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박규수와 고종의 정치적 관계 연구

        강상규(Kang, Sang-gy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1 No.1

        박규수(1807-1876)는 이른바 ‘조선개화파’의 원조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박규수를 단순히 개화파와 실학의 가교(架橋)를 놓은 존재로 인식해서는 당대를 고민하며 살았던 박규수의 정치적 사상적 고투는 좀처럼 손에 잡히지 않는다. 이 논문은 문명사적 전환기를 치열하게 살았던 인물 박규수를 통해 당시의 조선정계의 한켠에서 진행되었던 혼돈과 고뇌, 정치적 모색에 관해 고찰하는 글이다. 특히 지금까지 거의 전혀 주목되지 않았던 국왕 고종을 가까이서 보좌하며 국왕의 선생으로서 재상(宰相)의 자리에 올랐던 박규수의 정치사적 의미가 어떤 것인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박규수는 19세기라는 문명사적 전환기, 상이한 패러다임 간의 충돌이 일어나는 와중에서 문명표준이 뒤바뀌는 시대적 상황을 살았던 고뇌하는 지식인이자 현실정치가였다. 그는 자신의 두 눈으로 중화질서가 ‘안과 밖으로 동요하는 현장을 직접 목격했으며, 국내의 민생이 무너져 내리는 가운데도 무책임하고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위정자와 지식인들을 접하면서 ‘지켜야할 것과 변통해야할 것’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성찰했던 인물이었다. 당시 박규수는 뭔가 국가 ‘간’ 관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감지하는 속에서 조선이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할 지 어디까지나 유자(儒者)적 관점에서 현실정치가로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었다. 현장의 소리를 경청하려했고, 원칙을 존중하되 항시 실용적이고 구체적으로 문제에 접근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기존의 개화파 중심의 역사서술에서, 박규수는 개화의 선구자로서 그와 개화파간의 교류에 대해서는 주목 받을 수 있었어도, 국왕을 가까이서 보좌하며 국왕의 선생으로서 그가 갖는 정치사적 의미는 간과되어져 왔다. 당시 조선의 정치구조와 군신(君臣)관계에 대한 이해를 배경으로 박규수의 삶을 차분히 따라가지 않으면 박규수와 국왕의 특별한 정치적 관계는 거대담론의 틈새에 끼어 좀처럼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박규수가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을 현실정치 공간에서 창출해내지는 못했지만, 청년 국왕 고종의 정치의식을 키워냈다는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Gyusu Park (1807-1876) is a founding father of the so-called ‘Enlightenment of Joseon’ faction. However, the mere recognition that Park served as a bridge between the Enlightenment faction and Shilhak (realist school) obviates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he struggled in anguish of politics and ideology. This paper looks into the life of Gyusu Park, who lived intensely during the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to the extent that it investigates the chaos, distress, and political search under way in a comer of the Joseon political world. The argument of this paper is developed on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Gyusu Park, who assisted the king and got advanced to the position of prime minister as a teacher of the king, the fact of which has gone unnoticed. Gyusu Park was a distressed intellectual and realistic statesman who lived in the era of changing standards in civilization in which disparate paradigms conflicted in the civilizational transformation period of the 19th century. He witnessed the scene in which Sinicism was at stake ‘in and out,’ and he was continuously agonizing and reflecting on ‘what to conserve and what to compromise’ among other politicians and intellectuals who remained irresponsible and passive when the public lives were collapsing. Park was seriously concerned about what choices Joseon should make in the turmoil of the paradigm shift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s, which he perceived as a realistic statesman, from a purely Confucianist perspective. He endeavored to listen to the public sentiment and approached problems in a practical and concrete way, respecting the principles. In the literature of the history on the Enlightenment faction, attention has been paid to Park who, as a pioneer of enlightenment,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nlightenment faction; however, there has been no consideration of Park’s role in the political history as a king’s teacher and aide. The special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Gyusu Park and the king gets lost amongst the macro-level discussion, unless a careful examination of Park’s life is carried out with the background knowledge of Joseon’s political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This paper presents concrete evidence that Gyusu Park helped to foster the young sovereign Gojong’s political awareness, although he did not create a new political paradigm in the actual arena of politics.

