifth-grade) stone heritage in deterioration was the highest among state-designated stone cultural heritage. The Fourth-graded stone cultural heritage (143 in total) was mostly influenced by high physiochemical deterioration, whereas the Fifth-graded ones (61 in total) was dominantly affected by biological colonization. It was estimated that total 211 stone cultural heritage were treated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rom 2002 to 2011. They were usually cleaned (total 134, 26.1%), joined and consolidated, and maintenance works as shelter construction, drainage installation and surrounding cleaning were carried out for some of them. The number of conservation intervention increased with the high deterioration grade, and the case number of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By age, the stone cultural heritage in Three-kingdom Period were treated the most, and other heritage in Unified Shilla, Goryeo and Joseon showed an approximate ratio. The stone cultural heritage fallen in the fifth-grade in deterioration demonstrated the highest ratio, approximately 80% of conservation interven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define the emergency criteria for conservation intervention policy.

      • 참굴, Crassostrea gigas 발생배의 동해방지제 침지농도별 활성평가 및 냉동보존 효과

        정종균,장영진,임한규 한국발생생물학회 2010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9 No.-

        동물 생명체의 냉동보존 연구는 정자 및 알과 같은 단세포에서 발생배와 같은 다세포 냉동보존기법개발로 이행되어 왔다. 동물 배우자의 냉동보존에 대한 연구는 Polge and Roson (1952)의 가축배우자 냉동보존과 Shemen (1953)의 인간 배우자 냉동보존 시도가 그 효시였다. 한편, 발생배 냉동보존에 관하여는 Whittingham (1971)의 생쥐 발생배 냉동보존 연구가 최초로 이루어진 다음, 2~4세포기에서 포배에 이르기까지 발생배에 대한 냉동보존(Otoi et al., 1995; Carvalho et al., 1996; Dinnyes et al., 1996; Naitana et al., 1996; Im et al., 1997)과 쥐(Shaw et al., 1995), 소(Niemann, 1984; Im et al., 1997)의 발생배에 다양한 냉동률을 적용한 냉동보존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해양생물에 있어 어류나 무척추동물 발생배에 대한 냉동보존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로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패류발생배의 냉동보존의 연구는 종 다양성이나 연구항목에 있어 부족한 부분이 많다. 더욱이, 참굴과 같은 패류의 양식에서는 발생배의 대량 냉동보존에 의해 연중 종묘생산을 꾀하거나 선발 육종한 굴의 종 보존을 하기 위해 발생배의 냉동보존 기술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Tiersch (2001)의 버지니아굴에 대한 유생 냉동보존을 위시하여 Choi and Chang (2003)의 진주조개, Pinctada fucata martensii 유생의 냉동보존 연구 등이 있으나, 적정 동해방지제를 찾기 위한 동해방지제 침지실험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체계적으로 연구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조개류 