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두대간 마루금의 연속경관 보존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5개 시군과 영주시를 중심으로 -

        김종하,장영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5

        본 연구는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연속적인 백두대간의 경관을 보존하기 위한 경관정책방향과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관관리기본 방향은 6개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었다. 기본적으로 각 경관자원은 시점장이 되는 동시에 조망대상이라는 측면에서 경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백두대간의 주요 자연 경관자원은 산, 봉우리, 마루금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경관관리 설정에 있어 백두대간의 점유면적은 물론 특히 높이에 대한 변화와 도로와의 관계 등 지역별 현황이 충분히 고려가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기존의 경관 관리 방향은 주요 도로나 시가지에서 경관자원이 조망되는지를 관리기준으로 삼았는데, 부분적인 경관관리는 가능하지만 백두대간과 같이 광역에 걸쳐 초원경의 연속적인 경관관리를 위해서는 주요봉우리나 마루금을 관리기준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두대간 마루금은 고도에 따라서 대부분의 행정구역과 도로 등이 구분되어 광역권내 지역별로 세분한 관리 방안제시에도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주요 도시에서 백두대간의 조망은 원(遠)-초원경(超遠景)으로 조망되지만, 조망각이 작은 관계로 조망을 방해하지 않는 요소를 선정하거나 통경축을 정비하여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프레임적 도시이미지를 형성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하지만 마루금을 통한 선적 연속적인 경관을 보여주는 것은 고도가 높은 영주구간을 제외하고 어려우며, 백두대간을 통과하는 도로를 기준으로 구간과 관리 형태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각 도시와 특히 영주에서 조망되는 주요 봉우리로부터 거리, 각도, 단면 등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지역별 광역경관자원의 이용계획을 통한 마루금 연속경관 관리계획수립이 가능하다. 추가로 조망각과 산의 고도 그리고 산의 중첩 모양과 단면에 따라 세분하여 그 기준을 설정할 필요성이 제기 된다.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and standards of landscape politics for conservation of the landscape of Baekdu-Mountain Range by each local government.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fundamental politics for landscape management can be categorized into 6. It was figured out that basically each landscape resource should be controlled as the object of view as well as the view-point field. Second, the key natural landscapes of Baekdu-Mountain Range can be classified as mountains, peaks and ridges. For the managements of landscapes, such regional status as any changes to its occupying-areas and heights and its relations to roads should be considered and duly weighed. Third, the existing politics for landscape management was based on whether landscape could viewed from main roads or towns, where partial management is possible. Accordingly, for the management of continuous landscapes with grassland throughout the range, it is very desirable to include major peaks and ridges into the management politics. It is thought to be very appropriate to group the ridges of Baekdu-Mountain Range on the basi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roads for any detailed managing plans by region in wide areas. Fourth, Baekdu-Mountain Range is viewed as Far-Grassland from towns. But since the viewing angles are small, the element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view should be determined and the axis for viewing should be organized so that any urban image with frames with a certain space centered may be created. Nevertheless,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a series of linear views through ridges except for a residing areas at high altitudes, while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m by section and management style based on the roads passing through the range. Fifth, distance, angle and cross section from major peaks viewed from towns, in particular from Youngju City, were estimated, based on which the plans to utilize the wide-ranged landscape of each region enables the establishment of the ridge views. Furthermore, it will be necessary to subdivide the ridges by applying viewing angles, mountain altitudes, aspects of mountain-overlapping and their cross-sections so that the standard may be established.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정책연구

