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레니얼세대의 코스튬 주얼리 디자인속성 및 소비자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형규,장현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1

        오늘날 전 세계는 역사상 규모가 크고 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밀레니얼 소비 세대에게 주목하고 있다. 현재 소비시장은 소비의 주체였던 베이비부머(Babyboomer)세대를 지나 밀레니얼세대(Millennial Generation)를 주목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은 밀레니얼세대를 겨냥하여 주얼리 제품을 제작하고, 마케팅을 하고 있다. 특히, 패션으로 개성을 강조하여 자기표현을 보여주고 싶어 하는 20~30대인 밀레니얼세대는 값싼 모조석이나 준보석인 다양하고 트렌디한 코스튬 주얼리에 대한 소비 관심을 집중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밀레니얼세대를 이해하고 공략하는 것이관련 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중요한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레니얼세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밀레니얼세대가 지니고 있는코스튬 주얼리(Costum Jewelry) 디자인 속성과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분석하여 디자인개발과 업계의 마케팅 전략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두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밀레니얼세대와 코스튬 주얼리의 개념과 특성 및 디자인 속성을 학위논문과 인터넷기사, 전문 도서 등을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둘째, 소비자 구매 행동을 기초 통계적 분석을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여러 선행 연구 자료들을 통해 2018년도 기준으로 밀레니얼세대를 1984년~ 2000년 사이에 출생한 만 18세~만34세로 정의하고, 이에 해당되는 남녀 18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범위는 현재 침체 되어 있는주얼리 시장의 대안이자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디자인으로 만족감을 느낄 수 있으며, 급격하게 발전하고있는 코스튬 주얼리와 이미 최대 고객층으로 등장해모든 산업과 기업의 마케팅과 제품생산 등을 변화시키고 있는 소비가 강한 세대인 밀레니얼세대로 국내지역의 거주자로 한정하였다. 밀레니얼세대의 코스튬주얼리 디자인 속성 및 소비자 구매행동에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인구 통계학적 특성의 빈도 분석은 코스튬 주얼리 구매 경험이 있는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남성에 비하여 여성의 코스튬 주얼리 구매율이 훨씬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코스튬 주얼리 디자인 속성 중 밀레니얼세대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심미적 속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는 그중 형태에 가장 많은 관심을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재보다는 형태와 색상의디자인적 요소에 중요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기능적 속성 중 착용감이 가장 중요하며, 상징적 속성에서는 소유로 인한 이미지 상승의 중요성이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처럼 기업이 밀레니얼세대를 타깃으로 마케팅 전략과 디자인을 구성할때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코스튬 주얼리가 밀레니얼세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고가의 브랜드 선호보다는 착용감과 자신을 중심으로 한 중저가 가격대를 선호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밀레니얼세대가 코스튬 주얼리를 착용하는목적으로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구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타인의 의견보다는 자신의 만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장기에 디지털과함께 자라난 밀레니얼세대는 정보 탐색시 온라인에서정보 탐색을 하고 오프라인 로드숍 매장에서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다양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코스튬 주얼리산업은 주 소비층인 ... Today, the whol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 the millennial generation that has a large and strong influence in history. The current consumer market is looking at the millennial generation through the consumer baby boomers, and many companies are making and marketing jewelry products aimed at the millennial generation. In particular, the millennial generation,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who want to express their identity by emphasizing individuality as a fashion, focuses attention on the consumption of diverse and trendy costume jewelry, which is cheap modest stone and semi-precious stones. Understanding and pursuing the millennial generation is therefore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related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to help the design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y of the jewelry industry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attributes of the costume jewelry design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its effect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s research methods, firstly,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design attribute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costume jewelry were studied through theses, internet articles, and professional books. Secondly, onlin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proceed basic statistical analysis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In the study, respondents of the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ere 184 men and women who were born between 1984 and 2000 at the age of 18 to 34 years as of 2018. The research range was first, costume jewelry which i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ly stagnant jewelry market, and gives satisfion to customers with its low price and various designs. Second is millenial generation of domestic market that rapidly developing and has already become the largest customer base, changing marketing and production of all industries and compani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costume jewelry design attributes an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First,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women’s costume jewelry purchasing rate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men. Second, the influence of the costume jewelry design attributes on purchase behavior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was the highest in aesthetic attribute. Respondents showed the most interest in of costume jewelry, and design and color was important than material. The most important functional attribute is comfort, and image enhancement due to the jewelry ownership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among symbolic attributes. In this way, it is considered that companies will consider these factors when designing marketing strategy and design targeting the millennial generation. Third, at the effect of costume jewelry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e mid and low-priced brands centered on themselves were more preferred than high-priced brands. For the purpose of wearing costume jewelry, the millennial generation showed the highest purchase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howed importance of their own satisfaction rather than the opinions of others. Lastly, the millennial generation, which grew up with digital in their growth phase, were once searching for information, searching for information online, and purchasing costume jewelry at an offline road shop.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various and rapidly changing costume jewelry industry will help the jewelry industry to grow in the future if it develops jewelry design centering on the study on the aesthetic properties and consumption propensity of the main consumer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 KCI등재

