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세기 한국 환경오염사 서설

        고태우(Taewoo Ko)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23 생태환경과역사 Vol.- No.10

        20세기는 세계적으로 인구와 경제 규모의 성장 등 각종 사회경제지표의 규모가 급속도로 커진 대가속(Great Acceleration)의 시대였다. 이러한 추세는 현재도 지속되고 있다. 대가속은 인류 문명의 발전을 상징하기도 했지만, 불평등의 확산과 기후위기, 생태환경의 파괴 등의 대가속이기도 하였으며, 이는 인류사회 전반의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대가속의 어두운 면모를 보여주고 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역사학의 시도로서 생태환경사의 관점을 취한다. 또한, 대가속의 어두움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환경오염 문제를 한국의 사례에서 살펴보고, 대가속을 벗어나기위한 역사학적 성찰을 시도한다. 첫째, 20세기 한국 환경오염사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며 그 시기적 특징을 밝힌다. 20세기 전반 한국의 환경오염 문제는 식민지적 성격을 가졌다.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가 진행되면서 ‘오염의 대가속’이 본격화하였고, 1980년대 들어 ‘공해병(pollution disease)’의 확산이 상징하듯이한국의 오염 문제는 심각해졌다. 이후 1990년대 환경법이 정비되면서오염방지가 체계화했다. 동시에 환경오염의 글로벌화가 사회적으로 가시화하였고, 오염물질을 다수 배출하는 산업을 해외로 이전하는 ‘공해 수출(pollution export)’도 이뤄졌다. 둘째, 결론을 대신하여 향후 환경오염사 연구의 과제를 제시한다. 북한지역을 포함하여 오염 문제에 관한 시기별 공간별 다양한 사례 연구가 필요하며, 국제 관계 속에서 한국의 공해 문제가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주류 역사에서 잊힌 피해자의 저항과 활동, 생태계의 상황에 주목하는 아래로부터의 환경오염사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The 20th Century was the period of the Great Acceleration in which the size of socioeconomic indicators such as population and economic growth rapidly increased. Such a trend has continued until nowadays. The Great Acceleration symbolized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but it also led the widespread inequality, climate crisis, and destruc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that caused a crisis to the entire human society. This study shows a dark side of the Great Acceleration and a historical attempt to overcome the crisis i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history perspective. Moreover,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in Korea will be presented as a dark side case of the Great Acceleration and then endeavor historical reflection to break free from the Great Acceleration. Firstly, it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history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Korea in the 20th century and reveals its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Korea is characterized by colonialism. In the 1970s, industrialization of heavy chemical industry led to the “Great Acceleration of pollution,” and in the 1980s, the pollution problem in Korea became worse, as symbolized in the occurrence of pollution disease. Then, in the 1990s, environmental laws were established and pollution prevention was systematized. At the same time, the globaliz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became socially visible, and “pollution export”, the relocation of industries that emit a lot of pollutants overseas, was also carried out. Secondly, instead of conclusions, it suggests the challenges for future research in the history of environmental pollution. Various case studies by time and space on pollution problems including North Korea are needed, and the pollution problem in Korea should be reviewed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 history of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the bottom that pays attention to the resistance and activities of victims and the situation of ecosystems, forgotten in mainstream histories.

      • KCI등재후보

        최치원의 ‘생태환경’ 이해

        장일규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22 생태환경과역사 Vol.- No.8

        최치원이 살던 당시는 혼란의 시대였다. 이 글은 ‘생태환경’을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으로 상정하였을 때, 최치원이 당시를 ‘생태환경적’으로 어떻게 이해하고자 하였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최치원은 귀국 후 주로 불교 관련 저술에 힘썼다. 최치원의 생태환경 이해는 불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두어야 한다. 귀국 직후 왕명을 받아 사산비명 찬술을 완료하면서, 해 뜨는 곳인 신라에는 아침 해와 봄바람이 변함없이 존재하였고, 누구든지 호생과 교양을 중시하고 지켜나갔으므로, 결국 만물의 생성・성장이 원활히 이루어졌다고 주장하였다. 자연히 최치원의 생태환경 이해는 신라 산수를 바탕으로 삼고, 산수의 아름다움을 이루는 조건으로 아침 해와 봄바람을 강조하면서, 아침 해와 봄바람에 익숙한 신라 사람과 신라의 대지가 만물의 생성과 성장의 근원임을 강조한 것이었다. 다만 그는 신라 대지에 대한 관심을 신라 고유 정서의 부각으로 연관시켰다. 곧 ‘인’, ‘생’, ‘지’를 통해서 ‘도’와 ‘제화’, 그리고 ‘생화’를 부각하였고, 특별히 ‘생령’과 ‘물정’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생령은 백성이나 인민을 가리키고, 물정 역시 중생이 지닌 정서를 말한다. 자연히 ‘풍류’인 ‘접화군생’은 ‘무릇 세상의 주체인 각 생령들이 온전히 자신의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환경을 바꾸자’는 의미를 담은 것이었고, ‘풍류’ 역시 ‘바람 불 듯이 이러저런 당시의 상황’을 실상 그대로 강조한 것이었다. 최치원은 공자, 노자, 부처가 물정을 생각하고 아낀 것을 내세우며 신라 국왕과 신라 국가가 백성을 온전히 보전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최치원에게 ‘생태환경 이해’를 통한 ‘접화군생’의 강조는 당시 사회의 혼란을 수습하려는 또 하나의 사회개혁안이었던 셈이다.