        허학영(Hag Young Heo),조우(Woo Sho),전근철(Geuncheol Jeon),최윤호(Yoonho Choi),유병혁(ByeongHyeok Yu),김미리(Miri Kim),심규원(Kyuwon Shim),장진(Jin Jang),박준효(Joonhyo Park),윤주웅(Juung Yun),박홍철(Hongcheol Park),남승민(Seungmin Na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의 효과적 보전 및 탐방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관련 논의 및 정책 동향 분석, 마루금 통제구간에 대한 현장 조사, 대국민 인식조사 및 관련 사례 고찰을 수행하였다. 대중의 관심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신문기사(1991-2019)와 검색량(2004-2019)을 분석한 결과 백두대간을 언급한 기사는 총 38,358건이었으며, 종주를 함께 언급한 기사는 1,413건(4%정도)이었다. 검색량에 있어서 2010년 이후 백두대간과 종주에 대한 검색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두대간 통제구간을 포함한 연간 종주 인원은 400 여명으로 추정되며,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백두대간에 대한 인지도는 73.5%인반면 백두대간보호지역에 대한 인지도는 42%로 상대적으로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69.1%의 응답자가 백두대간에 대한 방문 경험이 있으나 종주 목적의 방문은 15.7%로 상대적으로 낮으며, 향후 백두대간 종주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24.8%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마루금 통제구간의 보전성⋅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4개 공원 11개 구간 모두 전반적으로 보전성이 우수하며, 안전성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위험지역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의 효과적 관리를 위해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한 정책으로 ①“백두대간 마루금 종주 탐방문화”의 전환 추진, ②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마루금 통제구간 보전 수단 강화, ③“고지대능선부 탐방로의 효과적 관리 방향” 도출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④통제구역의 효과적 출입 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policy measures to effectively conserve and sustainable use the Baekdudaegan in National Park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n policy trends, public awareness survey, on-site survey, and so on. As a trend of public concern, From 1991 to 2019, there were a total of 38,358 articles mentioning Baekdudaegan, and 1,413 articles( 4%) mentioning Jongju(successive climbing) together. In terms of search volume, the volume for Baekdudaegan and Jongju has decreased relatively since 2010. The annual number of visitors including the closed section was estimated to be 400. The public awareness survey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Baekdudaegan was 73.5%, while the awareness of Baekdudaegan Mountains Reserve was 42%. 69.1% have visited Baekdudaegan, however, only 15.7% aim for Jongju(successive climbing). 24.8% of the respondents are willing to visit Baekdudaegan for Jongju(successive climbing)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onservation and safety of the Baekdudaegan Closed Section, all 11 sections of the park have excellent conservation values overall, and there are many dangerous areas in terms of saf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4 policies were suggested; ①to promote the transition of the “Baekdudaegan Visitation Culture”, ②to strengthen the means of conservation of the Baekdudaegan Closed Section in the National Park, ③to sketch a pilot project to derive “effective management directions of ridge trail” ④to strengthen the legal basis for effective access control of the closed section.

      • KCI등재

        백두대간 이용과 보전에 관한 갈등사례 연구 - 갈등조정과정을 중심으로 -

        이선우,김광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01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7 No.2

        The recent fads of mountain climbing including the walking along Baekdudaegan have caused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the degradations of the ridges and the disturbance of fauna and flora habitats. And the conflicts among the stakeholders have increased from the designations of non-open trails inside the National park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sensus- building processes to resolve the disputes among mountaineering groups, environmental groups, local resident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orea Forest Service,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ue to the differences of their perspectives and philosophy on use and conservation of the non-open trails within the protection areas of Baekdudaegan inside the National Parks. This case study has focused, first, on the "Mediation Committee on Use and Conservation of Baekdudaegan inside the National Parks" which was work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1 and then, on the "Task Force for the Preliminary Projects for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Baekdudaegan" which was operated from March to November, 2012. This paper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disputes around use and conservation of Baekdudaegan and analyzes the issues and the stakeholders with the conflict assessment. Then, this paper describes the organization and proceedings of the mediation process for enhancing mutual understanding and resolving the dispute and also shows the process to reach the agreement from the mediation. Then, this paper provides the works of the task force of the preliminary projects to enforce the agreement which was ended up to the failure. The consensus-building processes were not successful to resolve the conflicts between use and conservation of Baekdudaegan for two years, even though some stakehoders tried to reach agreement. But the enviornmental groups involved could not overcome their mistrust to governmental parties which were perceived to be skewed to the use of forests. This paper shows that consensus-building process could not guarantee to reach an agreement. This case may require more sophisticated process design and strategical factors that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to reach an agreement.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등산열풍이 불어 등산인구가 증가하고 더 나아가 백두대간을 종주하고자 하는 산악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와 함께 백두대간 종주로 인해 마루금 훼손, 산사태 유발, 동식물 등 생태서식지 교란 등의 문제가 야기하고 있다. 특히 국립공원내 백두대간의 비개방구간의 설정에 따른 이해관계자들 간의 갈등이 고조되어 왔다. 본 논문은 국립공원내 백두대간보호구역의 비개방구간의 이용과 보존에 대한 사고와 철학을 달리하는 산악단체, 환경단체, 지역주민, 산림청, 그리고 환경부 및 국립공원관리공단 간의 대립에 의한 갈등의 원인과 해결을 위한 과정을 분석하고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갈등사례는 1차적으로 2011년 8월 11일에서 11월 28일까지 진행된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보전과 이용에 관한 갈등해소 협의체인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보전과 이용에 관한 갈등조정위원회”와 이어서 이 위원회의 합의안에 따라 구성되어 2012년 3월 30일에서 11월 7일까지 진행된 “백두대간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시범사업 TF”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백두대간의 이용과 보전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갈등의 배경 소개를 시작으로, 갈등영형분석을 통해 갈등을 둘러싼 이해당사자들과 쟁점을 분석하고 있다. 이어 본 논문은 갈등당사자간 상호신뢰 증진과 갈등해소를 위한 갈등조정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대해 설명하고, 조정과정에서 나타난 이해관계자들의 입장과 이해를 바탕으로 합의안을 도출해 내는 과정을 소개한다. 이 조정과정을 통해 도출된 합의안을 이행하기 위해 시범사업TF를 구성하고 운영한 과정과 이행한 도출 실패과정을 소개한다. 본 갈등조정사례는 결론적으로 말하면 국립공원내 비개방구간의 보존과 이용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2년에 걸친 대화협의체의 노력은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 그리고 산악단체도 대화와 합의를 통해 갈등해소를 추구하였고, 등산문화를 개선하여 백두대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와 노력이 실패로 귀결된 원인으로는 환경단체가 갖고 있는 산림청,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대한 의구심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사례를 통해 대화를 통한 합의가 성공적이지 못할 수도 있음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대화를 통한 합의의 도출이라는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게 하기 위한 요인과 전략적 결정들은 무엇인지 다시금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백두대간의 시적 형상화 양상 -이성부와 신대철의 시를 중심으로-

