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낙관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조절효과

        최혜림(Hye-lim Choi),김진영(Jin-young Kim) 한국심리치료학회 2018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낙관성과 방어기제유형,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낙관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 유형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445명(남자 316명, 여자 129명)을 대상으로 안녕감 척 도(K-SWBS), 성향적 낙관성 척도(YLOT), 낙관적 설명양식 척도(CASQ), 방어기제유형 척도(K-DSQ)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안녕감, 성향적 낙관성, 낙관적 설 명양식, 그리고 적응적 방어기제유형은 각각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나 안녕감, 성향적 낙관성, 낙관적 설 명양식과 미성숙, 자기 억제적, 갈등 회피적 방어기제유형은 모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향적 낙관성, 낙관적 설명양식, 적응적 방어기제유형은 안녕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성향적 낙관성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성향적 낙관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방어기제유형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 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defense mechanism style and well-being,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defense mechanism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well-being.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445 middle school students (316 boys, 129 girls). They a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Korean Subjective Well-Being Scales (K-SWBS), the Youth Life Orientation Test (YLOT),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 (CASQ), and Korean Version of Defense Style Questionnaire (K-DSQ).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dolescents’ well-being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spositional optimism,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and adaptive defense mechanism style. But immature, selfinhibiting, and conflict-avoiding defense mechanism sty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well-being, dispositional optimism, and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Secondly, dispositional optimism,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and adaptive defense style had positive effects on well-being, and dispositional optimism showed the highest influence on well-being. Thirdly, the moderating effect of adaptive defense mechanism on the relation between dispositional optimism and well-being was significant. Lastly,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예비유아교사의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이경화,권유선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G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215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과 자아존중감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종속 변인으로 하는 단계적 회귀분석과 단순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을 22%, 동기조절을 23%, 행동조절을 24%를 설명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을 29%, 동기조절을 27%, 행동조절을 2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에는 자아존중감이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이 더해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을 44%, 동기조절을 35%, 행동조절을 3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위험추구 성향과 조절초점 특성이 쇼루밍에 미치는 영향

        황형국,조성도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논집 Vol.25 No.4

        본 논문은 조절초점과 위험추구 성향과 같은 소비자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일반적 인터넷 쇼핑과 쇼루밍의 구매패턴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 쇼루밍 관련 연구들은 합리적 기대이론과 비용-수익 관점에서 소비자들이 쇼룸밍을 하게 하는 전반적인 행동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보다 정교한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내면적 심리 특성이 쇼루밍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위험추구 성향과 조절초점 특성을 중심으로 쇼루밍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향상초점, 방어초점, 위험추구 성향이 쇼루밍과 온라인 구매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는데 각 심리특성의 비대칭적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 결과향상초점은 온라인과 쇼루밍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무관심 요인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에 방어초점은 쇼루밍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방어초점이 높은 소비자들이 쇼루밍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위험추구 성향이 높은 소비자들은 온라인 쇼핑을 선택하는 확률이 높았다. 방어초점과 위험추구 성향은 온라인과 쇼루밍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대칭적 요인이었다. 멀티채널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로 정보탐색과 구매행동을 하는 소비자들의 심층적 심리 특성을 이해하여 마케팅 활동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Prior studies on show-rooming focused on behavioral traits that affect show-rooming and addressed it based upon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profit and cost perspectives.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and detailed marketing strategies for online shoppers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motives underlying show-rooming is needed.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s of consumers’ psychological traits such as regulatory focus and risk taking tendency on the choice between show-rooming and online shopping. An experiment with a scenario i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deodorant and laptop are used for th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omotion self- regulatory focus is not associated with the two choice and an indifferent factor. However, prevention self-regulatory focus and risk taking tendency turn out to be symmetric factors. Consumers with high prevention self-regulatory focus prefer show-rooming and respondents with high risk taking tendency are likely to choose the online shopping

