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과 관절경적 전 · 후방 구획 변연 절제술의 임상적 결과의 비교

        천상진(Sang Jin Cheon),문규필(Kyu Pill Moon),서한얼(Han Eol Seo),강준호(Jun Ho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1

        목적: 중등도 이하의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의 수술적 치료 방법 중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과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주관절 골관절염으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과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 또는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을 시행 받은 46명 중 27명을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여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과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을 받은 16명의 환자를 1군,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을 시행한 11명을 2군으로 구분하여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최종 추시에서의 주관절 굴곡 및 신전관절 운동 범위(range of motion, ROM),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메이요 팔꿈치 성능 점수(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21개월(15-32개월)이었으며, 임상적 지표인 ROM, VAS, MEPS는 1, 2군 모두 수술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5), 두 군의 비교에서는 굴곡(p-value=0.001) 및 전체 ROM (p-value=0.011)가 1군에서 좀 더 유의한 증가폭을 보였으며 신전, VAS, MEPS는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은 수술 후 임상적 결과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굴곡 및 전체 ROM 향상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in patients with mild or moderate primary elbow osteoarthritis (OA).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were compared with that of arthroscopic both compartments debridemen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6, 46 patients diagnosed with elbow OA underwent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or arthroscopic anterior and posterior compartments debridement arthroscopic surgery. Of these, 27 patients were finally includ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the medical record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urgical procedure: group 1 (n=16) received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surgery, and group 2 (n=11) received arthroscopic anterior and posterior compartments debridement surgery. The elbow flexion-extension range of motion (ROM), visual analog scale (VAS),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were analyzed for the clinical outcome before surgery and the last follow-up visit after surgery.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1 months (15-32 months). All clinical outcomes (ROM, VAS, and MEPS) were improved after surgery compared to those before surgery (p<0.05) in both groups. Group 1 showed further improvement in flexion (p=0.001) and total ROM (p=0.011) than group 2.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nsion, VAS, and MEP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In patients with primary elbow OA,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compartment mini-open technique produced an excellent clinical outcome after surgery and was particularly helpful in increasing flexion and the total ROM.

      • 주관절 원발성 골성 관절염의 관절경적 전방 변연 절제술 및 최소 절개 후방 절제술

        김영규,문성훈,조승현,오원석,Kim, Young-Kyu,Moon, Sung-Hoon,Cho, Seung-Hyun,Oh, Won-Seok 대한관절경학회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1

        목적: 주관절의 원발성 골성 관절염의 치료로 관절경적 전방 변연 절제술 및 최소 절개를 이용한 후방 골극 절제술을 시행하여 이 술식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불응성 주관절 골성 관절염의 치료로 관절경적 전방 변연 절제술 및 최소 절개 하 후방 골극 절제술을 시행한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9개월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9세였다. 결과는 Andrew-Carson Rating Scale (ACRS)과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운동 범위는 굴곡 구축이 수술 전 $28.7^{\circ}$에서 수술 후 $17.9^{\circ}$, 후속 굴곡은 $105.1^{\circ}$에서 $121.8^{\circ}$로 증가하였다. MEPS는 51.1점에서 수술 후 87.9점으로 호전되어 우수 3예, 양호 13 예, 보통 3예를 보였다. ACRS는 92.9점에서 수술 후 168.2점으로 호전되어 우수 3예, 양호 14예, 보통 2예를 보였다. 1예를 제외한 전 예에서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이 이전 직업으로 복귀하였다. 결론: 불응성 주관절 골성 관절염의 치료로 관절경적 전방 변연 절제술 및 최소 절개 하 후방 골극 절제술은 동통 완화 및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되는 술식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골극의 재발이나 관절염의 진행 여부는 장기적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 of arthroscopic debridement of anterior compartment and mini-open resection of posterior osteophyte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osteoarthritis of the elbow.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3 and Feburary 2010, 19 cases who were performed arthroscopic debridement of anterior compartment and resection of posterior osteophyte through mini-open procedure for refractory osteoarthritis of the elbow were enrolle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9 months. Mean age was 49 years old.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scoring system of Andrew-Carson Rating Scale (ACRS) and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Results: In the range of motion, flexion contracture was improved from $28.7^{\circ}$ preoperatively to $17.9^{\circ}$ postoperatively, further flexion was improved from $105.1^{\circ}$ to $121.8^{\circ}$. In the scoring system of MEPS, score was improved from 51.1 points preoperatively to 87.9 points in last follow up, 3 cases had in excellent result, 13 good and 3 fair. According to the scoring system of ACRS, score was improved from 92.9 points to 168.2 points, 3 excellent, 14 good and 2 fair. Except one case, all cases returned to preoperative ordinary daily living activity and their own job. Conclusion: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osteoarthritis of the elbow, arthroscopic debridement of the anterior compartment and mini-open resection of posterior osteophyte would be helpful on pain relief and functional recovery of the elbow. But this procedure was required long term follow-up in aspect of recurrence of osteophytes and progress of arthritis of the elbow.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급성 심부 감염의 치료 결과

