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 사서배치현황과 법정 배치기준의 타당성 분석

        권나현 한국문헌정보학회 201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1 No.4

        현행 공공도서관 사서 배치기준에 대해 공공도서관 현장의 실정과 그간의 광범위한 사회발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1) 현행 법정 공공도서관 사서배치기준 대비 사서배치 현황을 국가도서관통계를 토대로 분석했고, (2) 현행법상 사서배치기준의 핵심 요소들의 도출 근거를 국내외 관련 문헌을 검토하면서 그 타당성을 분석하였으며, (3) 공공도서관 인력배치 현황데이터를 토대로 주요 배치기준별로 사서충원율을 산출하는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6년말 현재 전국 989개 공립 공공도서관의 1관당 평균 사서수는 4.3명이며, 법정 충원율은 18.2%에 불과했다. 법정 최소 기본 배치인력 3명에 미달하는 도서관이 40%를 넘었다. 연면적과 장서수로 사서수를 산출하는 현행 법적 기준은 봉사구간에 제시된 최소 연면적을 초과할 경우 과도한 수의 필요인력을 산출하여 고질적인 법적 기준 미달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현행 법적 기준을 국제도서관연맹(IFLA) 및 한국도서관협회의 권장기준과 비교한 결과, 가장 낮은 사서충원율을 기록했다. 향후 사서배치기준은 필요이상의 복잡한 배치기준 대신, 해외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봉사대상인구로 개정하고, 기본 인력 3인을 배치한 후, 증원기준으로 개별 도서관과 지자체의 상황을 반영해 2-3단계의 서비스 목표 수준별로 등급화하여 사서수를 배치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ffing practices in public libraries and to analyze the relevance of legal standards of public library staffing. It analyzed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al data to obtain the national average staffing rate, reviewed related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rationales that established the key attributes that construct the current legal standards, and compared the placement rates of the three standards, namely the current legal standards, Korean Library Association’s standards, and IFLA staffing standards, to determine the optimacy of the legal standards. It found the current placement rate in the legal standard was only 18.2%, marking the lowest rates among the three compared standards, indicating the current legal standards being unnecessarily high. The study attributes the problem to the structure of the current legal standards that calculate the staffing size based on the building and collection size rather than service popul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a revision of the current standard based on service population while retaining the minimum staffing of three librarians even the smallest public library unit.

