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박지은,강훈식,Park, Ji Eun,Kang, Hunsik 대한화학회 2014 대한화학회지 Vol.58 No.3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과학 영재 학생 20명이 작성한 총 91개의 반성 일지를 '생산적 반성'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반성 일지에 포함된 수업 측면의 수를 의미하는 '포함 점수'의 평균은 5점 만점 중에 2.99이었으며, 학생들의 학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대부분의 반성 일지에는 '과학 영재 학생(93.4%)' 측면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과학 영재 교수 전략 및 지도(70.3%)', '과학 내용 지식(68.1%)', '과학 영재 교육 과정(57.1%)' 측면이 포함된 경우도 많았다. 그러나 '과학 영재 교육 평가(9.9%)' 측면이 포함된 경우는 매우 적었다. 생산적 반성 수준의 지표가 되는 것으로 반성 일지에 통합된 수업 측면의 수를 의미하는 '통합 점수'의 평균은 5점 만점 중에 2.84이었으며, 학년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반성 일지 중에서 전혀 통합이 없는 경우는 6.6%, 2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34.1%, 3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39.6%, 4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25.3%였으며, 5가지 측면이 모두 통합된 경우는 없었다. 특히, 모든 반성 일지에서 '과학 영재 학생(100.0%)'과 다른 측면들이 통합되어 있었으며, '과학 영재 교수 전략 및 지도(70.3%)', '과학 내용 지식(65.9%)', '과학 영재 교육 과정(53.8%)' 측면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도 많았다. 그러나 '과학 영재 교육 평가(9.9%)' 측면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매우 적었다. 실험 중심 수업과 이론 중심 수업의 '포함 점수' 및 '통합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론 중심 수업보다 실험 중심 수업에서 포함 유형과 통합 유형이 좀 더 다양해졌고, 더 많은 측면들이 함께 포함되거나 통합되는 경향이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reflection of their science classes. To do this, 91 reflective journals of 20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ductive refle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ean score of the inclusion scores, which mean the number of aspects of teaching included, was 2.99 on a scale of 5 points and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rade level. Most of the reflective journals included the aspects of 'science-gifted students (93.4%)'.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ducation (70.3%)', 'subject matter knowledge (68.1%)', and 'curriculum for science-gifted education (57.1%)' were also frequently included. However, 'assessment in science-gifted education (9.9%)' was hardly included. The mean score of the integration scores, which mean the number of aspects of teaching integrated as an index of productive reflection, was 2.84 on a scale of 5 points and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rade level. 6.6% of the journals showed no integrations. 34.1% of the journals integrated only two aspects, 39.6% of the journals integrated three aspects, 25.3% of the journals integrated four aspects, and no journals integrated all five aspects. Especially, the integrations between 'science-gifted students (100.0%)' and the other aspects were included in all journals. The integrations between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ducation (70.3%)' and/or 'subject matter knowledge (65.9%)' and/or 'curriculum for science-gifted education (53.8%)' and the other aspects were also frequently included. However, the integrations between 'assessment in science-gifted education (9.9%)' and the other aspects were hardly include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centered instruction and theory-centered instruction in the inclusion and integration scores. However, there were more diverse inclusion and integration types, and more aspects tended to be included or integrated in experiment-centered instruction than in theory-centered instruction.

      • KCI등재

        반성적 사고 교육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교수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최지훈 ( Ji Hoon Choi ),이인경 ( In Kyung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현장실습에 참여한 특수체육교육전공 2학년 4명의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반성일지쓰기와 비디오 자기관찰을 사용한 반성적 사고 경험이 반성적 사고 수준과 교수행동에 미치는 변화를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반성적 사고 수준은 `반성적 사고 수준(Galvez-Martin, Bowman & Morrison, 1998)`을 기준으로 분류하였고, 교수행동 분석은 `교수능력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원효헌, 1997; Davis, 1993)`와 `교수반성을 위한 체크리스트(이효신, 2006)`를 수정·보안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반성일지 방법지도, 반성일지 쓰기, 자기반성적 피드백, 지도교수 및 전문가의 피드백과 함께 비디오 자기관찰을 통한 반성적 사고의 경험은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교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rovement of the reflection level and instructional behaviors for the reflective thinking education using journal writing and videotape self-observation for prospective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ur sophomore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were employed for the study. The reflection level was measured by `Reflection Level` and instructional behaviors was measured by `Checklist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al behaviors` and `Checklist for teaching reflection`. The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reflection level and instructional behaviors improved after reflective thinking education, including writing journal with feedback from instructor and videotape self-observation.