        이승규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3

        국토의 남북을 잇는 백두대간은 우리나라 중심축에 해당하는 지형적 실체로, 여러 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다양한 역사적인 사건이 깃들어 있어 분단 시대에 평화를 지향하는 현 시점에서 의미 있는 시적 소재이다. 이성부와 신대철은 각자고유의 시세계를 지닌 시인들로, 백두대간을 체험하면서 그것을 적극적으로 시로 끌어들인 대표적인 시인들이다. 그들은 백두대간 시를 통해 공동체의 비극과전망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였다. 이성부는 광주항쟁의 상처를 백두대간을 통해치유하였으며 대간을 거쳐 간 역사적 인물들의 행적을 더듬으면서 그것을 시적으로 정신화하였다. 신대철 또한 군대 시절 최전방 GP장으로서 사선을 넘나들며 겪은 남북 대치의 갈등과 모순에 괴로워하다 백두대간을 통해 분단의 현실을성찰하였다. 이성부가 현장 묘사보다 주관적 사유를 응축적으로 기술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면, 신대철은 주로 사실적이면서 창조적인 묘사를 활용하여 시적장면을 극적으로 구조화하였다. 두 시인 모두 백두대간을 시 창작의 상징적 실체로 삼아 공동체 회복을 지향하는 전망을 펼쳤다. 구체적인 현장 체험을 바탕으로 대간 줄기에 담긴 무수한 사건과 인물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두 시인은 인간에 대한 긍정성과 연대성을 확인하고 그것을 시적으로 탁월하게 형상화하였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Baekdudaegan is a mountain range running across the central axis of Korea. It connects the south and the 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and forms a cultural zone that has been a witness to a myriad of historical events. Therefore, currently, it is a meaningful poetic object because peace and unification are being pursued. The poems on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nherit the tradition of mountain poetry in Korea and reflect specific experiences. Lee Seong-boo and Shin Dae-cheol represented Baekdudaegan through their poems, and effectively embodied the tragedy of the community, beyond personal wounds. Lee Seong-boo overcame the hurtful experiences of the Gwangju Protest through the Baekdudaegan and mentalized it poetically, while tracing the historical figures through Daegan. Shin Dae-cheol reflected on the conflicts arising from the confront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hile crossing the field at the front line. Through Baekdudaegan, he reflected on the history of the division. Shin Dae-cheol transformed the poetic situation into a dramatic one through a realistic and creative depiction. The poets used the Baekdudaegan as a symbolic reality torestore their national homogeneity and pursue peace and unification. They attempted to identify and emphasize positivity and solidarity toward humanity by focusing on myriad events and characters, centered around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s.