      • KCI등재

        박규수의 북촌시단 활동

        김용태(Kim Yong ta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8 동양한문학연구 Vol.50 No.-

        박규수는 19세기 조선을 대표하는 학자이자 정치가이다. 사실 그는 문학 방면으로도 탁월한 재능을 타고 났지만, 학문과 실천에 전념하기 위해 문학작품의 창작은 일부러 소홀히 하였다. 그렇지만 그 양이 많지는 않더라도 그가 남긴 문학작품은 그 수준이 빼어나고, 조선 사회에서의 시회 활동이라는 것은 문학적 활동을 넘어 정치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므로 박규수의 문학 활동에 대한 연구를 소홀히 할 수는 없다. 이에 본고는 박규수의 시회 활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박규수와 함께 시회 활동을 하였던 주변 인물들의 자료를 통해 박규수가 어떻게 문학 활동을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박규수는 주변의 벗들에게 타고난 학자요 치열한 경륜가로 비쳐졌음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는데, 문학과 예술에 대한 그의 열정이 상당히 컸음도 알 수 있었다. 또 고종대에는 대원군이 후원을 하여 박규수의 집 등 북촌 일대에서 성대한 시회가 보름이나 이어졌는데, 이를 통해서는 박규수와 흥선대원군이 매우 가까운 관계였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들은 향후 박규수에 대한 전기적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서울 북촌시단의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ak Kyu-su is a scholar and politician who represents the Chosŏ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In fact, he showed a great talent for the literary field. But he intentionally neglected creating literary works. The study of this Pak Kyu-su’s literary activity is crucial. It is important that poetical circle has political meaning that exceeds literary activity in the Chosŏn Dynasty, and the works he left behind are outstanding even though there is not a large amount. This paper studies Pak Kyu-su’s poetical circle, especially it is focused on materials of surrounding people that participated in poetical circle with him. He had a great zest for literature and art. Also, it was confirmed that he was a scholar by nature and an ardent politician for the people surrounding him. This also reveals that Pak Kyu-su has always had particularly close ties to Heungseon Daewongun during the period of Kojong’s reign. Pak Kyu-su had a great poetical circle in Pukch on area that was supported by Heungseon Daewongun. These texts could be utilized in research of Pak Kyu-su for the future, and this could help research Pukch on poetical circle.

      • KCI등재

        학술적 우상과 중국-조선 간의 문화교류 - 박규수가 참여하였던 고염무 사당의 회제(會祭)를 중심으로 -

        임존양 수선사학회 2017 史林 Vol.0 No.59

        朴珪壽以熱河問安副使、進賀兼謝恩正使兩度出使北京,皆在淸廷處于外患內憂險象環生之時。面對如此局勢,他之所以不畏艱難、毅然膺命出使,顯然幷非出于偶然的決定,而實有寄望所在。如上所揭,其所寄望者,一則是爲實現其“平生夢想帝王州”的夙愿,以繼祖父朴趾源先生之后,親身接觸、感受中華文化;二則,也是更爲重要的,想借此机會,結交士大夫,談學論道,質疑辨難,尤其是欲尋覓立身立品之知己、懷才經世之友朋。大儒顧炎武恰爲朴珪壽實現此一愿望,提供了難得的机緣。這是因爲,朴珪壽出使北京前,已對顧炎武先生的學問有所接觸,且對其人品甚爲欽仰。至北京之后,因燕行使好友申錫愚紹介,得交沈秉成、王軒、王拯、黃云鵠、馮志沂諸人,是以有机會參加顧祠會祭。此一契机,不僅實現了朴珪壽一展對顧炎武先生的仰慕之情,進一步加深了對其著述和人生取向的了解和體認,而且也在與沈秉成諸人交往及此后返回朝鮮后彼此函札往復中,尋得了祈盼已久的人生天涯知己。而從朴珪壽與沈秉成諸友人的言談互動中,使人感受到的,不惟是他們間交游的一己之樂,更展現了中朝學人對學術的摯愛、文化的擔當、兩國危難與命運的憂患意識,以及如何立身、如何樹品、不爲一己得失而牽懷,以成就一番大學問、大事業的人生追求。而這也正是大儒顧炎武先生所倡導的“經術”, “治道”, “博聞”相結合的爲學爲治之大關鍵、大精神、大情懷。可以說,正是在顧炎武先生學問、精神的感召下,朴珪壽、沈秉成等人方得以相識、相交、相知;而通過他們的推揚、闡發和傳播,顧炎武先生之學問、精神更愈益得到突顯,幷名揚域外。因此,從某種意義上來說,顧炎武先生之所以能成爲中朝學人的學術偶像,而爲其所欽仰、所祭拜,已非個人之榮譽,實具有鮮明的文化象征意義。

