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구 이전용 에폭시 폴리머의 토양 침투도와 관련된 물성에 관한 고찰

        위광철,서정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9 보존과학회지 Vol.25 No.2

        유구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저점도 Epoxy인 SE-101의 토양의 입자 크기와 수분 함량에 따른 침투성과 전단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들을 이용하여 SE-101의 사용법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점도 데이터로부 터 충분히 예상되었듯이, 입자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침투도는 증가하였으나, 전단 강도는 감소하였으며 특히, 고분자의 불균일한 경화 속도와 내부 무기 첨가제에 따라서 침투도의 편차가 심하여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토양 내의 수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침투도와 전단 강도의 편차가 매우 심하여져서 동일 시편 내에서도 매우 취약한 부분이 생성되고 , 유구 이전 중의 파손 현상 발생도 예측할 수 있어 이전재의 침투 깊이의 50% 이상은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유구 전사 및 토층 전사 전용 우레탄 수지의 합성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위광철,서정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0 보존과학회지 Vol.26 No.3

        유구 전사용으로 수입되어 사용되는 우레탄 수지 NS-10을 대체하기 위하여 1 차 유구 전사용과 토층 전사용 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우레탄 수지는 NS-10과 비교하여 볼 때, 수분을 함유하는 토양에서 같은 침투력을 갖고 있으며, 유구 전사 시, 최종생성물인 에폭시 표면과 우레탄 pre-polymer 층의 박리에도 안정한 도막층을 형성하였다. 1 차 유구 전사용으로 사용될 우레탄은 NS-10과 같이 강한 인장 강도를 부여하고자 했으며, 토층 전사용 우레탄의 경우에는 역시 NS-10과 같은 인장 강도를 가지되 NS-10보다 경질성을 증가시켰다. 이 경질성의 증가로 인하여 토층 전사 후에도 토층 전사체 후면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었다. 최종적으로 합성된 우레탄 수지들을 실험실에서 제작한 압착 토양과 실제 유구와 유사한 토양에 직접 적용하여 본 결과, 기존에 사용하였던 NS-10과 비교하여 만족스런 침투력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전사체를 형성함을 보여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주는 우수한 전사용 수지였다.

      • KCI등재

        경기 지역 발굴 유적의 보존현황 및 보존방법에 관한 융합적 연구

        위광철,오승준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1

        This study started its research from the understanding that while the head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cides preservation methods according to academic and historical values of all excavated buried cultural assets, there is no legal regulations regarding the administration of the relocated/restored remains, resulting in the lack of administration, oversight and maintenance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 of buried cultural assets preserved at Gyeonggi area and seek the methods to improve them. In doing so, the study was able to identify 34 remains of buried cultural assets and 88 remains preserved at Gyeonggi area and of these, it conducted investigation on the remains with 44 relocations after dismantling, 43 replications and one after model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museums or exhibition halls where the main administration agent was clearly defined for relocated/restored remains, had own manpower for administration and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Secondly, in the event when the main administration agent was either unknown or vague, there was serious damage to the remains because of poor administ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the areas of defining the main agent clearly, fostering specialized manpower for preservation, development of standardized check manuals, systematic and periodic safety management and check, how to relocate and restore, and materials. What is most urgently needed for the present is to build a network to share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features of preserved remains and this study may become the basic material to this end. 본 연구는 발굴된 모든 매장문화재가 학술적, 역사 적 가치에 따라 문화재청장이 보존조치를 결정하지만 보존조치 결과에 따라 이전·복원된 유적의 관리에 대 한 법적인 규정은 없는 상태로 관리, 감독 및 유지보 수에 소홀하다는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 지역에 보존조치 된 매장문 화재의 현재 상태를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 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경기 지역의 보존조치 된 매장문화재 34개 유적, 88개 유구를 확인할 수 있 었으며, 이중 보존유형은 해체이전 44개 유구, 유구전 사 43개 유구, 모형제작 1개 유구로 이루어진 유적에 대해 조사를 이행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복원 된 보존유적의 관리 주체가 명확한 박물관 및 전시관 등에서는 관리를 위한 자체인력을 보유하고 있어 보 존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관리 주체를 알 수 없거나 모호한 경우에는 관리 소홀로 인한 보존유적의 손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명확한 관리 주체를 명시, 보존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양성, 표준화된 점검 매뉴얼 개발,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안전관리 및 점검, 이전·복원 방법 및 재료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가장 우선적으로 이행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보존조치 된 유구의 위치, 성격 등의 정보공유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며, 본 연구가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목공예품 보존용 송진 기반 에폭시 접착제 및 메움제의 제조와 적용성에 관한 연구