      • KCI등재

        서해안지역 배치기소리의 토리 고찰

        신은주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28 No.-

        Baechigi Sori, a fishing song to wish for and celebrate a big catch, originated in Hwanghae-do area and spread to other area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Pyeongan-do to Jeolla-do. Baechigi Sori is related to the fishing of Yellow Corvina. It shows the spread of work related folk songs. This study examines if musical changes occurred while the song was spreading to other areas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ori (melody style including the mode and living tones) of Baechigi Sori handed down in the area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This study found that the melodies of Bachigi Sori consist of Susimgatori and Bansusimgatori in Hwanghae-do area, but they changed to Gyeongtori, Bangyeongtori or Menaritori in Chungcheong-do or Jeolla-do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local musi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se changes in melodies were also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usimgatori or Bansusimgatori because Baechigi Sori spread in the areas where the fishing of Yellow Corvina was done. In other words, Baechigi Sori is a song spread among the people who were engaged in the same type of work and had the same folk belief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power of the song fixed its musical form. 풍어를 기원하고 만선의 기쁨을 노래하던 어업요 배치기소리는 원 소리 고장인 황해도 지역에서 퍼져나가기 시작하여 평안도로부터 전라남도에 이르기까지 서해안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배치기소리의 전파는 조기잡이라는 특정 어업과 관련된 것으로, 노동과 함께 토속민요가 전파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본고는 서해안지역에서 채록된 배치기소리를 대상으로 하여 소리가 전파되는 과정에서 음악적인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토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배치기소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토리는 반수심가토리로, 반수심가토리는 La-do-re-mi-sol 다섯 음으로 구성되며 La-do-mi 세 음을 중심으로 선율이 진행하고, mi음에 요성을 하고 주로 La음으로 종지하는 것이 전형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곡에 따라 변화 형태가 나타나는데, mi음에 서도지역 요성을 생략하여 서도적 특성이 약화되기도 하고, 경토리의 영향으로 고음역의 sol음이 약간 낮은 음을 내기도 하며, 메기는소리와 받는소리가 각각 수심가토리와 반수심가토리로 서로 다른 음구조를 사용하기도 한다. 수심가토리로 된 곡들은 re-mi-sol-la-do' 다섯 음으로 구성되며, re-la-do' 세 음을 중심으로 선율이 진행하되, 하행하는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la음에는 요성을 하고, re음으로 종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심가토리 배치기소리의 변화형은 경토리의 영향을 받아 수심가토리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 음인 sol음이 쓰이면서 la-sol-mi-re로 순차적으로 하행하는 선율 형태가 사용된다. 이 외에 경토리, 반경토리, 메나리토리의 음구조에 반수심가토리 및 수심가토리의 요성과 선율형이 더하여진 형태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모두 서도 지역의 특성을 지닌 배치기소리가 타 지역으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그 지역토리의 영향을 받아 변화된 형태로서, 수심가토리 및 반수심가토리를 사용한 배치기소리의 변화형에 해당한다. 토리의 사용을 지역에 따라 다시 정리하면, 전형적인 반수심가토리 배치기소리는 서해안 전역에서 발견되고, 수심가토리 배치기소리는 주로 황해도와 경기도 지역에서 발견된다. 즉, 수심가토리 배치기소리보다는 반수심가토리 배치기소리가 남부 지역으로 더 넓게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토리의 변화형은 주로 충청남도와 전라남북도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반수심가토리의 변화형은 충남 당진과 전북 부안, 전남 진도 지역에서 채록되었고, 수심가토리의 변화형은 충남 서산에서 채록되었다. 이 외에 경토리 및 반경토리 음구조를 사용하되 서도 토리의 요성과 선율 진행을 사용한 배치기소리는 경기 및 충남과 전남 지역에서 채록되었고, 메나리토리 음구조를 사용한 배치기소리는 전북 부안에서 채록되었다. 즉, 배치기소리의 원 고장인 황해도 지역에서는 반수심가토리와 수심가토리의 전형적인 형태의 곡들만 발견되고, 이에서 멀어질수록 전형적인 형태의 곡들과 함께 그 지역 토리의 영향을 받은 변화 형태의 곡들도 많이 불리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경기도보다는 충청남도가, 충청남도보다는 전라남북도에서 변화의 폭이 커지고 형태도 다양해진다. 또한 경토리 음구조에 서도 토리가 혼합된 형태의 경우, 수심가토리 선율 진행 형태를 보이는 곡은 경기도 지역에서만 발견되고, 반수심가토리 선율 형태의 곡은 충남과 전남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어, 역시 수심가토리 보다는 반수...

      • KCI등재

        반도체집적회로 배치설계의 업무상 창작자 지위 인정과 종업원 보상에 대한 소고

        전용철(Jun, Yong-cheul)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東亞法學 Vol.- No.72

