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미술에서의 반복원리에 대한 고찰 – 형식에서 보여 지는 반복구조를 중심으로 -

        이동수(Lee, Dong-Su) 동서미술문화학회 2020 미술문화연구 Vol.17 No.17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현대미술은 장르의 개념과 무관하게 형식적 변화를 통해 표현의 영역이 확장된다. 미술가에게 있어서 형식적 변화는 표현의 확장을 선사하지만, 그 형식적 변화가 반복원리와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되기도 한다. 미술작가에게 표현의 범위가 확장된다는 것과 반복원리가 형식적 도구로 간주되기까지는 거쳐야 할 단계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표현 형식에 속하는 반복의 원리를 현대미술에서 구체화 하는데 중점을 둔다. 회화에서 표현의 방식인 반복원리가 미술작가들에게 한편으로는 정체성을 이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미적 가치를 포착하는 방법으로서 탐구한다. 현대미술에서의 반복원리가 부상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술작가의 정체성과 어떻게 결부되는지, 그들이 생산한 미술작품이 어떠한 논리로 미적 가치를 구현하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연구에서는 형태적 반복, 형식적 반복, 행위적 반복과 개념적 반복으로 세분화하여 현대회화에서의 시각적 반복원리를 분석하여 회화적 표현에 대한 미적 가치를 쟁점화 할 것이다. 현대미술에서 반복원리에 대한 논쟁은 형태를 반복적으로 구현한 대표적인 미술작가로 클로드 비알라를 들 수 있다. 클로드 비알라는 쉬포르 쉬르파스(Support-Surface)의 창시자로서 회화의 전형인 캔버스에서 이탈해 커튼이나 천막, 파라솔의 천과 같은 도구를 사용해 블록 형태를 반복적으로 표현한 미술작가이다. 그의 이러한 구조적 반복원리는 클레스 올덴버그와 앤디 워홀의 기술적, 산업적 반복원리와 다분히 다르지만, 생산자로서 미술작가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조건이자 미적 가치가 형태와 이미지의 반복에서 부상한다는 점에서 표현의 반복원리에 속한다. 특히, 앤디 워홀은 이미지의 반복에 형식적 원리를 보여주고 있는데, 평면작품과 입체작업이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워홀의 평면작업은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제작된 하나의 이미지가 한 화면에 반복적으로 표현된 반면에, 입체작업은 행위의 반복을 통해 미적 가치가 산출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현대회화에 행위적 반복원리는 사이 톰블의 작업에서 구체화 되었고, 더 근원적으로 추적하면 행위의 반복원리는 잭슨 폴록으로 소급되기 마련이다. 사이 톰블리의 낙서행위와 잭슨 폴록의 드립 페인팅의 경우 그들의 창작행위가 미술작품이라는 결과로 이어지지만, 그들에게 있어서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 반복적 행위는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구현하는 것에 우선권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현대미술가에게 있어서 표현은 내면적 진실과도 같을 것이다. 환시미술의 작가인 지슬라브 벡신스키와 크리스 쿡시의 경우 작가로서의 내면적 반복과 개념적 반복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소중한 교량을 선사한다. 지슬라브 백신스키와 크리스 쿡시의 작품들이 현대회화의 반복원리를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표현으로서 반복원리는 거부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현대미술에서 반복원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반복원리가 다양해지는 현대미술에서 미술작가의 정체성이 구체화되기도 하지만, 그들의 미술작품은 표현된 것이고 표현된 미술작품은 우리에게 보는 방식의 변화를 요구한다. 이 연구논문은 현대미술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표현의 영역에 속하는 외형적 조형의 원리로서 반복원리 그리고 내면적 의미의 반복원리에 대해 연구하였다. 미술작가에게 반복원리가 표현에 속하고 그들의 표현적 반복원리가 미술가로서의 정체성 확립에 토대이자 미적 평가의 계기가 되기를 조심스레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이장희 시의 반복과 변주 연구

