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이라는 고투(苦鬪)의 시간 : 염상섭의 번역과 초기 소설의 문체 변화

        손성준(Son Sung Jun)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This research examines the original works and translations of Western novels by Korean writer Yom Sang-seop(廉想涉, 1897–1963) to show how the change of style in his novels in the 1920s was deeply influenced by his experience as a translator. As seen in the trilogy written in his early days, Yom's sentences in his earlier novels featured heavy usage of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even compared to other up-and-coming writers at that time, among whom the use of such words was prevalent. However, his style went through a drastic change. The novel Sunflower, which was his first novel written solely in native Korean without any Chinese characters, seems to have emerged due to the media condition as a series in the Dong-A Ilbo. However, we also need to understand the author's concurrent effort to pioneer his own novel languag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stylistic change. Before writing Sunflower, Yom had expanded the boundaries of the Joseon (Korean) language by translating three Western novels. These translations used significantly fewer words in Chinese characters than original novels written in Korea at that time, which likely influenced Yom's own original style. As this study shows, he moved from the use of the gender-neutral third-person pronoun “彼(he)” to the use of “그(he)”, a change which represents a break from the stylistic influence of Japanese novels and which appeared first in his translation of the novel Four days(四日間) instead of Teacher E(E先生), as has previously been understood. Furthermore, Yom learned the present-tense first-person narrative technique used in the process of adapting Graveyard(墓地) to Mansejeon(萬歲前) through his experience translating Meeting(密會). From the perspective of bringing novelty to the vocabulary of one's mother language, translation is located at the extreme opposite position from censorship, which blocks the same act.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translation is an endless task of self-censorship. Translation forces the translator to distance himself from his own language under the demands of an external criterion, namely the original text. Thus, when Yom Sang-seop found impure elements in Joseon-language novels, he parted from them without hesitation. Obviously, this may not have been an easy process, and for Yom, in fact, translation was a process of struggle. However, it was this struggle that allowed him to rediscover the Joseon language and establish the style of his novel. 본 연구는 염상섭의 케이스를 중심으로 1920년대 소설의 문체 선회 현상에 작가들의 번역 체험이 핵심 변수로 놓여있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초기 3부작이 보여주듯, 염상섭의 초기 소설 문장은 당대의 신진 문인 중에서도 극단적이라 할만큼 한자어 비중이 높았다. 하지만 그의 소설 문체는 급격히 변화해간다. 염상섭이 최초로 선보인 순국문체 소설 는 일견『동아일보』연재라는 매체적 조건으로 인해 출현한 듯 보이지만, 이러한 판단에는 스스로의 소설어를 개척했던 개인의 노력에 대한 이해가 더해져야한다. 염상섭은 이전에 이미 세 차례에 걸친 서양소설의 번역 체험 속에서 자신이 구사하던 조선어의 경계를 확장시켜나가고 있었다. 그가 발표한 번역소설의 한자어 비중이 동시기의 창작 소설보다 현격히 낮았다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일본소설의 문체적 영향으로부터의 탈피를 대변하는 3인칭 대명사'彼'에서'그'로의 변화가 종래의 이해처럼 이 아니라 번역소설 에서 먼저 나타난 것이며, 에서 으로의 개작 과정에서 확인되는 1인칭 서술에서의 현재시제 활용이 의 번역 체험 속에서 획득되었다는 것을 제시했다. 자국어 언어장 속에 새로운 것을 가져온다는 측면에서,'번역'이란 그것을 차단하는'검열'과는 대척점에 있다. 하지만 언어적 측면에서'번역'은 끊임없이 자기를 '검열'하는 작업 그 자체이도 하다. 번역은 역자로 하여금 저본이라는 외적 준거를 통해 자기 언어와의 거리를 강제한다. 그렇게 자기 언어에서 조선어소설로서의 불순물을 발견한 염상섭은, 과감히 그것들과 결별했다. 이 과정에 쉬웠을리 만무하다. 염상섭에게 번역은'고투의 시간'이었다. 그러나 이 시간을 거치며 그는 조선어를 재발견하고 자신의 소설 문체를 확립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근대소설 형성 동인으로서의 번역·번안 : 근대초기 번역·번안소설의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강현조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2

