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밀양 밀성박씨 인당공파의 종계 운영과 문중 활동

        심재우 조선시대사학회 2021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7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descendants of Park Su-gyeon(朴守堅), of the Indang-gong Line(忍堂公派) of the Milseong Park House, people who lived for generations in the Chodong-myeon Shinho-ri area of the Gyeongsang Nam-do province’s Milyang region. They represent an example of a local house that established itself in the history of the Yeongnam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s latter half. The characteristics that we can find from the Indang-gong line’s entry into the region(“Ibhyang, 入鄕”), and their activities in the area, are as follow. First, Park Ik(朴翊), father of Park Soh(朴昭) who was also the founder of the Indang-gong line, was an individual who remained loyal to the late Goryeo dynasty. And one of his descendants, Park Su-gyeon practiced himself filial piety by establishing a hut near his parents’ graves and staying there to mourn their deaths. Second, the Indang-gong line ran a clan fund(Jong’gye, 宗契), which had been organized fairly early on and had contributed to the solidarity of the descendant community for a long time. The primary objective for establishing this clan fund was to facilitate services at grave sites, namely the Myoje(墓祭) ceremonies. Third, there was a pavilion named Moseon-jeong(慕先亭), a thatched cottage erected by Park Su-gyeon with the intention to have it exist as a center from where the graves of the clan’s ancestors could be overseen and protected. This cottage/pavilion was also built to reinforce the clan descendants’ conscious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clan’s internal bond and strengthen the unity amongst clan members, and the cottage continued to serve as symbol of the clan’s resolve to firmly maintain itself. Another symbol for the Indang-gong line was the Deoknam Seoweon(德南書院). Together, both Moseon-jeong and Deoknam Seoweon served as a platform for the clan members’ activities. Fourth, members of the Indang-gong line also joined larger ceremonial occasions with other Park lines for the ancestors of the greater Milseong Park House, such as participating in the publication project for the Daedong-bo Genealogy of the Milseong Park clan, foundation of Clan Seoweon schools, renovation of the Jaeshil(齋室) chamber where tablets for the ancestors were enshrined, compilation of personal anthologies for house ancestors, and commemoration of Park Ik, who was founder of the Park clan (in the Milseong area) itself. 이 글은 경상남도 밀양의 초동면 신호리 일대에 세거하던 밀성박씨 忍堂公派 朴守堅 후손가를 사례로 하여, 이들의 조선후기 지역사회 내에서의 위상과 후손들의 문중 활동에 대해 검토하였다. 인당공파의 入鄕, 지역 내 동향과 관련한 특징으로 첫째, 인당공파 박수견 후손가는 派祖 朴昭의 부친 朴翊이 고려 왕조에 충절을 보였다는 점, 박수견이 시묘살이를 통해 효를 실천했다는 점은 밀양 내 이들의 위상과 발언권이 지속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인당공파에서는 일찍부터 墓祭 봉행을 위한 宗契가 조직되어 후손들의 결집을 도모하고 있었다. 종계는 선산의 위치에 따라 여럿 마련되었으며, 계원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확대로 19세기까지 이어졌다는 것도 특징이다. 셋째, 박수견이 선대 분묘를 수호하기 위해 지은 초막인 慕先亭은 후손들에게 혈연의식을 공유하고 연대와 결속을 다지기 위한 중요한 구심점으로 작용하였다. 또 19세기 초 문중서원으로 출범한 德南書院 또한 여러 문중 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넷째, 인당공파가 다른 박씨 제파와 참여한 爲先 활동으로는 밀성박씨 대동보 편찬에의 참여, 문중서원의 건립, 齋室 정비, 문집 간행과 선조 박익에 대한 현창사업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후손들의 혈연적 결집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밀양에서의 인당공파 문중의 사회적 위상을 제고시키는 데도 기여했다. 끝으로 이 집안 사례 외에도 조선후기 문중의 범위와 문중의 조직화 배경을 규명하기 위해서 친족간 宗契, 族契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후속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노계(蘆溪) 박인로(朴仁老)의 사회적(社會的) 위상(位相)에 대한 재검토(再檢討)