        오형엽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3 No.-

        이 글은 이장희 시의 리듬 구조를 그 기능과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세밀하게고찰함으로써 이장희의 시 의식 및 시적 의미에 도달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이장희 시의 리듬 구조를 크게 ‘반복’과 ‘변주’라는 두 유형으로 나눈 후, 다시 ‘반복’은 ‘단어의 반복’, ‘문장의 반복’으로 세분하고, ‘변주’는 ‘병렬적 대구’, ‘대비적 대구’, ‘점층적 대구’로 세분하여 그 기능과 역할을 구체적으로분석했다. 이장희 시에는 ‘단어의 반복’, ‘문장의 반복’이 빈번히 등장한다. ‘단어의 반복’은「달밤모래우에서」, 「새한머리」, 「고양이의  」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달밤모래우에서」는 부사 “사박”, 목적격 조사 “를” 등을 반복함으로써 음악적 리듬을 효과적으로 살린다. 「새한머리」는 조사 “∼마다”, 형용사 “압흐다” 등이 반복되는 리듬 구조를 보여준다. 「고양이의  」은 명사 “버들가지”, 병렬형 어미 “∼고”, 서술형 어미“∼잇소” 등이 반복되는 리듬 구조를 보여준다. 이장희 시에서 ‘문장의 반복’은 「어느 밤」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시는 “비가 나리네”라는 문장의 반복을 통해 시적분위기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이장희 시에서 ‘병렬적 대구’는 「비 인 집」, 「봄은고양이로다」 등에서 찾을 수있다. 「비 인 집」은 전반부에 ‘병렬적 대구’의 리듬 구조를 형성하고, 후반부에서시적 호흡과 리듬 구조를 변화시킨다. 「봄은고양이로다」는 각 연에 처소격 조사“∼에”, 서술형 어미 “∼도다(아라)” 등이 반복되고, ‘~ㄴ 고양이의 ∼에/∼ㄴ 봄의∼가 ∼도다(아라)’라는 기본 구문이 변주를 이루며 반복된다는 점에서 ‘병렬적 대구’의 전형적인 사례를 보여준다. 이장희 시에서 ‘대비적 대구’는 「靑天의 乳房」,「舞 臺」 등에서 찾을 수 있다. 「靑天의 乳房」은 “어머니”-“푸른하늘”-“乳房” 등의반복이 “食慾”의 반복과 상충하면서 ‘대비적 대구’의 리듬 구조를 만들어 낸다. 「舞臺」는 전반부의 희망적이고 능동적인 춤 장면과 중반부의 비극적이고 수동적인 촛불의 연기 장면으로 구분되면서 ‘대비적 대구’의 리듬 구조를 보여준다. 이장희 시에서 ‘점층적 대구’는 「쓸쓸한 시절」, 「봄하눌에눈물이돌다」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쓸쓸한 시절」은 ‘1연(A)-2연(B)-3연(C)-4연(D)’이 ‘기-승-전-결’의 전개 과정에서 점차 시적 리듬과 의미가 상승되어 가는 ‘점층적 대구’의 구조를 보여준다. 「봄하눌에눈물이돌다」는 ‘1연(A)-2연(B)-3연(C)-4연(D)’이 ‘기-승-전-결’의 전개 과정에서 시적 리듬과 의미가 상승되어 가는 ‘점층적 대구’의 구조를 보여준다. This writing wishes to analyze rhythm of repetition and variation of Lee Jang-hee'spoetry focusing on it's function and role and investigates his poem consciousnessand contents. This writing divide rhythm structure of Lee Jang-hee's poetry ‘repetition’and ‘variation’ greatly, and classify ‘repetition’ as ‘repetition of word’, ‘repetition ofsentence’, and classify ‘variation’ as ‘parallel antithesis’, ‘contrast antithesis’, ‘gradationantithesis’. The basicest rhythm structure of Lee Jang-hee's poetry is ‘repetition’. ‘Repetition’means that equal word, sentence, phrase ․ clause are repeated. ‘Repetition’ is usedto same concept with ‘recurrence’ here. ‘Repetition of word’, ‘repetition of sentence’appears frequently in Lee Jang-hee's poetry. In Lee Jang-hee's poetry we can find‘repetition of word’ on “On the Sand under the Moonlight”, “A bird”, “A Cat's Dream”. In Lee Jang-hee's poetry we can find ‘repetition of sentence’ on “One Night”. The most representative rhythm structure of ‘variation’ is ‘antithesis’ in Lee Jang-hee'spoetry. ‘Antithesis’ is used to similar concept with ‘parallelism’, method that repeatsequal surface structure by each unit but is inserted new component in the structure. ‘Parallel antithesis’, ‘contrast antithesis’, ‘gradation antithesis’ appears frequently in LeeJang-hee's poetry. In Lee Jang-hee's poetry we can find ‘parallel antithesis’ on “AnEmpty House”, “Spring Is Cat”. In Lee Jang-hee's poetry we can find ‘contrast antithesis’on “Breast of Blue Sky”, “A Stage”. In Lee Jang-hee’s poetry we can find ‘gradationantithesis’ on “A Lonely Season”, “Weeping on Spring Sky”.