      • 풍수는 친환경적인가 반환경적인가?

        김기덕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20 생태환경과역사 Vol.- No.6

        2006년, 문화관광부는 한국을 대표하는 ‘100개의 국가 문화 상징’을 발표했는데, 여기에 ‘풍수’가 포함되었다. 풍수가 선정된 이유는 ‘전통 환경사상, 선조들의 삶을 응축하는 자연생태, 전통최적주거입지론’이며, 최근 중국과 일본 외에 미국과 유럽에서도 이러한 시각은 확산되는 추세다. 이처럼 자연에서 파생된 친환경 풍수는 현대 한국에서 오히려 반자연적이고 반환경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향은 무덤의 조성과 관련하여 특히 두드러진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근거로 하여 풍수가 기본적으로 친환경적이라는 것을 밝힌 것이다.

      • KCI등재후보

        독일 생태운동의 역사

        박현정(Hyunjeong Park)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23 생태환경과역사 Vol.- No.10

        본 논문은 서독의 학생운동 이후 등장한 ‘신 사회운동 Neue Soziale Bewegung’(여성운동, 평화운동, 반핵운동, 환경운동)의 하나인 독일 생태운동의 시대적 흐름을 살펴보되, 당시 그들의 가장 중요한 주제였던‘핵무기와 핵실험, 핵에너지’의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당시 독일의 생태운동이 대부분 반핵과 평화운동에 집중되어 있고 당시이슈화된 방사능과 핵문제의 심각성과 부작용은 오늘날까지 여전히 시의적인 주제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1950년대부터 1990년에 이르기까지 핵과 방사능, 원자력을 둘러싼 일련의 사건을 중심으로 독일 생태운동의 역사적 과정을 추적하고자 하며, 마지막 맺음말에서는 이른바‘생태국가’로서의 위상을 자랑하는 독일 정치적 반핵운동의 현황을 고찰함으로써 논문의 의의를 정리하고자 한다. The German ecology movement was one of the ‘new social movements’ along with the women’s movement, the peace movement, the anti-nuclear movement, and the anti-war movement during the 1968 student movement in West Germany. Therefore the history of the ecology movement in Germany is closely related to the anti-nuclear movement and the peace movement. In particular, the seriousness and side effects of radioactivity and nuclear issues can still be seen as timely topics today.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s of nuclear weapons, nuclear tests, and nuclear energy from the 1950s to the 1980s. First, we looked at the 1950s in the early days of nuclear development, the 1960s when nuclear tests and the nuclear weapons industry accelerated during the Cold War, the 1970s when nuclear weapons confrontation intensified, and the 1980s when the Green Party was founded. In the conclusion of the thesis, it was described the current status of nuclear power plant facilities in Germany, a so-called 'eco-country', was compared with Korea.