        이 논문에서는 근대초기 번역·번안문학의 전개 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방법으로서의 번역·번안이 한국근대소설의 성립과 형성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검토해 보면 중국이 일본 못지않은 문학적 발신지 혹은 경유지의 역할을 담당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으며, 또한 창작소설로 간주되었던 작품들 중 상당수가 실제로는 외래 서사물을 대본으로 하여 집필된 번안물이거나 아니면 적어도 외래 서사물의 내용 및 모티프를 상당 부분 차용하는 방식으로 집필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예컨대 1900년대 초반의 신문연재소설로부터 1910년대의 단행본 출판소설, 심지어 1920년대 초반까지 발표된 작품들 중에서도 중국문학작품을 번역·번안한 형태의 외래 서사물 수용 경향이 일정하게 존재했음이 밝혀진 것이다. 특히 신소설 작가 이해조의 금고기관 모티브 수용을 통한 소설 집필, 동양서원 및 김교제에 의해 주도되었던 설부총서의 번역·번안 집필은 이러한 추세를 대표하는 문학사적 사실로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번역·번안이 신문과 단행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그리고 당대의 여러 작가들에 의해 소설 집필의 주요한 방법으로 선택되어 왔다는 진술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지금까지 외래 서사의 번안 및 수용 여부가 사실로 확인된 작품들을 고찰한 결과, 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창작소설로 분류되어 왔던 1910년대 소설 작품 전반에 대한 번안 여부의 검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충분히 제기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는 단순한 추론적 가설이 아니라 본격적인 학문적 고찰을 요하는 과제가 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한국근대초기의 소설 형성 과정에서 특히 그 동안 간과되어 있던 중국이라는 경로가 담당한 역할을 주목한다면, 그리고 창작소설로 간주되어 온 작품들이 번안소설일 수도 있다는 가정을 검증하기 위해 적극적인 조사를 실시한다면, 번역·번안이 우리가 생각해 오던 것 이상으로 근대소설의 성립과 형성에 미친 영향이 크다는 사실을 목도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번역·번안이라는 방법은 그 자체로 근대 초기의 소설 형성을 가능케 한 가장 강력한 동인(動因)으로 작용하였다’는 명제의 내포적 의미가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일본·중국 등 다른 동아시아 국가의 서양문학(소설) 수용 방식(혹은 소설 형성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요한다. 요컨대 이 논문에서는 일본과 함께 이 시기 소설의 형성에 있어 결코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던 중국이라는 경로에 대한 정당한 관심, 적지 않은 사례가 확인되고 있는 소설의 서발동착의 경로와 그 구체적인 양상을 포착하려는 시도, 그리고 신소설은 물론 심지어 활판본 고소설의 내부로도 틈입해 들어온 번역·번안의 증거들을 찾는 작업 등이 병행될 때에만 비로소 근대초기 한국소설사의 지형도가 제대로 그려질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근대번역·번안문학작품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본다. 이에 대한 고찰은 추후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In this article, it is tried to prove that Korean modern novels were considerably influenced by Chinese literature as well as Japanese ones, especially the year of 1908 and 1912~1913. For example, 『Kum-ko-ki-kwan(今古奇觀)』, the selection of the traditional Chinese novel had influenced to serial works written by Lee, Hae-Jo, and 『Sul-bu-chong-suh(說部叢書)』, the publication of Chinese modern adapted novels frequently had been a script of Korean modern translated or adapted novels. This means that Korean modern novels and Chinese literature have been exchanged literally and culturally in a broad way. Thus it can be raised a question in argument about the Korean modern novels’ origin. It is need that the question that if the existing works known as creative things might be translated or adapted novels. Because there are a lot of instances which support this reasoning. Therefore it is need to pursue for verification of Korean novels. After all, the study on the aspect of the acceptance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in Korean early modern adapted Novels may show the aspect of the literal and cultural exchange in East-Asian 3 country.