발생배의 냉동보존기술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는 발생배의 냉동보존 시 초기발생 단계를 포함한 발생단계별 냉동효과, 침지실험에 의한 동해방지제, 평형시간 구명 및 최종적인 냉동보존 효과 파악을 위한 동해방지제에 따른 활성영향, 적정농도 및 냉동실험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참굴, Crassostrea gigas 발생배의 최적 냉동보존 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발생배의 동해방지제 침지농도별 활성평가 및 냉동보존 효과를 조사하였다. 2년생 양식산 참굴을 채란용 모패로 사용하였으며, 생식소절개법으로 채란․채정하여 얻은 수정란으로 실험하였다. 동해방지제별, 농도별 침지에 따른 참굴 발생배에 미치는 활성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인공해수(NaCl 2.7 g, KCl 0.07 g, NaHCO3 0.05 g, CaCl2 0.12 g, MgCl2 0.46 g, Milli-Q water 100 ㎖)를 희석액으로 하고, 여기에 dimethyl sulfoxide (DMSO), ethylene glycol (EG), propylene glycol (PG)를 최종농도가 0.1, 0.5, 1.0, 2.0 M이 되도록 혼합한 다음, 발생배를 침지하였다. 10분 경과 시 발생배로부터 동해방지제를 깨끗이 제거한 다음, 5분 간격으로 20분 동안 trochophore, D형유생의 생사 여부 및 운동성을 관찰하였다. 이때 광학현미경(×100)의 한시야에서 움직이는 유생을 다음의 유생운동 평가표에 따라 유생활성지수(larval activity index, LAI)를 산정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동해방지제별, 농도별 침지에 따른 참굴 발생배의 냉동-해동 후 생존율을 평가하기 위해, 전술한 인공해수를 이용하여 만든 0.2 M sucrose 용액을 희석액으로 사용하였으며, dimethyl sulfoxide (DMSO), ethylene glycol (EG), propylene glycol (PG)을 동해방지제로 사용하여 최종농도가 0.1, 0.5, 1.0, 2.0 M이 되도록 한 다음 실험하였다. 참굴의 trochophore 및 D형유생을 선택하여, 준비한 각 용액에 유생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침지한 후 0.5 ㎖ straw (FHK, Japan)에 넣고, 최초 온도가 0℃로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냉동기(삼원냉열엔지니어링, Korea)에서 냉동속도 -1℃/분으로 -12℃까지 냉각하였다. 이후 -12℃에서 식빙(seeding)한 다음, 다시 냉동속도 -1℃/분으로 또 -35℃까지 냉각하였다. -35℃에 30분 유지한 후, 유생은 즉시 -196℃의 액체질소통(MVE, USA)에 옮겨 보관하였다. 냉동보관 24시간 후 25℃의 담수에서 유생을 급속해동하여 여과해수로 희석한 다음, 광학현미경(×100)에 의해 섬모운동에 의한 유영과 심작박동 여부로 생존율을 조사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참굴의 발생단계 중 유생의 섬모운동을 시작하는 단계인 trochophore, D형유생을 사용하여 동해 방지제별, 농도별 침지에 따른 발생배에 미치는 활성을 관찰한 결과, 각 유생의 LAI는 모든 동해방지제의 0.1 M 농도에서 높았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LAI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동해방지제 침지농도에 따른 유생의 반응은 농도가 낮은 실험구에서 비대칭 나선운동이 멈추었으나, 농도가 높아질수록 섬모운동을 멈추고 움직이지 않는 채로 심장박동만 관찰되었다. Trochophore보다 D형유생을 사용한 실험구에서 전체적으로 LAI가 높아 D형유생을 사용한 실험구가 trochophore 실험구보다 동해방지제에 대한 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동해방지제 중에서 EG에 침지한 유생의 LAI가 다른 동해방지제보다 유의하게 높아, EG이 참굴 발생배의 냉동실험에 가장 적합하였다. 동해방지제별, 농도별 희석액 0.2 M에서 참굴 trochophore 및 D형유생의 냉동-해동후 생존율은 2.0 M EG에서 가장 높았으며, 유생의 생존율은 각각 63.0±12.3%, 88.8±4.3%였다.

      • KCI등재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 합리적 판단을 위한 제언 -회화문화재를 중심으로-