      • KCI등재

        박규수의 북촌시단 활동–주변 인물들의 자료를 중심으로

        김용태 동양한문학회 2018 동양한문학연구 Vol.50 No.-

        Pak Kyu-su is a scholar and politician who represents the Chosŏ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In fact, he showed a great talent for the literary field. But he intentionally neglected creating literary works. The study of this Pak Kyu-su’s literary activity is crucial. It is important that poetical circle has political meaning that exceeds literary activity in the Chosŏn Dynasty, and the works he left behind are outstanding even though there is not a large amount. This paper studies Pak Kyu-su’s poetical circle, especially it is focused on materials of surrounding people that participated in poetical circle with him. He had a great zest for literature and art. Also, it was confirmed that he was a scholar by nature and an ardent politician for the people surrounding him. This also reveals that Pak Kyu-su has always had particularly close ties to Heungseon Daewongun during the period of Kojong’s reign. Pak Kyu-su had a great poetical circle in Pukch'on area that was supported by Heungseon Daewongun. These texts could be utilized in research of Pak Kyu-su for the future, and this could help research Pukch'on poetical circle. 박규수는 19세기 조선을 대표하는 학자이자 정치가이다. 사실 그는 문학 방면으로도 탁월한 재능을 타고 났지만, 학문과 실천에 전념하기 위해 문학작품의 창작은 일부러 소홀히 하였다. 그렇지만 그 양이 많지는 않더라도 그가 남긴 문학작품은 그 수준이 빼어나고, 조선 사회에서의 시회 활동이라는 것은 문학적 활동을 넘어 정치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므로 박규수의 문학 활동에 대한 연구를 소홀히 할 수는 없다. 이에 본고는 박규수의 시회 활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박규수와 함께 시회 활동을 하였던 주변 인물들의 자료를 통해 박규수가 어떻게 문학 활동을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박규수는 주변의 벗들에게 타고난 학자요 치열한 경륜가로 비쳐졌음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는데, 문학과 예술에 대한 그의 열정이 상당히 컸음도 알 수 있었다. 또 고종대에는 대원군이 후원을 하여 박규수의 집 등 북촌 일대에서 성대한 시회가 보름이나 이어졌는데, 이를 통해서는 박규수와 흥선대원군이 매우 가까운 관계였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들은 향후 박규수에 대한 전기적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서울 북촌시단의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闢衛新編 評語>를 통해 본 瓛齊 朴珪壽의 천주교 인식과 대응론