      • KCI등재

        백두대간 지리산권역의 산림 경관 변화 분석

        김감영,하은혜,이채현,안경환 한국지도학회 2021 한국지도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국토의 생태축으로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의 산림 경관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18년 제작된 1:50,000 지형도를 이용해 토지피복도를 제작하여 비교의 기준으로 삼았고, 환경부가 제공하는 2007년 토지피복도를 이와 비교하였다. 두 시기의 토지피복도에 대하여 GIS 기반 공간분석과 FRAGSTATS 기반 경관분석을 수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산림의 약 147.05㎢가 현재 다른 토지이용으로 전환되어 산림 면적이 감소하였다. 그중 농업지로의 변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경관구조 측면에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산림의 파편화 가 진행되었다. 다만 파편화 정도는 내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백두대간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산림 면적과 경관지수의 변화가 미미하였지만, 그 주변 지역은 파편화가 많이 진행되었다. 셋째, 권역을 구성하는 읍·면 단위의 경관지수 변화 값을 표준화한 결과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과 아영면, 장수군 장계면에서 높은 수준의 산림의 파편화가 진행되었다. 이들 지역은 백두대간보호지 역이 불연속적으로 혹은 협소하게 지정된 곳으로, 생태축으로서 백두대간의 온전성 회복을 위해서는 축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보호구역을 공간적 범위를 현재보다 넓게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forest landscape in Mt. Jiri Portion of Baekdudaegan as an ecological axis of the country over the past 100 years. A land cover map was created using the 1:50,000 topographic map produced in 1918 and compared with the 2007 land cover map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patial analysis using GIS and landscape analysis using FRAGSTATS were performed for the land cover maps in the two peri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147.05 km2 of forest in the Mt. Jiri Portion was converted to other land uses, reducing its area. Among them, the change to agricultural area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Second, in terms of landscape structure, forest fragmentation in the Mt. Jiri Portion of Baekdudaegan has progressed considerably. However, the degree of fragmentation showed internal differences.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changes in forest area and landscape indices were insignificant, while the surrounding areas did not. Third, according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change values of the landscape indices at the Eup/Myeon units constituting the portion, high-level forest fragmentation proceeded in Unbong-eup and Ayeong-myeon, Namwon-si, and Jangye-myeon, Jangsu-gun. These areas are where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is discontinuously or narrowly designated. In order to restore the integrity of Baekdudaegan as an ecological axi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axis and manage the protected area by designating the spatial extent wider than the present.

      • KCI등재

        백두대간 생태·문화공원 조성 기본계획

        안득수,이시영,정나라 전북대학교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8 No.3

        본 계획은 백두대간의 생태 및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테마공원을 조성하고 백두대간의 통합적 관리와 연구를 위한 거점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계획 대상지는 백두대간의 남단인 지리산 자락의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일원으로 474,709㎡의 규모이다. 계획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수립하였다. 첫째, 생태적 측면에서 백두대간의 보전 문제와 상충되지 않으며 환경 파괴가 최소화되는 적지를 선정하였다. 둘째, 경제적 측면에서 수익의 지속성과 유지관리비용의 적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시설을 도입하였다. 셋째, 중심적 측면에서 백두대간에 대한 통합적 연구 및 관리를 위한 중심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시설을 도입하였다. 본 생태·문화공원이 지리산 통합문화권의 개발을 촉진하며 지리산 주변 농촌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의 파급효과가 확산될 수 있도록 백두대간의 생태·문화자원을 전시하며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을 선정하였다. 또한 교육·관광·휴양 및 오락성을 동시에 지니는 복합 공간으로 조성하여 다양한 연령과 계층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lan is to create a theme park in which experience the ecology and culture of Baekdudaegan. And it will make a lodgment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and studies of Baekdudaegan. The subject area is 474,709㎡ in Jucheonmyeon, Namwonsi, Jeollabukdo, on the foot of Jirisan(Mt.) at the southern end of Baekdudaegan. The plan was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Firstly, in the ecological aspect, it was selected a suitable area which does not conflict with the conservation problem of Baekdudaegan and by which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will be minimized. Secondly, in the economical aspect, it was introduced facilities which can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fit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Thirdly, in the aspect of the centeredness, it was introduced the facilities to secure the functions as a central space for the integrated studies and management of Baekdudaegan. Selected facilities can exhibit, directly experience, ec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Baekdudaegan, so that, through park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Jirisan integrated cultural zone, and spread the spill-over effect of the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to the farming areas around Jirisan. And it was creating a complex space which has educational, tourist, recreation and amusement attractions. And all ages and of diverse social strata can participate in it.