        이수정 ( Su Jeong L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1 No.-

        문화재 보존은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 판단에 근거한 사회적 행위이다. 그러므로 보존가는 문화재에 대한 물리적 개입 여부를 결정하거나, 그 재료·방법·절차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논리적인 사고과정을 통해 합리적인 판단을 내려야 할 의무를 지니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보존이 단순히 첨단의 과학적 장비를 동원하여 재질과 기법을 분석하고 전통 재료를 개발하여 사용하는 기술적 작업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국제적으로는 보존이논리적인 철학적 사유와 합리적 판단에 근거하는 행위로 그 개념이 전환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사고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보존이라는 행위에 대해서 보다 철학적 측면에서 정의하고, 회화문화재를 중심으로 보존 행위에 대한 당위성을 문화재가 지닌 다양한 가치와 의미에서 서술하였다. 먼저 회화문화재가 지닌 가치를 문화재보호법에 명시된 예술적·학술적·역사적 가치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것이 문화재의 보존처리에 대한 당위성과 어떻게 연관관계를 가지는지 논하였다. 그리고 앞에 서술한 문화재의 가치를 보존하는 것은 보존행위의 목표라는 측면에서 가치보존을 위해서 실제 보존처리 행위의 단계별로 재료의 선택이나 기법의 선택 등에서 보존가가 반드시 지켜야 할 사항을 보존가를 위한 윤리지침에 준하여 제언하였다. Conservation is a ``social process``, of which result is not being judged as right or wrong answer but a rational decision-based practice based on logical ground of thinking. Therefore conservators has responsibility to make a rational decision in choosing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conservation. Science-based approach which understands conservation is a technical practice with advanced equi[ments and scientific analysis has been deeply rooted in heritage conservation in Korea. Such approach has been challenged in western countries by recognising conservation which is totally derived from philosophical way of reasoning. Considering such change of attitude towards understanding and executing conservation, this study has dealt with they way how to make a rational decision in conservation of paintings. First I has described various values of paintings so that conservation can present a rational of their practice before making detailed hardware such as materials and techniques. As being stated that heritage values are artistic, historical, and informational values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of Korea, this has displayed various aspects and characteristic aspect of heritage values. Thereafter it has noted what conservators should carefully consider in choosing conservation materials and techniques based on the Ethical Guidelines for Conservation(2012). Finally it argues that conservators should have a logical process of thinking in deciding materials and techniques so that values of painting can be preserved and delivered to our next generations.

      • KCI등재

        북한 고구려 벽화고분의 미생물 분포 및 보존현황

        정용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4

        고구려 고분은 북한과 중국에 나뉘어 분포해 있다. 고구려 왕국은 BC 3세기에서 AD 7세기까 지 북동중국과 한반도의 반을 차지하였던 가장 강력한 한국의 고대 왕국의 하나이다. 2004년 중국 소주에서 열린 제 28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고구려 고분 가운데 63기의 고분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 었다. 고구려 고분군은 2004년 세계유산 등재이전부터 UNESCO, ICCROM, ICOMOS 등 국제기구 로부터 보존관리를 위한 기술 및 전문가 교육 등의 지원이 수행되었다. 1998년 북한의 요청으로 북한의 고구려고분벽화에 대한 일련의 조사와 보존활동이 시작되었고, 한국정부가 2000년부터 약수 리 고분의 보존을 위해 10만 달러를 UNESCO에 지원함으로써 이탈리아 등 국제 보존전문가에 의해 벽화고분의 과학적인 보존상태 조사가 이루어 졌다. 이후 2005년 7월19일부터 7월30일까지 남한의 고구려연구재단과 북한의 사회과학원 및 문화보존지도국 인원들로 구성된 고구려유적 남북공동조사 단은 평양 일대의 고구려 유적을 분단이후 첫 공동조사가 실시되었다. 특히 2006년 남북공동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 실태조사는 남한의 보존과학 전문가가 처음 참여하여 벽화고분의 보존상태 진단, 보 존환경, 벽화 안료분석 등을 과학적으로 조사하여 8기 벽화고분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를 확보하였 다. 이후 2007년 지속적인 고분 내 환경모니터링의 필요성에 따라 환경측정 장비설치 지원 등이 이루어졌으나 이후 추가적인 남북공동 조사 및 연구는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북한 소재 고구려 고분벽화의 미생물 분포현황에 대한 과학적 정보와 향후 국제적 공동보존방안 수립을 위해서 2006년 남북역사학자협의회와 국립문화재연구소가 공동 발간한 ‘남북공동 고구 려벽화고분 보존상태조사 보고서’ 에 수록된 결과 중 그동안 학회에 발표되지 않은 ‘고구려 벽화고분 생물⋅환경조사’ 결과를 정리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The ancient Goguryeo tombs are spread throughout North Korea and China. The Goguryeo Kingdom was one of the most powerful Korean kingdoms that occupied half of Northeast China and the Korea n Peninsula from the 3rd century BC to t he 7 th c entury AD. I n 2004, a t the 28th session of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held in Suzhou, China, 63 of these tombs were designated as World Heritage Sites. Previousl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ESCO, ICCROM, and ICOMOS provided technical and expert training support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uch tombs. In 1998, at the request of North Korea, a series of investigations and conservation activities began on the tomb murals, and in 2000, international experts began investigating the scientific preservation status of the Yaksu‑ri tomb murals wi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assistance of $100,000 provided to UNESCO. From July 19th to 30th, 2005, the Goguryeo Relics North‑South Korea Joint Investigation Team, consisting of members of the Goguryeo Research Foundation in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n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Cultural Conservation Guidance, conducted its first joint investigation of the ruins since the two countries were divided. The 2006 Inter‑Korean Joint Goguryeo Mural Tomb Preservation Survey was the first time that South Korean conservation experts participated in scientifically investigating the preservation status and environment of mural tombs and mural pigment analysis. This was to secure comprehensive data on eight tombs. In 2007, additional support for the installation of the necessary measurement equipment was provide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environments of the ancient tombs. Subsequently, no additional inter‑Korean joint investigation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mural paintings of the tombs and to help establish a future joint preservation plan this study summarizes and reports on the “examination of a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urvey of the Goguryeo tomb mural paintings” from the results of the 2006 Inter-Korean Joint Goguryeo Mural Conservation Survey Report, jointly published by the Inter-Korean Historians Association and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presented at academic conferences.