        양익환(Ick-Hwan Yang),박훈(Hoon Park),한창동(Chang-Dong Han),최종혁(Chong-Hyuk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6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급성 심부 감염에서 삽입물 보존 하에 관절경적 또는 개방적 변연 절제술의 치료 결과를 추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128명, 145예 중 8명 8예의 급성 심부 감염 합병증에 대하여 증상 발현 72시간 이내에 관절경 세척술 혹은 변연 절제술을 시행한 후 치료 결과를 평가하였다. 여자가 7명, 남자가 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3.9세(57-77세)였다. 결과: 전체 급성 심부 감염률은 0.55%였으며, 추시기간은 감염에 대한 치료 후 평균 3년 5개월이었다. Segawa분류에 따라 Type 2가 3예, Type 3가 5예 였다. 6예에서는 관절경 세척술과 항생제 투여로, 2예는 개방적 변연 절제술과 항생제 투여로 치료하였다. 항생제 투여는 3주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2예에서는 재발하여 재치료가 필요하였다. 세균 배양 검사 상 Staphylococcus aureus는 4예,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2예가 동정되었다. 최종 추시 시 평균 Knee Score는 86.4점이었으며, 만성감염, 삽입물의 이완이나 골용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급성 심부 감염에 있어 조기 발견이 이루어진다면 관절경적 또는 개방적 변연 절제술로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open or arthroscopic debridememt with a retention of the components for acute deep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2005, among 1282 patients, 1457 TKAs, 8 cases of acute deep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was retrospectively reviewd. A radiologic and clinical assessmen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treatment results. The mean age was 63.9 (57-77) years. One patient was male, and 7 were female. Results: The acute infection rate was 0.55%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1 months ( range, 30 months to 62 months). Using the Segawa classification, 3 cases were Type 2, and five cases were Type 3. Six cases were treated with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antibiotic therapy. Two cases were treated with open debridement and antibiotic therapy. Intravenous antibiotic therapy was administered over a 3 week period. There were 2 cases of recurred infection. In synovial fluid culture, 4 cases were positive to S. au reus, 2 cases were positive to S. epidermidis and no bacteria was found in 2 cases.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Knee Society Score was 86.4 points. There were no chronic infection, loosening or osteolytic changes in the implants. Conclusion: If an early diagnosis is made, open or arthroscopic debridememt with a retention of the components is a useful method for acute deep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 거골 박리성 골연골염의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과 다발성 천공술의 비교

        김경태,김진학,이송,최대정,조근호,전영원,Kim, Kyung-Tae,Kim, Jin-Hak,Lee, Song,Choi, Dae-Jung,Cho, Kun-Ho,Jeon, Young-Won 대한관절경학회 2005 대한관절경학회지 Vol.9 No.2