      • KCI등재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강훈식,Kang, Hunsik 대한화학회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To do this, the reflective journals of 33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ductive refle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reflective journals included the aspect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ducation (100.0%)' and 'science-gifted students (90.9%)'. 'Curriculum for science-gifted education (42.4%)' was also frequently included although fewer than two previous aspects. However,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assessment in science-gifted education' were included less than 10%. The mean score of the inclusion scores was 2.48 on a scale of 5 points and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eaching careers in science-gifted education. 18.2% of the journals showed no integrations, which were unproductive reflection. 66.7% of the journals integrated only two aspects and 24.2% of the journals integrated three aspects. Only 6.1% of the journals integrated four aspects and no journals integrated all five aspects. Especially, the integrations between 'science-gifted students (81.8%)' or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ducation (81.8%)' and the other aspects were most frequent. The integrations between 'Curriculum for science-gifted education (30.3%)' and the other aspects were also frequently included. However, the integrations between 'subject matter knowledge (6.1%)' or 'assessment in science-gifted education (0.0%)' and the other aspects were hardly included. The mean score of the integration scores was 2.12 on a scale of 5 points and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eaching careers in science-gifted education.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을 조사했다. 이를 위해,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 33명이 작성한 반성 일지를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 대부분 교사들의 반성 일지에는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100.0%)'와 '과학영재학생(90.9%)' 측면이 포함되어 있었다. 두 측면보다 적긴 했지만 '과학영재 교육과정(42.4%)' 측면에 대한 반성이 포함된 경우도 많은 편이었다. 그러나 '과학내용지식'과 '과학영재교육 평가' 측면이 포함된 경우는 10% 미만이었다. 포함 점수의 평균은 5점 만점 중에 2.48이었으며, 과학영재교육 경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한편, 전혀 통합이 없는 반성 일지는 18.2%, 2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66.7%, 3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24.2%, 4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6.1%였으며, 5가지 측면이 모두 통합된 경우는 없었다. 특히, '과학영재학생(81.8%)'이나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81.8%)' 측면과 다른 측면 간의 통합이 가장 많았으며, '과학영재 교육과정' 측면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도 적지 않았다(30.3%). 그러나 '과학내용지식(6.1%)'이나 '과학영재교육 평가(0.0%)' 측면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매우 적었다. 통합 점수의 평균은 5점 만점 중에 2.12이었으며, 과학영재교육 경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반성적 사고에 의한 자기 평가에 대한 연구

        장민정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2

        본 연구는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반성적 사고를 통한 자기 평가가 실제 글쓰기 교육에서 어떤 효과를 가지고 오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는 대학에서 교양 글쓰기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비판적 글쓰기 과제 두 편의 글에 대한 학습자 개인의 양적 평가와 성찰일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성찰일지 분석은 코퍼스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병행하였고, 학습자 자기 평가인 양적 평가를 통해 통계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적절한 피드백과 반성적 사고를 강화한 글쓰기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글을 과정으로 인식하게 되고 글쓰기 과정에서 지식을 쌓아나가고 반성적으로 사고하면글쓰기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이 높아진다는 점이 확인이 되었다. 특히 글쓰기 과정에서 필자로서의 의식이 강화되고 있으며 글쓰기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려는 의지가 강해지는 것이 연구 결과 밝혀졌다. Reflective thinking and self-assessment is a complex concept that is challenging to teach, measure and practice, yet is essential in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writing. Yet within the vast territory of studies of the reflective thinking and self-assessment there remains a large piece of uncharted terrain. So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self-assessment through reflective thinking in college students writing educ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tudents in writing classes at universit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learner's individual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flection pape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reflective thinking and self-assessment enhanced the students' knowledge of writing and consciousness as a writer is strengthened.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의 협력 수업 실연에 대한 반성일지 분석

        문호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ing experience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operative microteaching through the analysis of a reflective journal. For this, the researcher, as a class observer, collected 20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recognition of the lesson plan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their lesson development in perspective were enlarged through psychological stability caused by roles of main- and sub-teacher. Also, the communication between main- and sub-teacher in microteaching helped them master time management effectively. In conclusion, teaching classes for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college may be required to provide cooperative microteaching.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체육교사들이 경험한 협력 수업 실연이 어떠한 측면에서 긍정적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수업 관찰자의 관점에서 2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분석 방법을 활용해 반성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지도안 작성에 대한 재인식을 수업 준비과정에서 경험하였으며, 주교사와 보조교사의 역할분배로 인한 심리적 안정을 기반으로 수업 전개를 진행하는 시야가 확대되었다. 마지막으로 주교사 및 보조교사와의 수업진행에서의 충돌 혹은 협력을 통해 수업 진행을 위한 시간 운용이 원활하였고, 수업 성찰을 위한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대학의 교직수업에서 개별 수업실연 뿐만 아니라 협력 수업 실연의 적극적 도입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예비영어교사의 수업일지 작성을 통한 반성적 성찰의 효용성: 결정적 사건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숙,이지연 한국영어교육학회 2010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65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reflective proces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y analyzing critical incidents entered in their teaching journals during a four-week student teaching practicum. Thirty-three student teachers were asked to report critical incidents in their journals once a week, especially focusing on ‘lesson breakdowns’ or ‘events that deserve critical significance’ during a lesson. 133 journal entri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104 critical incidents were analyzed to see some aspect of secondary classroom teaching and the reflective processes that student teachers went through right after the incidents. From the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ny critical incidents happene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lesson and were mostly caused by student teachers’ lack of experiences in either time management or material preparation tailored to students’ level. By describing and analyzing critical incidents, student teachers became more aware of their assumptions about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nd tried to transfer knowledge into real practices. A survey administered after the practicum also revealed that self-observation of critical incidents in their own classroom helped them to generate powerful insights about teaching and to develop reflective teachers.

      • KCI등재

        반성적 교수일지를 통해 본 초등학교 몰입식 영어교육의 실제

        박선호,최희경 한국영어교육학회 2009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64 No.4

        This paper investigates English immersion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reflective teaching journals. Two male and three female immersion teachers from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A total of 80 teaching journals were collected from the immersion teachers and analyzed under the 6 categories of the main issues from English immersion classes. The categories include the preparation for immersion classes, the development of immersion materials, language choice patterns, subject content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immersion classes.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journals showed that there were various crucial aspects in the immersion classes in terms of immersion teachers' motivation and attitudes, class preparation and management, and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English immers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