      • KCI등재

        반복 소비에 대한 시간수축 완화 효과 : 일상 활동 제시가 반복 소비를 요하는 실용적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진(Kim, Hee Jin)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6

        많은 제품들은 반복적으로 소비를 통해서만 궁극적인 소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동일한 경험이 반복되면 지겨움을 경험하여 지속적인 소비 욕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자기 통제를 바탕으로 지속적 소비를 해야만 소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실용적 제품의 경우 미래에 반복 소비를 지속할 수 있을지에 대한 자기 평가가 반복 소비 제품의 구매 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흥미롭게도 사람들은 미래의 반복 사건이 예측할 때 그 사건 사이에 시간적 차이를 과소 평가하고 이러한 시간수축 경향이 미래 소비 사건에 대한 반복감을 과잉지각하게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반복 소비 사건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적 차이를 지각하도록 하여 미래 소비에 대하여 예측되는 반복감을 낮추는데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제품 광고 시 반복 소비 사건 사이에 흔히 발생하는 일상 활동을 상기시키는 방안을 통하여 예상된 반복감과 소비 지속 자신감을 상승시켜 구매 의도를 높일 수 있다고 예상하고 실증 실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예측한 바와 같이 광고문에 일상 활동이 제시 되었을 때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예상된 반복감이 낮아지고 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가 상승되었다. 또한 일상 활동 제시 효과는 예상된 반복감과 소비 지속 자신감으로 이중매개 되었다. For many products in the market consumption goals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repeated consumption. People predict that repeated experiences will reduce their enjoyment and desire to continue. Thus, especially for the products that require self-control to sustain repeated consumption, consumers’ evaluation of whether they can continue repeated consumption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in purchase decisions of those products. Interestingly, people underestimate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events when predicting future repetitive consumptions. This time-contraction tendency led people to perceive the degree of repetition to be greater than their actual experiences. In the current study, we attempt to make the inter-consumption interval salient and lower the feeling of repetitions. In particular, we aim to influence the feeling of repetition by reminding mundane activities which take place between the consumption events. As predicted, the result of the empirical experiment shows the presence of mundane activities in an ad lowers the feeling of repetition and increases the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mundane activities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the anticipated feeling of repetition and confidence in continuing consumption.