        목적: 거골 박리성 골연골염에서 관절경적 단순 변연 절제술과 다발성 천공술을 이용한 치료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9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거골의 박리성 골연골염으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한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29명(남자 21명, 여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4명의 환자는 변연 절제술(I 군)을, 15명의 환자는 다발성 천공술(II군)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34.4세(I군 33.8세, II군 37.5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43.2개월(I군 46.4개월, II군 40.1개월)이었다. 수술 전 단순 방사선 사진과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촬영하고 관절경을 통해 병변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였고, Ankle-hindfoot 점수와 주관적 및 객관적 기능 점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병변의 위치는 내측이 20예(I군 7예, II군 13예) 외측이 6예(I군 5예, II군 1예1)였으며 내외측에 모두 병변이 있는 경우가 3예(I군 2예, II군 1예)가 있었다. 병변의 진행정도는 Berndt 와 Harty의 분류상 II기가 4예(I군 4예, II군 0예), III기가 19예(I군 9예, II군 10예), IV기가 6예(I군 1예, II군 5예)였다. Ankle-hindfoot 점수는 술전 $53.9{\pm}5.2$점(I군 $53.1{\pm}2.7$점, II군 $54.6{\pm}6.8$점)에서 술후 $82.3{\pm}8.8$점(I군 $85.1{\pm}8.5$점, II군 $80.7{\pm}8.5$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주관적 및 객관적 기능 점수는 술전 $50.2{\pm}9.7$점(I군 $49.6{\pm}10.5$점, II군 $50.7{\pm}9.2$점)에서 술후 $83.8{\pm}8.6$(I군 $84.6{\pm}7.7$점, II군 $83.0{\pm}9.6$점)으로 향상되었다. 두 군 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과 다발성 천공술은 두 군 모두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두 군 사이에 임상적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 of symptomatic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treated with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multiple drilling.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7 and 2003, 14 arthroscopic debridement(group I) and 15 arthroscopic multiple drilling(group II) were performed. There are 21 male and 8 female patients. Mean age was 34.4 years(33.8 years in group I, 37.5 years in group II) an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3.2 months(46.4 months in group I, 40.1 months in group II). Simple radiographs and MRI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and the progressive stage of the lesions was evaluated through the arthroscopic surgery.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with ankle-hindfoot scale and scoring scale for subjective and objective functional outcomes.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2 groups. Results: There are 20 medial(7 in group I, 13 in group II), 6 lateral(5 in group I, 1 in group II), and 3 both-side(2 in group I, 1 in group II) lesion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erndt and Harty, there are 4 stage II(4 in group I, 0 in group II), 19 stage III(9 in group I, 10 in group II), and 6 stage IV(1 in group I, 5 in group II). According to the ankle-hindfoot score, the mean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53.1{\pm}2.7$ points preoperatively to $85.1{\pm}8.5$ points postoperatively in group I and $54.6{\pm}6.8\;to\;80.7{\pm}8.5$ points group II. Subjective and functional scores was also improved $49.6{\pm}10.5$ points preoperatively to $84.6{\pm}7.7$ points postoperatively in group I and $50.7{\pm}9.2\;to\;83.0{\pm}9.6$ points in group II.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m. Conclusion: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multiple drilling for the treatment of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showed successful result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 거골 골연골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

        이명진,김성수,왕립,이철원,유성곤,황진수,Lee, Myung Jin,Kim, Sung Soo,Wang, Lih,Lee, Chul Won,You, Sung Gon,Hwang, Jin Soo 대한관절경학회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2

        목적: 거골의 골연골 병변 환자에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의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7년까지 거골의 골연골 병변으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을 시행한 48예 중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8(38-108)개월이었고 남자가 22예, 여자가 10예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34(20-56)세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고 Berndt와 Harty의 방법으로 분류하였으며 전 예에서 관절경적 변연절제술 또는 미세골절술을 시행하였다. 미국정형외과족부족관절학회의 족관절-후족부 점수(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ale)와 Kaikkonen의 주관적 및 기능적 점수(subjective and functional score)를 이용해 족관절의 기능을 평가하였고, 관절경적 미세골절술을 시행한 22예와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10예를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족관절-후족부 점수는 술 전 53(${\pm}7$)점에서 최종 추시 84(${\pm}8$)점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001) 평균 주관적 및 기능적 점수도 술 전 55(${\pm}8$)점에서 최종 추시 88(${\pm}8$)점으로 술 전에 비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01). 병변의 심한 정도와 술 후 족관절의 기능 점수와의 연관성은 없었으며(P>0.05) 관절경적 미세골절술을 시행한 군과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군간의 결과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거골의 골연골 병변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골연골성형술은 환자의 만족도와 기능적인 면에서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변연절제술과 미세골절술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o report the treatment results of arthroscopic osteochondroplasty in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2 patients who had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treated with arthroscopic osteochondroplasty and were able to be followed up over 3 years from 1999 to 2007.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48 (38-108) months, and 22 male patients and 10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34 (20-56) years were included. Locations of lesion were evaluated with simple X-ra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severities of lesions were classified by Berndt and Harty classification. All cases were treated by arthroscopic debridement or microfracture. The treatment results were assessed by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ale and subjective and functional score of Kailkkonen. The group treated by arthroscopic microfracture was compared with the group treated by arthroscopic debridement. Results: The mean AOFAS ankle-hindfoot scale was significantly improved 53 (${\pm}7$) points preoperatively to 84 (${\pm}8$) points postoperatively (P<0.001). The mean subjective and functional score was also improved 55 (${\pm}8$) points preoperatively to 88 (${\pm}8$) points postoperativ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t (P<0.001). There were no relations between the severity of lesions and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score of ankle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esults between the group treated with arthroscopic microfracture and the group treated with arthroscopic debridement (P>0.05). Conclusion: Arthroscopic osteochondroplasty of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shows excellent result in terms of patients' satisfa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esults between arthroscopic microfracture group and debridement group.