      • KCI등재

        특집 : 한국 근대소설사의 전개와 번역 -1920년대까지의 양상을 중심으로

        손성준 ( Sung Jun S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1920년대까지의 소설 번역의 추이를 통해 초기 근대소설사의 한국적맥락과 그것이 형성된 조건을 추출하고, 이분화 되어 있던 창작문학·번역문학 연구의 풍토를 재고해보고자 씌어졌다. 주로 1910년대에 일본 유학을 경험한 일군의 한국 지식인들은, 창작과 번역이라는 두 가지 채널을 통해 소설을 ‘순문예’의 영역 속에 안착시키려는 노력을 본격화하였다. 특히 그들은 질과 양의 측면에서 모두 수준 이하라고 인식한 조선문단의 발전을 앞당기기 위해 세계문학 번역의 필요성을 주창하고 직접 실천하였다. 이 같은 번역 실천은 1910년대를 중심으로 하는 번역소설의 1차 중흥기와 1920년대의 2차 중흥기를 형성하는 가시적 성과를 낳는다. 이 과정에서의 성격 변화는 순문예 소설 번역의 강세로 압축되는데, 그중 러시아 및 프랑스소설의 번역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1920년대를 순문예 번역의 질적·양적 팽창으로 전대와 구획하는 종래의 이해 방식은 비판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 우선, 번역량은 격증했으나 문예 지면의 확대 수준을 감안하면 이를 진정한 의미의 격증이라 보기는 힘들다. 게다가 그 양적 상승세 자체도 1920년대 중반부터는 둔화된다. 이는 번역량이 팽창일로에 있던 동시기 일본과 중국의 번역 상황과도 상반되는 독특한 현상이다. 또한 번역이 순문예물로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해지기는 했지만, 압도적이라 할 만큼의 비중은 아니었다. 오히려 필독서라 할 만한 정전(正典) 급의 장편소설의 번역도, 비교적 수월하게 결과물을 낼 수 있는 단편소설의 번역도 설 자리를 잃어갔다. 신문은 주로 통속적인 장편 연재소설을 역재(譯載)했고, 잡지의 소설 지면은 대부분 창작 단편의 공간으로 소진되었기 때문이다. 1920년대 번역문학의 내적 맥락 속에서 간취되는 순문예 번역의 저조는, 다음과 같은 한국근대소설사의 두 가지 한계와 인과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첫째는 순문예물 독자층의 저변확대에 실패한 것으로서, 이는 다시 작가의 경제적 상황 및 창작 여건의 불안정을 수반하는 악순환의 고리로 작용했다. 둘째는 끝내 식민지기의 문단이 ‘대장편’ 문예물의 창작과는 친화하지 못한 것으로서, 이는 결국 한국 근대소설사에서 고착화 된 장편= 통속/ 단편= 예술이라는 양식적 감각과 연동되어 있는 문제다. 순문예 번역의 저조와 그에 반비례하는 창작과잉의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식민지의 이중 언어 환경 및 출판시장의 문제뿐 아니라, 일본문단이라는 대타항을 끊임없이 의식하며 문학사의 시차(時差)를 조급히 상쇄하고 싶어 했던 식민지 문인들의 욕망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extract the Korean context and its forming conditions in the early history of modern Korean novels from transition in the translation of novels up to the1920s, and to reconsider the climate of research that has been dichotomized into creative literature and translation literature. A group of Korean intellectuals, who mostly shared experience of studying in Japan in the 1910s, tried in earnest to have the novel settled down in the domain of ‘pure literature’ through the two channel of creation andtranslation. Particularly, they advocated necessity for the translation of world literatureand practiced translation in person so as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iterary world, which was then subpar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Their practice of translation produced tangible results of forming the 1st period of prosperity in translated novels in the 1910s and the 2nd period of prosperity in the 1920s. Changes in the nature of the process may be condensed into the strengthening of the translation of pure literature novels, among which Russian and French novels were conspicuous and in terms of style. However, the existing way of understanding that distinguishes the 1920s from the previous periods in terms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pure literature translation requires critical review. First, although the amount of translations increased sharply, it is difficult to regard it as a sharp increase in the true sense of the term, considering the level of increase in literary magazines. Further, the tendency of quantitative rise itself began to slow down from the middle of the 1920s. This is a unique phenomenon that contrasts with the situations of ever-increasing translations in Japan and China during the same period. In addition, there was a pronounced tendency towards a concentration of translation in works of pure literature, which, however, did not represent a overwhelming proportion in the overall literature. Rather, both the translation of canon-level novels, which deserve to be classified as must-reads, and that of short stories, production of which is relatively easy, were losing ground. Newspapers serialized translated popular novel, and the novel sections of magazines were mostly occupied by creative short stories. The sluggishness in the translation of pure literature perceived within the internal context of translation literature in the 1920s forms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two limitations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 The first is failure in the expansion of the reader base for pure literature, which acted as a link of a vicious circle that was accompanied by unstable economic circumstances and creation conditions for writers. The second is the failure of the literary world in the colonial period to be friendly with the creation of “long” literary works, which ultimately represents a problem linked to the stylish sense of ‘full-length = popular / short = artistic’ that became permanent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 To explain the background behind sluggishness in the translation of pure literature and excessive creation in inverse proportion to it, the desire of literary people in the colonial period who were continuously aware of the antithesis, i.e., the Japanese literary world and were impatient to overcome the time gap in literary history, as well as the problems of bilingual environment and the publishing market in the colonial period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설인귀전>의 소설사적 존재 의미