        조지형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1 누리와 말씀 Vol.- No.29

        윤종의(尹宗儀)의 벽위신편(闢衛新編)은 ‘척사론(斥邪論)’과 ‘해방론(海防論)’의 두 축을 근간으로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상황 속에서 ‘어떻게 서양 세력의 침입을 막아낼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의 반영물이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편찬물로만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당시 서양 세력의 침입과 천주교의 확산이라는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던 중국과 조선 지식인들의 지적 고민이 망라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박규수(朴珪壽)의 <벽위신편 평어(闢衛新編評語)>는 벽위신편에 대한 평어(評語)이자 발문(跋文)의 성격을 지닌 글이며, 해방론 쪽으로 치우친 벽위신편에 자신의 척사론을 덧붙여 척사론과 해방론의 두 축을 균형감 있게 보완하려는 성격의 글이다. 아울러 천주교에 대한 억압과 탄압만으로는 천주교의 확산을 막는 데에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점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고, 이에 자신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 논설이기도 하다. 본고는 <벽위신편 평어>가 이렇듯 본래 천주교에 관한 척사론의 입장을 담고 있는 글임에도 불구하고, 기왕의 선행 연구에서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의 측면에 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선행 연구 성과를 충실하게 수용하는 가운데 <벽위신편 평어>에 나타난 박규수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에 논하였다. <벽위신편 평어>에 나타난 천주교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은 크게 5가지로 나타난다. ① ‘천(天)’・‘천주(天主)’ 용어 사용에 대한 비판,② ‘서학중국원류설(西學中國源流說)’의 긍정과 동도(東道)에 대한 우월의식, ③ ‘천주강생설(天主降生說)’에 대한 비판, ④ 교파(敎派) 분열의 실상 고발, ⑤ 천주교의 침략성과 포교(布敎) 의도 대한 비판. 이 가운데 ④와 ⑤는 기독교의 교파 분열 상황과 서양의 역사적인 사실을 들어 천주교를 비판한 방식으로 다른 척사론자들에게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박규수는 천주교의 확산을 막고 천주교도들을 회유하기 위해 천주교 관련 서적에 대한 연구를 통한 비판 방법을 제기하였다. 박규수의 이러한 천주교 대응 방식은 유학(儒學)의 우월성에 대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억압과 탄압 방식으로는 천주교 확산을 저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명확하게 깨닫고 있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식의 해결책을 모색하였던 것이라 하겠다. 주제어 : 朴珪壽, <闢衛新編 評語>, 尹宗儀, 『闢衛新編』, 斥邪論, 海防論, 西學中國源流說 通过<辟卫新编评语>考察朴珪寿(号瓛斋)对天主教的认识與应对论 趙 志 衡 尹宗仪的《辟卫新编》以“斥邪论”与“海防论”为理论核心,论述了在“西势东渐”的情况下“如何阻止西方的入侵”这一问题。它不能简单地定性为个人作品,可以说它反映了当时中朝知识分子们共同面临“西方国家的入侵及天主教的扩散”这一危机而产生的普遍疑虑。 朴珪寿的<辟卫新编评语>即是对《辟卫新编》的评语,又是具有跋文性质的文章。同时,它还在偏重于海防论的《辟卫新编》中附加自己的斥邪论,意在平衡“斥邪论”与“海防论”这两个理论核心的比重。而且,著者提出“仅依靠抑制和打压天主教的措施,从根本上阻止天主教的扩散是有局限性的”这一问题,并对此论述了自己认为行之有效的应对方案。 在<辟卫新编评语>中,尽管包含了对天主教的“斥邪论”的立场,而在以往的研究中未能从著者“对天主教的认识与应对方案”的角度上进行深度研究。基于这一点,笔者在充分收容先行研究成果的前提下,探讨了在<辟卫新编评语>中出现的朴珪寿对天主教的认识与应对方式。 <辟卫新编评语>中出现的对天主教的批判,主要分以下五点:①、对天主教使用“天”、“天主”等词汇的批判;②、对“西学中国源流论”的肯定与东方儒学的优越意识;③、对“天主降生说”的批判;④、揭露教派分裂实情;⑤、对天主教的侵略性与传教企图的批判。其中,④、⑤是通过例举基督教的教派分裂情况与西方的历史事实对天主教进行批判的,这是在其他“斥邪论”论者的论证中见不到的一个崭新的方式。最后,朴珪寿以阻止天主教的扩散、规劝天主教徒为目的,提出了通过研究天主教相关书籍而进行批判的方法。朴珪寿的这一对天主教的应对源自著者他本人对东方儒学优越性的自信。而且,他还清楚地认识到用压迫与镇压的方式在阻止天主教扩散方面具有局限性这一点,从而探索了上文所述的解决方案。 关键词:朴珪寿、《辟卫新编评语》、尹宗仪、《辟卫新编》、斥邪论、海防论、西学中国源流说