        유교적 관점에서 본 밀레니얼 세대의 직업윤리와 직업의식

        강보승 ( Kang¸ Bose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7

        밀레니얼 세대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직업 구조는 소득의 공정한 분배와 거리가 멀다. 세계 경제가 장기 불황에 빠져 있고 밀레니얼 세대는 부모 세대에 비해 직업의 질과 소득 수준이 확연히 나빠졌기 때문에 경쟁이 과거에 비하여 더욱 치열하다. 그러므로 밀레니얼 세대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는 ‘공정성’이고 밀레니얼 세대는 이 ‘공정성’이라는 창으로 사회와 직업을 바라본다. 그 창으로 바라보았을 때 우리 사회는 소득 분배, 곧 ‘일에대한 대가’를 잘못 책정하고 있고 ‘대가에 대한 책무’도 잘못 지우고 있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의 대부분은 우리 사회에서 연고주의가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다. 여기서도 밀레니얼 세대가 직업획득에 있어서 ‘공정성’에 민감하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직업선호에 대한 전통적 관점과 밀레니얼 세대의 관점을 비교하면, 유교 전통에서는 ‘사농공상’으로 직업의 위계나 직업의 종류를 구분하였는데, 밀레니얼 세대도 압도적으로 ‘사’(화이트컬러, 전문직)를 선호하였다. 그런데 전통적 관점과는 다르게 ‘상’이 그 다음으로 선호되었고, 육체노동을 하는 ‘농·공’은 밀레니얼 세대에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밀레니얼 세대에게 직업은 우선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다. 그렇지만 높은 비율로 자아실현을 위해 직업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자아실현을 위해 이전 세대에 비해 좀 더 많은 여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기존의 유교 사상은 밀레니얼 세대의 사고를 이해하기에는 아직 연구와 준비가 부족하고, 그들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는 현실적 방법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가 고민하는 ‘공정성’의 문제 해결에 유교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직장에서의 도덕적 딜레마를 극복하는 데에도 유교가 더 적극적으로 지혜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선비’에게 요구되던 직업과 직분에 관한 여러 가지 윤리 덕목을 연구하고 현대화하여 다양한 직업에 맞게 적용하려는 노력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From the perspective of millennials, the job structure in Korea is far from fair distribution of income. Competition is more fierce than in the past because the global economy is in a long-term recession, and millennials have worse job quality and income than their parents. Therefore, ‘fairness’ is the most important value for millennials, and millennials look at society and jobs from the perspective of ‘fairness’. When viewed as ‘fairness’, our society incorrectly prescribes the distribution of income, that is, ‘the price for work’, and incorrectly presents the ‘responsibility for the consideration’. Also, most of the millennials think that ties to success in our society. Again, it can be seen that the millennials attach importance to ‘fairness’ in getting a job. Comparing the traditional view of job preference with that of the millennials, as in the Confucian tradition, the millennials overwhelmingly preferred white color or professional jobs. However, contrary to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commerce was the next preferred, and agriculture and industry, which involves manual labor, were not preferred by the millennials. For millennials, jobs are first and foremost a means of making money. However, at a high rate, they felt that they needed a job for self-realization, and thought that more leisure was needed for self-realiz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generation. The existing Confucian thoughts are not yet ready to understand the thinking of the millennials. They haven't been able to present a realistic way to alleviate their pain. Confucianism should be more active in solving the problem of ‘fairness’ that millennials are concerned about. Confucianism must be more active in overcoming the moral dilemma in the workplace. In particular, it seems urgently necessary to research and modernize the ethical virtues of vocations required of seonbi(officials) and apply them to various occupations.