        양승민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First of all, <Seolingwijeon(薛仁貴傳)> has been argued back and forth between translated novel and creative novel amid what the discussion of surrounding the text problem forms the mainstream in the meantime. As a result of review, it is the best plan of understanding the reality itself as saying that the Joseon version <Seolingwijeon> is a kind of 'group of works,which had advanced even to the point of being changed nearly into the recreation level with starting from the translated version.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uch as the translated version, which was established amid the relationship of translation with the original work in Chinese version, and the adapted version of passing through the stage of 'Joseon translated version' without being directly succeeded through the relationship of translation. Especially, these copies in the group of adapted versions are the universal outcome that diverse text movements had produced i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novels in Joseon period such as translation,transcription, and re-translation. Next, <Seolingwijeon> is one of works that are high in novel-history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value, which the 'existence' itself has without stopping in a research of text with being basically 'translated novel'. As <Seolingwijeon> is the translated novel in a word that was changed into 'Korean-styled hero novel', it is important just in the point that was produced according to creative tradition and typological style in our country's novel history. Accordingly, it is natural to necessarily address all of the translated novels in Joseon period like <Seolingwijeon> in the category of 'Korean literature'. There is a need of re-establishing a sight on a problem of nationality with escaping from 'originalism' and of changing recognition as saying that even translated novel is definitely Korean literature. Meanwhile,when seeing from the data-based realities of translated novels in Joseon version, those things have stature as a leading role that developed the history of classic novel together with creative novel. Thus, they should be naturally addressed with the same weight as the creative novel. We can criticize superiority in each of novel works. However, a sight of treating the translated novels as the one of frontier compared to creative novel cannot help exposing a big loophole in analyzing history of novel. 우선 <설인귀전>은 그동안 텍스트 문제를 둘러싼 논의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번역소설과 창작소설 사이에서 설왕설래가 많았다. 재검토 결과, 조선본 <설인귀전>은 번역본으로부터 출발해 거의 재창작 수준으로 변모하는 지점에로까지 나아간 일종의 '작품군'이라는 실상 그 자체를 이해하는 것이 상책이다. 크게 보아, 중국본 원작과의 번역관계 속에서 성립된 번역본과, 번역관계를 통해 직접 계승되지 않고 '조선 번역본'단계를 거쳐서 나온 개작본,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특별히 개작본 그룹의 이본들은 번역, 필사, 재번역 등 조선시대 소설 유통과정에서의 다양한 텍스트 운동이 빚어낸 보편적인 소산이다. 다음, <설인귀전>은 기본적으로 '번역소설'이되 텍스트 연구에 그치지 않고 그 '존재' 자체가 갖는 소설사적 의미와 활용가치가 높은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설인귀전>은 한 마디로 '한국형 영웅소설'로 탈바꿈한 번역소설로, 우리나라 소설사의 창작 전통과 유형적 스타일에 따라 빚어졌다는 바로 그 점이 중요하다. 따라서 <설인귀전>과 같은 조선시대 번역소설류는 다 '국문학'의 범주에서 다루어야 마땅하다. '원작주의'에서 벗어나 국적 문제에 대한 시각을 재정립 할 필요가 있으며, 번역소설도 분명 국문학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이 다. 그런가 하면 조선본 번역소설의 자료적 실태로 보아 그것들은 창작소설과 함께 고전소설사를 발전시킨 주역으로서의 위상을 갖기 때문에, 응당 창작소설과 동일한 무게로 다루어야 한다. 우리가 각 소설작품의 우열을 비평할 수는 있어도, 번역소설류를 창작소설에 비해 변방의 것으로 취급하는 시각은 소설사 해석에 있어 큰 허점을 노출할 수밖에 없다.