        위광철,한원식,오승준,Wi, Koang-Chul,Han, Won-Sik,Oh, Seung-Jun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0 보존과학회지 Vol.36 No.6

        송진을 기반으로한 2액형의 주제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접착제와 메움제를 제조하였다. 접착제 주제는 Maleic anhydride modified rosin에 epichlorohydrin을 반응시켜 epoxide group 이 형성되도록 제조하고 경화제는 상온 경화형 triethylenetetramine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접착제는 주제와 경화제의 비는 100 : 20이었으며, 메움제는 Filler를 혼합하여 주제와 경화제 모두를 점토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원액 접착제와 메움제는 우수한 접착 강도(3.06 MPa)와 자외선 조사에서 매우 안정한 결과(△E<sup>*</sup> ab 3.55, △b<sup>*</sup> 3.17)를 나타내어 기존 시판 복원용 접착제들에 비하여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 경화 완료 후에 acetone과 toluene 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되어 가역성을 갖는 재료로 볼 수 있어 복원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의 일부를 해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조된 접착제 및 메움제를 이용해 실제 목공예품에 적용하여 작업성, 안정성, 제거성 등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이용할 경우 다양한 분야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rosin-based epoxy resin and manufactured two components adhesives and epoxy putty using this epoxy resin. This study manufactured main element of adhesives for enabling it to form epoxide group by letting epichlorohydrin react to maleic anhydride modified rosin, and used room temperature curing type triethylenetetramine for hardener. The ratio between main element and hardener of of manufactured adhesives was 100 : 20, and main element and hardener of filling material were manufactured as clay type by mixing them with filler. Manufactured undiluted adhesives and filling material showed very stable result in the adhesive strength (3.06 MPa) and ultraviolet irradiation, showing outstanding result comparing to existing restoration adhesives. And it is considered a material having reversibility as it was dissolved in organic solvents such as acetone and toluene after being hardened, which showed a result that solved part of possible problems caused by restoration. As a result of use and application of manufactured adhesives and filling material for actual wood crafts, they showed excellent results in workability, stability, removability etc.,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aterial can be used for and applied to various fields.

      • KCI등재

        Bisphenol A계와 Diamine계를 이용한 도자기 유물 복원용 저황변 Epoxy 수지의 개발 및 물성에 관한 연구

        위광철,오승준,이해순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1

        Epoxy resins most widely used for pottery relics restore the disadvantage that causes high adhesion, low shrinkage, but meet conditions such as high strength restored as the time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due to yellowing of Epoxy resin itself has elapsed region sulfur change phenomenon the sh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gnificantly improved low-yellowing and durable materials to restore the yellowing problem of Epoxy Resin used for pottery artefacts recovered. Compared with Epoxy resins widely used in pottery it remains restoration materials AW106 HV953UⓇ, EPO-TEK 301Ⓡ, L30Ⓡ, XTR-311Ⓡ been used from the existing adhesion and strength while having the existing materials similar or improved properties restoration was to develop a material with almost no sulfur modified. The developed low yellowing Epoxy resin exhibited a DB-1, HB-1 adhesion to the total of species, tensile strength, hardness of the surface similar or superior properties than the conventional material, curing time, density, compressive strength similar to the original material Physical properties. Also, because the shrinkage strain occurs after curing is determined by the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replace the traditional materials. In particular yellowing, which has an Epoxy resins have been used in existing phenomenon results △ E * ab change the value of the color change amount is 10 to 26 represents the degree of the change amount, but when the low yellowing Epoxy resins developed 2 jong undiluted standard DB-1 is △ E * ab color change value is 8.3, HB-1 is reduced from 1 to 3.5 times yellowing than conventional materials to improve problems thereof was 7.65. 도자기 유물 복원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Epoxy 수지는 높은 접착력, 저수축, 고강도 등의 조건을 충족시키지만 Epoxy 수지 자체의 황변 현상으로 인해 보존처리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복원 부위가 황변현상을 일으키는 단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자기 유물 복원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Epoxy 수지의 문제점인 황변 현상을 대폭 개선한 저황변 및 내구성이 우수한 복원재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사용 되어온 Epoxy 수지 중에서 도자기 유물 복원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W106+HV953UⓇ, EPO-TEK 301Ⓡ, L30Ⓡ, XTR-311Ⓡ과 비교하여 접착력과 강도 등 기존의 재료와 유사하거나 향상된 물성을 가지면서황변성이 거의 없는 복원재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저황변 Epoxy 수지는 DB-1, HB-1 총 2 종으로 접착력, 인장강도, 경도 면에서 기존의 재료보다 유사하거나 우수한 물성을 나타냈으며, 경화시간, 비중, 압축강도는 기존 재료와 유사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경화 후 수축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기존 재료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 판단된다. 특히 기존에사용되어온 Epoxy 수지가 지니고 있는 황변 현상 실험 결과 △E*ab 색상 변화량의 변화 값이10 ∼ 26 정도의 변화량을 나타내고 있지만 개발된 2 종의 저황변 Epoxy 수지의 경우 원액기준 DB-1은 △E*ab 색상 변화 값이 8.3, HB-1은 7.65로 기존의 재료들 보다 1 ∼ 3.5 배 정도 황변 현상을 줄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 KCI등재