        반도체집적회로의 배치설계에 관한 법률 제5조는 ‘업무상 창작한 배치설계의 창작자를 계약이나 근무규정 등에 달리 정한 것이 없으면 그 법인 등을 배치설계의 창작자로 한다’고 정하고 있어, 업무상 창작된 배치설계권의 경우 사용자가 원칙적으로 창작자 지위를 귀속 받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업무상 창작된 배치설계권을 보유하고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 것이나, 실제 창작행위를 한 종업원은 반도체 배치설계 보호법만에 기초하여서는 보상을 받을 수 없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개발성과로서 배치설계권이 설정 등록되는 경우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연구자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것과 대비된다. 최근 배치설계권의 설정등록 비중이 대기업은 줄어들고 대학은 늘어나는것으로 파악되는데, 반도체 산업의 구조와 특수성을 감안할 때 반도체 산업에서 비중이 매우 높은 기업체들에 의한 배치설계권 설정등록 건수가 많아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업무상 배치설계를 창작한 종업원에게 창작자 지위를 인정하고 창작에 따른 보상을 할 수 있도록 반도체 집적회로의 배치설계에 관한 법률이 개선될 수 있다면, 반도체 업체들에 의한 반도체집적회로의 배치설계에 관한 법률의 이용률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논문에서는 업무상 창작된 배치설계의 창작자 지위가 사용자에게 귀속되는지 여부를 위주로 국가별로 반도체 집적회로의 배치설계를 보호하기 위한 법률의 규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배치설계가 업무상 창작되는 경우 실제 창작행위를 한 종업원 등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지를 살펴보았으며, 반도체집적회로의 배치설계에 관한 법률 제5조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Article 5 of the Act on the Layout-Designs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provides that “With respect to a layout-design by a person employed by a government, a corporation, an association or other emplo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poration, etc”), the corporation, etc. is deemed to be the creator, unless otherwise provided in an agreement or an employment regulation and the like”. Pursuant to this provision, the position as a creator is in principle vested in the employer of the person who created the layout-design in service. Accordingly, the employer can own a right to the layout-design created in service and also exercise the right; however, no compensation is given to the employee who actually created the layout-design, only based on the laws associated with the semiconductor layout-design protection. This is compared with layout-designs created in n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R & D) projects. In national R & D protects, if, as the R & D output, a layout-design is registered and accordingly a layout-design is established, the researcher who created the layout-design can receive compensation based on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Acct and the Regulations on Management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Recently, it has been noted that the number of layout-design registrations by large companies has been reduced; conversely, that of layout-design registrations by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has increased. Considering structure and specialty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it appears that it is necessary to induce those companies being of great importance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to increase the number of layout-design registrations. In this connection, it is seen that, if the Act on the Layout-Designs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is improved to recognize the employee who created the layout-design in service as a creator of the layout-design and to compensate him/her for the creation, the availability of the Act on the Layout-Designs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by the semiconductor companies would be enhanced. For this Paper, I have reviewed the laws and regulations to protect the layout-designs of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by each country, based on whether the position as a creator of the layout-design created in service is vested in the employer. In addition, I have reviewed whether compensation can be given to the employee who actually performed the act of creating a layout-design if the layout-design was created in service, and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vise Article 5 of the Act on the Layout-Designs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 KCI등재

        입체패널의 배치유형에 따른 관람자 만족도 연구

        김동식,이상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1

        본 연구는 벽면배치방식을 위주로 한 정적인 배치방법과 효과적인 관람을 유도하기 위한 다각도 배치방법의 차이를 살펴보고 입체패널의 형태유형을 바탕으로 한 입체패널들의 다양한 배치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시회에서 나타나는 입체패널의 배치유형에 따라서 관람자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전시대를 개선하고 효율적인 배치방법을 통해 관람객의 전시 만족도와 이용률을 높여 문화시설의 전시공간의 질 향상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배치유형이 곡선형으로 끝나는 경우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반면에 ‘ㄱ’자형으로 끝나는 경우는 낮게 나타났으며 관람객 만족도가 높은 배치유형의 순은 ‘ㅡ’자형, ‘ㅁ’자형, ‘ㄷ’자형, ‘ㅁ’자형, ‘ㅡ’자형, 곡선형 다음으로는 ‘ㅡ’자형, ‘ㄷ’자형, 곡선형, ‘ㅁ’자형, ‘ㅡ’자형, 곡선형으로 도출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입체패널의 효율적인 배치방법을 이용하여 관람객의 전시 경험적 측면의 확대를 중심으로 한 만족도와 이용률을 높여서 문화시설 전시공간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統一新羅式 伽藍配置의 成立과 靈鷲寺 創建