      • KCI등재

        19세기 경화학계 개혁론의 가치 지향과 현실 대응

        한보람 ( Han¸ Bo-ram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7

        본 논문은 서울을 지역적 기반으로 하는 경화학계, 그 중에서도 18세기 연암그룹의 인적 네트워크와 사상적 특징이 19세기 박규수 계열 개혁세력에게 어떻게 이어지고 있었는지를 고찰하는 작업이다. 지금까지 18~19세기를 연속적으로 바라보고자 한 연구 경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18세기의 실학을 19세기의 개화사상과 연결시키는 시도가 대표적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시도는 ‘전근대적’ 유학에서 ‘근대적’ 실학을 분리시키거나 개화사상의 ‘근대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개화사상을 전통사회의 연결고리와 분리시켜 따로 세우려는 노력으로 인해 오히려 조선후기의 역사적 맥락과 단절시키는 결과를 낳은 측면이 있다. 또한 19세기개혁 세력, 특히 ‘개화파’ 인물들 대부분을 박규수라는 한 인물의 문하로 단순히 연결시키는 경향도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서울 지역을 기반으로 한 ‘개화파’ 인물들의 인적 연결망의 범위를 18세기 노론 경화학계의 인적 네트워크까지 확장하고, 그 속에서 연암그룹의 연결망을 더 세밀하게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박지원과 홍대용의 사상과 교유, 박지원과 노론 경화학계의 학맥, 혼맥, 친족의 연결고리, 소론과 교유와 연대 등 다양한 인적 연결망을 살펴보고, 그러한 네트워크가 세대를 넘어 19세기 박규수 계열 개혁세력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대표적인 개화파 인물 유길준이 일반적으로 박규수 문하로 설명되어 왔지만 민영익 계열과 친밀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었던 측면도 살펴보았다. 또한 연암그룹과 박규수 계열 개혁세력의 개혁론이 ‘사(士)’의식과 집권층의 책임의식, 전통적 가치와 체제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 보수성 등에서 공통된 가치 지향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책임의식이 기반이 되어 19세기 박규수 계열이 농민항쟁과 개국이라는 현안에 대처함에 있어 민생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하는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었던 점을 짚어보았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ideological features and networking of the Capital Based Learned Circles which has a regional base in Seoul, particularly the Yeonam Club, had descended to the reform force affiliated with Park Gyu-su. Previous research has viewed the 18-19<sup>th</sup> centuriessequentially, typically attempting to connect 18<sup>th</sup>-century Silhak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with 19<sup>th</sup>century’ senlightenment ideology. However, these attempts result in severing enlightenment ideology from historical contex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most previous studies have tried to distinguish modern Silhak from premodern Confucianism or separate enlightenment ideology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to emphasize the modernity of the enlightenment idea. In addition to thi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simply link most of the enlightenment party to Park Gyu-su’s affiliates. Motivated by these concerns, this research seeks to expand the enlightenment party’s networking range, whose regional base was Seoul, to that of Noron’s Capital Based Learned Circle, understanding the detailed network within the Yeonam Club. By examining the ideology and social intercourse between Park Ji-won and Hong Dae-yong, a variety of networking in school and marriage ties and domestic relations between Park Ji-won and Noron’s Capital Based Learned Circles, and social intercourse and solidarity within Soron, this study aims to restore the linkage between these networks and the next generation’s reform force affiliated with Park Gyu-su in the 19thcentury. Within these efforts,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s how Yoo Gil-joon, who was are presentative figure of the enlightenment party,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Min Young-ik’s affiliates, even though Yoo has been perceived as a pupil of Park Gyu-su. The Yeonam Club and the reform force affiliated with Park Gyu-su shared the value orientation in terms of classical scholarly consciousness, a ruling clique’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onservatism based on the confidence in the traditional value and system. From this sense of responsibility, Park Gyu-su’s affiliates had been preparing countermeasures to cope with the uprising of the peasants and port opening, putting the most emphasis on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this research critically discusses these aspect

      • KCI등재후보

        朴珪壽의 宮詞 「鳳韶餘響」에 대하여

        金明昊 한국한문학회 200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1

        이 논문은 환재 朴珪壽(1807~1877)의 『鳳韶餘響』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박규수는 燕巖 朴趾源의 손자로서 19세기 漢詩史에서도 주목해야 할 인물이다. 『봉소여향』은 7언 절구 100수로 된 宮詞로, 박규수의 초기 한시를 대표하는 力作이라 할 수 있다. 작품 전체에 대한 정밀한 독해 위해서, 창작배경을 이루는 박슈수의 삶과 시대 상황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한편, 唐나라 王建이래 중국과 조선에서 창작되어온 궁사의 전통에 비추어 『봉소영향』의 예술성과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박규수는 순조 29년(1829년) 국정을 대리하던 孝明世子의 하명에 따라 조선조 역대 임금들의 행적을 예찬한 『봉소여향』을 지었다. 이 작품은 왕조의 번영을 상징하는 ‘日出’이미지로써 작품의 서두와 결미가 상호 조응케 하여 짜임새를 갖추었으며, 절구 1수마다 문헌에 근거하여 자상한 주를 붙이고 있는 점이 한 특생이다. 주제 면에서 『봉소여향』은 임금의 修身上의 덕목을 예찬한 시와 治國上의 업적을 예찬한 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萬家’와 ‘萬川’위에 비추이는 ‘明月’의 이미지로써 강력한 왕권을 상징하였다. 이렇게 볼 때 박규수는 외척 세도를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한 효명세자의 염원에 호응하여, 국정을 주도하면서 신민들에게 덕정을 베푸는 모범적인 군주상을 제시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봉소여향』에는 尊明批情主義와 性理學 사상이 강하게 드러나 있어 당시 박규수의 사상적 지향을 알 수 있다. 『봉소여향』은 다채로운 소재와 화려한 수사법을 구사하여 왕정을 태평성세로 찬양하고 있는 점에서 궁사다운 특생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궁사들이 이를 통해 궁중의 향락을 표현하는 데 주력했음에 반해, 이 작품은 그같은 소재와 수법을 어디까지나 주제와 사상 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다. 그리하여 교훈적인 주제와 사상성을 생경하게 노출하는 대신 궁사의 특징을 살려 시로서의 예술성을 획득하고 있다. 문학사적으로 볼 때 『봉소여향』은 향락적 작품을 止揚하고자 했던 허균의 「궁사」를 계승하면서 예술적으로도 빼어난 성과를 거둔 작품이라 하겠다. This is the paper on Bongsoyeohyang by Park, Gyou-su(l807-1877). Bongsoyeohyang is the Goongsa(poems written based on circumstances within the Royal Court) composed of one hundred poem of a quatrain with seven-word lines, and is one of Park's most important works. Following the order of the Prince Hyornyoung(Ik-jong), in 1829 Park wrote Bongsoyeohyang praising contributions of successive king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aspect of theme, Bongsoyeohyang is composed of several kinds of poems: one praised moral training of king and the other praised achievements in governing the country. It also represented the great power of the king by the symbol of a bright m n shining on 'every house' and 'every stream'. From this viewpoint, we can see that Park responded to the wish of the Prince Hyomyoung who would restrain the power of maternal relatives and strengthen the power of the lang; that he wanted to bring up the image of a model king leading political &airs and well governing the people. Bongsoyeohyang has much color of Goongsa in that it praised the kingly rule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flourishing rhetoric. While usual Goongsa concentrated on representing the pleasures within the Royal court, this work used these materials and techniques to deliver themes and thoughts. Therefore, evading crude exposure of instructive themes and thoughts, it obtained artistic achievements by the best use of the form of Goongsa.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ongsoyeohyang succeeded to Goongsa of Huh, Kyun which denied the literary style of pleasure-seeking and it was also crowned with outstanding artistic success.

