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네트워크 배태성, 자율성과 경영성과의 관계

        민상훈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8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배태성과 자율성이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배태성을 내부배태성과 외부배태성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자율성이 경영성과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네트워크 배태성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여부를검토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경기도에 진출한 212개 다국적기업 자회사로부터 설문방식을 통해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인 것은 내부배태성과 자율성이 자회사의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었다. 내부배태성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율성도 경영성과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외부배태성과 경영성과는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자율성은내부배태성과 경영성과의 관계와 외부배태성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조절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한국에 진출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경영성과는 주로 내부배태성과 자율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network embeddedness and autonomy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multinational subsidiaries are analyzed. Network embeddedness is divided into internal embeddedness and external embeddedness. The direct influences of network embeddedness and autonomy on business performance are examined. In addition, it is examined how autonom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embedded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data a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method from 212 multinational subsidiaries located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The direct impact of internal embeddedness and autonomy on the business perform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nal embedded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Autonomy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embedded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shows a positive sign,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utonomy does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 or external embedded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It is found tha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multinational subsidiaries in Korea is mainly influenced by internal embeddedness and autonomy respectively.

      • 배태된 자율성 관점에서 바라본 베트남 신농촌운동(2010~2015) 추진구조

        호광영(Quanganh Ho),이윤길(Yoonkil Lee) 한국지역개발학회 2017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s and evaluates the structure and deployment of the New Rural Development(NRD) program based on the social capital theory of Woolcock(1998) to defines how to enhance the government capability and the state-society relationship in developing countries like Vietnam. The study revealed that NRD is a government-initiated program which inclined on the top-down approach with very positive activities of the public sector at the macro level, while there is a big shortage of the voluntary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local residents at the micro level. Finally, the authors suggest that for the Vietnamese government’s NRD program to operate more efficiently: the government should reinf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society and enhance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 residents at the micro level.

      • KCI등재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퇴색된 자율성

        성연주(Yunjoo Sung) 비판사회학회 2015 경제와 사회 Vol.- No.108

        예술위원회(Arts Council)는 문화정책의 평가 척도가 되는 대표적 기관이다.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기존 연구들은 예술위원회 사업을 단편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쳤을 뿐 총체적인 ‘조직’으로 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론화하는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 연구는 조직사회학 관점에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설립을 분석했다. 특히 이식(transplantation) 전략을 통해 “외국의 예술위원회 성공 사례를 모방한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왜 설립 목적대로 전개되지 않고 한국적 방식으로 접변(acculturation)했는가”라는 질문에 대답하며 심도있는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로 활용한 제도주의 이론에 따르면 조직은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적 환경에 조응하는 방식으로 외부 모델을 이식하지만 위원회 회의록, 지원금 집행내역, 위원 선발 과정 등의 자료로 분석한 결과 국가 통제가 강력한 한국에서는 문화예술위원회 설립 초기에 의도했던 ‘조직의 자율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 결과 제도적 정당성이 불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 말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위원회의 실질적인 자율성은 작동하지 않지만 정부와, 다양한 이념적 지향을 가진 예술가 집단들 간에 명목적인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목표와 실제가 디커플링(de-coupling)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Arts Council, a key organization in cultural policy,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in the past. However, most of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an one-sided aspect of Arts Council, which is policy agenda, while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on Arts Council has not been attempted. In this respect, this paper asks the question ‘why Arts Council of Korea (ARKO) was acculturated though it perfectly transplanted other arts council models in their operational rule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Institutional Theory, if ARKO fulfills the requirements of institutional environments when transplanting other organizational models, its existence should be justified. However, when analyzing council minutes, funding distribution list and council member’s composition, I found out that autonomy of ARKO is not preserved, but faded, because internal control by the state of Korea is severe. In short, ARKO is sustained not as an arm’s length body but as a nominal bridge organization, which seemingly makes a balance between artists and the state, but in fact, occuring a de-coupling between reality and the stated vision of the ARKO.