      • KCI등재후보

        오만과 편견 – 레이첼 카슨의 투쟁과 유산의 재조명

        황희숙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22 생태환경과역사 Vol.- No.8

        살충제의 해악에 대한 레이첼 카슨의 주장은 책 이름과 연결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침묵의 봄의 내용 자체는 환경 사상을 다룬 연구에서 그 세부가 요약되거나 평가되는 일이 거의 없다는 점은 의아하기까지 하다. 이 글은 침묵의 봄이 출간된 이래 벌어진 상황들을 다루면서, 인간이 자연과의 관계에 대해 갖는 ‘오만’이 환경문제의 배경임을 밝히려 한다. 또한 카슨에 대한 ‘편견’의 뿌리를 분석하고 반박한 후, 카슨의 유산을 새롭게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카슨에 대한 오해와 비판의 일부는, 카슨의 과학-문학 혼종적인 글쓰기 방식과 미혼여성에 대한 당시의 편견에 기인한다. 카슨이 DDT의 전면적인 금지를 주장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카슨은 이해당사자인 화학기업과 응용곤충학자를 비롯한 과학자들의 공격을 받았다. 필자는 카슨에 대한 세 가지 공격 - 비전문성, 비과학적 내러티브의 사용, 말라리아 창궐의 책임자라는 비난에 대해 반박한다. 카슨이 비전문가라는 비판은 카슨의 해양생물학자로서의 경력을 감안하면 잘못된 것이며, 또한 과학계의 남성적 과학상과 과학자 이미지는 낡은 것이다. 내러티브의 사용도 과학에서 배척되어야 할 이유는 없다. 살충제에 대해 말라리아모기가 내성을 갖는 문제는 카슨 이전부터 지적되어온 것이며, 카슨은 오히려 ‘생물학적 방제’라는 대안을 제시했다. 침묵의 봄은 최초의 녹색 선언으로 이후 환경 사상과 운동에 그리고 전 세계의 환경정책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필자는 카슨의 유산을 세 가지로 정리했다. 첫째, 환경 인문학적 글쓰기의 모범사례이자 생태 소양(ecological literacy)을 배양할 텍스트로 침묵의 봄을 높이 평가한다. 둘째, 카슨은 단순히 살충제의 위해성을 지적했다기 보다는, ‘인간과 자연과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려는 더 큰 비전을 제안한 생태사상가다. 카슨은 생태중심주의(ecocentrism)를 보이지만 생물평등주의(biospheric egalitarianism)나 ‘동물의 권리’까지 선언하고 있지는 않다. 그것은 카슨이 급진적인 생태사상을 드러내기보다는, 대중의 환경운동을 고취하기 위해 온건하고 실용적인 주장을 펼친 탓으로 보인다. 셋째 카슨은 전문가와 정책결정자에 대한 비판을 통해, ‘시민과학’과 ‘과학 민주화(democratizing science)’를 선도한 사상가로 평가할 수 있다. 카슨의 침묵의 봄은 인간의 무지와 오만에 경종을 울리고, ‘인간과 자연의 새로운 관계 맺기’를 제안한 생태사상서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카슨 사후에 환경산업의 문제, 발암물질과 방사능 측정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로 인해 카슨의 큰 비전이 무색하게 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인간이 자연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인간의 ‘오만’도 여전하며, 카슨에 대한 ‘편견’도 계속되고 있다. 카슨이 옳았음을 역사가 증명해 주겠지만, 카슨이 주창한 ‘자연과의 화해’는 아직도 우리에겐 시기상조인 듯하다.

      • Forest and Power: East and West

        프랭크 외쾨터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18 생태환경과역사 Vol.- No.4

        대부분 인간의 역사에 있어서, 통치자들은 산림을 베어냄으로써 자신의 힘을 보여 왔다. 숲은 (중대한 군사적 가치를 포함한) 가치 있는 자원들을 제공해 왔고, 산림지대는 종종 통치체계에서 벗어나 있는 사람들을 위한 피난처였다. 그러나 중앙 유럽의 산림 관리는 달랐다. 그 곳에서는 삼림을 보호하려 했으며, 초기 근대 국가들은 산림의 주요한 보호자로서 힘을 행사하려했다. 국가적 통제와 과학적이며 미래를 내다보는 사용은 줄곧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의 대들보로서 기능했으나, 오늘의 발표는 유럽의 산림관리에 있어 좀 더 미묘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롭게 제시될 관점을 통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약속이 매우 불분명했으며, 훨씬 더 이해관계에 영향을 받았음이 그리고 다양한 부작용들이 있었음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농촌 주민들은 전통적으로 무상으로 취할 수 있었던 산림 자원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기를 거부 했다. 산림관리원들의 계산은 기대치 못했던 기상 현상과 수요의 동요로 인해 무가치하게 되었다. 산림관리원들이 숲의 사용을 관리하는 것으로부터 빠르게 성장하는 침엽수를 이용해 새로운 숲을 가꾸어 나가는 방식으로 옮겨갔을 때, 단일재배의 문제들이 확연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요컨대, 유럽의 숲 관리는 식민주의를 따라 지구화되기 이전에도 불분명한 프로젝트였다. 본 발표는 지속가능한 산림관리의 모순에 대해 논의할 것이며, 산림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가했던 일본은 좀 더 정교한 방식으로 산림을 보호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 17세기 후반~18세기 초 호속목 혁파와 재정 운영의 변화 -생태환경과 국제정세 변화를 중심으로-

