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울주지역 옹기가마 분포와 수습유물

        배보늬 ( Bae Bo Ni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1 文物硏究 Vol.- No.19

        옹기는 우리 민중이 오랫동안 사용해온 기물로써 민중생활과 항상 함께한 용기 중의 하나이다. 옹기는 일반 반상기용의 자기류와 함께 식품을 저장하거나 운반하는 용기로써 최근까지 가장 널리 사용된 도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동안 관계연구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면서 그 시원을 비롯한 전파과정, 용도, 기종 등의 구체적인 연구가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는 울주군 내 분포하는 조선시대 옹기가마에 관한 지표조사 과정에서 총 12곳의 유적을 확인하고 이를 정리한 결과이다. 울주군 내에는 16세기~17세기에 해당하는 동천리 옹기가마를 비롯해서 조선시대 중후반기에 주로 옹기조업이 이루어졌고, 온양읍 외고산 마을 주변에는 현재까지도 옹기조업이 행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잿물이 시유된 옹기가 확인된 가장 이른 시기의 유적은 15세기~16세기경에 해당하는 청도 순지리와 나주 우산리유적으로 확인되어 조선전기부터 옹기소성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전국에서 약 20여곳의 옹기가마 유적이 발굴조사되었다. 울주군은 지금까지 확인된 12곳 가운데 16세기~17세기에 해당하는 것이 1곳, 17세기~18세기에 해당하는 것이 1곳, 18세기~19세기에 해당하는 것이 10곳으로 파악되어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옹기조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이미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17~18세기경의 덕현리유적과 18~19세기경의 천전리 및 방리유적의 조사성과에서 울주군 내 옹기생산 현황이 확인되고, <蔚山邑誌>에 보이는 ‘?營店’, ‘內基店’ 등의 문헌기록을 이번 조사를 통해 그 실체 파악이 가능하여 19세기 이후의 옹기생산 연구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울주군 내 옹기가마의 분포현황을 확인한 부분적인 성과에 지나지 않는다. 추후 이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가 좀 더 이루어진다면 울주군은 물론, 인접한 경상도지역 옹기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울주 옹기의 생산과 공급에 관한 사실들도 점차 규명될 것으로 기대된다. Onggi is one of the vessels the people used that is deeply related with their everyday life. It is kind of pottery widely used for storage and transport containers until the modern age with ceramics for tableware but it was very far from pottery studies and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for its origin, types, uses and a process of spread. This study was promoted by Ulju-gun and Onggi from the Joseon Dynasty was investigated about its characteristics and time era through 12 remains in Ulju. In Ulju-gun, Onggi operation was mainly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including Dongcheon-ri Onggi klin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The work is still in operation around Oegosan village in Onyang-eup. The earliest grazed Onggi in Korea is from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equivalent to Sunji-ri in Cheongdo and Usan-ri in Naju. Therefore we could know the origin of Onggi is from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are about 20 relics in this period all over the country. As a result of the Ulju-gun research, 1 is for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1 is for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nd 10 are for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among the 12 sites. The findings ascertain that Onggi operation was conducted continuously during the entire Joseon Dynasty. Ulju Onggi production history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as been verified through results already studied about Duckhyun-ri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Cheonjeon-ri and Banri historical sites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Futhermore we do know the substance from literature of 'Guyoungjeom' and 'Naegijeom' in ??Ulsaneupji?? and it is helpful for the study of Onggi production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This time the research was limited to remains' indexes confirming their status of distribution but more archaeological studies are expected to find out about production and supply of Ulju Onggi by comparions with an adjacent region, Gyeongsang-do's Onggi.

      • KCI등재후보

        기장 오리 신리 요지 편년연구

        허선영 ( Sun Young Hur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8 文物硏究 Vol.- No.13