      • KCI등재

        대학생들의 반복독서 경험에 관한 연구

        이승채,Lee, Seung-Chae 한국문헌정보학회 200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읽은 책들이 무엇이고 남녀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 책들이 가장 기억에 남는 책들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그리고 반복독서와 기타의 독서습관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등을 밝히는 것이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들의 반복독서 경험에 관하여 조사하고 해당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밝혀진 중요한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학생들이 2회 이상의 반복독서 경험을 가지고 있다. 2) 도서를 반복하여 읽는 경우에 반복 횟수는 2회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3회가 많았으며 반복독서 횟수별 비율이 남녀간에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3) 가장 기억에 남는 도서를 반복하여 다독한 학생들의 비율은 전체에서 절반 가량이다. 4) 2회 이상 다독한 독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도서는 <삼국지>와 <어린왕자>이고 이어서 <다빈치코드>, <연금술사>, <가시고기> 및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해리포터> 등의 순이다. 5) 다독자수 및 반복독서 횟수를 감안하여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가장 선호하는 도서는 <삼국지>였고 이어서 <어린왕자>, <다빈치코드>,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 <함께한 화요일>, <해리포터>, <그리스 로마 신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 남학생들이 반복적으로 독서하는 남성취향도서는 대부분 투사들의 이야기를 다룬 내용들인데 반하여 여학생들이 반복적으로 독서하는 여성취향도서는 대개 잔잔한 감동과 교훈을 주는 책들이다. 7) 남학생들의 반복독서 대상도서는 반복독서량의 절반 이상이 <삼국지>에 집중되어 있는데 반하여 여학생들의 반복독서 대상은 상대적으로 많은 도서에 분산되어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sort of books people read repeatedly, what are the different pre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how much the repeatedly-read books are related to the most memorable books and how the repeatedly-read books are connected to reading habits. A questionnaire was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and their repeated reading experiences were searched.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re summarized : 1) Most college students have experienced repeated reading more than twice. 2) The number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repeated reading twice is the highest and next, those who have read repeatedly 3 times. Also,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reading tends to be similar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3) The books which many students read repeatedly more than twice are : a) Romance of 3 Kingdoms b) Little Prince c) Da Vinci Code d) Alchemist e) Chinese nine spine stickle back f) Meu Pe do Larania Lima g) Harry potter. 4) About half of the students have read the most memorable books many times. 5) The importance of books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repeated readers and the number of readings. The order of the important books is Three Romans of 3 kingdoms, Little Prince, Da Vinci Code, Meu Pe do Larania Lima, Tuesdays with Mollie, Harry Potter, and The Myth of Greece and Rome. 6) The preferred books by male college students are mostly the stories of fighters while female likes books that contain deep emotion and morality. More than half of the males' repeated reading was Romance of 3 Kingdoms while the preferred books of females are distributed widely.

      • KCI등재후보

        초급 한국어 교실에서의 반복의 기능 분석

        서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9 한국어문화교육 Vol.13 No.1

        반복은 언어의 일반적인 현상으로 대체로 비효율적, 잉여적인 존재로 취급되기 쉽다. 이에 학자들은 반복이 의미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고, 더 다양한 환경에서의 반복의 기능에 관하여 과제로 남겼다. 이 연구에서는 반복의 기능을 교수전략, 학습전략, 의사소통전략으로 나누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교수학습이 일어나는 교실 이라는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대화를 녹음, 전사, 분석하였고, 초급교 실에서 발생한 반복의 기능을 교수전략, 학습전략, 의사소통전략으로 구분해 보았다. 그 결과 실제 초급한국어 교실에서 나타난 반복은 지시, 입력, 오류 지적이 교수전략으로 사용되었고, 발화내용부정, 자기수정, 시간벌기, 따라하기, 연습(내재화)는 학습전략으로, 구체화 요구, 발화유도, 강조, 확인, 맞장구, 타인수정, 동감, 동의는 의사소통전략으로 사용되었다. As a general phenomenon of language, repetition can be easily regarded as something inefficient and surplus. Therefore, scholars discovered that repetition has meaningful function and left a task about the function of repetition in more diverse environments.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classify the function of repetition into instructional strategies, learning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To fulfill this, dialogues made in the classroom where teaching and learning actually occur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and the function of repetition in a beginner’s class was divided into instructional strategies learning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in terms of repetition in a real beginner’s Korean language class, instructing, entering and pointing out errors were used as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cancelling utterance, self-repair, gaining time (delaying tactic), repeating after and practicing (internalizing) were used as learning strategies, and asking for materialization, inducing utterance, emphasizing, checking, chiming in, other-repair, empathizing and agreeing were used as communication strategie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담화에서의 반복현상 연구

