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완·대체 의사소통 조기 중재의 가능성 탐색과 중재 시 고려 사항에 관한 고찰

        한경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7 특수교육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on several myths and issues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early intervention through review of several researche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is never too early to introduce AAC into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the young children with high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disorder. Second, four components have effect interactively in the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of AAC use child. The four components are the nature of the AAC system, the linguistic knowledge and abilities of child, the role of the partner, and the nature of the communicative task and the instructional approaches employed. Third, it is need to develop of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ccepting multi-mode and facilitating the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of AAC use children. 국내에서 보완·대체 의사소통에 대한 적용과 연구가 이루어진지 근 20여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장애 유아의 조기 중재에 보완·대체 의사소통을 적용하는 것은 여전히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보완·대체 의사소통 조기중재에 대한 여러 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먼저 이러한 장애 유아에 대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조기 중재의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다음으로 보완·대체 의사소통 조기중재의 실제와 관련하여 보완·대체 의사소통을 사용하는 장애 유아의 언어습득 과정에 관련된 요인과 보완·대체 의사소통 조기 중재시 고려 사항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언어치료사들의 인식도 조사

        김혜영 ( Hye Young Kim ),송기범 ( Ki Bum Song ),최양규 ( Yang Gyu Cho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언어치료사들의 인식도를 설문조사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에 대한 개선점과 대책마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체 응답자 중 34%가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사용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지식 경로는 ‘정규교육을 통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보완대체의사소통 필요성은 사용경험이 있는 언어치료사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보완대체의사소통의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완대체의사소통 적용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장애영역은 뇌병변장애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시스템으로는 그림교환의사소통시스템이었다.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으로 가장 좋아진 부분은 ‘의사소통 측면’이었으며,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지원으로는 보완대체의사소통에 관한 지식과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 및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기회 제공이 가장 많았다.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전망으로는 ‘스마트폰/태블릿 PC’가 가장 높게 나타나 추후 어플리케이션형태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시스템 적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결과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시스템의 사용 유도, 인식의 전환, 제공 여건 마련, 사용 기회 확대 등의 대책마련에 도움이 되는 사항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on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AAC. Among the total 148 respondents of this study, 51 people, or 34%, replied that they experienced AAC. Those who experienced the use of AAC replied most that ` they are aware of it theoretically and used to apply it`. Regarding the AAC system that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experienced, PECS was found the most. All participants replied that` it is needed when verbal communication is not made possible. ` Most respondents wanted the support for knowledge about AAC and the technique to apply the communication to therapy,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relevant programs and they also replied that ` application will be useful`. As well, they forecasted that smart phones and tablet PCs would especially be used in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 활용 실태와 교사 인식

        전병운 ( Byung Un Jeon ),이지선 ( Ji Sun Lee ),김갑상 ( Gap Sa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정신지체 학교의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활용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5개의 정신지체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조사지 중 총 170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활용 실태에서는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를 활용하고 있지 않으나 필요한 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학급에 구비되어 있는 AAC도구 그림카드와 사진이 가장 많았으며 구비되어 있는 도구 중 활용 방법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미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셋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에 대한 교육을 받은 사람이 활용한 경험도 많았고, 그림이나 사진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넷째, 제작해본 AAC 도구는 사진/그림 카드와 의사소통 판이었다. 다섯째, 학교관리자들은 관심이 적은 편이었으며 학교 별도의 지침이나 안내, 예산편성은 거의 없었다. 교사 인식에서는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가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며 사회성 향상과 의사소통빈도 횟수의 증가를 기대하였다. 둘째, 보완·대체 의사소통 지도의 체계적 도입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 대한 교육 받을 것을 희망하였으며 사례나 전략에 대한 정기적 연수(교육)의 실시와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 활용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필요로 하였다. 넷째, 보완·대체의사소통 대화 상대자 교육이 매학기 1회 이루어져야 한다고 나타났다. 다섯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 활용의 가장 큰 방해 요인으로 교사의 지식과 경험 부족이라 하였다. Under the goal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utilizations and perception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mong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t a total of five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analyzed a total of 170 questionnaires collected. As for the findings regarding the utilizations of AAC, first, there were many students that needed an AAC system even though such a system was not in use. Second, picture cards and photographs were the AAC tools most frequently equipped at each classroom. Some AAC tools were not even used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the ways they were used. Third, those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an AAC system also had many experiences with it. and pictures and photographs were most utilized. Fourth, the teachers made such AAC tools as photograph/picture cards and communication boards first hand. Fifth, school administrators showed a little interest in AAC with schools providing additional guidelines or guidance about it. As for the teachers`` perceptions of AAC, first, they believed that an AAC system was helpful with communication and expected it to improve sociality and increase communication frequency. Second, they felt a need to systematically introduce AAC instructions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or it. Third, they hoped to receive education on AAC systems and exhibited the biggest need for regular in-service training (education) on cases and strategies and the methods to teach students how to make use of AAC tools. Fourth, they maintained that education on AAC partners should be provided once a semester. Fifth, they cited the teachers``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as the greatest obstacle to the utilization of an AAC system.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whether the utilization of an AAC system had improved for students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what the future tasks and directions were.