        부산광역시 동북쪽에 위치한 기장군에서 도예촌 조성과 관련하여 2007년 2월부터 7월까지 지표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조사에서 장안읍 일대를 중심으로 청자요지 2곳, 분청사기요지 1곳, 백자요지 1곳, 옹기요지 2곳과 정관면에서 백자요지 1곳 등 모두 7개 지점에서 도요지 관련유적이 확인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 중 기장군 장안읍에 위치한 오리 신리 요지에서는 한국 도자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인 14세기 대에 상감청자대접의 주요한 문양으로 등장하는 蓮唐草文을 비롯해 柳文·蘆文·雨點鶴文 등이 새겨진 도자편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기장 오리 신리 요지는 후대의 인위적인 훼손으로 인해 현재 가마 유구의 현상 파악은 어려우나 지표조사에서 수습된 다량의 도자편 분석을 통해 이들 유적에 대한 편년연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리 신리 요지의 제작시기를 추정해 볼 것이다. 먼저, 요지 도자편의 기종과 기형, 문양, 제작수법을 면밀하게 검토해 보았다. 확인된 기종은 대접과 접시가 중심을 이루고, 그 외 기타 도자편과 요도구 등도 확인되었다. 문양은 도자편의 크기가 대체로 작아 전체적인 문양구성을 살피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문양 구성과 위치에 근거하여 주문양과 종속문양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제작수법에서는 유태와 굽의 깎음새, 번조수법은 갑번인지 포개구이 번조인지에 대한 여부와 받침은 어떠한 것이 사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요지의 조성시기는 절대연대를 가지는 유물과의 비교 즉, 간지명?관아명?능명?연호명 청자 편년유물의 기형(각접시, 돌기문접시) 혹은 문양(연당초문, 변형당초문, 유문, 노문, 우점학문)과의 비교를 통해 제작시기를 가늠하였다. 그 결과 오리 신리 요지는 1350?1370년대 사이에 요업이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기장지역 도요지와 도자에 대한 조사연구가 정식으로 학계에 보고된 적이 없는 상황에서 이 지역의 연구는 지역 도자사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A research of earth surface was conducted by me from February to July 2007 on the subject of ancient formation of ceramic art villages at Gijang county, Busan. The research, though it was just a survey of earth surface, is a significant work since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ill now concerning pottery at Gijang area and reported officially to the learned circles. From the pottery located at Sinri village of Ori was discovered ‘design of lotuses and arabesques,’ an important pattern frequently appeared at ‘Cheongja Sanggam Daejeop’ (celadon porcelain inlaid bowl) in the 14th century. Also found are such patterns as ‘design of willows,’ ‘design of reeds’ and ‘design of cliuds and cranes’. The mentioned pottery was marred by posterity, so observation of his remained structure has become difficult. However, I decided that with the recovered slices, chronological research of the three remains is worth trying, so I brought them up as the object of my study. To determine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potteries, I first reviewed the kinds and techniques of production, together with patterns and abnormalities of the slices. Bowls and dishes were focal points of my survey as they are kinds that have been recovered most so far. Other items such as ceramic slices and kiln tools were also investigated. I have divided the remains into daily tableware and religious utensils. However, I have encountered limitation in studying the whole composition of pattern since most of the excavated slices were small sized. Nonetheless, I have classified them into main pattern and subordinate pattern based on general composition of patterns and their locations as well as their appearing ratio. As for production skill, I observed cutting shape of ‘Yutae’(special oil painting) and bottom of the slices, their firing technique, whether they are ‘Gapbeon’ (high-grade product) or ‘Pogae Gui’ fired one, and what material was used as prop. As a result of my observing the ceramic slices from Gijang area, I came to know that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the three potteries lie in ‘design of lotuses and arabesques’ celadon porcelains from Sinri potteries, and the utensil production for religious service. Through the above analysis, along with study of documentary records and comparison with other remains that were recovered from stable stratum or bearing dates, I could surmise the specific production period of each pottery. In particular, I could estimate production period of ceramic kilns at Sinri villages of Ori by comparing them with the season, authorities, land and chronological era inscribed at celadon porcelain, as well as abnormalities and patterns of the remains. As the result of my research I conclude that the pottery at Sinri village of Ori began production of ceramics at a period between 1350-1370.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조선초 거제현(巨濟縣)의 복구와 치소(治所)이동

        김광철 ( Gwang Chul Kim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1 文物硏究 Vol.- No.20