      • KCI등재

        아프리카 모잠비크의 산업전환과 발전국가모델의 적용가능성

        임혜란 ( Hae Ran Lim ),유혜림 ( Hye Lim Yoo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5 韓國 政治 硏究 Vol.24 No.2

        본 연구는 아프리카 모잠비크의 산업전환 과정을 통해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모잠비크는 풍부한 지하자원 매장국이라는 비교우위와 달리 2000년 이후 제조업, 중화학공업 중심의 산업전환 패턴을 시도했으며, 경제성장과 정치안정을 병행해 왔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사례를 보여준다. 모잠비크 정부가 국유화와 민영화 과정을 통해 기득권 계층과의 연합을 돈독히 함으로써 정부역량을 지속하였고, 산업정책을 통해 기존 자원분포와는 다른 역동적 비교우위를 창출해 내는 등 모잠비크에서도 동아시아 발전모델에서 강조된 특징들이 일부 관측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사회 협력 네트워크가 기득권에 포획되거나 협력이 존재하지 않아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특징 중 하나인 ‘배태된 자율성’(embedded autonomy)은 취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제조업중심의 산업전환은 정부와 다국적기업 중심으로 진행되어 모잠비크 국가기업의 발전과 연계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여준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political economy of Mozambique’s industrial transformation and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model. Mozambique drew scholarly attention as it maintained 7% average GDP growth since 2000, achieved both economic growth and political stability, and drove HCI-centered manufacturing industrial transformation rather than using its static comparative advantage from abundant natural resources. Some features of East Asian developmental model are also found in the Mozambican case: state capacity during democratization and privatization through political coalition with the vested interest, and active governmental intervention in industrial transformation with industrial policy to create dynamic comparative advantage. However, embedded autonomy of East Asian model was weak as cooperation network between the state and the society was captured by the vested interest. Furthermore, the Mozambican government preferred joint ventures with MNCs over domestic companies in promoting industrial transformation. As a result, unlike East Asia, the industrial transformation was not linked to further development of other domestic industries.

      • KCI우수등재

        국가발전과 정부 역할의 재조명 ; 배태된 자율성?: 한국 발전모델에 대한 이해와 오해

        오재록 ( Jae Rok Oh ),공동성 ( Dong Sung Kong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4

        최근 한국의 경제발전모델을 학습하려는 개발도상국(특히, 아시아지역)들이 많아지고 있지만, 한국의 고유한 경제발전모델을 체계적으로 정리·분석하여 하나의 이론적 모델을 구축하려는 국내의 노력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특히, 1960∼70년대 ``박정희 모델``에 대한 국제정치경제학계의 초기 인식들은 한국의 경제적 성과를 다소 미화하고 과장한 측면이 있지만, 이를 바로잡으려는 학문적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이 논문은 한국 경제발전모델의 정립에 기여할 목적으로 국제정치경제학계의 초기 인식과 경제위기 이후 등장한 새로운 인식 변화 등을 비판적으로 종합·정리하면서 한국 경제발전모델(박정희 모델)의 성격, 주요 구성요소, 요소들 간의 관계, 그리고 그 성과와 부작용 등과 함께, 이를 가능케 했던 내·외적 환경 요인들을 재조명하였다. 특히, 국민경제자문회의(2005)의 모델은 타당성도 높고 한국 정부의 공식 입장을 담고 있지만, 정부보고서의 성격상 학문적 성격이 미약하고 설명도 불충분해 Hofferbert 모형(1974)을 수정·결합하여 그 설명력과 학문적 성격을 끌어올리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이 논문이 제시하는 이해의 틀이 과거의 오류와 과장 그리고 오해 등을 명확하게 비판하였다 하더라도 이 또한 비판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시하는 것은 정교하고 균형 잡힌 모델과 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창출하기 위한 일련의 학문적 과정을 신뢰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internationally renowned Korean models of development articulated mainly by Amsden (1989), Haggard (1990), Evans (1995), and the World Bank (1993). The existing models proposed by foreign scholars tend to exaggerate the performance and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On the basis of critical reviews of the existing models along with new perspectives and evidence discussed in the 1990s and thereafter, this study also reformulates a Korean model of development. The new model embraces not only positive but negative aspects of the Korean leadership, its bureaucracy, and their policies. The new model would stimulate academics and practitioners to discuss a better Korean model of development and provide developing countries with more accurate insights into creating their own development models and strategies.