        이종문 ( Lee Jong Moon ) 민족어문학회 2018 어문논집 Vol.- No.82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노계 박인로의 사회적 위상과 개인적 상황에 대해 ‘沒落 鄕班’으로 표현해왔다. 그런데 근년에 와서 그와는 전혀 다른 견해를 제출한 학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노계는 영천 지역의 대표적인 士族인의 密陽 朴氏 家門의 일원으로서 중소지주층의 ‘유력한 在地士族’이었으며, 그러한 사회적 위상에 걸맞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당당하게 행세했던 인물이라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노계가 영천지역에서 행세하던 유력한 재지사족이었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여러모로 동의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계의 작품들 가운데는 다른 사람의 ‘명령’으로 지은 작품이 유난히도 많은데, 그 가운데는 나이가 20-30세 어린 李德聲의 아들들의 ‘명령’을 받고 지은 「相思曲」과 「勤酒歌」도 포함되어 있다. 노계가 만약 당당하고 유력한 사족이었다면, 이덕형의 아들들이 아버지와 친하게 지냈던 노계에게 이러한 가사를 지으라고 ‘명령’을 내릴 수는 없었을 것이다. 둘째, 노계는 鄭逑와 張顯光의 문인임이 분명하고, 曺好益에게 배웠다는 기록도 있다. 하지만 정구, 장현광, 조호익의 제자들의 이름을 기록한 명부인 及門錄에 한결같이 노계의 이름이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노계의 이름이 나올 법한 곳에 모두 빠져 있는 것을 보면, 그가 어떤 이유로 士族들로부터 소외를 당하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셋째, 이 지은 鄭귀陽를 「蘆溪朴公遺事」보면 그가 경작지와 보배로운 채찍을 남에게 빼앗겼다는 일화가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일화들을 보면 노계는 당당하고 유력한 재지 사족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였다는 느낌을 가지게 한다. 넷째, 각종 밀양박씨 족보에 의하면 노계의 큰아버지 朴?이 아들이 없어서 7촌 조카 朴士愼을 양자로 맞았는데, 친조카인 노계 3형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핏줄이 먼 친척을 양자로 맞은 이유가 궁금하다. 아울러 20세기 이전에 간행된 古本의 密陽朴氏 族譜들에 노계의 이름이 거듭 누락되어 있는 것을 보면, 노계 집안의 사회적 위상이 유력한 사족은 아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현재 道溪書院 건너편 야산에 있는 노계의 아버지와 노계 및 노계 형제들의 묘소가 한 지역에서 행세했던 유력한 士族의 묘소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소박하고 조촐하다. 노계 집안의 묘소가 이처럼 소박하고 조촐한 것은 그당시 노계 집안의 사회적 위상을 반영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와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볼 때, 노계가 당당하게 행세했던 유력한 在地 士族이었다는 견해는 再考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 오히려 그는 어떤 근원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사회로부터 소외를 당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다. 만약 필자의 견해가 타당하다면,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논문들 가운데서도 재검토되어야할 사항들이 상당히 많을 것으로 생각하며, 앞으로 노계의 생애와 문학을 연구하는 데도 이 글이 적지 않게 참고가 되리라 기대된다. The academic sector generally expressed Nogye's social status as ‘a fallen rural noble class.’ Recently, however, there have been scholars who have presented completely different opinion. They argue that Nogye was from a wealthy and powerful noble family that represented the Bak Family of Miryang, the most noted family of Yeongcheon and lived a confident life doing what was appropriate for his social class. However, the following are the reasons why it is hard to agree with their opinion: First, there are noticeably many pieces of Nogye that were written by others' 'orders' including 「Sangsagok」 and 「Gwonjuga」 that were written by the 'orders' of the sons of Yi Duk Hyung who were only between 20 and 30 years of age. If Nogye were a powerful nobleman, it wouldn't have been possible for the sons of Yi Duk Hyung to 'order' Nogye who was close to their father to write the songs. Second, it is clear that Nogye was a literary man of Jung Goo and Hyun Gwang Jang and it is recorded that he learned from Jo Ho Ik. However, Nogye is not mentioned in the list of names of pupils of Jung Goo, Hyun Gwang Jang, and Jo Ho Ik. Considering that his name is missing from all records related to him, we can assume that he may have been alienated from the noble families for some reason. Third, Nogye's autobiography records that he once lost his farm and treasured whip to someone else. This anecdote tells us that Nogye was not a powerful nobleman, but a social weak. Fourth, the family records of the Bak Family of Miryang shows that Nogye's uncle, Bak Rin, adopted his far nephew, Bak Sa Shin, and it is wondered why he adopted a far relative when Nogye's three brothers were his closer nephews. Also, Nogye's name is missing in the older family records of the Bak Family of Miryang several times, so we can assume that Nogye was not from a powerful noble family. Fifth, the tombs of Nogye's father, Nogye, and his brothers on the hill across from Dogye Seowon are very poorly set and managed. The appearance of his family graveyard must reflect the social status of his family. Considering the above findings, it shall be reconsidered that Nogye was from a confident and powerful noble family. If my opinion is valid, many of the theses reported to the academic sector shall be reconsidered and my study would be helpful for further studies on Nogye.