        가조현으로 이동했던 거제현은 조선 건국 후 세종 4년에 거제도로 복구되었다. 거제현을 복구하면서 치소로 삼은 곳은 거제도의 동부에 해당하는 수월리 지역이다. 수월리 치소에는 목책만 설치했을 뿐 성곽 시설을 갖추지 못하였다. 거제현이 복구된지 3년만인 세종 7년 2월부터 치소 이동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여 현지 조사가 실시되었다. 치소 후보지로 처음에는 고려시대 치소 지역이 거론되었으나, 현지 조사 후 사등리로 결정하였다. 이 곳은 주민의 거주지와 농토 밀집 지역이었고, 적선도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곳이어서 그 입지로 선정된 것이었다. 치소는 세종 8년에 이동되어 이곳에 둘레 2,510여 척, 높이 9척 규모의 읍성 사등성이 축조되었다. 오랜 시일이 걸려 치소 사등리를 중심으로 읍성을 축조하고 관아시설을 마쳤음에도, 문종 즉위년 10월부터 다시 거제의 치소를 이동시키자는 논의가 시작되었다. 사등성의 규모가 작아 주민들을 수용하는 한계가 있고 수원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새 치소는 이전 고정부곡이었던 고정리로 결정되었다. 정분의 조사보고에 따르면 이곳은 지세가 넓고 평평하며, 골짜기가 깊숙한 데다, 우물과 샘을 갖추고 있으며 경작지와 주거지를 많이 확보할 수 있는 곳으로 치소의 적지로 평가되었다. 치소 이동이 논의되기 시작하자 거제 주민의 반발도 있었으나, 정부에서는 심도있는 논의를 거쳐 문종 1년(1451) 가을까지 치소 이동과 축성을 완료하기로 확정하였다. 새 치소의 읍성은 진주 등 인근 지역의 역부 2만여 명을 동원, 이 해 11월에 완공되었다. 이 고정리 읍성은 둘레 3,600여 척, 높이 13척의 규모에 성문과 옥사 40여 간을 갖추고 있어서 사등성보다 훨씬 큰 규모였다. 이처럼 세종 4년 거제현이 복구된 후, 그 치소는 수월리에서 사등리로, 다시 사등리에서 고정리로 이동되는 등 세차례의 치소이동이 있었다. 치소가 설정되는 곳마다, 목책이나 성곽시설, 관사와 부고 등이 설치되어 치소로서 행정시설을 갖추었다. 거제현이 복구된 후 그 치소는 모두 거제도의 동부 해안지역에 자리잡고 있어, 조선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거제 지역사회는 주민의 분포, 재지세력의 근거지 이동, 행정과 교통망의 구축 등 변화를 겪었다고 볼 수 있다. GeojeHyeon(巨濟縣) was abolished in the late Goryeo, and was moved into GajoHyeon(加祚縣) far away from GeojeDo(巨濟島). The time of movement was from the end of Wonjong(元宗) to the early King Chungryeol(忠烈王). The movement of GeojeHyeon was caused by the Sambyeolcho(三別抄) resistance and the strict restrictions of government. GeojeHyeon was return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fter 150 years from the movement. GeojeHyeon moved into GajoHyeon was restored into GeojeDo in the fourth year of King Sejong's reign(1422). When GeojeHyeon was restored, the Chiso(治所 ; administrative office) was located in SuwueolRi(水月里), the east GeojeDo. Its Chiso was equipped with a wooden fence, but lacked castle for administrative office in province. After GeojeHyeon was restored, the Chiso was moved in two separate occasions on 1426 and 1451. The second Chiso was moved into the SadeungRi(沙等里) in the eighth year of King Sejong's reign(1426). In this place, built a castle named as SadeungSeong(沙等城). The circumference of wall was 2,511 cheok(尺) and the height of it was 9 cheok(尺). By the way, the Chiso of SadeungRi was moved into GojeongRi(古丁里) again in the first year of King Munjong's reign(1451). The reason of movement was because SadeungSeong’s small and there is not enough water. On the other hand, the Chiso of GojeongRi had a large expanse of plains with the abundance of water. The Eupseong(邑城) located on the GojeongRi was equipped with wall, castle gate and jail of about 40rooms. The circumference of wall was 3,638 cheok(尺) and the height of it was 13 cheok(尺). As mentioned above, after GeojeHyeon was restored, the Chiso was moved from SuwueolRi into SadeungRi, from SadeungRi into GojeongRi. The Chiso was located in the east coast of GeojeDo. It shows, through change the Goryeo Dynasty into the Joseon Dynasty, the distribution of resident, the movement of the stronghold of community leader, the administration and the traffic network was changed in the Geoje(巨濟) community.