      • KCI등재

        청대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소설

        최형섭(HyoungSeob Choi)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4 No.-

        본 논문은 청대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 소설의 전체적인 상황과 그 특징을 파악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만주족이 문자를 가지게 된 것은 1599년의 老滿文과 1632년의 新滿文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만주족은 정권 초기부터 한족 문화와 제도를 적극 수용하였고, 그로 인해 한문 서적의 만주어 번역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文館으로부터 內三院, 內閣 기구에는 滿文 번역 부서가 마련되어 있었고, 內翻書房과 같은 전문번역기구가 설치되기도 하였다. 科擧에는 飜譯科가 신설되었고, 啓心郞, 筆帖式과 같은 통번역 업무를 전담하는 관료 계층도 생겨났다. 國子監과 八旗 교육기관에서는 만주어문 교과과정이 개설되어 만주어 학습을 장려하였고, 만문을 사용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힘썼다. 청대 만주어 번역 소설의 출현은 이런 독특한 시대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만문 도서는 크게 抄本과 刻本으로 구분되며, 각본은 官刻本과 坊刻本으로 나뉜다. 청대에나온 만문 도서는 수도 北京의 황실 중심의 관각본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지방 관서의 각본은 주로 만주어문 학습에 필요한 교과서나 공구서가 중심으로, 지극히작은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업적인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만문 坊刻本 역시 北京에 집중되어 있었다. 방각본 만문 도서는 대부분 만한합벽이고 순수 만문으로만 된 것은 극소수이다. 당시 書坊들에게 만문 도서의 간행은 주력 사업이 아닌 부차적인 아이템이었다. 내용적으 로 四書 등과 같은 유가경전, 사전류, 만주어문 학습서 등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고, 삼국연의, 요재지이 등과 같은 문학 작품은 극히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필자의 불완전한 통계에 따르면, 현존하는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 소설은 대략 48종이다.이 가운데 90% 정도는 만문으로만 번역되어 있고, 10%는 만문과 한문이 병렬되어 있는 滿漢合璧으로 되어 있다. 내용적으로 볼 때 연의류 소설과 재자가인류 소설이 거의 80% 정도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사대기서’는 만주족 사이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던 소설로, 삼국연의는 多爾袞의 명으로 순치7년(1650)에 간행되었고, 사대기서 나머지 작품들도비교적 이른 시기인 강희 연간에 만문으로 번역되어 각본, 혹은 초본의 형태로 유통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전체적으로 볼 때 청대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 소설의 규모와 유통 범위는 크지 않았고, 주로 북경을 중심으로 하는 만문 식자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고 추론해 볼 수 있다. 그 식자층은 대부분 ‘旗人’에 속해 있던 사람들로 만주족을 비롯하여 일부 몽고족, 한족 등 만주어문화권에 속해 있던 사람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역본 소설은 만주어문화권에 속해 있던 蒙古族, 錫伯族, 達斡爾族 등 북방 소수민족들을 비롯하여 글자를 알지못하던 훨씬 더 많은 만주족들에게 ‘烏勒本(ulabun)’과 같은 說唱 예술의 형태로 전파될 수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for grasping the overall situations andthe features of Chinese novel which were translated into the Manchu language inQing dynasty. The Manchu people became to have the new Manchu script(新滿文)since 1632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old Manchu script(老滿文, 1599). Thetranslation of the Manchu script from the Chinese character had risen inprominence, because Manchurian rulers wholeheartedly accepted the Han Chineseculture and the system from the initial stages of administration.Manchurian emperors set up the government department to take charge oftranslation work from Wenguan(文館) to Neisanyuan(內三院), Neke(內閣). Especially,The Kangxi emperor newly established the Neifanshufang(內飜書房) to takecompete charge of translation work about in 1671. The Qing government createdthe Fanyike(飜譯科)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also appointed governmentofficials to take charge of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ork, such asQixinlang(啓心郞) and bitieshi(筆帖式). The advent of the Manchurian translationnovels was related to the this historical background.The Manchu language books were divided into handwritten(抄本) and printededitions(刻本). The printed editions were divided into Guanke(官刻) and Fangkeeditions(坊刻). The palace edition books of capital Beijing took the absolute partsamong the Guanke editions, while provincial Guanke edition books occupied thesmall part. Fangke edition books were concentrated in Beijing. Fangke editionbooks were mainly translated into parallel translations in the Manchu and Hanscript(滿漢合璧). In addition, the most of publishers at that times published theManchu language books as the secondary items.According to my research, the Manchurian translation novels were about 48volumes. About ninety percent were translated into the Manchu language, and tenpercent were parallel translations in the Manchu and Han script. Historical novels and love stories about genius and beauty almost occupied 80 percent amongthem. Sidaqishu(四大奇書) were also very popular novels among the Manchupeople. Sanguoyanyi were published in 1650 according to Dorgon's order. The restthree works were presumed to be translated in Kangxi years (1662-1722) in theearly Qing dynasty.In conclusion, Chinese novels translated into the Manchu language were not somany as we expected. Reader class of the Manchu language novels were restrictedin Beijing’s qiren(旗人), who were composed of Manchu, Mongol, Han people.Nonetheless, the Manchurian translation novels opened up the way to transmit tothe illiterate Manchu people by means of the Manchu traditional oral art like theulabun(烏勒本), and paved the way to transmit to northern ethnic minorities suchas Mongol, Xibo, Daur people within the Manchu language cultural area.

      • KCI등재

        신문관(新文館) 단행본 번역소설 연구

        권두연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사이 Vol.5 No.-

        이 논문은 본격적인 서양 번역소설의 등장에 관심을 두고 근대초기 활발한 번역작업을 펼친 바 있는 신문관의 활동에 주목함으로써 1910년대 `서양소설을 번역한다`는 인식의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신문관은 1912~3년이라는 비교적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단행본 번역소설들을 출간한 바 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이 시기는 『소년』 폐간에서 『청춘』 창간이라는 공백과 함께 『매일신보』의 일본 가정 류 번안소설의 등장과도 시기적으로 호흡을 같이함으로써 동시기 번역/번안소설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요청한다. 이 논문을 통해 신문관에서 펴낸 단행본 번역소설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그동안 단절적으로 인식되어왔던 신문관 번역소설들의 단속성을 해명하는 동시에 당대 번안소설과의 구도적 관련성을 새롭게 제기하고자 했다. 무엇보다 이들 단행본 번역소설들은 일련의 서양번역소설 시리즈의 한 기획적 산물로 `서양소설을 번역한다`는 의식적 태도를 당대 소설과의 구별짓기를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냈다. 단순함을 지향한 표지에서부터 다양한 시각매체의 활용, 편집구성, 문체 등의 형식적인 면에서부터 번역태도와 독자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효과에 이르기까지 전면화된 차별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세계문학의 번역이 세계성에서 문학성으로, 계몽적인 공리성이 소설적 흥미와 감흥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이들 역시 감정의 영역에 기대면서 `위안의 문학`을 조장했던 『매일신보』의 일본 가정류 번안소설과 유사한 전략을 구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신소설의 연장선으로 떨어지지 않았다는 데 있다. 오히려 이들 단행본 번역소설들은 당대 소설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감흥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독자들을 견인해 냈다. 한편 신문관 단행본 번역소설들은 뚜렷한 번역태도를 지향했음에도 불구하고 번안의 징후들을 상당히 드러낸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순문학에의 지향`을 보인 신문관 단행본 번역소설이 『매일신보』 번안소설과 무관하게 존재한 것이 아니라 공유와 배제, 차별화의 메커니즘을 통해 형성된 것임을 확인하고자 했다.