      • KCI등재

        족관절의 골관절염에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

        이진우(Jin Woo Lee),최철준(Chul Jun Choi),한승환(Seung Hwan H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목적: 족관절 골관절염에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의 치료효과를 평가하고, 예후 인자 및 적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족관절 골관절염 환자 중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을 시행한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추시 기간은 평균 16.2개월(12-36)이었다. 성별은 남자가 18명(66.7%), 여자가 9명(33.3%)이었고 연령 분포는 평균 50.0세(20-71)였다. 수술 전 방사선학적 평가는 기립 상태에서 촬영한 족관절의 전후면 사진을 판독하여 Takakura 등의 방법에 따라 4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수술 전과 마지막 추시 시 AOFAS ankle-hindfoot scale을 측정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분류는 Ⅰ군이 6예(22.2%), Ⅱ군이 14예(51.9%), Ⅲ군이 4예(14.8%), Ⅳ군이 3예(11.1%)로 Ⅱ군이 가장 많았다. 전체 환자의 AOFA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59.1±16.7점에서 수술 후 66.5±24.3점으로 측정되었다. 방사선학적 분류에 따른 각 군별 수술 전후의 AOFAS 점수는 Ⅰ군과 Ⅱ군에서 Ⅲ, Ⅳ군 보다 더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전방 골극이 없던 예와 관절 내 유리 체가 있었던 예에서 AOFAS 점수가 더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수술 후 최종 추시 시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우수가 1예(3%), 양호가 13예(48%), 보통이 5예(19%)였으며, 불량이 8예(30%)로 나타났다. 결론: 족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은 수술 전 소견상, 관절이 정상 정렬을 보이면서 관절 연골이 어느 정도 보존되어 있는 Takakura 병기 제 Ⅰ군과 Ⅱ군에서 수술 후 좋은 결과를 보여 경도의 골관절염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수술적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debridement in osteoarthritic ankle and prognostic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 2001 and Mar. 2004, twenty-seven patients who had an osteoarthritic ankle disease were managed by arthroscopic debridement.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0.0 years (20-71) and the mean follow-up after operation was 16.2 months (12-36). There were 18 men (66.7%) and 9 women (33.3%). The preoperative radiographic finding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Takakura et al. Preoperative AOFAS ankle-hindfoot scal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ere checked at the last follow-up visit,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In radiological evaluation, stage Ⅰ was 6 cases (22.2%), stage Ⅱ was 14 cases (51.9%), stage Ⅲ was 4 cases (14.8%), and stage Ⅳ was 3 cases (11.1%). The mean preoperative AOFAS ankle-hindfoot scale was 59.1±16.7 and improved to 66.5±24.3 at last follow-up. Especially, in stage Ⅰ, preoperative AOFAS score was 69.3±18.7 and improved to 74.3±29.7, and in stage Ⅱ, preoperative AOFAS socre was 63.0±9.6 and improved to 77.1±12.9. But in the stage Ⅲ and Ⅳ, preoperative scores were not improved. The preoperative radiographic findings correlated with the outcome at the last follow-up time (p<0.05). The group with loose body and the group without anterior osteophyte showed better AOFAS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groups. In subjective satisfaction, excellent or good results were achieved in 14 cases (51%). Conclusion: We suggest that arthroscopic debridement is an effective treatment in which preservation of alignment and reasonable articular cartilage can be achieved.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급성 심부 감염의 관절경적 치료