      • KCI등재

        보물 불랑기자포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

        유하림,이재성,박영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에서는 화기(火器) 발달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는 보물 불랑기자포의 전면적 인 보존처리에 앞서, 보존 상태 진단 및 적합한 보존처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과학적 조사를 선행했다. 형태 조사, 방사선 투과조사, 3D 스캔, 색차 분석으로 불랑기자포의 형태 및 보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과거 보존처리제로 사용한 코팅제의 완전한 제거 및 함침법을 적 용한 보존처리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불랑기자포의 크기 및 무게, 내부 밀도, 결함 등을 만족시키기 위해 각 과정에 충분한 반응 시간을 설정해야 하며, 취약성을 고려한 주의가 요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P-XRF, XRD, FT-IR 분석으로 조성 성분과 표면 오염 물을 확인한 결과 불랑기자포는 Cu-Sn-Pb이 주원소로 구성되었으며, 표면에는 내부 합금 원소 특성에 기인한 다양한 부식물이 검출되었다. 부분적으로는 내부를 침식하는 공식성 부식물이 발생하였으며, 이와 같은 내부 부식인자의 활동을 억제하고 잠재적 요인을 제거하여 안정성을 부여하는 보존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앞선 과학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한 보존처리는 ‘표면 오염물 제거-안정화 처리-강화 처리-복원-보존처리 후 조사 및 마무리’의 순서 로 이루어졌다. 각 과정에서는 색차 및 광택도를 측정하여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다양한 조사 결과와의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보존처리의 지표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a scientific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iagnose the conservation condition and establish an appropriate conservation treatment plans prior to comprehensive conservation treatment o f the B ullanggi J apo, t reasure which is c onsidered a valuable r esource in t he h istory o f firearms development. Morphological surveys, radiographic surveys, 3D scans, and color difference analysis confirmed the form and conservation status of the Bullanggi Japo, and it was judged that a conservation treatment method involving complete removal of the coating materials used in the past and the application of impregnation is require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sufficient reaction time should be set for each process to meet the requirements such as the size and weight, internal density, defects, etc. of the Bullanggi Japo, and care should be taken to consider vulnerabilities. In addition, P-XRF, XRD, and FT-IR analyses confirmed the composition and surface contamination, and identified that the Bullanggi Japo is composed of Cu-Sn-Pb and various corrosion products on the surface is attributed to internal alloying elements. Partly due to the presence of pitting corrosion products that erode the interior, it was determined that the conservation treatment is needed to inhibit the activity of these internal corrosive factors and eliminate potential factors to provide st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cientific investigations, the conservat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order: surface decontamination - stabilization treatment - consolidation - restoration – survey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and finishing. In each process, color difference and glossiness were measured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various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y are suitable for use as indicators of conservation treatment.