      • KCI등재

        쌍호공소를 통해 본 천주교 교우촌의 성립과 변천

        김정숙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硏究 Vol.- No.57

        쌍호마을은 역사가 깊은 교우촌이다, 그리고 모든 공소가 그렇듯이 쌍호공소도 일종의 생동하는 유기체이다. 즉 공소 자체가 사회의 변동에 적응하면서 끊임없이 신앙의 요람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그 사회변동에 적응해 가면서 그침없는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요인을 파악하는 일은 공소의 미래를 진단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필자는 교회측 사료, 관변측 사료, 쌍호공소 주민들의 인터뷰를 통해서 교우촌내에 작동되고 있던 몇 가지 특성들을 파악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우선 쌍호공소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검토해 보았다. 쌍호마을은 행정지리적으로나 공소 구성원에서 변화가 많았다. 이 마을은 박해시대 신자들이 모여서 형성되기 시작하였는데, 1891년에 이르러서야 공소가 설치되었다. 공소가 설치된 이후 쌍호공소는 낙산, 퇴강, 예천, 안동, 다인, 안계 성당 등으로 그 소속이 바뀌면서 발전해 왔다. 물론 공소의 명칭도 바뀌었다. 원래 청호리 공소라 불리던 곳이 1914년 도호동과 합쳐져 쌍호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1926년까지 청호라고 불리고 있었다. 쌍호는 1리, 2리로 나뉘어 약 120여명의 주민이 있는데, 그중 쌍호1리가 교우촌이다. 현재 이 마을은 신자들과 외교인들이 섞여 살고 있지만 교우촌의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다. 쌍호마을은 200년간을 이어오면서 최소한 13개 姓氏에 속하는 22 家系가 살아왔다. 이 마을의 입향조는 본래 밀양박씨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후 이곳에는 타성들이 들어와 합류하게 되었고, 또 떠나기도 했다. 따라서 쌍호마을의 신자들에 관한 누적 통계에서는 밀양박씨가 숫자적으로 가장 많았다. 밀양박씨는 그들과 사돈관계였던 함창김씨와 함께 쌍호공소 초기의 공소회장직을 맡아보면서 마을의 터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들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마을을 떠나, 상주와 대구 등지로 옮겨갔다. 또한 신춘원, 신기순, 류승대, 신기순 집안도 마을을 떠났다. 그래서 현재 쌍호공소의 신자구성에는 초기와는 달리 함안조씨 가계가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점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에 여러 성씨들이 상호 순차적으로 회장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활동력이 생겼다. 그렇다 하더라도 지금까지는 함안조씨 가계에서 장기간에 걸쳐 회장을 배출했고, 이 가계에 속한 사제나 수도자 수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함안조씨 집안을 제외한다면 비교적 각 신앙가계에서 골고루 회장, 사제, 수도자들이 배출되어, 쌍호공소에 새로운 활동에너지들은 제공하고 있다. 쌍호공소는 마을내 혼인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있다. 가령, 함안조씨는 안동권씨, 영양김씨, 경주허씨, 밀양박씨와 직접적으로 혼인관계에 있다. 또 영양김씨 김정상은 김해김씨, 풍기진씨와 혼인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마을 전체가 인척관계에 놓여 있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서 공소는 신앙공동체, 경제공동체였을 뿐만 아니라 상호 혈연관계로도 깊이 연결되어 있었다는 사실이 파악된다. 이는 교우촌을 신앙공동체 중심으로만 이해되어 왔던 기존의 견해에 대한 재검토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쌍호공소는 시대의 정신을 올바로 파악하고 난관을 극복해 가면서 그 시대에 부응하는 가톨릭정신을 실천해 갔다. 쌍호공소는 일제에 저항해서 신앙을 지켰다. 이데올로기 갈등이 심화되어 민족내부에서 대혼란이 일어난 때에도 이 혼란을 꿋꿋하게 견뎌냈다. 그리고 1970년대부 ... Ssangho village is a historic community of catholic believers. Like other Catholic communities, the Ssangho Gongso is a kind of live organic body. Gongso has adapted itself to social changes and has kept its function as a cradle of faith continuously. Accordingly, to understand how Gongso could preserve its continuity while adapting itself to the social changes is crucial to make a right choice for its future. The author interviewed residents of the Ssangho Gongso, referred to documents from Church and Government, and found out several characteristics of Gyouchon, the Catholic community. In this paper I first of all examine the historic transition process of the Ssangho Gongso. Ssangho village has changed a lot in community members both administratively and