        셀룰로오스계 목재 추출 성분을 이용한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의 개발 및 적용 가능성에 대한 복합적 기반 연구 - 유근피 · 황촉규 · 도교 중심으로 -

        위광철,오승준,한원식,박민선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ed to improve one of shortcomings of synthetic PVAc adhesives potential physical harm and environmental hazards to the workers or their users. As a matter of fact, PVAc adhesives are currently mainly used because of their convenience and economy for the production of woodcraf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atural adhesives through research on natural adhesives in step with the current increase of societal attention to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rapid surge in their demand in the face of such problems. So, the study attempted research on the bases to develop natural adhesives for woodcraft, using cellulose extracts from wood - natural adhesive materia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natural adhesives showed the improved effect in the field of adhesive strength, a basic physical property by 0.2 - 4 times compared with the existing materials and the study confirmed they had the similar or stable pH value. Besides, they had good reversibility, demonstrating their basic physical property as a natural adhesive for woodcraft. While, their durability to ultraviolet ray degradation also showed an excellent result value being better by 1.5 - 8.5 times than the existing materials. The study expects natural adhesives with improved and better performances compared with the existing materials could be developed, if further research on adhesive strength, antibiosis, conservative property were to continue by developing refinery technology for cellulose extracts from wood and rendering the functionality to them. 본 연구는 현재 목공예품 제작 시 사용성이 편하고 경제적이라는 이유로 합성 PVAc계 접착제가 주로 사 용된다. 본 연구는 합성 PVAc계 접착제의 단점 중 작업자나 사용자에게 미치는 인체 안정성과 환경 유 해성 등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해보고자 하는 연구에 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이 대두되기 시작 하면서 친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수요 도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상황으로 천연 접착제에 대 한 연구를 통해 친환경 접착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따 라서 본 논문은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의 개발을 위해 천연 접착 소재인 셀룰로오스계 목재 추출물을 이용 해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반 연구 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 개발을 위한 기반 물성인 접착 강도에서 기존 재료 보다 약 0.2 ~ 4 배 증진된 효과를 보여주 었으며, 기존 재료와 유사하거나 안정적인 pH 값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수한 가역성을 나타내어 목공예용 접착제로서의 기초적인 물성은 확인되었으며, 자외선 열화에 대한 내구성도 약 1.5 ~ 8.5 배 우수한 결과 값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셀룰로오스계 목재 추 출물의 정제 기술 개발과 기능성 부여를 통한 접착 강도, 항균성, 보존성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 루어진다면 기존에 사용되어온 재료에 비해 성능이 개선된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한다.