        서영남 한국문화사학회 2017 文化史學 Vol.0 No.48

        It is the characteristic arrangement of temple of unified Silla to place the main building(Geumdang) in the center and two pagodas on the front left and the front right side of the main building, facing each other. This style appeared in the 7th century when Silla tried to unify three Kingdoms and became the typical style of architecture of unified Silla. Sacheonwangsa is the first temple which was constructed in this twin tower style(Sangtapsik Garambaechi style), followed by Gameunsa. We can call the stereotype of the arrangement of temple "the unified Silla Style”. The most impressive point is the arrangement of Buddhist scriptures and bell tower(Jongru). Protruding to the south, they were placed at the joint of the east and west corridor(Hoerang). Square for religious activities was created at the south. Also the inside of the main temple was symmetric. The distinct features of unified Silla are: rectangular building space, 凹 style corridors, front three bay side two bay structure mid-door, a stone lantern in front of the main building, front five bay side five bay main building, front seven bay side four bay lecture hall(Gangdang) and one building with two compartments at each side of the lecture hall. The formation of the stereotype was completed with the construction of Yeongchuksa and Cheongunrisa. 통일신라 사원의 특징적인 가람배치는 하나의 금당을 중심에 두고 금당 앞 좌우에 동-서로 탑이 배치되는 쌍탑일금당식이다. 이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등장하여 이후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모습이 된다. 쌍탑식 가람배치 사원은 사천왕사부터이며, 이후 신라적 틀이 갖추어지는 감은사를 거쳐 영축사 · 천군리사 단계부터 전형화된 가람배치 사원들이 건립되며 이렇게 정형화 되어 가는 가람배치를 ‘통일신라식’ 가람배치라고 하고자한다. 통일신라식 가람배치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경 · 종루의 배치이다. 경 · 종루를 동 · 서회랑 연결선상에 남단으로 돌출되게 배치하고 그 남쪽에 평탄대지를 조성하여 더욱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종교적 의례에 참여할 수 있는 광장을 구성하고, 중심사원 내부는 좌우대칭 구도에 맞는 엄격한 가람배치로 완성된다. 이 외에도 가람배치 각 구성요소의 속성분석, 類型化 결과 대지모양은 남북길이가 동서길이보다 긴 장방형, ‘凹’자상 회랑, 남회랑 중앙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문, 금당 중앙 앞쪽에는 석등 1기가 배치되고, 금당은 정면 5칸 측면 5칸의 내외진 구조, 강당은 정면 7칸 이상 측면 4칸으로 도리칸 중앙 기둥열 전체가 감주되어 넓은 고주칸을 가진 통칸 구조이며, 강당 좌우에는 2실 1동의 건물지가 갖추어지는 것을 ‘통일신라식’ 典型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영축사지 창건은 천군리사지와 같은 단계로 추정되며, 이 두 사원의 건립을 계기로 전형적인 ‘통일신라식’ 가람배치가 정립된다고 보인다.

      • KCI등재

        서울시의 신규교사 집중화 경향 분석

        양정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서울시의 신규교사 배치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교육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 각 자치구별로 신규교사의 배치에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 자치구별 교육여건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서울시의 공립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배치된 신규교사의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지난 5년간의 이동현황자료로서 초등학교 신규교사 4,677명, 중학교 신규교사 1,422명, 고등학교 신규교사 36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서울시의 공립 초·중·고등학교에 배치된 신규교사의 분포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교육여건이 열악한 은평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중랑구, 성북구 등에 신규교사가 집중되어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5년 동안의 신규교사가 배치된 상위 25개 학교를 살펴본 결과에서도 교육여건이 좋지 않은 자치구에 위치한 학교들에서 신규교사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었다. 서울시 자치구별 교육여건과 신규교사의 배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대체로 각 자치구의 교육여건에 따라서 학생들의 학력에도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분석과정을 통해 앞으로 서울시 신규교사의 배치시 나타나는 특정지역의 집중화현상에 대한 요인과 과정에 대해 체계적으로 알 수 있었으며, 향후에 신규교사의 집중배치가 교육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좀더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한 후속연구와 개선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VMD 측면에서 상품배치와 매출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이소은(So Eun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3