      • KCI등재

        GIS를 활용한 백두대간·정맥 추출 및 환경성평가 방안 연구

        이명진 ( Moung Jin Lee ),이수재 ( Soo Jae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첫째, 실질적인 백두대간 및 정맥의 현황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능선축 대한 용어를 우선적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기존 발간된 종이지도, 산경표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백두대간 및 정맥 현황을 정리하였다. 셋째, 항공사진, 위성영상 및 수치지도 등을 바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한북정맥, 한남정맥 및 금북정맥 등의 전국에 걸친 정맥을 재정립하였다. 분석의 정확성을 위하여 최신 수치지도로부터 DEM, 음영기복도, 경사도, 곡율도 및 경사 방향도를 기초자료로 분석하였다. 추출과정을 세밀히 분석하여 기존 백두대간을 보정 하였으며 신규로 정맥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백두대간 및 정맥 주변의 자연환경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생태·자연도 등급 분포 현황을 능선축으로 1km 이내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산능선부 관리 제도에 대한 정책적 사항을 제안하고, 백두대간 및 정맥 이용 개발 시 환경성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정규화 되지 못했던 백두대간 및 정맥을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산지능선 관리에 대한 정책적 연계 및 주요 능선축의 이용개발 시 환경성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specified terminology for mountain ridgeline, and organized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n mountain ridgeline and empirical management measures of Beakdudeagan and Jeongmeak. Moreover, based on previously published paper maps, mountain map, and numerical maps, this study has used GIS to reorganize Jeongmaek of Korea, including Hanbukjeongmaek, Hannamjeongmaek, and Gumbukjoengmaek. To ensure accuracy, DEM, Shaded Relief Image, gradient, curvature, and aspect have been analyzed from recent numerical maps. On extraction process, this study analyzes more specifically the results, previous Beakdudaegan is modified and new Jeongmaeks have been extracted. Moreover, for analyzing natural environment of surrounding of major mountain ridgeline, ecological zoning grade of mountain ridgeline is analyzed. With the analyzed result, domestic and foreign mountain ridgeline management policy is suggested,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ethod for major mountain ridgeline development is also suggested. In this study, Baekdudaegan and its Jeongmaek are organiz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tical linkage of mountain ridgelines and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ridgeline development.

      • KCI등재

        18세기 실학적 지리학자들의 학문적 親緣性 :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김우선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2 한국고지도연구 Vol.14 No.1

        조선시대의 자연인식 체계인 백두대간은 1770년 무렵 신경준의 『산경표』를 통해서 그 명칭과 개념이 완성되었다. 그러나 백두대간의 1대간 1정간 13정맥은 조선 초기인 1402년부터 근 370여년간 고지도상에 별다른 지명의 병기 없이 線狀으로 표현되어왔다. 이러한 지도상의 산줄기는 관찬 및 사찬 사서와 지리서, 개인 문집의 기록을 통해서도 묘사되었는데, 특히 이수광의 『지봉유설』, 유형원의 『동국여지지』, 이익의 『성호사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들의 뒤를 이은 이중환은 『택리지』를 통하여 백두대간과 지맥에 이르기까지 脈勢의 흐름을 주변 군현 및 진산과 더불어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고지도와 문헌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백두대간 개념이 18세기 『산경표』에서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피고, 이러한 백두대간과 관련된 당대 실학적 지리학자들 사이의 학문적 친연성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백두대간의 관점에서 본 강원도 선사시대 취락의 형성과정