      • KCI등재

        위험추구 성향과 조절초점 특성이 쇼루밍에 미치는 영향

        황형국,조성도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논집 Vol.25 No.2

        Prior studies on show-rooming focused on behavioral traits that affect show-rooming and addressed it based upon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profit and cost perspectives.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and detailed marketing strategies for online shoppers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motives underlying show-rooming is needed.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s of consumers’ psychological traits such as regulatory focus and risk taking tendency on the choice between show-rooming and online shopping. An experiment with a scenario i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deodorant and laptop are used for th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omotion self- regulatory focus is not associated with the two choice and an indifferent factor. However, prevention self-regulatory focus and risk taking tendency turn out to be symmetric factors. Consumers with high prevention self-regulatory focus prefer show-rooming and respondents with high risk taking tendency are likely to choose the online shopping 본 논문은 조절초점과 위험추구 성향과 같은 소비자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일반적 인터넷 쇼핑과 쇼루밍의 구매패턴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 쇼루밍 관련 연구들은 합리적 기대이론과 비용-수익 관점에서 소비자들이 쇼룸밍을 하게 하는 전반적인 행동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보다 정교한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내면적 심리 특성이 쇼루밍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위험추구 성향과 조절초점 특성을 중심으로 쇼루밍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향상초점, 방어초점, 위험추구 성향이 쇼루밍과 온라인 구매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는데 각 심리특성의 비대칭적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 결과향상초점은 온라인과 쇼루밍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무관심 요인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에 방어초점은 쇼루밍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방어초점이 높은 소비자들이 쇼루밍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위험추구 성향이 높은 소비자들은 온라인 쇼핑을 선택하는 확률이 높았다. 방어초점과 위험추구 성향은 온라인과 쇼루밍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대칭적 요인이었다. 멀티채널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로 정보탐색과 구매행동을 하는 소비자들의 심층적 심리 특성을 이해하여 마케팅 활동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부모양육태도와 편집성 성격장애 성향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과 미성숙한 방어유형의 조절된 매개효과

        권은영,황순택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7 인지행동치료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양육태도와 편집성 성격장애 성향의 관계에서 미성숙한 방어유형에 의해 조절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남․녀 대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행동 척도, Young 도식 질문지-단축형, 한국판 방어유형 질문지, 성격장애 진단검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 양육태도와 편집성 성격장애 성향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모 양육태도와 편집성 성격장애 성향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초기부적응도식과 미성숙한 방어유형이 상호작용하여 편집성 성격장애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모양육태도가 초기부적응도식을 통해 편집성 성격장애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미성숙한 방어유형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편집성 성격장애 성향에 관한 이론적 논의 및 치료적 개입방법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early maladaptive schema has mediation effects by moderation effects of immature defense styles in the pathway from parenting behavior to paranoid personality traits. Data from 325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maladaptive schema had full mediation effects in the pathway from father parenting behavior to paranoid personality traits. Second, early maladaptive schema had partial mediation effects in the pathway from mother parenting behavior to paranoid personality traits. Third, immature defense style had moderation effects in the pathway from early maladaptive schema to paranoid personality traits. Fourth, immature defense style ha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rough early maladaptive schem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paranoid personality traits. Finally,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 ( Choi Hye-jin ),이경화 ( Lee Gyeong-hwa ),권유선 ( Kwon Yu-s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지식기반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건강한 유아교사를 기르는데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G도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아존중감,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조절학습능력 하위요인들 모두에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기대와 자기조절학습능력 하위요인 모두에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숙고와는 인지조절능력, 행동조절능력에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아존중감과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을 44%, 동기조절을 35%, 행동조절을 3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부정적 결과에 대한 걱정 불안을 줄임으로써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dispositional defensive pessimism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us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215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anging from the freshman to senior year in G Province and carried ou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rded a level of self-esteem, dispositional defensive pessimism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bove the average.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those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Negative expectations, a subfactor of dispositional defensive pessimism,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ll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eliber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gnitive and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Finally, their self-esteem and dispositional defensive pessimism explained 44%, 35%, and 31% of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spectively.