        업태별, 제품 간의 경쟁이 가속화 되면서 브랜드의 이미지를 차별화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모색되고 있으며, VMD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효과적인 VMD 전략수립을 통한 기업의 이윤 증가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VMD 구성요소의 전략적 활용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며, 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VMD 구성요소 인 상품배치는 매장의 레이이웃, 동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중요한 요소로, 상품배치와 매출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VMD 기획 시 효과적인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상품배치의 사례연구를 통해 상품배치와 매출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전략적인 상품배치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범위에는 VMD 정의와 구성요소, 상품배치의 방법, 상품배치 사례분석, 상품배치와 매출과의 상관관계 분석들이 포함되어 진다. 연구의 내용은 VMD 구성요소로서의 상품배치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매출상승을 위한 효과적인 상품배치 방안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 실제 국내 패션브랜드 C사, 4개 매장의 상품재배치 전과 재배치 후의 매출을 비교 분석하여, 상품배치와 매출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상품 재배치 전과 재배치 후 매출이 4매장 평균 13.2%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품 배치와 관련하여 변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상품의 아이템별 분류 보다 스타일별 분류 시 더 매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장 내 중앙행거 수를 줄이고 일자형의 배치가 아닌 벽장의 아이템과 연계한 배치를 통해 편안한 분위기를 유도하고 매출로 연계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장의 규모가 작은 경우의 카운터 위치는 입구 정면 보다는 양끝이나 측면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좋으며, 신발과 의류를 함께 판매하는 브랜드의 경우, 고객용 의자를 매장 좌우에 균등한 분할 배치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매출 증가를 위해, 각 브랜드에 적합한 상품배치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Corporations have searched for diverse marketing strategies to differentiate their brand images as competitions grow fiercer and fiercer among business types and products. Thus the importance of VMD attracts even more attention. Corporations can expect profit increases according to effective VMD strategies, which calls for a need to develop strategies to make use of VMD components and do researches on them. One of the VMD components, product placement is vital and has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layout and path of action of the store.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product placement and sales to provide basic data for setting up effective strategies in the stage of VMD planning.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o a case study on product placement,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product placement and sales, and propose strategic plans for product placement.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VMD, methods of product placement, case analysis of product placement, and correlations between product placement and sales. The study sorted out and presented theories needed to understand product placement as one of the components of VMD and used the results to propose effective plans for product placement to lead to greater sales. As for methodology,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sales of four C brand stores before and after product placement and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product placement and sales. As a result, the sales of the stores increased by average 13.2% after product placement. The analysis results of factors that changed in relation to product placement indicate that style-based categorization generated more sales than product item-based categorization and that reduction of central hangers and product placement in connection with closet items created a comfortable atmosphere and generated more sales than product placement on a straight line. The counters contributed to sales more when located at both ends of the entrance or on the sides than the front side of the entrance. When the brands that marketed both clothes and shoes provided much space for customer chairs, they were able to generate more sales. Those results imply a need for product placement plans fit for each brand to increase corporate sales.

      • KCI등재

        영남지역 조선후기 사찰벽화의 배치에 대한 고찰

        한정호 ( Joung-ho Han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6 文物硏究 Vol.- No.29