      • KCI등재후보

        근대 초기 서양 위인 전기물의 번역 및 출판 양상의 일고찰 -『실업소설 부란극림전』과 『강철대왕전』을 중심으로

        강현조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사이 Vol.9 N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Sil-up-so-sul Pu-ran-keuk-lim-jeon(實業小說 富蘭克林傳) is the Korean translation of ベンジャミン․フランクリン自敍傳(1889) translated by Mochizki Kosaburo(望月興三郎), the Japanese translator of The Autobiography of Benjamin Franklin, and that Kang-chul-dae-wang-jeon(鋼鐵大王傳) is the Korean translator of 鋼鉄大王カーネギー, put in 『最近米国成功十傑』(1903) written by Isamu Ishi(石井勇).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information on aspects of publishing translations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translators of these texts, Lee, Shi Hu; Kim, Young Jun; and Hyun, So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Sil-up-so-sul Pu-ran- keuk-lim-jeon(實業小說 富蘭克林傳) and the original text. Lee, Shi Hu, as a translator, worked in SHINYAEUSUK(莘野義塾), established by Lee, Chul Yong who is Lee, HAE Jo's father. Lee, HAE Jo is a famous Korean writer. He published 4 works of Sin-So-Sul(新小說) in the BOKEUPSUKWAN. Kim, Young Jun is the boss of it. There is probability that Lee, Shi Hu and Kim, Young Jun had a relationship. Meanwhile, Kang-chul-dae-wang-jeon(鋼鐵大王傳) is a literal translation. Hyun, Soon studied Japanese at the School of SUNCHUNDANG(順天堂學校) for 1899~1902, and served as a priest in a Korean Methodist Church in Hawai from 1903~1907. Thus, he should have been good at speaking both Japanese and English. It may be that he is Kang-chul- dae-wang-jeon(鋼鐵大王傳)’s real translator, not Kim, Young Jun. 이 논문의 목적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실업소설 부란극림전(實業小說 富蘭克林傳)』과 『강철대왕전(鋼鐵大王傳)』의 번역 대본을 제시하고 텍스트 간의 비교 고찰을 통해 1910년대 초 서양 위인 전기물의 수용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이 두 텍스트의 번역자 및 감수자로 표기되어 있는 이시후와 김용준, 그리고 현순의 사적 및 그들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 시기 번역물 출판의 양상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이 논문의 또 다른 목적이다. 『실업소설 부란극림전(實業小說 富蘭克林傳)』(1911)은 『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The Autobiography of Benjamin Franklin)』의 일역판인 모치즈키 고자부로(望月興三郎)의 『ベンジャミン․フランクリン自敍傳』(1889)이다. 『實業小說 富蘭克林傳』은 번역자의 의도에 따라 내용이 생략․압축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의 경우는 일역본과 상반되는 내용으로의 개작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번역자 이시후는 대체로 의역을 택하되 자신의 의도를 적극적으로 개입시키는 방향으로 개작을 병행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시후가 이해조의 부친 이철용이 설립한 신야의숙의 교사로 재직하였음을 새로이 확인하였다. 그는 민간의 교육운동취지에 공감하고 이에 동참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신야의숙을 찾아갔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 학교의 교사로서 주도적인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해조 또한 이미 신야의숙 시절부터 이 학교의 사무원으로 종사하고 있었기 때문에 두 사람의 관계는 개교 시점인 1906년 2월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의 관계는 이때부터 청성제일학교가 폐교되던 1911년 9월까지 유지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 이해조의 작품들과 이시후의 『부란극림전』이 보급서관을 통해 함께 발간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이해조를 매개로 사주 김용준과 이시후의 관계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강철대왕전(鋼鐵大王傳)』의 번역 대본은 이사무 이시이(石井勇)가 지은 『最近米国成功十傑』(1903)이라는 책에 수록된 「鋼鉄大王カーネギー」다. 이 두 텍스트의 동일성 역시 목차 및 내용 비교를 통해 사실로 확인된다. 이 텍스트는 충실한 직역이자 축어역에 가깝다. 이해조의 작품이지만 그 저작자로 김용준이 표기되어 있는 사실 및 감수자로 표기된 현순의 이력 등을 감안할 때 이 텍스트의 번역자로 표기된 보급서관 사주 김용준이 실제 번역자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현순은 1899년부터 1902년까지 3년간 관비유학생으로 일본 순천당학교(順天堂學校)에서 수학하였고, 1903년부터 1907년까지 하와이 한인감리교회 목사를 역임했던 인물이다. 그는 상동교회 내에 설립되었던 교육기관인 상동청년학원의 영어교사로 재직하다가 1910년 봄부터 원장으로 취임한다. 이러한 사실들을 고려할 때 우리는 현순이 일어와 영어에 모두 능통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때문에 비록 감수자로 표기되어 있긴 하지만 그가 직접 번역을 했거나 아니면 적어도 김용준이 아닌 또 다른 무명의 번역자에 의해 번역된 원고를 감수했을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그러나 현재로선 사실 관계를 확증할 만한 자료가 부재하여 판단을 유보할 수밖에 없다. 적어도 보급서관의 사주인 김용준이 이들 작품의 번역에 깊숙이 관여했다고 말하기는 힘들다는...