      • KCI등재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기업성과 그리고 경영전략

        김유진(Yu Jin Kim),홍지연(Ji Yeun Hong) 한국관리회계학회 2018 관리회계연구 Vol.18 No.2

        [연구목적] 일반적으로 경영자가 자신의 판단력 및 대처능력을 과신할 경우 내재된 위험을 과소평가하고, 의사결정 과정에서 합리적인 판단이 제한되면서 기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미래 불확실성에 대한 경영자의 태도는 기업이 처한 상황이나 추구하는 경영전략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경영전략의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방법] 경영자의 과신성향(OC)은 ① 매출성장률 대비 자산성장률 비율, ② 자본적 지출의 산업평균 대비 상대적 크기, ③ 자산성장률과 매출액성장률을 산업-연도별로 회귀분석한 후 잔차 활용의 3가지 방법을 통해 도출된 더미변수로 정의하며, 경영전략(Strategy)은 Bentley et al.(2013)의 방법을 통해 도출된 전략지수의 점수로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출된 변수를 활용하여 2003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비금융기업 5,272 기업-년도 개를 대상으로 회귀분석한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경영자의 과신성향이 기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선도형 기업은 방어형 대비 양(+)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의 과신성향이 기업이 추구하는 경영전략에 따라 성과에 차별화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선도형 기업일수록 경영자의 과신성향이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축소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기업이 추구하는 경영전략에 따라 경영자의 과신성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실증의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경영자의 과신성향에 대한 평가가 재해석되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경영전략이 경영자특성 및 회계성과 등의 회계학적 주제와 연결되고, 분석될 수 있는 사례를 확장한다. [Purpose] In general, it has been reported that managers are overconfident their judgment and ability to cope, underestimating the implicit risk and misleading decisions have been made to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firm. The overconfidence tendency of managers can be interpreted in a different way based on the management strategy that they are see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tendency of managerial overconfidence has an advers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based on the management strategy. [Methodology] The manager’s overconfidence (OC) is defined as:① the ratio of the asset growth rate to the sales growth rate, ② the relative size of the capital expenditure to the industry average, and ③ asset growth rate and sales growth rate are regressed by industryyear and defined as dummy variables derived from three methods of residual use. The strategy is defined as the score of the strategy index derived through the method of Bentley et al.(2013). Using the variables derived in this way, we analyze the sample consist of nonfinancial firms(5,272 firm-year) listed in the KOSPI from 2003 to 2015. [Findings] As a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manager’s overconfid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while leading type showed a positive moderate effect on defense. This implies that manager’s overconfidence has different effects on thei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management strategies they pursue and in particular, the prospector tend to have the fewer nega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Implications] This study reinterprets management overconfidence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the manager’s overconfidence tendency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is differentiated based on the management strategy. We also extended examples of how management strategies can b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accounting theorie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manager and the results of accounting.

      • KCI등재

        특성불안과 방어성향에 따른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편향

        김형준,오수성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trait anxiety and defensiveness and the time-course of attentional biases about emotional stimulus. 389 undergraduate students took pre-experimental test consisting of STAI-T and SDS, and four different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est scores. They were low anxiety(n=14), repressor(n=14), high anxiety(n=14), and defensive-high anxiety group(n=13). We used Posner's spatial cueing task to study the attentional bias for emotional stimulus. Three different types of stimulus(aversive, neutral and pleasant pictures) were selected from IAPS so that they have different affective ratings but similar arousal level. The emotional valence of the pictures affected response times at 300ms SOA only, not at 960ms SOA. Low anxiety, high anxiety, and defensive high anxiety group showed attentional avoidance of threat at 300ms SOA. Also, high anxiety, defensive high anxiety group showed attentional avoidance of pleasure. But, repressor group did not show attentional bias according to emotional valu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불안과 방어성향이 정서적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효과가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특성불안 척도와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사용하여, 저불안 집단(14명), 억압자 집단(14명), 고불안 집단(14명), 방어적 고불안 집단(13명)을 선정하였다.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Posner의 공간단서과제를 사용하였다. 단서자극으로는 국제정서사진체계에서 정서가와 각성가에 따라 긍정자극, 중립자극, 부정자극을 각각 64장씩 뽑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300ms SOA 조건에서 억압자 집단을 제외한 저불안, 고불안, 방어적 고불안 집단에서 부정자극에 대한 주의회피가 나타났다. 특히, 고불안 집단과 방어적 고불안 집단은 부정자극 뿐만 아니라 긍정자극에 대해서도 주의를 회피하였다. 그러나 960ms SOA 조건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정서가에 따른 주의편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선거여론조사의 편파보도지각이 보도제한 정책지지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 :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한 제3자 효과와 방어적 투표성향의 매개과정분석을 중심으로