        사찰벽화는 원래 그려진 장소와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건립당시 해당 불전 의 장엄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현존하는 작품사례가 많은 영남지역 불전을 중심으로 벽화의 배치를 분석한 결과 벽화의 배치방식은 건축의 수직구조와 수평구조, 그리고 건물의 향방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먼저 건물의 수직으로 형성된 벽면은 상하 수직적인 불교 존상의 위계를 표출 하는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양산 신흥사 대광전 서측벽 묘사 된 아미타설법도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벽면을 삼단으로 구분하여 밑에서부터 신중도, 보살도, 삼존도를 차례로 배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차별화된 존상의 위 계를 표출하였다. 그리고 포벽화로 그려진 여래도나 보살도는 여백을 장식하기 위한 용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존상의 위계에 따른 상하 수직관계와 불전의 성격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포벽과 내목도리 상벽에 고승도, 보살도, 여래도 등을 함께 배치할 경우 하단에 해당하는 포벽에는 고승도, 보살도 등을 배치하고 상단인 내목도리 상벽에는 여래도를 배치하여 위계를 구분하는 현상을 보인다. 불전의 수직구조에 따른 벽화의 배치가 존상이 갖는 위계를 중심으로 전개된 다면 수평구조는 동등한 위계를 갖는 존상 또는 서사적 성격의 여러 장면으로 구성된 불화의 배치와 연관된다. 수평으로 형성된 벽면에 그려진 벽화의 배치방 식은 그 주제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 또는 역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전개되기도 하고, 유교의 소목식(昭穆式) 배치법이 적용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흥미로운 점은 통도사 영산전의 벽화의 경우 석가모니불의 행적을 그린 벽화와 전법제자들의 행적을 그린 벽화의 전개순서가 서로 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이는 좌우배열의 변화를 통해 존상의 위계를 구분하는 방식이 존재했음을 보여 준다. 불전의 향방에 따라 형성된 벽면의 방향은 약사불, 아미타불, 사천왕 등 방위 의 성격을 띠는 존상배치의 변화를 보여준다. 동향 건물인 통도사 약사전과 범어 사 대웅전의 약사설법도와 아미타설법도는 벽면의 한계로 인해 각각 남벽과 북 벽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방위 색을 띠는 불교의 존상이 정방이 아닌 간방으로 이동하여 배치될 때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치되는 규칙과 일치 한다. 이를 통해 특이한 사천왕 배치로 주목되어온 홍천 수타사 봉황문과 문경 대승사 명부전의 사천왕 배치가 서향한 불전에 맞춰서 배치된 결과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Because Buddhist temple mural paintings maintain the location of the works and their production, they serve as crucial data that can accurately provide vyuha (decorative, 莊嚴) intentions of the corresponding Buddhist sanctum at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lacement of murals centering on Buddhist temples in Gyeongsang Province where most abundant works have been preserved to this day,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mural placements changed according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nstruction of the architecture and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First, the wall built vertically in the building was utilized as a way to express the vertical ranks of sacred Buddhist images. The representative of this style is the Buddhist painting by Amitabha (阿彌陀說法圖) found in the west wall of the Daegwangjeon in the Sinheungsa temple in Yang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painting divides the long vertical wall into three parts and featured, from bottom and up, the painting of Multiple Deities (Sinjungdo, 神衆圖), the painting of Bodhisattva (Bosaldo, 菩薩道) and the painting of Buddha Triad (Samjondo, 三尊圖) as they naturally expressed the differentiated rank of the sacred images. And, the painting of Buddha(如來圖) or the painting of Bodhisattava painted as bracket-wall paintings(包壁畵) were not used to merely decorate the margin but functioned as an important element to reflect the vertical ranks of sacred images and the nature of the Buddhist temple. If the placement of wall paintings according to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Buddhist temple connoted the ranks of sacred images, the horizontal structure was related to sacred images of equal status or the arrangement of Buddhist paintings consisting of various epic-style scenes. The arrangement of murals painted along the horizontal wall spaces were, depending on the theme, showed various styles, as it went from left to right or right to left, or at times it followed the Somoksik(昭 穆式) style, or the arrangement used in Confucian rituals. What’s interesting was: in case of the mural painting in the Yeongsanjeon in the Tongdosa temple, the order of storytelling in the wall painting depicting Sakyamuni Buddha’s whereabouts and the wall painting depicting Disciples’ whereabouts was reversed. Through such a change of left and right in the arrangement, it showed that a method of differentiating the ranks of sacred images did exist. The direction of wall spac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Buddhist temple also showed changes in the placement of sacred deities related to defense, such as Medicine Buddha (藥師佛), Amitabha(阿彌陀佛) or Four Buddhist Guardians(四天王). The painting of Medicine Buddha and the painting of Amitabha in the east-facing Yaksajeon in the Tondosa temple and Daeungjeon in the Beomeosa temple were placed in the southern and the northern wall respectively due to limited wall space. This phenomenon coincided with the rule in which when defense-related sacred images were moved from right directions to in-between directions, they were moved counterclockwise. Conclusively, the two paintings that have gained special attention due to their peculiar placement of Four Buddhist Guardians - the Bonghwangmun (鳳凰門) gate in the Sutasa temple in Hongcheon and the painting of Four Buddhist Guardians in Myeongbujeon in the Daeseungsa temple in Mungyeong - were the result of them being in the west-facing Buddhist temples.