        노혁진(Ro, Hyukjin) 중부고고학회 2013 고고학 Vol.12 No.2

        이 글은 백두대간이 강원도의 산세와 수맥과 해안, 그리고 그 사이의 평지를 형성하는 기본원리가 된다는 관점에서 백두대간에 초점을 맞추어 강원도 선사시대 취락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강원도의 경우, 백두대간이동으로 도래한 집단은 평저토기문화집단, 공렬토기문화집단, 그리고 철자형주거지집단이고, 백두대간이서로부터 확산한 집단은 첨저토기집단과 점토대토기집단이다. 그리고, 요녕청동문화와 타날문토기를 비롯한 중국식 요소들은 집단의 이주나 도래가 아닌 문화요소의 전래수준에서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가장 먼저 출현한 평저토기문화집단은 동해안의 사구지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곧 사라져 버린 것으로 보이고, 서해안 지역의 첨저토기문화가 동해안으로까지 확산하여 공렬토기문화주민의 도래시기까지 존속하였다. 강원도의 광역에 공렬토기주민이 확산 정착한 상황에서 점토대토기인들이 강원영동과 영서로 진출을 시도하였으나, 선주민인 공렬토기인들보다 우세한 세력으로 성장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이들은 곧 이어서 남하한 철자형주거지집단에게 밀려나고, 강원도의 영동과 영서뿐만 아니라 임진강유역을 포함한 경기도 지역까지 철자형주거지집단의 삶의 터전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집단사이의 상호접변과 사회의 교체와 계승, 문화변동 등의 문제는 향후 강원도 고고학이 구체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이다. The Natural features of the ‘Baekdudaegan’(Baekdu Mountains) acted as a key role in the formation of prehistoric settlements in Kangwon Province. In terms of the‘Baekdudaegan’(Baekdu Mountains), prehistoric cultures in Kangwon province as well as in Korean peninsula in general can be grouped in two types - Eastern Baedu Culture and Western Baekdu Culture. Among major cultural traditions of Korean prehistory, those of the ‘Flat- Bottomed’ and the ‘Hole-Arrayed Rim’ Potteries, and the ‘凸 - Planned Residence’ belong to the Eastern Baedu Culture. On the other hand, those of the ‘Pointed-Bottomed’ and the ‘Ring-Rimed’ Potteries, as well as the Chinese pottery and the Liaoning Bronze elements, all of which belong to the Western Baekdu Culture, diffused into the territory of Kangwon province crossing the portions of the ‘Baekdudaegan’ (Baekdu Mountains).

      • KCI등재후보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Ⅱ) : 준산악형 구간을 대상으로 In the Case of Semi-mountainous District

        권태호,최송현,유기준 한국지리정보학회 200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7 No.1

        백두대간은 국토의 근간이자 중요한 생태축이다. 그러나 최근 백두대간 지역을 대상으로 한 각종 개발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보전 전략 수립과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백두대간 지역을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관리구역 설정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접근 방법은 백두대간의 적절한 관리범위 설정을 위해 수계 및 유역을 바탕으로 인간 간섭의 영향정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수치지도, Landsat TM 영상 등이 사용되었다. 준산악지형의 특성을 갖는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대상으로 유역확장방식을 사용하여 유역차수에 따른 경작지, 도시, 나지, 수계, 산림 등의 토지이용상태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유역확장방식은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기법으로 효율적이었으며, 관리범위는 마루금을 중심으로 무주(8차)와 거창 (5차) 방향이 상이하게 설정되었다. Baekdu-daegan is the greatest mountain chain as well as the major ecological axis of the Korean Peninsula. In recent year, however, this area is faced with the various kinds of developmental urge. To cope adequately with these problems, this study was executed to prepare synthetic and systematic management with conservation-oriented strategy for Baekdu-daegan and to suggest spatially definite zoning for the managerial area. This study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traditional concepts of stream and watershed as well as the actual disturbance on Baekdu-daegan area. The study area is selected with semi-mountainous type, from Namdeokyusan to Sosagogae. To propose the process for reasonably establishing the managerial boundary adjacent to the ridge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that ArcGIS was mainly used for its analysis with digital maps, Landsat TM image and ArcGIS Hydro Model. Landsat TM image was classified by 5 land use types such as cultivated land, urban area, barren area, water body and forest. Based on these analyses results, the managerial boundaries as alternatives from the Ridges were produced by watershed expansion process, and used for tracing the changes of areal ratio of various land use types to the relevant watersheds to search out the adequate managerial boundary. The results show that watershed expansion process could be effective tool for establishing the managerial boundary, and eighth expanded watershed toward Muju-Gun(west) and fifth expanded watershed toward Geochang-Gun (east) might be included for the adequate managerial boundary of the case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