      • KCI등재

        특수학교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 사용 실태

        한현진,한경임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AAC systems among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 state of related intervention in different reg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77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in 41 special schools. They were se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volving Seoul, large cities and provi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the students who use AAC was less than the rate of the students who need ACC system. As for the disability type of the students who need AAC,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highest and next were students with cognitive disorders and students with emotion and autism. Second, most of teachers had little learning experience about AAC except of university class. Most of teachers acquired the AAC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Concerning the symbol of AAC aids, they gave top priority to ease of use, and regarding the selection criteria of aids, they placed the most significance on ease of feedback of AAC aids. Third, the students used more unaided AAC systems like signs and no tech AAC system like communication boards or books. But most of the students used them just at school or when they talked to their teachers. And most of them just used them as simple tools of communication. Concerning the financial burden for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AAC systems, the schools paid the most for that, and the parents spent a considerable sum of money on that as well. 본 연구는 국내 특수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것으로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분포한 특수학교 중 41개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초·중등 특수교육 교사 777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가 필요한 학생에 비해 실제 사용 하는 학생의 비율이 낮았다.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를 필요로 하는 학생의 장애유형으로 지체장애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정신지체 학생과 정서․자폐성장애 학생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지도는 담임이 가장 많이 하고 있으며, 특별히 정해진 교사가 없는 경우도 많았다. 교사들은 대학 학부 수업에서의 교육이 대부분이며 관련 정보는 인터넷을 통하여 얻고 있으나 서적, 동료, 판매기관 등 다양한 경로를 이용하고 있었다. 도구 보완·대체 의사소통에 사용할 상징은 사용의 편리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며, 보조도구의 선택 기준은 의사소통 피드백의 용이함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셋째, 학급에서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양식은 비도구 보완․대체 의사소통 양식이 대부분이며, 도구 사용의 경우 의사소통 판이나 의사소통 책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암 전문의와 가정의학 전문의의 비교: 인식, 태도 및 의사-환자간 의사소통

        정도범,장윤정,강세나,계수연,윤영호,이동률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1

        Background: Although, its efficacy is unclear, the applic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is increasing among patients worldwide. The physician's role is very important to help patients understand and use CAM proper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ttitudes and physician-patient communication of about CAM in two distinguished specialty physicians. Methods: A web-based survey was performed to list oncologists and family physicians in Korea between May 2007 and July 2007. E-mails were sent to total of 5,429 physicians and 547 physicians replied on survey (response rate: 10.1%). Of them, 500 participants comprising 174 clinical oncologists and 326 family physician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study questionnaire consisted of 26 questions including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M and intentions of introduction and education to their patients. Results: Of 500 physicians, males were 73.4%, and 82.0% were middle-aged 30-49. Family physicians had more interest than oncologists about CAM (79.5% and 57.5%, respectively). In addition to, family physicians preferred introducing CAM to their patients than oncologists (34.1% and 18.4%, respectively). Almost 85% of the oncologists and family physicians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introduce CAM to their patients. However, 60.2% of them had hesitated their practice because 70.3% of them did not have suffi cient knowledge in CAM. Both specialty physicians responded that usefulness of CAM information when regarding practice, should contain evidence-based evaluation (59.2%) and consensus guideline (37.0%).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physicians did not have sufficient information regarding CAM (87.2%). The result implies that evidence based information on complementaryand alternative medicine should be offered in the national level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연구배경: 보완대체요법의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환자들 사이에 보완대체요법의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증가하고 있다. 환자들이 보완대체요법을 적절하게 사용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의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 태도 및 의사-환자간의사소통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7년 5월부터 7월까지 이메일로 대한암학회(암 전문의)와 대한가정의학회(가정의학 전문의)에 속한 5,429명의의사들에게 웹 기반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총 547명이 회신하였다(응답률 10.1%). 그 중 암 전문의는 174명, 가정의학 전문의는 326명으로 최종적인 분석 대상자는 500명이었다. 설문지의 구성은 태도, 상담, 교육 의향 및 일반적인 특성 등을 포함하여 총 2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500명의 의사들 중에서 73.4%가 남자이고, 82.0%가 30대와 40대였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면 가정의학 전문의가 암 전문의보다 보완대체요법에 관심을 가졌고(79.5%, 57.5%), 실제로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환자와 상담하는것을 좋아하였다(34.1%, 18.4%). 암 전문의와 가정의학 전문의는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환자와 상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지만(85.0%), 그들 모두 보완대체요법을 잘 모르기 때문에(70.3%) 상담을 주저한 경험이 있었다(60.2%). 의사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환자와 상담할 때 유용한 정보로 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 평가(59.2%), 권고 지침(37.0%)이라고 응답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대부분의 의사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충분히 얻지 못한다고 나타났다(87.2%). 이 결과는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의사-환자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체계적인 근거중심의 정보를 국가차원에서 제공해야 함을 반영한다.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인식 조사