        김동진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15 생태환경과역사 Vol.- No.1

        This study examines the abolition of the tiger skin penalty in 1724 (the 1st year of King Yeongjo) a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abolition of the system were satisfied. It was possible from the reduced supply of tiger and leopard skins due to the change of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 and the exemption of leopard skin tribute that Qing used to demanded. The tiger skin penalty system replaced the tributary payment of tiger skins, which was introduced under the pretext of removing harms for the people. Since the tiger skin penalty system was institutionalized officially, however, the opinions for its abolition and its maintenance confronted with each other. The debate over the abolition of the tiger skin penalty was resolved with the abolition of the system in 1724. With follow‐up measures on the offering of tiger and leopard skins to the king, the system was abolished completely in 1728 (the 4th year of King Yeongjo). This abolition of the tiger skin penalty has as its background the change of ecological environment in international wars in East Asia. As the population of tigers and leopards diminished i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farmland reclamation and the tiger hunting policy promoted in the Joseon Dynasty, the Qing Dynasty stopped demanding Joseon to pay leopard skins as a tribute to the emperor. This allowed the Joseon government to carry out the abolition of the tiger skin penalty. According to the good cause of Neo‐Confucianism as well, this measure would have practically helped petty peasants. After removing tiger skin penalty, the Joseon government maintained the system nominally by raising a fund for part of the price of tiger and leopard skins through Seonhyecheong (an office created to administer the Uniform Land Tax Law) and Hojo (Ministry of Taxation) and paying the fund to the king and others.

      • 중국 환경사 연구 현황에 대한 계량적·가시화 분석 연구

        쩡썬웨이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17 생태환경과역사 Vol.- No.3

        In this paper, I analyze the environmental history papers published in the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and analyze the authors, their journal articles, affiliated organizations, keywords, etc. for the 2484 papers published from 1983 to 2017 through the statistical and visual analysis. And it outlines the trends in China's environmental history researches for about 40 years, and aims to illuminate famous scholars, popular journals and key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Chinese environmental history research. The final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Since 2010, the environmental history research paper of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2) Professor Mei Shahechin of Tsinghua University is the most scholar who has the most relevant papers, but Baomao Hong is the most influential scholar of papers and has the highest number of citations. 3) The most influential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history research are Beijing Normal University, Nankai University and Yunnan University, and research personnel are mainly concentrated in the history of science. 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keywords, Chinese environmental history studies in the Chinese academic world have been ranked as the third place after the US environmental history and British environmental history. Among them, it is concentrated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by the times, and it can be seen that Yunnan was the most studied area by region. 5) The journals that published the most relevant papers are confirmed to be Historical Monthly.

      • 생태환경사로 농업사연구 지평 넓히기 -최덕경, 『동아시아 농업사상의 똥 생태학』(세창출판사, 2016) -

        서민수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17 생태환경과역사 Vol.- No.3

        The book called Manure ecology in the Agricultural History of East Asia is the achievement of endeavor to understand the study of social economics in the view of ecological environment. Although former social economic researchers had much interest in agriculture, they concentrated the explanation of social and functional changes according to an agricultural raise. But they didn’t pay much attention to the matter of nature and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just used to be cited as an object of development or conquest by human being to increase farming production or Introduced as historical background. The author, however, insisted that the process of feces into resources is not only the try of profit for agricultural production, but also the act of circulating resources among heaven, earth and man that make organic relations of ecology. He followed the grammar of existent social economists. At the same time he succeeded to trace the sprout of ecological seed in the farming of East Asia; i.e. the author broadened the horizon of research of agricultural history with that of ecological environment.

      • 중국의 생태환경사 연구동향

        안윤아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16 생태환경과역사 Vol.- No.2

        In China, the study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 History began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t became an academic discipline that attracts attention from the East and West academia. Since China’s reformation and opening door policy, the researches have developed rapidly. It reflects that China has serious problems on the environmental circumstances. These researches can make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pay more attention to the environmental issues. It has been established in harmony with the existing achievements of the Chinese historical studies. Due to the efforts of leading scholars on this area, the achievements of the West were introduced into Chinese and the environmental history books are being published in series since the 2000s. Some universities established research centers and institutes to study exclusively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