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학습환경 지각과 참여간의 관계 : 다차원적 유능감, 성취목표와 정서의 다중 매개효과

        문호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敎員敎育 Vol.34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perceived competence, achievement goals, and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s and engagement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invariance of structural model across gender.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middle school students (N=419, 234 males, 185 fema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group analysis were calculated. Resul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s such as challenge, threat to the self, and competitiveness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perceived competence of task- self- and other-based standards, five approach-avoidance goals except task-approach goals, and positive activating emotions. the specific indirect effect of positive emotions were the biggest among the mediators.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weights and covariance residuals of the research model.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acilitating positive learning climates can subsequently lead to increase the task- self- and other-referent forms of perceived competence, approach goals, and positive emotion in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시간에 지각된 학습환경과 수업참여간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유능감, 성취목표 및 정서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조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한 후에 다차원적 유능감, 성취목표, 그리고 긍정적 부정적 정서의 다중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남녀 중학생 419명(남학생 234명, 여학생 185명)이며, 본 조사는 예비조사에 참여한 중학생들을 제외한 3개교 중학생들 가운데 학년별로 두 학급씩을 선정하여 전체 18개 학급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질문지는 Park, J. G., & Moon, I. S. (2013)가 중학교 체육상황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Shen 등(2012)의 체육 과제참여 질문지(Task Engagement Questionnaire in Physical Education)가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생의 지각된 유능감과 접근-회피목표와 긍정적 정서는 지각된 학습 분위기와 수업참여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도전적이고 위협적이며 경쟁적인 학습 분위기는 지각된 유능감과 접근-회피목표와 긍정적 정서 중에서 긍정적 정서를 통해 수업참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육시간에 긍정적인 학습환경 조성이 중학생들의 다차원적인 유능감 지각, 접근목표, 그리고 긍정적인 정서를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전략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도시재생정책의 지속가능성 연구: 주거환경 개선과 지역주민 참여를 중심으로

        문호준,주창범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1

        본 연구는 도시재생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주민참여와의 영향 관계에서 관한 실증적 연구이며, 도시재생 정책에 있어서 도시재생사업의 물리적 환경 개선이 이루어진 이후 주민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재생 정책의 주거환경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은 정보제공 참여, 주민주도적 참여, 협력적 참여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된 정주환경과 기간시설의 확충 등으로 인하여 주거환경에 대한 정책 인식은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형태의 적극적 참여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재생 정책의 문화환경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은 주민참여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재생 정책의 경제환경 정책의식은 정보제공 참여, 주민주도적 참여, 협력적 참여 모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주민들이 경제환경에 대한 도시재생 정책보다는 기대하기 보다는 주민 스스로 지역의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해 주민참여에 적극적이라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도시재생 정책의 긍정적 영향에 대하여 주민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한층 강화된 정책 홍보의 필요성이 있다. 둘째, 도시재생 정책에 자발적인 주민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역인재의 발굴 및 지역주민의 역량 제고의 필요성이 있다.

      •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조별학습 사례연구

        문호준 서원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2001 응용과학연구 Vol.10 No.1

        The team teaching is designed to address the inadequacies of the way sport has traditionally been incorporated into physical education. This case study describes the procedures of adopting and implementing team teaching in a school physical educational setting. Case study design was employed. In order to collect data needed for the study, four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used: 1) videotaping 2) participant observation 3) formal in-depth interviews and informal in-depth interviews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students 4) questionnaire. The effects of team teaching applied in this study was categorized. Students felt considerable level of responsibility while performing the roles of referee and team captain who have direct influences on the game. Team teaching includes knowledge on roles, understanding their respective sports, and students perspective. Analyses of the data revealed potential benefits of team teaching, in terms of preparation of class, variety of roles, dynamic instruction of game. In summary, the students enjoyed their experiences in the team teaching, and enjoyed it more than regular physical education lesson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asons for this favorable attitude stemmed from the structural arrangements of team teaching. In conclusion, the students in this study found sport experience to be more attractive than their regular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s.