        신정미,이수향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6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4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awareness, comprehension, expectation) of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mong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Metho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utilizing previous research. They were composed of questions asking for general information and about perceptions of AAC. The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by mail, or online. A total of 112 questionnaires were chosen for analysis. Results: First, regarding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awareness level of AAC among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57 (51%) answered that they were aware of ACC, while 55 (49%) answered they were not. Second, parents were asked about their comprehension of ACC. Many parents answered negatively about AAC, saying “Yes” to statements such as ‘AAC should be applied in case of an absolute absence of verbal communication,’ and ‘AAC should be used on subjects beyond the minimum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Third, from questions regarding the expectations of AAC, the largest number of parents pointed to the capability of communication as the expected benefit of using AAC. Most of the participants expected that AAC would be effective in communication development.The largest number of parents pointed to the basic knowledge of AAC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parental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objectively showed that a number of parents were lacking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n AAC, while thei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could have benefited from the use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al education about AAC must be conducted more frequently.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인식을조사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설문지 개발은 AAC 인식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였다. 자료 수집은 수도권과충청권에 거주하는 중도장애 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모바일과 지면설문지를 통하여 112 건을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AAC 대한 부모 인지도에 관한 문항 중 AAC를 아는응답자는 57 명(51%), 모르는 응답자는 55 명(49%)으로 조사되었다. AAC를 알지만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구어 사용을 원해서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둘째, AAC 에 대한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이해도에 관한 문항 중에서, AAC 적용을 ‘현재 구어 의사소통이 전혀 없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다.’와 ‘최소한의 인지발달이 이루어진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것이다.’ 문항에 부정적으로 이해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셋째, AAC에 대한기대도 문항에서 많은 응답자가 AAC 사용이 의사소통 발달에 효과가 있을 거라고 기대하였다. 또한 가장 적절한 AAC 전문가로 ‘언어치료사’라는 대답이 많았다. AAC 안내 시제공받길 원하는 내용으로 AAC 치료 방법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향후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성화 방안으로 다양한 부모교육 실시를 기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이 필요한 중도장애 학생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모들이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부모교육의 내용 등을 제시함으로써 언어재활사가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시고려할 점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가 일반학생의 장애인식과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민경심,임장현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9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7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Students with autism exhibit a variety of verbal shortfalls and communication challenges which leads to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developing social relationships.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tervention can be utilized to support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ith autism.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aught how to use AAC appropriately; while their conversation partners also need to be trained on their roles and attitudes when communicating to people using AA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AC intervention on the entire inclusive clas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on the cognitive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and communic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with autism. Method: Inclusive class students were instructed through AAC to understand AAC. The study design used was a protest-posttest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autism, AAC intervention was offered through direct instruction. Comparison between communication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done through a single case pre-posttest design.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by elementary student. There was a positive impact on the general recognition of disability and the recognition of students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assigned to the inclusive class among the overall recognition of disability and sub-component. Seco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average incidence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in experimental. Similarly, the student was satisfied with his school life. Conclusion: It is noteworthy that AAC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tudent cognition of disability,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disabilities if it supports both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versation partners in the inclusive class. 배경 및 목적: 자폐성장애학생은 다양한 언어적 결함과 의사소통 문제를 보이는데 이는 학습 및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자폐성장애학생들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적용하여 의사소통하기 위해 AAC 사용자인 장애학생과 AAC를 사용하는 환경적인 측면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학생에게는 AAC 이해교육을 통하여 대화상대자의 역할과 자세를, 장애학생에게는 AAC 사용교육을 통하여 AAC 도구와 앱, 상징어휘를 교육하는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가 일반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통합학급 학생에게는 활동중심 AAC이해교육을 중재하고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장애인식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자폐성장애학생에게는 직접교수를 통한 AAC 사용교육을 중재하고 단일사례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통해 의사소통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변화하였는지 관찰과 비교를 하였다. 결과: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를 실시한 일반학생의 장애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적인 장애인식 및 하위영역 중 장애에 대한 보편적 인식과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의 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학교생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대화상대자 훈련을 포함한 통합학급 차원에서 AAC 중재가 이루어진다면 일반학생의 장애인 식개선과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통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의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장애아동을 위한 비구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최근 연구 검토