      • KCI등재

        Diamine계 저황변 에폭시 수지의 충전제 배합에 따른 물성 변화 연구 - 도자기 유물 보존처리를 중심으로 -

        위광철,오승준,강효양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3

        Research on and application of fillers currently used for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have not been carried out properly in fact except for those of talc, plaster, diatomite and microballon. Moreover, the currently-used fillers are actually materials used after being mixed with the existing epoxy resin, and research on application of low yellowing epoxy resin developed in 2014 with a view to restoring cultural assets has been conducted rarely in deed. This study, by conducting comparative tests of low yellowing epoxy resin and the existing materials, aimed to examine merits and demerits when each resin and nine types of fillers were mixed. For this, the study selected three types of epoxy resins in the form of paste currently most used as materials to restore ceramic artifacts - CDK 520K(made by Sepoong Polymer), Quick wood(PSI), SV427+HV427(Hunts ma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aterial property after mixing Diamine epoxy resin and nine types of fillers, the study found epoxy resins mixed with following fillers showed the highest value: Adhesion, lime; tensile strength, wollastonite; hardness & yellowing, white clay; compression strength, red clay; wear rate, microballon. Especially in the area of wear rate, all the developed materials showed better results by 2-14 times compared with the existing materials, demonstrating themselves as materials with extremely excellent cutting force. And the study assessed that those materials, which showed no symptom of contract or transformation, with improved result on sticking in hand, could secure stability of artifacts. Yellowing - one of the biggest problems of the existing materials - showed the outcome of reducing some 1.5 - 26 times color change except material mixed with micro balloon, demonstrating those material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yellowing and could decrease fatigue of artifacts arising from material difference and re-treatment. Furthermore, as a result of applying them to actual ceramic artifacts, the study found that after hardening there was no contract and transformation and molding was done more easily compared with the existing materials. Along the way, those materials, preventing preservation experts from being tainted in hand, proved very effective for artifact restoration and secured stability as well as they didn't stick to the surface of artifacts. 현재 문화재 보존처리에 적용되고 있는 충전제는 탈크, 석고, 규조토, 마이크로바룬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연구 및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충전제는 기존에 사용되어오던 에폭시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해온 재료이며, 2014년에 개발된 문화재 복원용 저황변 에폭시 수지와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저황변 에폭시 수지와 기존에 사용되어온 재료들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각각의 수지와 9종의 충전제가 혼합되었을 때의 장ㆍ단점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현재 도자기 유물 복원용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에폭시 수지 중 페이스트 형태인CDK 520K(세풍폴리머 社), Quick wood(PSI 社), SV427+HV427(HUNTSMAN 社) 제품 3종을 비교대상으로 선별하였다. Diamine계 에폭시 수지와 9종의 충전제를 혼합해 물성을 확인한 결과 접착력은 석회, 인장강도는 규회석, 경도와 황변성은 카올린, 압축강도는 황토, 마모율은 마이크로바룬이 배합된 에폭시 수지가 가장 우수한 결과 값을 보여 주었다. 특히 마모율에서는 개발된 모든 재료가 기존 재료에 비해 약 2~14배 정도의 높은 결과를 보여주어 매우 우수한 절삭력을 나타내는 재료로 판단되었다. 또한 수축 및 변형도 일어나지 않고 손에 묻어나는 현상도 개선되어 유물에 대한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재료로 판단된다. 기존 재료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인 황변현상은 마이크로바룬이 혼합된 재료를 제외하고, 약 1.5~26배의 색상 변화량을 줄여주는 결과를 나타내어 재료의 황변현상을 개선하고 이로 인한 유물과의 이질감 및 재처리로 발생되는 유물의 피로도를 줄여줄 수 있는 재료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제 도자기 유물에 적용해 본 결과 경화 후 수축과 변형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성형과정에서 기존 재료에 비해 손쉽게 성형이 이루어졌다. 또한 보존처리자의 손에 묻어나지않아 복원작업이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유물표면에 묻어나지 않는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 KCI등재