geographically. This village started to be formed by the faithful under the religious persecution era, and in 1891 Gongso, a Catholic community was established. Since its establishment, Ssangho Gongso was affiliated to Naksan, Toegang, Yecheon, Andong, Dain, Angye Bondang, etc. While its affiliation was changed, it was called differently. It was used to be called 'Cheongho-ri Gongso' and in 1914 it was incorporated with Doho-dong and called 'Ssangho'. By 1926, however, it was called 'Cheongho'. Ssangho is divided into 1 ri and 2 ri with about 120 residents. Ssangho 1 ri is Gyouchon, the Catholic community. Currently the faithful live along with non-believers in this village. However, they have preserved their tradition. Ssangho village has a 200 year-old history, and 22 family lines of at least 13 different family names. The founder of this village is presumed Milyang Park family. Since then other family lines joined this community or left to other places. Therefore, in the accumulated statistics about the faithful in Ssangho village Milyang Park family line appears most in number. In the early days Milyang Park family line and Hamchang Kim family line who were in-laws took care of the community as lay leader, and formed the village. However, in 1960s and 1970s they left the village and moved to Sangju and Daegu. In addition, Shin Chunwon, Shin Gisun, Rye Seungdae and Shin Gisun family also left. As a consequence, in the current Ssangho Gongso, unlikely early days, Haman Jo family line played more important role in forming members of the faithful. Since 1970s several family lines rotated the head of the village and had a new driving force. Even though, so far many head of the village came from Haman Jo family line for a long time,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priests and people who entered into religion are from this family. Excluding Haman Jo family, heads, priests and people who entered into religion were evenly from the rest of families, which provides a new energy into Ssangho Gongso. Residents in Ssangho Gongso are interconnected through marriage. For example, Haman Jo family are in-laws with Andong Kwon family, Yeongyang Kim family, Gyeongju Heo family and Milyang Park family. Kim Jeongsang of Yeongyang Kim family is connected with Gimhae Kim family and Punggi Jin family through marriage. Therefore, entire community are related by marriage. Through this fact, we can know that Gongso is not only the community of religion and economy but also is deeply related among members based on blood relationship. So far Gyouchon was considered only as the community of religion. However, this fact makes possible to reexamine the existing theory from a new point of view. While Ssangho Gongso grasped the spirit of the times, overcame the difficult situations, they practiced their Catholic faith. Ssangho Gongso kept their faith while resisting the Japanese Imperialism. Even there was an internal disorder among in the nation due to conflict of ideology, they withstood firmly. From the 1970s this community became an important stronghold of farmers' movement, and in the 2000s it started a campaign for a life community. Complying with the demands of the era, new believers and...