        안주호(Ahn, Joo-hoh)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8 No.-

        이 글은 한국어 학습자 담화를 중심으로 의사소통 전략으로서의 반복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하는 양상을 살핀 것이다. 반복은 형식적으로는 ‘단어 내에서의 반복, 단어의 반복, 구절의 반복, 문장의 반복’으로 나눌 수 있는데, 단어 내의 반복현상이 가장 빈번히 일어났다. 또한 반복은 숙달도가 높은 고급의 학습자도 자신이 중요하다고 여기거나 이해를 확인하기 하거나 설명을 요청하기 위해서 입력된 것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반복’은 한국어 학습자가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의사소통 전략이면서 학습전략의 하나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petition in Korean Learners’ discourse. Researchers defined repetition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ir different areas. Phycholinguistics, socio-linguistics, and linguistic points of view are some examples. In this paper, repetition is defined as "the reuse and paraphrase words which should be same or similar in form and be linked with the meaning in utterance of oneself or others". Repetition as a communication strategy is used to create a meaningful dialogue, participants solidarity and mutual dialogue, and it is also used to be a learning strategy. Formally, the Repetition can be divided as follows: repetition between a word, repetition of words, repetition of phrases, and repetition of sentences. Repetition can also be divived into self-repetition and others-repetition. The functions of repetition are repair, emphasis, confirmation, correction etc.

      • KCI등재

        실코의 『죽은자의연감』에 나타난 반복으로서의 서사

        김성옥(Kim, Sung-ok)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9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7 No.-

        본 연구에서는 미국 원주민 작가 실코(Leslie Marmon Silko)의 『죽은 자의 연감』(Almanac of the Dead)에 밀러(J. Hillis Miller)의 반복 개념과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스토리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밀러는 『픽션과 반복』(Fiction and Repetition)에서 모든 반복형식은 두 종류의 것이 모순적으로 서로 얽혀있다는 가설을 세운다. 즉 서구사상에는 두 가지 형식의 반복 –플라톤식 반복과 니체식 반복-이 있다. 플라톤식 반복은 통일성(unity)을 강조하는 것이며 니체식 반복은 차이(difference)를 강조하는 것이다. 이 두 반복은 서로 얽혀있고 이 정 반은 뗄 수 없이 교차하며 (이야기를) 다르게 반복한다. 밀러는 이 반복 개념을 통해 의미 찾는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다양한 여러 사람의 목소리를 인정하므로 비폭력적이고 끊임없는 소통을 하려는 것이 밀러의 반복이며 이것이 그의 윤리적 읽기이다. 『죽은 자의 연감』에서 지도와 욤(Yoeme)의 연감을 통한 스토리텔링은 밀러의 반복 개념과 같은 맥락에서 미국원주민들의 개인적 이야기, 역사적 이야기, 그리고 과거로부터 전달된 신화들을 다르게 반복한다. 밀러의 다시 읽기인 반복 개념과 실코의 스토리텔링은 단성적인 맹목을 드러내는 소통의 장을 찾는 윤리적 읽기이다. 본 연구는 밀러의 다시 읽기인 반복 개념과 실코의 스토리텔링이 저항보다는 차이의 인정을 통한 공존의 장을 지향하는 문학으로서의 글쓰기임을 분석함으로 윤리적 읽기의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Oral tradition and storytelling are among the key characteristics alighted upon in Leslie Marmon Silko’s Almanac of the Dead. Together with J. Hillis Miller’s repetition as storytelling, through this study I seek to discuss the meaning of oral tradition and storytelling and the ethics of reading as represented in Almanac of the Dead. Miller’s main analytic device is the two kinds of repetition which he finds in the literary text. They are related to one another in a system of mutual implication and mutual contradiction. Each calls up the other, but it does not make sense to have more than one of them. Miller’s repetition leads to a time and space through which he reveals and explores human thought and personal, social, and historical experiences through the endless transfer of meaning. This study analyzes the repetition of Miller and the storytelling of Silko as an interaction between a literary work and criticism theory that can coexist through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 rather than resistance.