        김용호,김수기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30 No.-

        공직선거법 제108조를 둘러싼 오랜 논쟁의 결과, 현재 투표일 직전 6일 동안 여론 조사결과를 매스컴을 통해 공표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선거 시 여론조사 결과의 매체보도를 제한하는 현행 공직선거법 제108조의 현실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여론조사결과 공표에 대한 그간의 연구들은 여론조사결과가 정확한 절차적 기준에 따른 것인지 또는 언론을 통해 공표할 때 어떤 기준에 따라 보도할 것인지에 주로 관심 을 두어 왔다. 실증연구의 경우 선거판세의 변화에 따른 유권자들의 전략적 투표행동 에 주안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공직선거법 제108조는 유권자들이 선거판세를 드러내는 여론조사에 민감하게 반 응한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하지만, 공표된 여론조사결과가 유권자들의 판단을 그르칠 가능성은 막연한 추측일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거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편파보도 지각이 보도규제 정책지지에 어떤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 주요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연구모형을 제안했다. 연구 가설은 선거여론조사의 편파보도 지각이 매체공표의 보도제한 정책 찬성태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즉, 방어적 투표성향과 제3자 효과를 통해 매개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가설 검증과 더불어 가 설적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델의 현실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공직선거법 제108조의 실증적 근거는 적대적 매체지각의 제3자 효과를 통한 매개효과와 그 과정이 유력해 보인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유권자나 응답자 자 신들이 여론조사 결과의 매체공표에 대해 생겨나는 적대적 태도에 따라 보도규제정책 을 찬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론조사결과의 공표에 따라서 다른 사람에게 생겨날 것이라 는 편파보도지각의 효과추론을 통해 매개된 간접적 효과에 근거한 것이다. Korean election act has prevented media from reporting their own election polls or others' during 6 days before the election date. Why? Politicians are arguing that voters are inclined to defect from their own willing to vote for their most preferred candidates. In this study we followed two sequences of logical reasoning using such notions as biased reporting against political parties, defensive voting behavior, the third-person effect, and support for regulatory policies against election polls. We found the ostensive direct effect on the supportive attitude of voters by their perception of the third-person effect from the zero-order correlation. The ostensive direct effect disappear, when introducing mediating roles of the third person effect and the perception of defensive news reporting int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wo fold. First, the ostensive direct effect on the supportive attitude of voters toward regulative measures by the voters’ perception of reporting election polls disappeared, when introducing indirect effects by other mediating variables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econdly, empirical evidence tells us that ostensibl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pportive attitude of voters toward regulative measures on reporting election polls comes from mediating role by defensive voting behavior and the third-person effect. To conclude, we address the 108 article of the Korean Election Act on regulating policy of publishing election polls through mass media as misleading in that the article are based at most only on voters inference over the influence of mass media.

      • KCI등재

        기업특성(경영자의 과신성향, 성장성, 재무적 건전성)과 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박원,권예경 한국국제회계학회 2020 국제회계연구 Vol.0 No.9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EO overconfidence, growth potential,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on management strategy. In the accounting field of the management strategy, som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quality of management strategy, accounting information, capital cost, and future performance. However, these studie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strategy itself, but did not consider the incentives of the company's choice of management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management strategy into forward-type and defensive strategy and verified whether it affects manager's over-confidence tendency, growth potential, borrowing ratio and internal cash reserve. For this verifica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5,950 (corporate-year) companies from 2001 to 2015, and satisfy several condition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overconfident CEO pursues a prospective strategy, and growth affects the management strategy that a company chooses. Financial characteristics were also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usiness strategies. 본 연구에서는 과신성향, 성장성, 재무적 특성이 경영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경영전략에 대한 회계분야 선행연구에서는 경영전략과 회계정보의 질이나 자본비용, 미래 성과 등 연구가 일부 진행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경영전략 자체의 특성에 집중하여 검증하였으나 기업의 경영전략 선택의 유인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영전략을 선도형과 방어형 전략으로 구분하여 경영자의 과신성향, 성장성, 차입금비율, 내부현금유보액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러한 검증을 위하여 2001년부터 2015년까지 금융업에 속하지 않으며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5,950개(기업-년)의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과신성향이 높을수록 방어형 전략보다 선도형 전략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출액 증가율로 측정한 성장성 수준이 높을수록 선도형 전략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쳤다. 차입금비율이 낮을수록 선도형 전략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부현금보유액이 높을수록 선도형 전략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업들의 특성들은 경영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하여 이익조정이나 회계정보의 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향후에는 기업의 다양한 특성 및 경제적인 상황 등을 고려하여 경영전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