      • KCI우수등재

        환재 박규수와 시무(時務)의 국제정치학

        김성배(Sungbae Kim)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2

        본 연구는 19세기 중후반 한국외교사에서 환재 박규수가 보여준 독특한 국제정치적 대응에 주목한다. 박규수는 초기에는 비교적 선명한 화이관을 가지고 있었으나 아편전쟁과『해국도지』영향을 받아 해방론으로 이양한다. 그의 해방론은 서양세력을 국제정치적 실체이자 타자로서 인정한다는 점에서 척사론과는 구분된다. 또한, 2차 연행 이후 에는 만국공법 질서에 대한 초보적 이해와 서양제 국과의 수교에 대한 개방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만국공법의 주권질서 조직원리와 행위자로서 국민국가를 문명표준으로 냉철하게 인식하지는 못하고 있다. 박규수의 국제정치학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전통적 동아시아 질서와 근대 주권질서를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중국을 단지 하나의 영토국가가 아니라 동아시아 문명이자 힘의 실체로 이해했으며 문명적 선호와 전략적 시세판단에 입각하여 한중관계를 기축으로 서양세력의 도전에 대응하고자 했다. 그런 의미에서 박규수의 국제정치학은 전통과 근대가 모두 투영된 복합적 국제정치학이자 문명의 국제 정치학, 그리고 그가 선호하는 표현을 빌자면 시무(時務)의 국제정치학이라고 할 것이다. This study pays focuses on the international politics that Park Kyu-soo showed in the Korean diplomatic history in the mid-late 19th century. Park certainly had Sinocentrism at an early stage, but was transferred to the theory of the maritime defense under the influence of the Opium War and the book of HaeKugDoJi(海國圖志). His view on maritime defense is differentiated from the tradtional perspective, Chok-Sa to the extent that it acknowledges the western power as international political entity.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tage, it has been found that he fundamentally understood the Western international law(萬國公法), assumed openness toward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Western countries. But he fails to keenly recognize the state nation as standards of civilization and an organizing principle of sovereignty. The major feature displayed in his international politics, is that he considers the traditional order of East Asia and the Western sovereign order at the same time. He identifies China not as a territorial state but as civilization of East Asia and stands up against the challenge of the Western power with a focus on the Sino-Korearelationship, based on cultural preference and strategic judgment. In this respect,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Park, can be termed as an international politics of civilization and an international politics of Si-mu(時務) as he prefers to call.