      • KCI등재

        조선후기 분재와 가정경영 그리고 지역사회 -밀양 3개 사족 가문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이 연구는 밀성박씨, 의령남씨의 사례를 대상으로 조선후기 경상좌도에 속 했던 밀양도호부 엘리트 집단의 분재 양상과 경제적 처지를 살펴보았다. 밀양 의 세 가문은 경상좌도의 퇴계학파 일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이런 배경에서 이 들 가문은 학연, 혈연 그리고 지연을 배경으로 결속했다. 밀양이라는 지역적 인연의 계기 또한 이들 요소에 기반하고 있다. 분재에서도 입향, 가계 계승 그 리고 家禍에 대응하여 균등분재를 기본으로 하되 아들에 대한 차등분재와 토 지의 선택적 분재를 실현하여 밀양 지역 가산의 집적과 지역 사족 연대를 통 한 가산 교환이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金陵邑誌(김릉읍지)』의 편찬시기와 성격에 대한 검토

        김경옥 ( Gyung Ok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2 No.-

        이 글은 최근 새로 발굴된 『금릉읍지』(계축년)의 간행시기와 편찬자, 그리고 자료적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금릉’은 전라도 강진의 옛지명이다. 이 읍지는 2012년 3월에 강진군 작천면 밀양박씨문중에서 강진군에 기증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조선시대의 읍지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제작되었다. 하나는 중앙정부가 통치 목적으로 만든 관찬읍지이고, 다른 하나는 지방민이 자체적으로 만든 사찬읍지이다. 전통시대의 읍지는 해당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곳에서 누대로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사 전반을 전달해준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주목된다. 과연 『금릉읍지』는 누가 언제 편찬하였을까? 그 단서는 읍지 말미에 기록되어 있는 사실정보(‘右邑誌 癸丑春 依嶺南規模改備’)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계축년은 어느 해를 지칭하는 것일까? 이를 위해 현전하는 『금릉읍지』의 편목과 수록 내용을 분석하였다. 예컨대 ①읍지에 수록되어 있는 인물의 성향, ②조선시대 강진현에 설치된 兵營, ③강진현에 파견된 역대 지방관, ④부속도서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 ⑤5일마다 개시되었던 場市 등이다. 이를 종합한 결과 『금릉읍지』는 강진군 병영면 일대에서 세거해온 밀양박씨문중에 전해오는 사찬읍지이고, 이 읍지의 편찬자는 당대 가장 현달한 인물로 평가되는 剛齋 朴冀鉉(1864~1913)에 의해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is written to grasp the time of compilation, the editor, and the data value of Keumleungeupji(金陵邑誌) Jakcheon-myeon(鵲川面), excavated recently. ‘Keumleung’ is an old place name of Gangjin-gun(康津郡), Jullanamdo. The town is known by donation of Milyang Park`s(密陽朴氏) family to Jakcheon-myeon, Gangjin-gun in March, 2012. Towns during Chosun Dynasty were formed according to two aspects. The one kind of towns was governed by national government, the other kind was controlled by local residents themselves. The towns at that time have their data value in not only dealing with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overall but delivering life history of the people on the whole who had lived there Who edited Keumleungeupji and when was it done indeed? The clue of it is facts and figures: 右邑誌 癸丑春 依嶺南規模改備 recorded at the end of Keumleungeupji. What year is Jakcheon named here? To answer the questions, the contents of Keumleungeupji were analyzed. For examples, there are characters of the people recorded in Keumleungeupji, barracks founded in Ganjginhyun in Chosun Dynasty, successive local governmental officials to Gangjinhyun, local residents` recognition of annexed island, markets every 5th day, and so on. As an outcome of that, Keumleungeupji was controlled by the local residents centering Milyang Park`s family that had resided around Byeongyeong-myeon(兵營面), Kangjingun, and the editor was Kangjae-Park, Kihyun(剛齋 朴冀鉉:1864-1913) who was considered as the one of the wisest men at that time and Keumleungeupji might be transcribed by him.