        하철원(Chul-Won Ha),유건식(Kun-Sik Yu)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2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급성 심부 감염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결과를 평가하고 성공적인 치료를 위한 지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 감염으로 본원에서 치료를 받은 16예 중 관절경적 변연절제술을 받은 7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관절경적 치료의 적응증은 방사선 사진에서 안정된 치환물을 보이며 감염의 증상 발생기간이 만 72시간 이내로 정하였다. 일차 관절경적 치료 후 이학적 검사 및 정기적인 C-reactive protein (CRP)추시 검사로 이차 수술의 필요성 및 방법을 선택하였다. 최종 추시까지 감염의 재발이나 재수술이 없는 경우를 성공적인 치료로 판단하였다. 결과: 관절경적 변연절제술을 받은 7예 모두 치환물의 제거 없이 감염이 치료되었다. 7예 중 3예는 일차 관절경 수술만으로 감염이 치료되었으며, 일차 관절경 수술 후 감염이 치료되지 않은 4예 중 1예는 이차 관절경 수술로, 3예는 개방적 변연절제술로 감염이 치료되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급성 심부 감염의 치료에서 관절경적 변연절제술은 감염의 증상 발생 72시간 내에 시행하는 경우 유효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일차 관절경적 치료 후 면밀하게 CRP 검사 결과를 추시하여 이를 지침으로 이차 수술의 필요성 및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s of arthroscopic treatment for an acutely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nd to determine the protocol for a successful arthroscopic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Of 16 cases of acutely infected TKA treated at this institution, 7 cases treated with arthroscopic debridemen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indication for arthroscopic debridement was patients with a radiographically stable prosthesis and within 72 hours of the onset of symptoms. The necessity and method of the secondary procedures were determined using a follow up of the C-reactive protein (CRP) test and physical examination after the primary arthroscopic debridment. Successful treatment was defined as no recurrence or no re-operation by the final follow-up. Results: All 7 cases were treated with a retention of the prosthesis. 3 cases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primary arthroscopic debridement only. Three cases were treated with open debridement after primary arthroscopic debridement. One case was treated with repeated arthroscopic debridement after primary arthroscopic debridement. Conclusion: Arthroscopic debridement is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an acutely infected TKA within 72 hours of the onset of symptoms. A careful CRP follow up is suggested as the critical index to determine the secondary procedure for successful treatment of an acutely infected TKA by arthroscopic debridement.

      • KCI등재

        하악골 변연절제술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지대치로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백창현,허성주,곽재영,김성균,박지만,Baek, Chang-Hyun,Heo, Seong-Joo,Koak, Jai-Young,Kim, Seong-Kyun,Park, Ji-M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2

        Surgical management of oral cancer results in compromised masticatory and swallowing function which affects patient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due to reduced phonetic ability and facial deformity, thus, it is imperative to provide applicable prosthetic treatment to overcome such complications. This clinical study describes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treated with marginal mandibulectomy and implantation on preserved posterior portion of mandible to provide stability and support for subsequent denture treatment. Kennedy class IV removable partial denture has provided satisfactory results in esthetics and function. Bone level stability around implants was reported to be maintained during eight months of clinical observation. 구강암에 의해 하악골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저작 및 연하 기능의 저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며 동반된 안모의 변화와 발음의 문제로 인하여 사회적, 심리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보철적인 수복을 통해 하악골 변연절제술 환자의 문제를 개선해 나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증례는 편평세포암으로 인하여 하악골 변연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골결손이 일어나지 않은 후방부위에 전략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임플란트를 통해 의치의 유지와 지지를 담당할 수 있도록 보철물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Kennedy class IV 국소의치를 제작하여 만족스런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었으며, 8개월 간의 임상 관찰 동안 임플란트 주변 골의 안정적인 유지가 관찰되는 바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아킬레스건 봉합술 후 발생한 감염에서 이차적 건 재건을 시행하지 않고 치료한 4예의 장기 추시 결과

        이재영(Jaeyoung Lee),정창훈(Changhoon Jeong),정세훈(Sehoon Jung),박일중(Il-Ju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5