      • KCI등재후보

        해인사(海印寺)에 소장된 강화경판(江華京板)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의 ``외장(外藏)`` 연구(2) -고려경판(高麗經板)의 조성성격

        최영호 ( Young Ho Choi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2 文物硏究 Vol.- No.22

        이 글에서는 해인사에 소장된 강화경판 『고려대장경』의 ‘외장’에 포함된 경판들 가운데 고려시대에 판각된 총 71종 경판들의 조성 주체·체계를 전반적으로 분석하는 동시에, 이들 경판에 담겨진 역사·문화적 성격 및 가치를 진단하였다. 그 개별 경판들 가운데 『宗鏡錄』 등 4종은 大藏都監이나 分司都監에서 조성되었으므로 都監板이라 규정할 수 있다. 아울러 외장의 개별 경판들 가운데 조성주체가 대장도감과 분사도감의 설치·운영과 관련된 경우, 경판의 판각과정에서 대장도감·분사도감의 각수 등과 같은 전문 인력을 활용한 경우, 대장도감과 분사도감의 운영체계와의 관련성을 가지는 경우도 도감판 내지 準都監板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이 글에서는 그 시기를 고종 23년(1236) 大藏都監과 分司都監이 설치되어 강화경판의 대장이 산출된 이듬해부터 대장의 조성사업이 일단락된 같은 왕 38년까지로 한정하면서도 도감과 거의 관련된 경판은 그 시기를 탄력적으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먼저, 3종류의 분류 기준이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경판은 『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등 6종이다. 다음으로, 2종의 분류 기준이 관련된 사례는 『金剛三昧經論』 등 6종류를 비롯하여 『妙法蓮華經』 등 3종이 포함된다. 그 다음으로, 각수 등 전문 인력만 활용한 사례는 『大藏一覽集』 등 9종이며, 조성주체만 도감과 관련된 사례는 『金剛般若波羅蜜經』 등 2종이다. 이들 26종류 가운데 그 조성 시기가 정확하지 않아 도감인력의 활용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없는 2종을 제외한 나머지 24종은 도감판 내지 준도감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東京分司都監의 행정조직체계를 활용하여 조성된 고종 38년의 『佛說阿彌타經』과 충숙왕 복위 3년의 『白花道場發願文略解』도 같은 성격의 경판으로 분류할 개연성도 남겨져 있다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the making specific character about the Koryo-Dynasty`s Woodblock(高麗刻板) of Ganghwa-Capital-Woodblock- Koryo-Dynasty Tripitaka``s Woijang which located in the Haein-Temple.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he Koryo-Dynasty``s Woodblocks of total 71 kinds. This paper is consisted in two parts: first, analysis of making-planner & second, making-system of the individual Woodblock. Among these Woodblocks, there are 4 kinds woodblocks, which include the Zonggyeongrok(宗鏡錄), so it can be defined as the Dogam`s product-woodblock(都監板). Because these one had been made at the Koryo-Dynasty``s Daejangdogam(大藏都監) & Bunsa-Daejangdogam(分司大藏都監). In addition to these, 26 kinds woodblocks can be included the tripitaka "Nammyungcheonhwasangsongzengdogasasil(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so they can be classified as the Dogam`s product-woodblock(都監板) or semi-Dogam``s product-woodblock(準都監板). Because making- planners of the individual Woodblocks had been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Daejangdogam & Bunsa-Daejangdogam. also professional personnels & material resources of the Daejangdogam & Bunsa- Daejangdogam were used to the process making-Woodblocks. Moreover they had been utilized as the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that has operated to a making-system of the Daejangdogam & Bunsa-Daejangdogam.

      • KCI등재후보

        부산포(釜山浦)와 부산진성(釜山鎭城)의 공간적 위치분석

        심봉근 ( Sim Bong Keun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4 文物硏究 Vol.- No.25