      • KCI등재

        『金陵邑誌』의 편찬시기와 성격에 대한 검토

        김경옥 호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2 No.-

        This study is written to grasp the time of compilation, the editor, and the data value of Keumleungeupji(金陵邑誌) Jakcheon-myeon(鵲川面), excavated recently. ‘Keumleung’ is an old place name of Gangjin-gun(康津郡), Jullanamdo. The town is known by donation of Milyang Park’s(密陽朴氏) family to Jakcheon-myeon, Gangjin-gun in March, 2012. Towns during Chosun Dynasty were formed according to two aspects. The one kind of towns was governed by national government, the other kind was controlled by local residents themselves. The towns at that time have their data value in not only dealing with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overall but delivering life history of the people on the whole who had lived there Who edited Keumleungeupji and when was it done indeed? The clue of it is facts and figures: 右邑誌 癸丑春 依嶺南規模改備 recorded at the end of Keumleungeupji. What year is Jakcheon named here? To answer the questions, the contents of Keumleungeupji were analyzed. For examples, there are characters of the people recorded in Keumleungeupji, barracks founded in Ganjginhyun in Chosun Dynasty, successive local governmental officials to Gangjinhyun, local residents’ recognition of annexed island, markets every 5th day, and so on. As an outcome of that, Keumleungeupji was controlled by the local residents centering Milyang Park’s family that had resided around Byeongyeong-myeon(兵營面), Kangjingun, and the editor was Kangjae-Park, Kihyun(剛齋 朴冀鉉:1864-1913) who was considered as the one of the wisest men at that time and Keumleungeupji might be transcribed by him. 이 글은 최근 새로 발굴된 『금릉읍지』(계축년)의 간행시기와 편찬자, 그리고 자료적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금릉’은 전라도 강진의 옛 지명이다. 이 읍지는 2012년 3월에 강진군 작천면 밀양박씨문중에서 강진군에 기증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조선시대의 읍지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제작되었다. 하나는 중앙정부가 통치 목적으로 만든 관찬읍지이고, 다른 하나는 지방민이 자체적으로 만든 사찬읍지이다. 전통시대의 읍지는 해당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곳에서 누대로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사 전반을 전달해준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주목된다. 과연 『금릉읍지』는 누가 언제 편찬하였을까? 그 단서는 읍지 말미에 기록되어 있는 사실정보(‘右邑誌 癸丑春 依嶺南規模改備’)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계축년은 어느 해를 지칭하는 것일까? 이를 위해 현전하는 『금릉읍지』의 편목과 수록 내용을 분석하였다. 예컨대 ①읍지에 수록되어 있는 인물의 성향, ②조선시대 강진현에 설치된 兵營, ③강진현에 파견된 역대 지방관, ④부속도서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 ⑤5일마다 개시되었던 場市 등이다. 이를 종합한 결과 『금릉읍지』는 강진군 병영면 일대에서 세거해온 밀양박씨문중에 전해오는 사찬읍지이고, 이 읍지의 편찬자는 당대 가장 현달한 인물로 평가되는 剛齋 朴冀鉉(1864~1913)에 의해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밀양박씨 木川縣監公派 가계와 활약상

        김호길(Kim, Ho-Kil),(토)박흥식 백산학회 2008 白山學報 Vol.- No.80

        The Mok-chon county leader’s genealogies had many distinguished persons in Lee-dynasty. This party’s founder was Park-You, He was a county captain in this town in the rign of Se-Jo. This article analyzed Park Kwon’s careers and activities. His great grand-father was Hyo-Nan, minister of Home affairs in the reign of Seo-Jo of Lee-dynasty. His father named Shi-Kyong was the governor of Wonju in the rign of Hyo-Jong. Park-Gwon had much wisdom invarious fields.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t the age of 26, and was appointed diplomatic agent to China in 1712. He held plural high officers including Seoul Mayor and four ministers. He dispached the representation to solve the border line with Ching’s delegation. He did net climb up Baek-du, his intention was the To-Mun was the Song-Wha not the Doo-Man.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the Gando is our territory.