        충북지역 매장문화재 보존조치 유적의 현황 및 보존방안에 관한 연구

        위광철,오승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9 보존과학회지 Vol.35 No.6

        Conservation measures for excavated and surveyed buried cultural heritages are decid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ir scientific and historic values. However, management, preservation, and use after relocation and restoration remain unsystematic. An issue regarding preservation plan and use has arisen due to the damage of preserved heritages and protective facilities.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lan for preservation and use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preserved heritages in the Chungbuk area.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43 preserved heritages in Chungbuk, most of which remain unmanaged systematically irrespective of the managing body. Remainder and protective facilities have been damaged due to wrong preservation treatments and selection of materials, and a problem also rises in terms of utilization, such as exhibition, education, and experience of preserved heritages. To improve such problems, a medium and long-term plan shall be established for the improve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instruments, securing of budget, increase in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ment of standardization and inspection manuals, continuous monitoring, preventive preservation, research on relocation methods and materials, listing, and the creation of specialized museum and complex theme park. If a preservation plan suited to the investigated heritages can be developed, heritages can be preserved and managed mor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and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like education, exhibition, public relations, etc. 발굴 조사 된 매장문화재는 학술적, 역사적 가치에 따라 문화재청장이 보존조치를 결정하 지만, 이전⋅복원 후 관리, 보존, 활용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보존유적 및 보호시설의 손상으로 보존방안과 활용도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충북 지역 보존유적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보존방안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충북에는 총 43개의 보존유적이 있었으며, 관리주체의 명확성 여부를 떠나 대부분 체계적인 관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잘못된 보존처리와 재료의 선정 등으로 인해 유구 및 보호시설이 훼손되어지고 있는 상태로 확인되었으며, 보존유적의 훼손으로 전시, 교육, 체험 등 활용성에서도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에는 법적⋅제도적 장치의 개선, 예산⋅전문 인력 확보. 표준화 매뉴얼 개발 및 적용, 지속적 모니터링, 예방보존, 이전 지료 및 방법 연구, 목록화 작업, 전문 박물관 및 복합 테마 파크 조성 등 중⋅장기적인 계획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또한 조사된 보존유적에 맞는 보존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존⋅관리가 이루어지면 보다 체계적⋅과학적으로 보존⋅관리되고 교육, 전시, 홍보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中國 西安 보존유적의 관리 및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위광철,김진우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1 지식융합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onservation sites and use cases of Xi'an, a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and to use them as basic research materials for future discussions on preservation of domestic excavation sites. A total of four historical museums Datang Xishi Museum, Hanyang Mausoleum Museum, Xi’an Banpo Museum, Emperor Qinshihuang’s Mausoleum Site Museum in Xi'an, China, were investigated and researched on preserved relics, artifacts and cutoff angles. First of all, it is believed that thorough administrative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will be necessary because local preservation principles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and cutoff angle construction and design require a lot of time, space, budget, and manpower. Second, a continuous repair work and maintenance system is required through periodic management and inspection, and if such a system is established, Visitors may view cultural heritage in its intact state, not in its damaged state and will also be able to extend the life of the preserved relics. In addition, the number of visitors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know- how on management of newly built conservation relics can be accumulated. Third, unlike the original functions, it is necessary to combine humanities and advanced science through national R&D and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to improve the cutoff angle design system, which is exposed to problems such as obstruction of viewing, damage to relics, and structural safety. If these requirements are improved, it is expected to convey more accurate information, secure viewing, and permanent preservation of the relics. In addition, if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re combined with various utilization effects, the existence of precious cultural heritages known to the world will be more shining through existing excavation surveys.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역사문화도시 서안의 보존유적지에 대한 현황 고찰 과 활용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국내 발굴 유적지 보존에 대한 논의 의 기초연구자료로서의 활용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은 중국 서안에 위치한 大唐西 市박물관, 漢陽陵地下박물관, 西安半坡박물관, 秦始皇兵馬俑박물관 총4개의 유적 박물관으로 내외부에 위치한 보존유적과 유물, 보호각에 대해 조사, 연구를 진행하 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와는 다른 중국의 매장문화재 현지 보존 원칙과 보호각 건 축 및 설계에도 많은 시간과 공간, 예산, 인력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가차원의 철 저한 행정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주기적인 관리 및 점검을 통한 지 속적인 보수작업과 정비체계가 필요하며, 이러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진다면 관람 객이 파손된 상태의 문화유산을 관람하지 않고 또한 보존유적의 수명도 늘릴 수 있 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람객의 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되며, 새롭게 구축되는 보존유적에 대한 관리방안 노하우가 축적될 수 있다고 판 단된다. 셋째, 본래의 기능과는 다르게 다양한 원인으로 관람 방해 요소, 유구의 손 상, 구조적 안전 문제 등의 문제점에 노출되어있는 보호각 설계 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의 R&D, 국제적 공동연구 등을 통해 인문학과 첨단과학이 융 합하는 연구결과물들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요구사항들의 개선을 통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안전한 관람, 유구의 항구적 보존 등이 이루어지고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더불어 다양한 활용 효과가 더해진다면 발굴 조사를 통해 세상에 알려진 소중한 문화유산의 존재가 더 욱 빛을 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