        이상희(Lee Sang-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4

          의사소통이란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서 태도와 생각, 사실과 정보를 전달하고 교환하는 상호적인 과정이다. 대부분의 비장애아동은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지만 의사소통 장애아동은 언어 외에도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비구어적인 의사소통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기능의 의미와 분류 체계에 관하여 살며본다. 둘째,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보완ㆍ 대체의사소통 기능에 관하여 살며본다. 셋째,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 전략에 관하여 살펴본다.<BR>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보완ㆍ대체의사소통을 통하여 특수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중재를 실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제시한다.   Communication is a mutual process of transmitting and exchanging attitudes, ideas, facts and information among two people or more. Most children without communication disorder communicate using the language but those with communication disorder attempt to communicate in very many ways in addition to using the languag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cent trend in non-verbal communication by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irstly, the sifnificance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communication functions, secondly,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unction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 thirdly, the strategy for mediation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BR>  Based on the study result, this study suggests basic data to conduct intervention effectively o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적용이 비구어 정신지체 아동의 발성에 미치는 효과

        전병운,이미애,권회연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8 재활복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AC between th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AAC mode on the vocalization to nonverbal student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The issue about relation between AAC and the vocalization of nonverbal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was important to construct the facilitative group including speech-language pathologist and to take the parent’s agreement. The participant was a elementary student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and the design for this study was ABACAD design adapted reversal design, the multiple treatment design. The experimental condition was changed untie the frequency of vocalization of nonverbal children was increased. The result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that only using the AAC mode decreased the frequency of vocalization but the intervention strategies like aided language stimulation increased the frequency of vocalization on student with nonverbal severe mental retardation.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그림의사소통상징, 음성출력장치, 보조언어자극 중재가 비구어 정신지체 아동의 발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동이 선호하는 학습활동시간에 언어치료사가 반전설계를 변용한 중다처치설계(ABACAD설계)를 적용하여 기초선 이후 중재방법을 변화시켰다. 연구 결과,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보조도구를 다르게 적용한 중재기간에서는 의사소통 요구를 표현하는 발성의 양이 증가되지 않고, 줄어드는 결과를 보인 반면, 구어모델링과 비언어적 의사소통기의 언어중재전략을 포함한 보조언어자극을 AAC와 동시에 사용했을 때는 발성의 양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발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의 구성요소로 의사소통도구보다는 중재전략이 발성을 증가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를 아동에게 적용하는 촉진자의 중재방법이 아동의 발성에 중요하다고 하겠다. 앞으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적용 시 중재전략과 촉진자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도구 개발 및 교사 지원에 관한 연구 조사

        박은혜(Eun Hye Park),김정연(Jeong Yeon Kim),김주혜(Joo Hy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0 No.1

        보완·대체 의사소통 교육은 아동의 장애가 점차 중도?중복화 되어가는 한국의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육적 요구와 필요가 증가하는 분야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전자의사소통도구를 국내 개발하지 못한 상태로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 의사소통교육이 필요한 장애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문제의 하나인 의사소통도구의 개발과 이와 관련된 지원에 관한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보완?대체 의사소통교육의 필요도, 교육에 필요한 의사소통도구 특성에 대한 요구도, 의사소통교육을 위한 교사지원에 대한 요구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가 장애학생의 보완?대체 의사소통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수자료 및 도구 개발의 방향 설정에 대해 시사하는 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has become a valuable instructional strategy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AAC intervention in Korea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ors' needs for AAC device development. Respondents were 272 special educators from various regions and different types of special school. The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the literature and feedback from related professionals. Results suggested a) the need for greater AAC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communication difficulties, b) the need for AAC supports for teachers in terms of knowledge, attitudes, and resources, and c) the strong need for domestic communication device development and produc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or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