      • KCI등재

        공적개발원조(ODA)와 지역사회개발에서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 배태성과 자율성개념을 중심으로

        박용순(Park, Yongsoon),고동완(Ko, Dongwan)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2

        Social capital is the main keyword that best describes the change in the ODA paradigm. Since the UN s SDGs were presented, the ODA project is looking at an endogenous development strategy that emphasizes the subjective role of the recipient country, out of effectiveness in the economic aspect of the donor country. This study applies Woolcock s concept of embeddedness and autonomy, which is examining social capital, and explores the construction of social capital from a micro, macro and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ties in ODA recipient countries. As a result, in the microscopic aspect, it is necessary to expand social capital through integration and connection among community members, In the macroscopic asp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support communi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relations and provision of laws and systems. In addi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e integration of community members from the bottom and support from the administration (central, local) from the top can promote sustainable endogenous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The main contribution in this study is to share the doner country s development experience with the recipient country through a horizontal relationship as mutual partnership rather than the master-slave relationship between donation and recipient of ODA projects. Through this, social capital is being dealt with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ODA project. In conclusion, in order for the ODA recipient country s local community development to achieve endogenous development, it will be possible to achieve results when the micro and macro aspects of social capital are complementary. 사회적 자본은 ODA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장 잘 설명하는 주요한 키워드이다. UN의 SDGs가 제시된 이후 ODA사업은 공여국의 경제적 측면에서 효과성을 벗어나 수원국의 주체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내생적 발전전략을 중요하게 바라보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는 Woolcock의 배태성과 자율성 개념을 적용하여 ODA 수원국의 지역사회개발에 대해서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 그리고 통합적인 관점으로 사회적 자본의 확충에 대해서 탐구하고 있다. 논의결과, 미시적 측면에서는 공동체 구성원 간의 통합과 연계라는 과정과 결과로서 사회적 자본의 확충이 필요하다면, 거시적 측면에서는 협력적 관계구축과 법ㆍ제도의 마련을 통해 지역사회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통합적 관점에서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밑으로부터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통합과 위로부터는 행정(중앙, 지방)의 지원이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내생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한 기여는 ODA사업의 공여와 수원이라는 주종관계가 아니라 상호 파트너십으로서의 수평적 관계를 통해 공여국의 개발경험을 수원국과 공유하고, 이를 통해 ODA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회적 자본을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ODA 수원국의 지역사회개발이 내생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의 미시적 측면과 거시적 측면이 상호 보완적으로 이루질 때 성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발전국가’를 준거로 한 중국 성장체제의 평가

        윤상우(Yoon Sang-Woo)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2

        그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발전모델을 동아시아 경험과의 연관성 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가 있긴 했지만, 수출지향적 산업화나 몇몇 정책에서의 단편적인 유사성에만 주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성장모델의 핵심이 ‘발전국가’ 체제에 있다고 보고, 그 핵심적인 특성으로서 정당성근거로서의 경제성장, 기술관료중심의 국가관료기구, 전략적 경제ㆍ산업정책, 협력적 국가-기업관계를 설정하여, 이를 비교준거로 중국의 경제성장과정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의 중국은 계획과 시장이 모순적으로 공존하는 전형적인 과도기경제로서 ‘계획외 부문(향진기업, 삼자기업, 연해수출구)’의 허용을 통해 성장의 추진력을 확보해가는 시기였다. 이때는 발전국가 모델의 구성요소 중 ‘정당성근거로서의 경제성장’이라는 이념적 토대만이 형성되었을 뿐, 그것의 제도적ㆍ정책적 토대는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1992년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가 확립된 이후 중국의 성장방식은 동아시아 발전국가 모델과 친화성을 지니게 된다. 즉, 일련의 제도개혁을 통해 자율성과 능력성을 겸비한 기술관료 중심의 국가관료체제를 구축하고, 전략적 산업정책과 국가통제적 금융정책의 틀을 체계적으로 확립하였으며, 국가-기업관계도 ‘배태된 자율성’에 입각한 민관협력의 내용을 갖추게된다. 그럼에도 중국이 앞으로도 발전국가적 성장방식을 지속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는 미지수이다. 2001년 WTO 가입은 국가개입에 결정적인 제약으로 작용하리라 생각된다. While many studies have analysed China's post-Mao economic miracle in terms of the East Asian Model, most studies have a limit to focus some external similarities, such as EOI and state involvements, between China and the East Asian NICs. This study,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Developmental State' have been a key factor in achieving the remarkable economic growth in East Asia, aims to evaluate China's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components of the developmental state model. Those components are 'economic growth' as state legitimacy, autonomous and capable state bureaucracy, strategic industrial policies, and cooperative state-business relation. This study finds that even though China's economy in 1980s did not fit in with developmental state model, economic features in 1990s revealed to correspond to those of the developmental state. In 1980s, China ensured only the ideological base of developmental state('economic growth' as state legitimacy), but not organizational and policy base of that. However, China' model in 1990s had a affinity for the developmental state model through a series of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reforms.