      • KCI등재

        传敎、 翻译、 啓蒙、 小说 - 19世纪中文基督敎小说的创作与传播

        吳淳邦(Soon-bang Oh) 중국어문논역학회 2011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28

        中文基督敎小說 硏究는 21세기 이후에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한국에서는 아직 개척되지 않은 연구분야이다. 필자는 먼저 패트릭 하난, 陳慶浩 등의 학자가 해외에서 진행한 연구성과를 토대로, 英, 美, 中, 日, 韓國의 도서관에 소장된 현존하는 중문기독교소설작품을 직접 조사 정리하여 19세기에 창작 번역된 中文基督敎小說의 작품과 작자 및 문학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필자는 최초의 중문기독교소설 《張遠兩友相論》에서 중국인 작가가 처음으로 저술한 작품인 《夢治三?小說》까지 국내외에서 조사 발굴한 30여종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 탐구해 보았다. 西洋改新敎宣敎士가 중국선교 금지기간인 19세기 초, 동남아의 말래카나 싱가폴에서 간행하여 중국 본토로 들여와 유포하던 기독교문서 중에서 中文基督敎小說은 대중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받았으며 19세기 중반 이후에는 上海, 홍콩, 福州,北京 등지에서 대량으로 간행 유통되었다. 우선 대표작품 《張遠兩友相論》, 《贖罪之道傳》, 《喩道傳》, 《引家當道》, 《喩道要旨》, 《夢治三?小說》을 중심으로 이들 작품의 출판배경과 작가, 작품의 서술방법 및 문학특성을 고찰해 보았고, 윌리엄 밀네부터 존 프라이어에 이르는 서양선교사의 창작과 번역활동을 살펴보았다. 중문기독교소설은 그 출간동기에 따라 확연한 유형적 문체적 특성을 가지는데, 윌리엄 밀네와 카알 귀츠라프, 존 그리휘트 등의 소설작품은 일반 대중을 독자대상으로 소설을 창작 번역하여 口語體에 가까운 章回體小說을 출간하였으며, 윌리엄 마틴과 티모티 리차드 같은 작가는 지식인, 高官들에게 선교하기 위해 문인들이 즐겨 읽는 文言筆記傳奇體로 작품을 번역 창작하였다. 청일전쟁 직후에 사회개혁운동의 일환으로 존 프라이어는 新小說의 창작을 고취시키는 소설현상 공모활동을 전개하여 162부의 작품이 응모하였으나 이들 작품은 그 존재를 알 수가 없었다. 본 논문은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분교에 소장되어있던 존 프라이어의 응모작품을 발굴하여 그 전모를 공개하고 그중에서 기독교소설인 《夢治三?小說》을 중심으로 당시의 소설 창작경향과 문학 특성을 살펴보았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張遠兩友相論》과 《喩道傳》, 《引家當道》, 《喩道要旨》 등의 작품들이 한국과 일본에 전파 번역되는 상황을 조사 분석하여 19세기 동아시아 기독교문서선교사업의 특징과 중문전적의 출판 전파 상황 및 동아시아의 문학교류 상황을 살펴보았다. 특히 상당수의 中文基督敎小說들이 한국에 소장되어 있거나 한국어로 번역되어 있어 이들 작품을 통해 중문기독교소설의 번역과 전파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본 논문은 기독교선교라는 명확한 출간동기와 기록언어의 공통적인 특성을 가지고 발간된 19세기 中文基督敎小說의 창작과 번역활동을 7개의 장절로 나누어 종합적으로 분석 탐구해 보았다.