      • KCI등재

        조선후기 동래부 이족 밀양 박씨 집안과 그 고문서

        김동철 ( Kim Dong Cheol ) 한국고문서학회 2003 古文書硏究 Vol.22 No.-

        This study is an essay to restore the Parks` family of Milyang by digging out archives which it has possessed. This family was one of the most typical families that served as local functionaries at Dongnae-bu(東萊府) in the 18th-19th century. Its ancestors moved from Chilgok at Gyeongsangbukdo(慶尙北道) to Dongnae in the 1720s and 1730s. It was Park, Taesung(朴泰星) who was the first to settle in Dongnae. He was one of the dimtors who took charge of the reconstruction of Dongnae-eup fortsess in 1731. Among the Parks` family, even the writings of the father and his son has been remained. This case is rare in Busan region. Thus, this family is worthy of note for the history of Busan region. Until now, however, the study on this family has been hardly carried out. Because the documents remained were not enough to restore this family. This time, the ancient documents of 20 pieces has been discovered. They are the records of the number of houses and families. And they also are limited to a particular lineage among the Parks` family. These archives play a decisive role in restoring this family, though they are not abundant. Among the Parks` family there were many local functionaries who attained the local high-ranking officials. Also there were many soldiers who carried out the military and police services. In this family, their own tradition and heredity were kept up severely. Its members were married with other families which had the similar status and positions. In Busan region, new archives of certain families were discovered recently, but they are not so plentiful. However, I expect that the newly-digged archives would be helpful to illuminate the existence of human groups. In my view, it takes constant efforts to dig out new documents.

      • KCI등재

        『한금신보』 (1724) 편찬자의 음악적 배경

        최선아 ( Sun A Choi ) 한국음악사학회 2013 한국음악사학보 Vol.51 No.-

        『한금신보』는 1724년 응천(凝川) 후인(後人)에 의해서 한립(韓笠 또는 韓立)의 악보를 토대로 편찬된 거문고보이다. 이 악보는 『금보신증가령』(1680)과 18세기 후반 『유예지』 사이의 거문고 음악의 변천을 밝혀주는 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는 거문고보로 주목되었다. 그러나 『한금신보』를 편찬한 응천 후인이 어떤 집안 출신이며, 어떤 역사적·사회적·음악적 배경을 가진 인물인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응천 후인에 대한 몇 가지 정보를 바탕으로 그의 집안을 찾고, 다음으로 그를 둘러싼 음악적 배경이 『한금신보』 편찬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응천 후인이 어렸을 때 거주한 수명정은 소북에 속한 박이서가 1616년 마포 강가에 창건한 정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박이서의 본관이 밀양 즉 응천이므로 응천 후인은 박이서의 후손 중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명정은 밀양 박씨 집안의 수신과 풍류의 공간이었는데, 응천 후인이 거문고 음악에 처음 뜻을 둔 장소이기도 하다. 그리고 수명정이 위치한 한강의 삼포는 17세기 후반에 거문고 연주가인 한립과 김성기의 음악활동의 장소이기도 하다. 응천 후인 집안은 당시의 정계에서 소외받던 소북임에도 불구하고 장악원 및 성균관의 음악을 관장한 관리를 계속해서 배출하였다. 이것은 악(樂)을 애호하는 집안의 분위기와 더불어 악(樂)의 중요성을 알고 항상 가까이 하며 직접 익히고자 노력한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응천 후인이 『한금신보』를 편찬하면서 『악학궤범』을 상당량 인용할 수 있었던 점도 장악원 관리를 배출한 집안의 후손이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 생각된다. 응천 후인의 선조인 박노는 당시 청나라 통으로 수년간 청나라를 다녀왔고, 청에서 들여온 서적을 집안에 소장하였다. 그래서 응천 후인은 『형천패편』과 『만보전서』의 음악 관련 기록을 『한금신보』에 직접 인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금신보』에는 이전의 악서와 거문고보에 수록된 금론 외에 다양한 중국의 악론과 금론까지 수용될 수 있었다. 한편 응천 후인은 『한금신보』를 편찬하면서 『양금신보』의 금론을 다수 인용하였다. 이것은 『양금신보』의 간행을 담당한 김두남과 박노의 음악적 교유가 있었고, 후대에 집안 간의 혼인으로 이어진 인맥을 통해서 응천 후인이 『양금신보』를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었고 인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까지 응천 후인으로 추정되는 인물의 친필 자료가 공개되지 않았지만 현재 밀양 박씨 충헌공파 집안의 문헌자료가 활발하게 정리·공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추세라면 『한금신보』는 응천 후인이 직접 작성한 친필본이기 때문에 친필 비교를 통해서 머지않아 응천 후인이 누구인지 분명하게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