      • KCI등재

        전시체제기 樺太 전환배치 조선인 노무자 관련 명부의 미시적 분석

        정혜경 숭실사학회 2009 숭실사학 Vol.22 No.-

        전시체제기 조선인 인적동원 관련 자료 가운데 명부는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료로 활용하기에는 제한적인 자료이다. 그러므로 명부 자료의 ‘제한성’을 명부 자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방법과 다른 자료의 교차분석을 통해 해제시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1944년 8월에 화태의 북서부 탄광지대에서 일본의 4개 지역으로 전환 배치된 조선인노무자에 관련한 명부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통해 사료적 가치와 연구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글이다. 화태 전환배치란 1944년 8월 11일 각의결정 「화태(樺太) 및 구시로(釧路) 탄광근로자, 자재 등의 급속전환에 관한 건」을 근거로 실시된 인력배치를 지칭한다. 일본은 1942년부터 인적․물적 자원의 통제 및 운용에 관한 법적 근거에 의해 노동력의 전환 배치를 했다. 1944년 8월 11일 각의결정 을 근거로 남사할린(화태)의 탄광부를 본토로 이송하는 전환배치가 실시되었다. 일본 각의결정에 의해 1944년 9월에 화태 지역에 가동 중이던 26개소 탄광 가운데 서해안 탄전지구의 14개소 탄광이 정리되고 노동력 및 생산자재가 일본 본토로 긴급 배치되었다. 조선인들은 1944년 8월 19일부터 3일간 통보받고, 8월 25일부터 9월 16일 까지 일본 본토에 입항했다. 이들은 후쿠오카(福岡), 나가사키(長崎), 후쿠시마(福島), 이바라키(茨城)현 등 총 4개현 26개소 탄광으로 전근되었다. 작업장 배치 원칙은 동일한 계열 회사이다. 그러나 배치 과정에서 약간의 변경이 이루어졌다. 당초 3,022명이 징용령을 받았으나 필자가 조 사한 바에 의하면, 실제로 ‘입산(入山)’한 조선인은 3,191명이고, ‘전환배치’ 지역도 변경 배치되기도 했다. 이 글은 화태 전환배치 조선인 광부 관련 명부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통해 명부자료의 정리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수정하고,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작성했다. 이 글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명부자료는 화태 전환배치와 관련해 동원된 인원과 동원지역 등 실태를 알 수 있는 자료로서 2007년 12월 현재 5종이 발 굴․생산되었다. 명부자료는 전시체제기 역사학 연구를 비롯해 다양한 학문적 접근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료이다. 연구자들에게는 명부에 담긴 색다른 정보로 인해 공문서나 신문기사 등 기존에 활용하던 자료와 다른 매력으로 다가선다. 색다른 정보란 단지 매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명부는 기존에 활용하던 자 료와 다른 특성을 가진 자료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명부자료를 연구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료를 분석하는 방법과 동일한 분석방법은 물론이고, 그에 선행하는 또 다른 작업 과정도 필요하다. 검증과 전산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화태 전환배치 조선인 광부 관련 명부는 일본의 전시체제 연구 및 제국사 이해에 시사점을 준다. 일본 당국이 전황의 변화 속에서 노동력 활용을 위해 실시한 정책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아울러 일본의 지배지역인 화태와 일본 본토를 연계하는 물류 유통과 인력수급시스 템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Albeit a register is very cardinal information that has human resources of Joseon, it is still short to use it as a historical material. That’s why I tried to annotate them in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limited feature of register’ in a deeper level and other sources.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a historical value and its ap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about some registers regarding Joseon laborers’ turnover from Sakhalin to 4 different regions of Japan, happened on Aug. in 1944. Turnover to Sakhalin means that relocation of human resources decided upon by Japanese Cabinet on Aug.11, 1944 based on [An article about sudden switch of Sakhalin & Kushiro coal mine laborer, materials]. Since 1942, the Japanese regime tried to turnabout labor power based on legitimate foundation regarding regulation & management of human & capital resources. On the ground of the decision made by Japanese Cabinet in Aug. 1944, Japanese regime transferred south Sakhalin laborers to mainland. On Sep. of the same year, 14 coal mines of all 26 operating colliery located west seashore were cleared, accordingly laborers who worked there were transferred to mainland, Japan. Joseon laborers who informed the news for three days about the switchover were moved to Japan between Aug. 25 and Sep. 16. They were dispatched to 26 different mines of 4 prefectures like Fukuoka, Nagasaki, and Ibaraki. Allocation principle of work place absolutely belonged to same interrelated corporation. But in the midst of it,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beginning, 3022 laborers were supposed to be recruited, but according to my survey, actual number of laborers who entered mountains were 3191, and its switchover region is also little different. This treatise is to correct some misinformed materials that was found in a micro-analysis on some registers regarding Joseon laborers’ turnover to Sakhalin during wartime regime, and to instigate the following researches. These 5 registers quoted here on this paper that excavated on Dec. 2007 is very helpful to dig out lots of information about how many laborers & to where they were s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Sakhalin region. The register material can be available not only for historiography in wartime period but other studies as well. The information comes to researchers in subtle curiosity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official documents or newspaper articles available. The differentiating information is not confined in mere intellectual attractiveness, but stretched out to different substitutional studies. Accordingly, in order to use them as a research material, it needs to be proved by established method of analysis, and also other approaches beforehand is also needed such as verification & computerization. The registers came out of this procedure give us many implication to dig out about wartime study of Japan and imperialism history. Because it gives a clue for further study when it comes to how Japanese regime carried out their strategy to use labor power in the contemporary age. In addition, it will be helpful to study on Japanese territory, Sakhalin and its connection with mainland in terms of human & capital resources distribution.