      • KCI등재

        중국현대소설의 국내 번역 현황 및 독자 수용 양상 - 최근 10년간을 중심으로

        최은정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8 No.-

        본고는 최근 10년간 번역된 중국현대소설의 현황 및 이들의 한국 내 수용에 대해 분석한것이다. 최근 10년간 중국현대소설 번역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지닌다. 첫째, 다양성이다. 魯迅, 巴金, 老舍 등 중국현대문학의 거장부터 郭敬明, 韩寒 등 ‘80後’작가들까지 다양한 색깔의 작품들이 번역 소개되고 있다. 둘째, 여성작가작품의 번역증가가 두드러진다. 셋째, 타이완과 홍콩 현대소설의 번역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새로 번역된 작품이 급속도로 증가한 것과는 별개로, 국내 독자들이 소비하는 중국현대소설의 지형은 상당히협소하다. 국내에서 베스트셀러인 중국현대소설을 볼 때, 국내 독자들은 ‘중국’소설이라는 낯설음을 기대하면서도 공감도가 높고 이해하기 쉬운 작품을 찾는다. 허삼관매혈기의 성공이이를 반증한다. 허삼관매혈기는 ‘아버지’라는 당대 한국의 문화코드에 절묘하게 합치됨으로써 동질감을 부여받았고 대중문화와 성공적으로 결합하면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는번역문학이 국내에서 수용되어 베스트셀러가 되는 과정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허삼관매혈기를 제외하고 특별히 화제가 된 작품이 거의 없다는 것은 국내에서 중국현대소설의 토양이 아직까지는 그리 단단하지 않음을 설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여기엔 중국현대사에대한 이해부족과 무관심 및 번역의 문제가 한데 뒤엉켜 있을 것이다. 이는 번역문학이 극복해야 할 벽이라고 생각한다. ‘문학’번역을 이행할 수 있는 전문번역가의 양성 및 ‘정전’번역 등을통해 ‘중국’의 현대문학이 갖는 다름을 소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중국현대문학 연구자, 번역자와 출판주체 간의 협조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Current status of Chinese modern novel translation over the last decade has sev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st, it is a diversity. The translation has a wide range of writers form the great masters of modern literature like LuXun, BaJin, and LaoShe to ‘the generation after 80s’writers like GuoJingMing and HanHan. Second, the increase of female writer’s novel translation is prominent. Third, translation of Taiwanese and Hong Kong modern novel is increasing. However, aside from the increase of translation, Chinese modern novels Korean readers consume are heavily weighted in favor of several writers’ novels. In respect of domestic best-sellers of Chinese modern novel, Korean readers are in favor of understandable novels with high empathy, expecting unfamiliarity of ‘Chinese’novels at the same time. This point reflects on the success of  Chronicle of a Blood Merchant. Chronicle of a Blood Merchant was given an exquisite similarity with a Korean culture code of the day, ‘father.’Successfully combined with pop culture, its awareness could be raised. The fact that few Chinese modern novel except Chronicle of a Blood Merchant were spot-lighted reveals that Chinese modern novel doesn’t have a solid domestic background. This is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incomprehension and indifference about Chinese modern history as well as translation problems. They are considered as obstacles of literary translation. Plans are necessary to represent unique characteristics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by way of growing good translaters and translating Classics. Therefore, cooperation with Chinese modern literature researchers, translators, and publishers should take precedence.

      • KCI등재

        특집논문 : 한국 근대초기 번역,번안소설의 중국,일본문학 수용 양상 연구 -1908년 및 1912~1913년의 단행본 출판 작품을 중심으로-

        강현조 ( Hyun Cho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이 논문에서는 융희 연간과 식민지 초기의 조선에서 출판된 소설들 중 만청기晩淸期의 중국과 메이지 시대 일본의 문학 작품을 원작 및 대본으로 하여 성립된 번역·번안소설들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많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이것이 당대 출판 자본들의 이윤 획득을 위한 내적 요구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론을 제기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시기인 1908년 및 1912~1913년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 한 결과 번역·번안소설로 확인된 작품이 총 30편에 달했고, 그 수는 추가 적인 발굴 여부에 따라 더 늘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세 해의 단행본 소설 총 출판 편수가 112편이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이는 결코 적지 않은 수일뿐만 아니라 사실상 당대의 소설 형성 과정에서 번역·번안소설이 미친 영향에 대한 전면적인 재고찰을 필요로 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 시기에 출판된 번역·번안소설들 중에 적지 않은 수가 기존의 통념과 달리 중국문학작품을 대본으로 하고 있다 는 점을 밝혀내고 있다. 특히 동양서원에서 출판된 김교제의 번역소설들은 모두 중국 상무인서관 『설부총서』수록 작품을 대본으로 하고 있었고, 일본문학작품의 경우는 당시 일본에서 가장 있기 있었던 신파극의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번역·번안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작품의 수용 차원을 넘어 출판 기획 자체의 모방 이라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 동양서원의 경우는 상무인서관의 도서 발행 체제와 표지 디자인까지 모방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 점은 주로 일본문학 작품을 번역·번안했던 신문관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는 당시 조선의 출판 자본이 외국 출판시장에서 이미 대중성이 검증된 출판 기획 및 작품을 수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이윤을 확보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번역·번안소설의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은 한국 근대초기소설 의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동아시아 3국의 문학적·문화적 교섭 양상을 보 다 구체적으로 조망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또 다른 사례의 발굴을 위한 신소설 작품의 번역·번안 여부 검증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this article, it is proved that Korean early modern adapted novels was influenced the Japanese and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the year of 1908 and 1912~1913. This means that a publisher`s profit-seeking cause a literal and cultural exchange in a broad way. The number of adapted novels are 6 in 1908, 24 for 1912~1913. This have the heavy portion of the number of publishing works. And many works are an adaption of Chinese novel as well as Japanese novel. For example, 5 works of Kim Kyo Je`s novel published by Dongyangseo won are the book of Sangmuinseokwan, the Chinese publisher in Shang-Hai. And Shinmunkwan`s collections of adapted novel are based on the Japanese novel. Thus the study on the aspect of the acceptance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in Korean early modern adapted Novels may show the aspect of the literal and cultural exchange in East-Asian 3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