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朴珪壽의 宮詞 「鳳韶餘響」에 대하여 = A Study on Bongsoyeohyang by Park, Gyou-s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320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환재 朴珪壽(1807~1877)의 『鳳韶餘響』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박규수는 燕巖 朴趾源의 손자로서 19세기 漢詩史에서도 주목해야 할 인물이다. 『봉소여향』은 7언 절구 100수로 된 宮...

      이 논문은 환재 朴珪壽(1807~1877)의 『鳳韶餘響』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박규수는 燕巖 朴趾源의 손자로서 19세기 漢詩史에서도 주목해야 할 인물이다. 『봉소여향』은 7언 절구 100수로 된 宮詞로, 박규수의 초기 한시를 대표하는 力作이라 할 수 있다. 작품 전체에 대한 정밀한 독해 위해서, 창작배경을 이루는 박슈수의 삶과 시대 상황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한편, 唐나라 王建이래 중국과 조선에서 창작되어온 궁사의 전통에 비추어 『봉소영향』의 예술성과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박규수는 순조 29년(1829년) 국정을 대리하던 孝明世子의 하명에 따라 조선조 역대 임금들의 행적을 예찬한 『봉소여향』을 지었다. 이 작품은 왕조의 번영을 상징하는 ‘日出’이미지로써 작품의 서두와 결미가 상호 조응케 하여 짜임새를 갖추었으며, 절구 1수마다 문헌에 근거하여 자상한 주를 붙이고 있는 점이 한 특생이다.
      주제 면에서 『봉소여향』은 임금의 修身上의 덕목을 예찬한 시와 治國上의 업적을 예찬한 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萬家’와 ‘萬川’위에 비추이는 ‘明月’의 이미지로써 강력한 왕권을 상징하였다. 이렇게 볼 때 박규수는 외척 세도를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한 효명세자의 염원에 호응하여, 국정을 주도하면서 신민들에게 덕정을 베푸는 모범적인 군주상을 제시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봉소여향』에는 尊明批情主義와 性理學 사상이 강하게 드러나 있어 당시 박규수의 사상적 지향을 알 수 있다.
      『봉소여향』은 다채로운 소재와 화려한 수사법을 구사하여 왕정을 태평성세로 찬양하고 있는 점에서 궁사다운 특생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궁사들이 이를 통해 궁중의 향락을 표현하는 데 주력했음에 반해, 이 작품은 그같은 소재와 수법을 어디까지나 주제와 사상 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다. 그리하여 교훈적인 주제와 사상성을 생경하게 노출하는 대신 궁사의 특징을 살려 시로서의 예술성을 획득하고 있다. 문학사적으로 볼 때 『봉소여향』은 향락적 작품을 止揚하고자 했던 허균의 「궁사」를 계승하면서 예술적으로도 빼어난 성과를 거둔 작품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he paper on Bongsoyeohyang by Park, Gyou-su(l807-1877). Bongsoyeohyang is the Goongsa(poems written based on circumstances within the Royal Court) composed of one hundred poem of a quatrain with seven-word lines, and is one of Park's most imp...

      This is the paper on Bongsoyeohyang by Park, Gyou-su(l807-1877). Bongsoyeohyang is the Goongsa(poems written based on circumstances within the Royal Court) composed of one hundred poem of a quatrain with seven-word lines, and is one of Park's most important works. Following the order of the Prince Hyornyoung(Ik-jong), in 1829 Park wrote Bongsoyeohyang praising contributions of successive king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aspect of theme, Bongsoyeohyang is composed of several kinds of poems: one praised moral training of king and the other praised achievements in governing the country. It also represented the great power of the king by the symbol of a bright m n shining on 'every house' and 'every stream'. From this viewpoint, we can see that Park responded to the wish of the Prince Hyomyoung who would restrain the power of maternal relatives and strengthen the power of the lang; that he wanted to bring up the image of a model king leading political &airs and well governing the people.
      Bongsoyeohyang has much color of Goongsa in that it praised the kingly rule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flourishing rhetoric. While usual Goongsa concentrated on representing the pleasures within the Royal court, this work used these materials and techniques to deliver themes and thoughts. Therefore, evading crude exposure of instructive themes and thoughts, it obtained artistic achievements by the best use of the form of Goongsa.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ongsoyeohyang succeeded to Goongsa of Huh, Kyun which denied the literary style of pleasure-seeking and it was also crowned with outstanding artistic succes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