        부산은 처음 富山으로 표기되다가 성종 즉위년 12월부터 同音異字인 오늘날의 釜山으로 되었다. 그리고 釜山이라는 명칭은『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각종 문헌에서 가마(솥)와 닮은 주위 산명에서 유래되고 그 아래에 釜山浦가 있다고 하였다. 釜山의 위치에 대해서는 동구 좌천동 뒷산인 甑山이라는 설이 대세를 이루는 것이 사실이지만 증산이라는 산명은 임진왜란 때 凡川甑山城(왜성)이 축조된 다음에 생긴 것으로 성종 초기부터 사용된 釜山과는 우선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다 하겠다. 이 부분에 대해서 각종 문헌자료를 통한 수치상 검토도 있었지만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또 증산설을 주장하면서 자주 인용하는 1643년 申濡의 「登釜山次螺山韻」의 “山勢亞如釜 城門臨水開…波濤拔地廻 使華留滯日 登眺共徘徊”라는 구절은 임진왜란 이후의 부산진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서 임진왜란 이전의 진성과는 무관한 것이다. 오히려 도움이 되는 자료는 『海東諸國記』에 실린「東萊富山浦之圖」이다. 이 지도는 성종5년(1474)에 禮曹佐郞 南悌가 삼포왜호의 失火 내용과 항거왜인의 호구조사 결과를 함께 보고하면서 卷頭地圖에 첨가해서 올린 것이다. 지도에는 자성대공원과 범천하구를 중심으로 그 주변의 영청과 강, 산, 섬, 바다 등이 비교적 잘 묘사되어 있다. 특히 자성대공원 동북쪽의 見江寺, 동쪽의 照(?)月菴 그리고 그 주위 동천 하구까지 밀집된 건물배치, 동천교량과 다리 등은 임란 이전의 부산포를 묘사한 유일한 자료이다. 따라서 가마꼴 산 즉, 釜山 아래가 釜山浦라고 한다면 당시 부산포에는 현재의 자성대공원이 위치한 산 외에는 주위에 산이 없으므로 자성대공원이 곧 부산이라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1663년에 제작된 부산지역의 목장성지도에도 자성대공원 8부 능선과 그 아래 해안변에 각각 목책을 설치하고 그 주위 해안부에는 해자를 배치한 성곽을 표시하고 있는데 그 정상부에 묵서로 “釜山”이라고 표기하여 부산의 위치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고 있는 셈이 된다. 다음은 부산진성의 위치이다. 부산진성의 위치는 임진왜란을 경계로 그 이전과 이후로 지역이 구분된다. 즉 임진왜란 이전에는『해동제국기』에 영청으로 표기된 지금의 좌천동 봉생병원 북동쪽의 해안선에 근접한 계곡부나 저지대에 위치하였다고 생각되며, 현재 정공단은 북서쪽 경계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제작된 지도에선느 대부분 정공단 위쪽의 증산 정상부까지 진성이 위치 하였던 것으로 표시하고 있어 수군진보 입지조건과는 맞지 않는 지형이다. 후대 에 제작된「부산진순절도」의 경우 증산에는 증산성을, 자성대공원 주위에는 성문을 포함한 성벽(후기 부산진성)을 각각 묘사하고 그 중간에 부산진성을 배치한 구도를 갖추고 있다. 선박이 집중한 해안선과 정상부 왜성, 그리고 해안의 성곽 등을 고려해도 전기한 예측과 대차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임진왜란의 발발로 부산성이 함락되고 왜인들이 좌천동 뒷산과 범일동 자성대공원 아래 해안선을 잇는 위치에 소위 범천증산성(왜성)을 축조하였다. 그러나 정유재란에서 패한 왜군이 물러가고, 조선에서는 범천증산성 가운데 해안부 자성대공원 주위의 왜성을 일부 수개축하여 부산진성으로 활용하였다. 왜관은 서쪽으로 이설되고 개운포진과 두모포진이 좌천동과 수정동으로 이설되었으며, 부산진성은 자성대공원 주위에 자리 잡게 된다. 「차路勝區圖」를 비롯해서 『眞宰畵帖』의 「永嘉臺圖」, 「朝鮮後期地方地圖」등에서도 하나같이 자성대공원 주위를 부산진성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부산진성의 평면이 일반적인 타원형이나 원형 또는 방형이 아니고 다각형인 것은 왜성을 부분적으로 이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자성대공원 주위의 성곽은 부산진성의 지성이 아니고 임진왜란 이후의 부산진성이 위치한 곳이라는 것을 분명히 해둔다. 종합해서 말하면 조선시대 富山의 原都心은 당시 富山浦가 위치했던 凡川(동천)하구의 현재 범일동 자성대공원 주위이다. 그리고 성종 초기 富山에서 釜山의 동음이자로 바뀐 유래가 된, 가마와 같이 닮은 釜山은 곧 자성대공원이 있는 산이다. 또 부산진성은 임진왜란 이전에는 좌천동 봉생병원에서 그 북동쪽 해안저지대에 위치하다가 훼손되고 정유재란 이후에는 현재의 범일동 자성대공원 주위에 위치하게 되었다. 따라서 부산의 원도심 재생 차원에서 현재 자성대라는 명칭은 본래대로 부산으로 복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Busan had been used to be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Busan(富山)”, but it has changed to “Busan(釜山)” since the first December under the rule of King Seongjong. According to many old documents including “Dongkukyeojiseunglam”, “Busan(釜山)” came from a cauldron-shaped surrounding mountain and Busanpo was located below it. Although the dominant view is that “Busan(釜山)” indicating “Jeungsan(甑山),” a hill located in Jwacheon-dong, Dong-gu, had been used after Beomcheonjeungsanseong Fortress(凡川甑山城) was constructed during Imjin War, it is not related to “Busan(釜山)” the name that has been used since the early King Seongjong period. Many numerical reviews were conducted on the relevant documents, but they weren`t a great help. In addition, the phrase “山勢亞如釜 城門臨水開…波濤拔地廻 使華留滯日 登眺共徘徊” of “Deungbusanchanasanun(登釜山次螺山韻)”, written by Shinyu in 1643, which has been widely cited for the Jeungsan theory, is useful material to understand Busanjin Fortress after Imjin War, but it is not relevant to the fortress before Imjin War. One of useful materials is “Dongraebusanpo map” of “Haedongjegukgi(海東諸國記)”. This map was attached to Yejojawrang(禮曹佐郞) Namje`s report for the fire of Sampoweho and the result of census of Japanese people living in Korea in the fifth year of King Seongjong(1474). The map is relatively well describing Youngcheong, rivers, mountains, islands and sea surrounding Jaseongdae Park and