      • KCI등재

        文化遺産 保存의 槪念과 保存 理論

        강대일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6 보존과학회지 Vol.19 No.-

        우리나라에서 근대적인 개념의 문화유산 보존이 등장한 것을 일제 강점기(1910-945)이다. 당시 일본에 의해 도입된 문화 유산 보존의 근대적인 개념은 해방 후 손상된 문화 유산의 보수와 수리 등 실질적인 보존 처리에 치중하여 왔기 때문에 우리 실정에 알맞은 문화유산의 보존 개념과 이론이 정립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본고에서는 유럽, 일본,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conservation'에 관한 다양한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더 나아가 근대적인 문화유산 보존의 개념을 명확하게 하기위해 각 국 간에 'conservation'이란 용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현대 보존이론의 발달 과정과 그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 보존 원칙 및 윤리규범이 한층 더 발전할 것이며,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의 보존의 방향 또한 확고해질 것이다. Koreans began to undertake the conservation of their art and architectural artifacts approximately fifty years ago after modern concept of conservation were introduced by japane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1910-1945). But still the modern concept of conservation is not clear to many Korean conservators because they have been concerned about conservation techniques to recover the original from of the remains be destroyed. Also, Korean conservation practice has neglected the philosophical issues and ethics of conservation. So, in this article, I described various terms referring to 'conservation' which have been used in western countries, Japan, China, and Korea, and compare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o have more clear idea on the modern concept of conservation. In the next chapter, I summarized several theoretical issues which had been discussed among western conservators over the centuries. Specially, I described closely the modern issues and ethics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the twentieth century. As many conservation projects in Korea have resulted unsatisfactorily or been suspended altogether, because lacking a coherent theoretical dialogue on conservation and discussing an ethical issues of conservation. Therefore, I believe that more vigorous dialogue on these issues in Korea may lead conservators to consider their tasks in a more productive light, and the Korean artifacts may preserve well.

      • KCI등재

        전북지역 보존유적의 현황조사를 통한 활용성 및 개선방안 연구

        위광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4

        매장문화재의 보존조치 결정은 학술적, 역사적 가치에 따라 문화재청장이 결정하지만, 이전복원 후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접근성 및 활용적 측면에서는 재검토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에 보존조치된 29건의 보존유적에 대한 현황조사와 실사를 통해 보존 및 활용방안, 개선해야 할 부분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이전복원 방법의 기술적 문제점과 접근성 및 활용성의 문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의 부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전복원에 사용되는 재료와 보호각의 공학적 연구 등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하고,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보존유적을 도심지 유적 전시관 또는 박물관 등으로 다시 이전해 접근성과 활용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 중심의 보존 관리 체계가 구축되어야하며, 지정 및 등록 문화재에 준하는 제도적 개선을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보존관리 시스템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보존유적의 가치와 역사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The decision on conservation measures for buried cultural properties is made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ased on academic and historical value, but there are areas that need to be reexamined in terms of systematic preservation management,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after relocation and resto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ways to preserve and utilize, and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through a survey and inspec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29 preserved ruins in the Jeollabuk-do region.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technical problems with the previous restoration method, problems with accessibility and usability, and the absence of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is, new engineering studies on materials and protective angles used in restoration must be conducted, and accessibility and usability must be increased by relocating the variously distributed preserved remains to urban heritage exhibition halls or museums. There is. In addition, a country-centered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must be established, and a scientific and systematic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must be based on institutional improvements equivalent to designated an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is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value of preserved ruins and historical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