      • 반복구간에 따른 뇌성마비 화자의 교호운동 특성 비교

        남현욱 한국심리협회 2013 심리행동연구 Vol.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반복구간에 따른 뇌성마비 화자의 교호운동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 었다.이를 위해 교호운동 과제는 [퍼],[터]및 [커]반복을 실시하였다.반복구간은 전 체,앞쪽 및 뒤쪽구간으로 구분하였다.속도 및 규칙성을 측정하기 위해 MotorSpeech Profile(MSP)의 AverageDDK rate및 StandardDeviationofDDK period결과를 이용하였 다.연구의 대상자들은 10-20세의 경직형 뇌성마비 화자 6명,불수의운동형 뇌성마비 화자 6명 및 실조형 뇌성마비 화자 4명이었다.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퍼],[터] 및 [커]교호운동의 속도는 반복구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둘째,교호 운동의 규칙성에서는 [퍼]와 [커]교호운동에서 반복구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으나,[터]교호운동에서는 반복구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결론적으 로,뇌성마비 화자들은 교호운동 수행에 있어 반복구간에 관계없이 유사한 속도로 음절 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으나,반복구간에 따라 음절 간격이 불규칙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이상의 소설과 반복의 규약

        송기섭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6

        In Lee, Sang’s literature, especially his novels, the reiteration is a important device which must not be overlooked. In his novels, the reiteration is a kind of convention which implements the narrative discourse. The reiteration is formed in three layers : with a unit of phrases or clauses, with a unit of events, with a unit of pieces of work. The reiteration with a unit of pieces of work produces intertextuality making connection to each work. In a novel, the reteration, mainly with a unit of events, is necessity of narrative. In Lee, Sang’s novels, it is categorized in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unit. The Code of Reiteration is not a study regarding semiotics. This study does not focus on exploring the structures of reiteration. In Lee, Sang’s novels, the reiteration generates plissement of innumerable meanings, which is related to plissement in the discourse of Gilles Deleuze. Plissement means differences which generate singularity in Lee, Sang’s novels. It is the symbol of the ideas of Lee, Sang. The reiteration becomes the vehicle notifying the spirit, reason and philosophy of Lee, Sang. In Lee, Sang’s novels, the reiteration is not a reappearance of sameness. Rather, it is a creation of differences. Lee, Sang’s novels are kind of exploration of ideas. The reiteration is a formal system displaying the images of the ideas. Stutters and overlapping of events form the distinct plissement of Lee, Sang’s novels. It reveals the spirit and emotion of Lee, Sang through unfolding. Through this process, the reiteration becomes the symbol of his ideas. Furthermore, it becomes the clue of interpreting the abstruseness of his novels. 이상의 문학에서, 특히 이상의 소설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주요 서사 장치가 반복이다. 반복은 이상의 소설들에서 서사담론을 구현하는 일종의 관례를 형성한다. 반복은 이미 내러티브의 운명이라 할 것인데, 소설에서 이는 대개 사건의반복을 통해 실현된다. 그런데 이상의 소설에서 반복은 세 가지로 유형화된다. ①어구와 문장 단위, ②사건 단위,③ 작품 단위가 그것이다. 첫 번째 유형은 말더듬기를 통해 통사적 균열을 가하며, 두 번째 유형은 사건을 재배치하면서 시간에 균열을 가한다. 특히 세 번째의 반복 유형은 작품과 작품을 연결하는 상호 텍스트성을 이루면서 이상 문학의 고유한 담론 정체성을 구현한다. 이상 문학에서의 반복 요인을 규약으로 규정했다고 해서, 그 서사요소를 기호론적 방법에 의해 다루고자 함은 아니다. 그것은 반복의 질서를 환기함에 있지형식의 규칙을 발견하고 구조를 정초하고자 함이 아니다. 이상의 소설에서, 반복은 무수한 의미의 주름을 만들어낸다. 그렇게 나는 이 반복을 들뢰즈의 ‘주름’으로 보고자 한다. 들뢰즈에게 주름은 차이이고, 그 차이는 끊임없이 유동하는 생성이다. 그렇게 그 차이는 이상 소설에서 사유의 생성을 위한 특이점을 만들어낸다. 그것은 이상의 관념이자 사상을 읽어낼 기호이다. 반복은 그렇게 이상의 정신, 이상의 사유, 이상의 철학을 세상에 전하는 방식이다. 이상의 소설에서 탐구해야 할 진정한 주제는 바로 이 정신의 힘이다. 그렇게 이상의 소설들에서 반복은 동일성의 재현이 아닌 차이의 생성이다. 그런 점에서 이상의 소설은 일종의 사유의 모험이다. 반복은 그 사유 이미지를 드러내는 형식적 체계이다. 말더듬기나 사건의 겹침은 이상 소설의 독특한 주름을 이룬다. 그러한 중첩은 한 텍스트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를 횡단한다. 그것은 펼침을 통하여 이상의 정신과 감정을 내보인다. 그렇게이상의 소설에서 반복은 그의 사상을 들여다 볼 징표가 된다. 또한 이상 소설의 난해함을 해석할 실마리가 된다.