      • KCI등재

        朴珪壽의 實事求是的 書畵思想 硏究

        이주형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4 No.-

        A Study on the Philosophy of Calligraphy and Painting by Park Kyu-Soo Lee Ju Hyung Park Kyu-Su (1807-1876) was a prominent political thinker, literary and poet, painter and calligrapher, evidential researcher, and historical researcher of epigraphy. Based on the theoretical method of empirical tradition, he explored social change based on the idea of ​​rehabilitation, and in the period of eastward and westward (西勢東漸) when the Western culture flooding into the East, he made a special effort to find a Reformism strategy to cope with such changes. He recognized that the term "empirical tradition" was to maintain the truth and to develop the truth while practicing, and, while practicing epigraphy historical research and the scholarship of empirical tradition based on the thought of ‘通经致用(pass through)’ to create calligraphy and painting. Park Kyu-Su could accept the philosophy of Practical Thought (Sil-Hak) relatively faithfully from Yunam Park Ji-Won, his grandfather, and his father Park Jong-Chae. In addition to his acquaintances from his wife’s family side such as Lee Jung-Rhee, Yoowha, and Lee Jung-Gwan, he befriended with his senior Jung Yak-Yong, Yoon Jung-Hyun, his friend Yoon Jong-Eui, and Chusa to study sentences and scripture. In terms of epigraphy historical research, he was influenced by Gu Yanwu. By the first half of the 1840s, his thoughts on calligraphy and painting were based on the principle of neo-Confucianism and compromised the merits of evidential research, establishing a rigid objective attitude and developing practical studies on a purely academic level to develop Sil-Hak. Calligraphy and painting were based on the interest and demonstration of epigraphy, but he had developed calligraphy and painting with emphasis on realism for the essential understanding of objects beyond copy-training forms by suggesting a unique copy-training method called ‘young-mo(painting of birds and animals)’. Park Kyu-Su insisted that painters should strongly criticize the paintings that harm the authenticity of objects and draw the truths of things while guarding against the ideological landscaping at that time, which was drawing while imagining. As such, Park Kyu-Su enlightened the public by changing modern consciousness with national consciousness with criticism and logic about the trend of ink landscape painting in the Chosun art scene. Accordingly, Park Kyu-Su became interested academically in the epigraphy historical research through networking with the people of Dong family of Qing Dynasty, Chusa-group including Gu Yanwu, and the literary scholars. Also, he tried to reproduce the Confucian classic that had been slowly forgotten to raise its position. It meant that the Confucian scholarship flowed into an idealistic academic style at that time, practicing the essential idea of ​​Confucianism, but it was explained by the thoughts on calligraphy and painting of epigraphy historical research,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and ‘real landscape painting’. As such, he was the pioneer of the era who exhibited the ideological development that can be evaluated as 'the beginning of the eastern way-western means theory' in the new era’s environment of the 19th century. 박규수(1807-1876)는 저명한 정치 사상가이자 문인, 서화가 고증학자로서 실사구시의 원론적 방법을 토대로 개화사상을 바탕으로 사회변화를 통찰하고, 서양의 문물이 동양에 빠르게 밀려들어는 西勢東漸의 시기에 이를 대처하기 위한 經世策의 모색에도 남다른 노력을 기울였다. 실사구시란 말이 실천 중에 진면을 점검하고 진리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견지하는 것이라고 파악하고, 실사구시적 학문을 청초의 고염무 사상인 ‘通经致用’정신으로 금석고증을 실천하면서 서화창작에 노력을 기울였다. 박규수는 조부 연암 박지원과 그의 부친 박종채에 의하여 실학사상을 비교적 충실하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교유관계에 있던 외척의 이정리·유화·이정관을 비롯한 선배 정약용·윤정현, 친구 윤종의, 추사 등 문인들과 함께 교류하면서 경술과 문장을 익히고, 금석 고증에 있어서는 고염무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1840년대 전반까지 그의 서화관은 대체로 성리학을 바탕으로 고증학의 장점을 절충하여 엄격한 객관적 태도를 확립하여 순수한 학문적 차원에서 실학을 발전시켜나갔다. 서화는 금석문에 대한 관심과 실증에 바탕을 두되 영모라는 독특한 임모방법을 제시하여 형태를 임모하는 이상으로 사물의 본질적 이해를 위하여 실경에 중점을 두고 서화를 발전시켜 나갔다. 박규수는 당시 머릿속으로 상상하여 그려내는 관념 산수를 경계하면서 화원화가들이 사물의 진정성을 해치는 그림에 대하여 강하게 비판하고 사물의 진면목을 그려낼 것을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박규수는 당시 조선 화단에서 일어나는 수묵 산수화 유행에 대한 비판과 논리로 민족의식과 함께 근대의식을 변화시키면서 계몽해 나갔다. 이로써 박규수는 고염무 및 추사 일파의 영향과 청나라 동씨집안 사람들 및 문인 학자들과의 교유를 통해 금석 고증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당시 잊혀져가는 周禮를 재현하고 높이고자 했다. 그 뜻은 당시 유학이 관념적인 학풍으로 흘러 본질적인 유학의 이념을 실천하되, 금석고증과 법고창신, 實景畵의 서화정신으로 이를 설명하면서 19세기의 새로운 시대적 여건 속에서 ‘동도서기론의 맹아’로 평가할 수 있는 사상적 발전을 보여준 그 시대의 선각자였다.