      • 日帝强占期 扶餘 地域의 寺址 調査에 對한 再檢討

        李炳鎬 ( Lee Byong-ho ) 국립중앙박물관 2011 고고학지 Vol.17 No.-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부여 지역의 사지 조사 내용을 1945년 이후 재조사된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재검토한 다음 현 단계에서 추정할 수 있는 백제 사원의 가람배치의 원형과 변화 양상을 시론적으로 검토하고, 당시 고적 조사가 갖는 의미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부여 군수리사지, 동남리사지, 정림사지, 익산 미륵사지, 부소산폐사지 등은 백제 사원 가운데 가람배치를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유적들이다. 이 寺址들은 미륵사지를 제외하면 모두 일탑일금당식 가람배치를 하고 있는데, 발굴 당시부터 일본 大阪 四天王寺의 가람배치와 유사한 점이 크게 주목되었다. 그후 일본의 소위 四天王寺式伽藍配置는 백제 사원의 가람배치와 동일하다고 인식되었지만 최근 정림사지를 비롯한 백제사지에 관한 발굴 조사 결과, 탑과 금당을 비롯한 가람중심부 堂塔의 배치는 같지만 부속건물을 비롯한 주변부 건물들의 배치는 기존의 인식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부여 정림사지는 사비시기 사원 가운데 가장 먼저 건립된 사원으로 그 직후 건립된 능산리 사지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원형[프로토타입]을 추정할 수 있다. 그 후 건립된 군수리사지-왕흥사지-동남리사지-제석사지-미륵사지-부소산폐사지 등은 가람배치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사비시기의 백제 사원은 소위「정림사식가람배치」의 범주에서 논의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일제강점기의 고적조사는 많은 유물을 확보할 수 있는 경주와 평양의 古墳 조사가 중심이었는데, 1930년대 중반 부여 지역의 寺址 조사로 확대된다. 그 이유의 하나로 ‘法隆寺 재건 비재건 논쟁’을 중심으로 한 일본학계의 飛鳥 문화에 대한 관심의 증대라는 측면을 강조하였다. 부여 지역에 관한 고적조사는 자신들의 관심사인 일본의 초기 고대사원과 백제사원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었기 때문에 백제 사원의 가람배치나 출토유물이 飛鳥時代의 그것과 같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있을 뿐 그 차이점에 대해서는 무관심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他者化된 시각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양자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 contents of the survey of temple sites in Buye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investigations carried out since 1945. Thus, the paper considers the original configuration of temple buildings built during the Baekje Period, in as far as they can be supposed at present, and any changes made to them, as well a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urveys of historic sites carried out in the past. The temple sites that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cluding those in Gunsu-ri and Dongnam-ri, Jeongnimsa, Busosan Mountain in Buyeo, and Mireuksa in Iksan, are very important historic sites that reveal the layout of the buildings of temples built in the Baekje Period. Besides Mireuksa in Iksan, these temples have an arrangement consisting of one pagoda and one main hall. In the colonial period, Japanese researchers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similarities between the layout of the Baekje temple sites and that of Shitennoji Temple in Osaka, Japan. Therefore, researchers believed that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s at Shitennoji Temple was identical to that of Baekje temples in Korea. However, the results of excavation of Baekje temples, including Jeongnimsa, revealed that this was not so in the case of ancillary buildings. Jeongnimsa in Buyeo was the first temple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Sabi Baekje Period. Its original shape could be estimated by comparing it with a temple in Neungsan-ri that was built after Jeongnimsa. Temples built at a later date than these, i.e., those in Gunsu- ri, Wangheung-ri, and Dongnam-ri, Jeseoksa, Mireuksa, and Busosan Mountain, show chronological changes in the building plan of the temples. In this respect, the building arrangement for Baekje temples built during the Sabi Baekje Period can be referred to as the Jeongnimsa-style temple pl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most of the surveys of historic sites were conducted at tombs in Gyeongju and Pyongyang, where a number of historic remains had been found. The surveys were extended to temples sites in Buyeo in the mid-1930s. The brisk surveys were associated with Japanese scholars' new-found interest in the Asuka culture, amid the controversy over the need to rebuild Horyuji Temple near Nara. These surveys were focused on the finding of similarities between the building plans and artifacts of Baekje temples and those of ancient temples in Japan; hence, it appears that the scholars paid no attention to differences between them. Such a view of Baekje temples on the part of outsiders has been upheld until now. In this context,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study and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between Baekje and Japanese te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