      • KCI등재후보

        현대섬유미술에 있어 반복표현에 관한 연구

        양성원(Yang, Seong-w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2 조형디자인연구 Vol.15 No.2

        현대미술에 있어서 반복구조의 유형은 옵아트(시각효과와 착시 극대화를 위한 반복형상을 중심으로), 팝 아트(대량 생산적 이미지로서의 반복적 배치를 중심으로), 미니멀 아트(절제된 조형개념으로서의 반복적 배치를 중심으로)의 형식들에서 발견할 수 있다. 반복구조는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서 배열되는 단순한 외적,형식적 요소가 아니라 그 자체가 작품의 의미를 유발하는 역동적 (energetic) 요소로 활용되며,이는 21세기 현대미술의 표현 양상과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은 동일성의 강조를 위한 획일적 반복과는 달리 차이에 의한 반복행위를 통하여 새로운 의미가 생성된다는 현대 철학의 주장에 근거를 두게 된다 동일성 대신 차이에 중점을 두는 것은 서구 철학의 전통적인 인식의 위계를 흔드는 일이다. 예컨대 들뢰즈( Gilles Deleuze) 는 항구적(멜久的)인 구조와 질서로 환원될 수 없는 힘의 의미를 ‘강도(彈度)’ 로 정의하고 그 변화를 설명하였다 이를 조형작품에 적용시켜보면 차이를 지닌 반복의 구조는 단순히 부분,즉 유닛 (Unit: 단위)들의 집합이 아니라 새로운 의미의 확장,즉 강도를 일으키는 생성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조형심리학자들은 게슈탈트 이론에 근거하여 인간이 조형 요소를 지각할 때 개별적 형태보다는 포괄적 형태로 인지함을 지적한다. 반복조형의 구조는 분해된 요소들의 단순한 합이 아닌 통합적 이미지를 통해 시각적 의미를 보다 상승시키는 효과를 일으킨다. 이렇듯 현대미술을 표현하는 반복의 유닛들은 독립적인 개체성을 그 특성으로 하는 강도(in tensi ty)로서의 해석과 더불어 반복되는 유닛의 통합적 이미지로 전체성과 반복을 통한 강조의 효과를 동시 에 창출하고 있다. 한편 기존에 섬유공예(Fiber Craft), 섬유조형, 섬유디자인, 텍스타일디자인(Textile Design) 등으로 불려온 섬유분야는 21세기를 맞아 분화애 가고 있으며 고전적 개념에서 벗어나 현대미술, 즉 동시대미술과 상호 융•복합되는 상황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섬유미술(Fiber Art)은 조형적 측면에서 섬유라는 물성에 대한 선행적 이해를 기본으로 한 공예적 기술탐구를 넘어서, 현대미술의 영역이라는 관점과 해석이 시도되는 폭넓은 의미를 공존하고 있다. 섬유의 구조와 표현에 있어서 반복의 의미는 단순한 기법적인 해석을 초월하는 것이며 동시대미술로서의 섬유미술은 차이를 지닌 유닛들의 반복 구조로 형상화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섬유미술이 구조나 형식 자체가 내용을 수반하는 현대미술로 정위(定位)됨을 증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현대의 섬유미술은 현대미술과 마찬가지로 형식과 의미를 이분하여 해석하기 어려우며 , 이는 개개의 유닛을 형성하는 기법과 반복표현에 있어서도 내용과의 상호 관계를 중요시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연구자는 직물의 구조와 섬유적 물성을 반복구조로 표현한 섬유미술가들 의 몇몇 작품을 차이와 반복의 개념으로 분석함으로써,21세기 현대미술과의 공감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atterns of repetitive structures in the contemporary art appear in expressive forms including Op art (based on repetitive configurations for visual effects and the maximization of an optical illusion), Pop art (based on repetitive arrangements as a mass-produced images), and Minimal art (based on repetitive dispositions as the restricted formative concept), The repetitive structure is not an external formal factor arranged only for the exhibit of works, but an energetic factor to bring about the meaning for itself, and it is related to the expressive aspects of the contemporary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Above aspects are based on modern philosophy that points out a new meaning is not created by standardized repetition