      • 체육교육에서 개별화 수업 모형의 가능성탐색

        문호준,조남용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교육논총 Vol.8 No.-

        The Personalized System for lnstruction(PSI) by Keller is developed for Physical Education by Metzier. He made PSIP(Personalized System for Instruction in PE) from the Keller's first idea. The PSIP has something to do with student's self-directness. Self-Directed Learning(SDL) is a key concept in the 7th Curriculum. For that reason there are great efforts to actualize SDL into current schooling. Despite these efforts, many of PE teachers underestimate the SDL or PSI as a learning of student by themselves(autodidax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s of SDL and personalized system for instruction model, PSIP teacher's role. PSIP personal course workbook, and evaluation of PSIP. Because this PSIP is based on the student's self-directness pursued in 7th National curriculum, it will be very helpful for student to be a leading student for the future.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심리적 욕구만족, 수업참여 및 신체활동 간의 관계에서 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문호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敎員敎育 Vol.34 No.4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test if middle school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The subjects were 347 middle school students (197 males, 150 females) and they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need satisfaction, motivation, engagement,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Data were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need satisfaction was a predictor of class engagement and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and that it positively influenced to physical activity through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The result of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o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via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was moderated by the low and high level of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re should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physical activity when the physical educator satisfies the pupils’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ntrinsic motiv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시간에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수업참여를 통해 방과 후 신체활동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자기결정적 동기 수준이 수업참여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347명(남학생197명, 여학생 150명)이며,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 체육수업 참여, 자기결정적 동기, 그리고 방과후신체활동을 측정하는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심리적 욕구만족은 중학생의 수업참여와 방과후 신체활동량을 예측하는 변수로서 수업참여를 통해 신체활동량에 정적인 영향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 회귀분석의 결과, 체육시간에 중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수업참여를 통해 방과후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효과는 체육수업에 대한 자기결정적 동기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결과는 체육교사가 중학생들의 자율성과 유능성, 그리고 관계성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체육수업에 대한 내적 동기를 증진시킬 때 학생들이 체육수업과 방과 후 신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체육교육에서 협동학습 적용 가능성 탐색

        문호준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교육논총 Vol.9 No.-

        Man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utilize cooperative activities, various forms of cooperative games, or some elements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ir physical education programs. Cooperative learning is an instructional format in which students work together in small, structured, heterogeneous groups to master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of cooperative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Within the various approaches to cooperative learning are five elements needed for success: positive interdependence, individual accountability, promotive face-to-face interaction, interpersonal and small group skills. and group processing. Finally, several aspects of cooperative learning are suggested: conceptual, structural, curricular, and complex instruction.

      • KCI등재후보

        직소 협동 학습 모형의 체육 수업 적용 사례 연구

        문호준,박종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9 敎員敎育 Vol.25 No.2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al phenomenon and meaning of jigsaw cooperative learning when it is applied to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jigsaw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the study it provided the second grade students of C high school in Cheongju city, Chungbuk province with 14 baseball classes for the second semester of the year 2007. Jigsaw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cluded 4 groups in total giving each member of a group a variety of professional role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of the lesson that appear through the roles of professionals during the lessons. It selected 9 people from each role to collect data. It interviewed the 9 people and received daily reports and their ideas on the lesson for the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jigsaw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helpful to rise techniques and game abilities, improve the positiveness of the lesson participation, improve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It also found that jigsaw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above all important for clarification of role division and role understanding, individual responsibility for role execution, interdependence between students. 이 연구는 직소 협동 학습 모형을 중등 체육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교육적 현상과 의미를 분석하고 직소 협동 학습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충북 청주시 지역에 위치한 C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삼아 2007학년도 2학기 야구 수업을 14차시 시행하였다. 직소 협동 학습 모형은 총 4개조의 편성으로 조별 구성원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 역할을 부여하여 수업 운영 중 전문가 역할 수행을 통해 나타나는 수업의 효과 및 개선점을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각 역할 별 1명씩 총 9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여 면담과 일지, 수업 소감문 작성케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직소수업 모형은 기능 및 경기력 향상 도움, 수업 참여의 적극성, 동료관계의 개선, 정의적 발달 등의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직소 학습 모형은 역할 배분 및 인지의 명료화와 역할 수행에 대한 개별적 책무성, 동료들 간의 긍정적 상호 의존성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의 협력 수업 실연에 대한 반성일지 분석

        문호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ing experience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operative microteaching through the analysis of a reflective journal. For this, the researcher, as a class observer, collected 20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recognition of the lesson plan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their lesson development in perspective were enlarged through psychological stability caused by roles of main- and sub-teacher. Also, the communication between main- and sub-teacher in microteaching helped them master time management effectively. In conclusion, teaching classes for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college may be required to provide cooperative microteaching.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체육교사들이 경험한 협력 수업 실연이 어떠한 측면에서 긍정적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수업 관찰자의 관점에서 2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분석 방법을 활용해 반성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지도안 작성에 대한 재인식을 수업 준비과정에서 경험하였으며, 주교사와 보조교사의 역할분배로 인한 심리적 안정을 기반으로 수업 전개를 진행하는 시야가 확대되었다. 마지막으로 주교사 및 보조교사와의 수업진행에서의 충돌 혹은 협력을 통해 수업 진행을 위한 시간 운용이 원활하였고, 수업 성찰을 위한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대학의 교직수업에서 개별 수업실연 뿐만 아니라 협력 수업 실연의 적극적 도입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