the mouth of Beomcheon. Especially, it is the only data that describes pre-Imjin War Busanpo including Gyeongangsa Temple(見江寺) located in the northeast of Jaseongdae Park, Jowalam in the east of it, buildings densely built around the mouth of Dongcheon and Dongcheon Bridge. Therefore, it indicates that Jaseongdae Park signifies Busan since there are no mountains, except the mountain in Jaseongdae Park, around Busanpo on the assumption that Busanpo is located below the cauldron-shaped mountain called “Busan(釜山)”. In addition, Mokjangseong Map made in 1663 showed that individual wooden fences were installed at Octuplicate Ridgeof Jaseongdae Park and the shore under it, and that the fortress with trenches was marked around the shore. “Busan(釜山)” is marked with Chinese ink on the top of it, which indicates the location of Busan again.Next is the location of Busanjin Fortress. The location of Busanjin Fortress is divided into the pre-Imjin War location and the post-Imjin War location.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Busanjin Fortress was located in the valley or the lowland adjacent to the coastline in the northeast of Bongsaeng Hospital on Jwacheon-dong which was marked as Youngcheong in “Haedongjekukgi” before Imjin War. The current location of Jeonggongdan would be the northwestern boundary. Although most of map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dicates that the fortress is located to the top of Jeungsan above Jeonggongdan, it does not satisfy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fortress of naval force. “Painting of the Battle of Busanjin Fortress” made later marks Jeungsanseong Fortress in Jeungsan and ramparts (Busanjin Fortress later) including the castle gate around Jaseongdae Park and shows Busanjin Fortress in the middle of it. It would be no difference with the prediction mentioned before, even considering the coastline crowded with vessels, Japanese fortress on the top and seaside fortress. Meanwhile, Japanese people constructed Beomcheonjeungsanseong Fortress (Japanese castle) in the hill of Jwacheong-dong and the coastline below Jaseongdae Park of Beomil-dong after Busan Castle had been fallen during Imjin War. However, since the Japanese forces who were defeated in Jeongyu War left, Jaseongdae was remodelled a part of Japanese castle in Jaseongdae Park which is in the middle of Beomcheonjeungsanseong Fortress and used it as Busanjin Fortress. Japanese residents were shifted to the west, and Gaeunpojin and Dumopojin were moved to Jowacheong-dong and Sujeong-dong. Busanjin Fortress was settled around Jaseongdae Park. The neighborhood of Jaseongdae Park is marked as Busanjin Fortress in Saroseungudo, Painting of Younggadae of Jinjehwacheop, Local Map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plane of Busanjin Fortress is polygonal instead of oval, round or square is the result of partial use of Japanese castle.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e current rampart around Jaseongdae Park is not a small castle of Busanjin Fortress but the location of Busanjin Fortress after Imjin War.In other words, the original downtown of Busan(富山) in the Choseon dynasty is the neighborhood of Jaseongdae Park of Beomil-dong at the mouth of Dongcheon which used to be the location of Busanpo. Moreover, the cauldron-shaped mountain Busan(釜山), the name changed from Busan(釜山) in the early King Seongjong period, is the mountain where Jaseongdae Park is located in. In case of Busanjin Fortress, it used to be located in the northeastern coastal lowland of Bongsaeng Hospital on Jwacheon-dong before Imjin War and its location changed to the current Jaseongdae Park on Beomil-dong after Jeongyu War. Hence, it is desirable that the current name “Jaseongdae” should be changed to Busan, its original name, in terms of restor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of Bus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