      • KCI등재

        제도 혁신가의 양면적 담론전략: 청년유니온의 사례연구

        양경욱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인사조직연구 Vol.27 No.4

        Institutional entrepreneurs refer to the actors who change existing institutions to promote their own interests.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iscursive acts used by institutional entrepreneurs. While some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ed in recent years, it is doubtful whether the entire body of discursive strategies has been identified. Past studies have not yet acknowledged that institutional entrepreneurs must meet dual contradictory demands; by definition, they must not only change the existing institutions but also, like any other incumbents embedded in the field, must conform to these existing institutions. Studies to date have focused only on how institutional entrepreneurs change the institutions and, thus, have placed too much emphasis on actors’ agenc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he present study tried to show how institutional entrepreneurs employ discursive strategies to meet both contradictory demands. For this, a case study was conducted of the Youth Community Union. This study analyzed texts produced by union activists and in-depth interview scripts conducted with union officials. In doing so, it was found that the Youth Community Union’s discursive strategies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criticism of, change of, and compliance to existing institutions. These discursive strategies reflect the existential paradox of institutional entrepreneurs as embedded agencies. Furthermore, in the discussion section, this study explains how the Youth Community Union’s discursive strategies satisfy the contradictory demands of maintaining and changing the institutions. 제도 혁신가(institutional entrepreneur)란 자신의 이해관계를 실현하기 위해 기존 제도를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제도를 창조하는 행위자를 가리킨다. 지난 연구들은 그동안 제도 혁신가가 구사하는 담론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지금까지 일정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어 왔지만, 과연 제도 혁신가의 담론전략이 온전히 규명되었는지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제도 혁신가가 이중의 모순된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에 주목하지 못했다. 제도 혁신가는 그 정의상 기존 제도를 변화시켜야 하지만, 그 역시도 다른 행위자와 마찬가지로 조직 장에 배태된 이상 기존 제도에 순응해야 한다. 기존 연구들은 오직 전자에만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는 지나치게 행위자의 자율성만을 부각한 일면적인 관점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제도 혁신가가 두 가지 모순적인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담론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청년유니온의 사례에 주목했다. 청년유니온은 청년 실업자와 구직자까지 가입대상으로 하는 노동조합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노사관계 제도와 충돌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제도 혁신의 활동을 통해서만 적법한 노조가 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청년유니온이 구사한 담론전략을 파악하기 위해서 청년유니온이 생산한 텍스트와 활동가들의 심층면접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청년유니온의 담론전략은 크게 제도의 비판 및 변화와 준수라는 세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이는 조직 장에 배태된 행위자로서 제도 혁신가의 존재론적 역설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토론에서는 청년유니온의 담론전략이 어떻게 제도의 유지와 변화라는 모순된 요구를 달성했는가를 상세하게 논한다.

      • KCI등재

        The Failure of Quasi-Governmental Regulatory Institutions in South Korea

        Yeonho Lee(이연호),Moon-Young Kim(김문영),Hyeonjun Kim(김현준)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사회과학연구 Vol.27 No.4

        The Korean bureaucrats are criticized for no longer functioning as a sound industrial promoter nor a market supervisor. Peter Evans argued that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s owe their success to the embedded autonomy of the government that functions through the interpersonal networks. However, now the embedded autonomy’s role is rather dubious. This article analyzes the two major government safety failure cases, the Kori Plant blackout in 2012 and the Sewol ferry tragedy in 2014. This article concludes the failure of the embedded autonomy caused the collapse of the safety regulation system monitored by bureaucrats.

      • KCI등재

        학습민첩성이 직무배태성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김승민(Kim, Seung Min),홍아정(Hong, Ah Jeo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2 Global Creative Leader Vol.12 No.1

        본 연구는 학습민첩성과 조직시민행동 간 직무자율성에 조절된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 직무배태성, 조직시민행동 간 영향관계를 분석 후 학습민첩성과 직무배태성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 이러한 간접경로 효과에 대해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했다. 설문조사에 303명이 참여하였고,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민첩성은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배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무배태성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민첩성과 직무배태성 간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민첩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학습민첩성과 조직시민행동 간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mbeddedness controlled in job autonomy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this purpose: an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agility, job autonomy,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mbeddedness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job embeddedness took place. Also, there was a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for this indirect path effect. Software programs: SPSS 23.0 and AMOS 23.0 analyzed the data from a questionnaire survey participated in by 303 employe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learning agility positively affec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embeddedness. Job embeddedness positively affec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job embedded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embeddednes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Job autonomy moderately affect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embeddedness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se research results presented, the academic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