      • KCI등재

        박영효의 가풍과 초기 개혁사업의 실상

        장영숙 숭실사학회 2017 숭실사학 Vol.0 No.38

        박영효는 조선의 개화와 개혁을 언급할 때에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그는 부친인 박원양으로부터, 또한 15촌 혈연관계에 있던 박규수로부터 교육을 받고 이들의 사상적 영향 속에서 성장하였다. 박규수는 그의 조부이자 이용후생을 중시한 박지원의 사상적 영향 속에서 상공업의 발달과 기술의 발전을 중시하고, 사회모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박영효는 이러한 집안의 가풍을 이어받아 서양과의 통상을 통한 부국강병과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는 이상, 실학의 기조와 닿아 있는 便民利國의 실천적 지향을 도모하게 되었다. 박영효는 임오군란 후의 조ㆍ일 관계를 수습하기 위한 수신사로서 서광범, 김만식과 함께 일본을 다녀왔다. 귀국한 직후 한성판윤직을 맡아 수행하면서 일본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도로정비사업과 신문발간사업, 그리고 순경부를 설치하는 일에 특히 많은 관심을 가지고 추진하였다. 박영효가 치도사업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우리 산업의 핵심인 농업의 진작을 위해 농업생산품을 손쉽게 유통시키기 위해서는 도로의 확대와 개선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특히 그가 순검제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순경부 설치를 적극 주장하게 된 배경은 거리의 오물, 넘쳐나는 분뇨, 아무데서나 대소변을 보아 가히 문명국의 일원이라 할 수 없는 조선인들의 저급한 행태 때문이었다. 이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려면 법규를 동원해서라도 반강제적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기에는 순검제도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제도였던 것이다. 그런데 박영효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자 했던 도로정비사업과 신문발간사업, 순경부를 설치하여 치도사업을 원활하게 진행하려던 개혁 등은 중도에서 무산되고 말았다. 개혁의 의도는 좋았으나 무리한 치도사업의 결과 민가의 반발과 경제권의 침해를 입은 권력층의 저항에 부딪히게 되었던 것이다. 비록 중도에 그치긴 했어도 그가 추진한 초기 개혁사업은 실학의 가풍을 이어받아 민생에 필요한 중요한 일부터 우선 시행하고자 한 ‘실사구시’의 발로요, 구현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Park Yeong-Hyo is an essential figure upon referring to enlightenment and reformation of Joseon. He was educated by his father, Park Won-Yang and fifteenth relative, Park Gyu-Su and had grown in their ideological influence. Influenced by his grandfather, Park Ji-Won who put an emphasis on promotion of public welfare, Park Gyu-Su put an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also had critical point of view on social contradiction. Inherited such a family tradition, Park Yeong-Hyo had an ideology for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and social reform through trade with the West, and promoted practical orientation for the Service to the Country and Peace to the People which is similar to the basis of Silhak, Korean Practical Science. To resolve Joseon-Japan relationship after the im-O Military Revolt, Park Yeong-Hyo visited Japan as an emissary with Seo Gwang-Beom and Kim Man-Sik. Returning from Japan, he took the position of Han-seong-pan-yun and performed road maintenance, newspaper publishing, and especially installation of police department based on his experience in Japan. Park Yeong-Hyo was interested in the road maintenance by thinking that it was the most urgent to extend and improve the road to distribute agricultural products easily so as to boost agriculture, the core of our industry of that time. Especially, he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patrol system and actively insisted to install police department due to vulgar behaviors of Joseon citizens with garbage on the street, overflown human waste and urinating and relieving oneself anywhere which cannot be regarded as civilized behaviors. To change such behaviors, it was necessary to regulate it semi-mandatorily. And patrol system was needed in the first place. However, the reformation that Park Yeong-Hyo tried to perform enthusiastically such as road maintenance, newspaper publishing and installation of police department foundered halfway. The reformation had good intentions but excessive enforcement brought about resistance from people and the class with power who were infringed on their economic right. Even though it foundered in the middle, the initial reformation that he pushed ahead is meaningful that it was a manifestation and realization of 'empirical tradition' inherited from Silhak, Korean Traditional Science and tried to do important thing for the people in the first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