        아킬레스건 파열에 대한 봉합 후 발생한 감염의 치료는 감염된 조직에 대하여 변연절제술을 시행하고 감염의 호전 시 이차적 아킬레스건 재건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몇몇 저자들은 감염된 아킬레스건의 변연절제술 후 이차적 건 재건 없이도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아킬레스건 봉합 후 발생한 감염에서 감염된 조직에 대한 변연절제술 후 아킬레스건 재건을 시행하지 않고도 양호한 결과를 얻었던 4예의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he main treatment of infections following the repair of a ruptured Achilles tendon is debridement of the infected tissue and reconstruction of the Achilles tendon after controlling the infection. On the other hand, some studies recently reported excellent clinical results after the debridement of the infected Achilles tendon without a reconstruction of the tendon. This paper reports four cases of a competent result after the debridement of an infected Achilles tendon without reconstructing the tendon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수지 조갑하 사구종의 진단 및 치료에서 자기 공명 영상의 임상적 의미

        김병석,김우식,한경진,조재현,이기범,하헌교,강신영,Kim, Byoung-Suck,Kim, Woo-Sig,Han, Kyoung-Jin,Cho, Jae-Hyun,Lee, Kyi-Beom,Ha, Heon-Kyo,Kang, Shin-Yo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7 No.1

        목적 : 임상적으로 수지 사구종으로 의심되는 환자의 수술전 자기 공명 영상을 시행하여,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진단의 유용성과 변연 절제술 후의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수지 사구종을 의심하는 10례를 대상으로 수술전 문진, 이학적 검사, 단순 방사선 검사, 자기 공명 영상(9례)을 시행하였다. 수술적 치료는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후 병리 소견, 수술후 합병증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사구종으로 확진된 10례 중 호소하는 증세는 동통 10례, 압통 9례, 냉온에 대한 민감도 3례, 부종 1례였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상 T1 강조 영상에서 저신호 강도 3례, 동신호 강도 5례, T2 강조 영상에서 고신호 강도 8례, 그리고 gadolinium 조영 증강된 영상에서는 8례 모두 조영 증가 소견을 보여 주었고, 발생 위치는 횡단면에서 정중부 6례, 외측부 5례, 조갑 외측 추벽 2례, 수지 두수 3례였고, 시상면에서 조갑상 5례, 조갑 기질 5례였다. 수술은 외측 접근법 1례, 조갑을 통한 접근법 9례를 시행하였으며, 모두 변연 절제술을 실시하였다. 수술후 전 예에서 임상 증세는 소실되었으며, 조갑 변형은 1례에서 발견되었으나, 재발은 없었다. 결론 : 수지의 사구종을 진단하는데 임상 증세는 아주 중요하나, 진단이 애매하거나 오랜 기간 동안 증세가 있어온 환자들에게서 비교적 비싼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자기 공명 영상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경우, 수술전 종물의 정확한 위치 확인 및 진단에 도움을 주는 방법의 하나로 생각한다. Purpose : Authors investigated the efficiency of preoperative MRI in suspicious glomus tumor and the clinical outcomes after marginal excision. Materials and Methods : In 10 cases of glomus tumors in the fingers, authors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data, including previous trauma, treatment history, preoperative symptoms, physical examination, plain radiography, MRI (9 cases), pathological finding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 The patients had pain in 10 cases, tenderness in 9 cases, cold sensitivity in 3 cases and edema in one case. MRI showed low signal (3 cases) or iso-signal (5) intensity on T1 weighted image, high signal intensity (8) on T2 weighted image, and all the lesions were enhanced in gadolinium enhancement images. The exact locations of glomus tumors were median in 6 cases, lateral in 5, lateral fold in 2 and pulp in 3 in transverse section and nail bed in 5 cases and nail matrix in 5 in sagittal section. Marginal excision was performed by lateral approach in one case and transungual in 9 cases. Histologically, all 10 cases were composed of solid sheets of round cells interrupted by thin-walled blood vessels. Most of clinical symptoms were disappeared in all cases after operation. Nail deformity was found in one case, which was originated from nail matrix, however, there was no recurrence. Summary : Clinical symptom was the most impotant factor in diagnosis of glomus tumor in the fingers. However, preoperative MRIs were helpful in patients, who had obscure pain or prolonged clinical symptoms with suspicious glomus tumors. Preoperative MRI might be one of the most useful tools for establishing the exact diagnosis and detecting the location of glomus tumors, in spite of the relatively high expe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