to stress an equality, but by distinguished repetition. To accept the difference instead of the equality is to shake the frame of classical recognition and order in the western philosophy, For example, Gilles Deleuze defined intensity as the meaning of power to maintain the specialty impossible of returning to permanent structure and order and explained the change of intensity. Formatively applying it, the structure of repetition with a difference can be explained as a creation to bring about the expansion of a new meaning, namely, intensity and simply not as parts, that is, the sum. of units. Meanwhile, formative psychologists revealed that people prefer a comprehensive pattern to individual factors based on Gestalt psychology when recognizing formative images. As the structure of repetitive modeling is not the sum of separated pieces, but synthetic images, to bring about the synergistic effect of a visual meaning in the course of unification. Like this, units to form contemporary art create totality as synthetic images of repetitive units and the effect of emphasis by repetition with the explanation as intensity to have the specialty, independent individuality. Together,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existing fields of Fiber Craft•Formative fiber•Fiber design-Textile design break from the classical cognition that kept material distinct handicrafts, fine art, design, and so on, and suggest convergence situation in contemporaneity. Moreover, in formative aspects, with fundamentally preceding understandings for 'fiber' material, Fiber art does not stay only technical study about crafts or handicrafts, but does keep the context that try to viewpoint and interpretation with creative action of contemporary art. In the structures and expressive aspects, beyond the repetitive technique, Fiber art as a contemporary concept, has many cases that expressed with the repetitive structures of units. It proves that placed to the contemporary art, that is, structures or forms are accompanied with contents.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separate forms from the meaning of that in the contemporary Textile art like in the contemporary art, and it values mutual relation with contents in terms of choosing techniques and the property of matter. In this thesis, I would prove the contemporary Fiber art as a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analysis of works which are produced by the several Fiber artists inside of the country who interpret the structures of texture and properties of matter of fabric by repetitive structures and its' mean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