      • KCI등재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특징 분석

        조윤설,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1

        지금의 소비 트렌드를 변화시키고 있는 소비자들은밀레니얼 세대라고 한다. 밀레니얼 세대들은 문화적인혜택을 많이 받은 만큼 미적 감각 및 감수성 또한 이전 세대와 비교 할 수 없을 정도로 높으며, 이러한 특징들이 지금의 핫 플레이스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연구와이들이 이용하는 공간 소비와 경험 소비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집되어진 자료들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밀레니얼 세대들의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경험적 소비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 소비층으로 부상하고있는 밀레니얼 세대들의 공간 소비 특징들을 제시하여 앞으로 만들어질 소비 공간 디자인에 적용 할 수있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선정을 위해 텍스톰이라는빅데이터 사이트와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상권-추정유동인구)를 이용하였다. 실시한 결과 연남동, 을지로, 익선동으로 나타났으며, 선정된 지역에서 네이버 블로그 리뷰와 인스타그램에태그되는 건을 합한 결과 상위 3개의 카페를 선정하고,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호명을 텍스트 마이닝하여 소비자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밀레니얼 세대들의 찾아가는 장소와 공간들을 살펴보면 밀레니얼 세대들의 경험적 소비 공간에서 분석된 결과 먼저, 심리적 요소에서는 밀레니얼 세대 특징으로 검색, 행동, 인증, 공유 순에서 검색과 행동에 대한 인식들이 분석 되었으며, 경험적 요소에서는 나만의 공간 욕구와 취향 및 가치에 대한 결과물로 새로움을 추구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들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소적 인식에 대해서는 인증, 공유에 포함되는 요소로 공간에 분위기를 신경 쓰며, 디저트의비주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외적 만족감을 충족시키는 소비는 아끼지 않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 3가지의 경험적 공간 소비들의 공통점들은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디지털 매체를 적극 활용한 결과라볼 수 있으며,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는 다양한관계 형성의 수단과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즉,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에 관한 연구시 보다 다양한지역, 다양한 공간 종류, 인종 등을 고려하여 다각화로 분석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밀레니얼 세대(Generation)뿐만 아니라 각 세대(Generation)에 관련한 공간 소비 특징 분석에 대한지속적인 연구를 제시할 계획이다. Consumers who are changing the current consumption trend are called millennial generation. Millennial generations have been culturally benefited, so their aesthetic sensibility and sensibility are also incomparably higher than in previous generations, and these features are now being seen in the hot pla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udy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e space consumption and the experience consumption that they use, and the data collected by using the Big Data are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imed to present the spati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s, which are emerging as the main consumers, and to serve as a guideline that can be applied to future consumption space design. We used Big Data site called Textom and our village store commercial analysis service (commercial district - estimated floating population) provided by Seoul city for the space selection of Millennium generation. As a result, the top three caf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Naver blog review and tagged in the Instagram.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onsumption, Big Data We used text mining to identify the consumers’ perception. First, the perceptions of search and behavior in the order of search, behavior, authentication, and sharing were analyzed with the Millennial generation characteristics in the psychological factor, and the perceived place and spac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s were analyzed. In the empirical element, the features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that pursue novelness as a result of my own space desires, tastes and values have emerged. Finally, as for the place awareness, the atmosphere of the space was considered as the factor to be included in the certification and sharing, and the visual of the dessert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his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that consume consumption satisfying external gratification have appeared. The commonalities of these three empirical space consumption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active use of digital media as a digital native and the spatial consumption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is a means of expressing various relationships and expressing oneself as a communication tool. In the future research on the spatial consumption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should be diversified considering various regions, various kinds of spaces, and races. Based on this research, we plan to present continuous research on spac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each generation as well as Millennial generation.

      • KCI등재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을 반영한 주얼리 시장 경향 연구 - 해외주얼리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

        김정지 ( Jung Ji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1

        연구배경 디지털 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한 밀레니얼 세대는 기존 세대와는 다른 차원의 행동양식을 가지고 새로운 소비행태로 시장의 구조를 바꾸고 있다. 본 연구는 특정적으로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니즈를 수용하기 위해 변화하고 있는 주얼리 시장의 최근 경향과 디자인 트렌드를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밀레니얼 세대의 구매동기와 소비행태를 결정짓는 요인에 대한 그들만의 문화적인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고찰이 선행되었다. 이러한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이 시장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연구하기 위해서 최근 획기적인 다양한 마케팅으로 성공적인 판매성장을 이룩한 티파니를 비롯한 구체적인 해외 주얼리 브랜드의 예를 들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밀레니얼 세대의 패션이 캐주얼화 되면서 데미 주얼리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다이아몬드 예물에 대한 인식이 급변하고 있어서 합성 다이아몬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는 정체성을 표현하고 싶어 하기에 커스터마이징 제품, 주문 제작 할 수 있는 디테일의 주얼리 등의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셋째, 밀레니얼 세대는 기업의 경영 철학이나 사회적인 환원에 관심이 많기에 원석이나 귀금속의 투명한 출처나 채굴과정, 기업의 윤리에 대한 홍보가 효과적이다. 넷째,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밀레니얼 세대의 즉각적인 정보 공유로 이를 통한 디지털 마케팅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 졌으며 유명 연예인을 기용한 마케팅이 더욱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다섯째, 밀레니얼 세대가 디지털 세대라고는 하나 주얼리 착용의 촉각적인 직접 경험도 중요하다. 온라인 서비스와 더불어 실제 매장에서의 주얼리 쇼핑 경험을 확장시켜 주는 O2O 서비스가 효과적이다. 결론 밀레니얼 세대에 맞는 주얼리 제품을 이해하고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소통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욱더 중요해 보인다. 대기업이나 획일적인 전통에 반(反)하는 성향이 있기에 창의성과 개인적인 서비스로 어필할 수 있는 개인이나 소규모 브랜드에게도 유리한 측면이 있다. Background The millennial generation, which has grown up on the basis of digital culture, is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market with a new mode of behavior and a new consumption pattern. There are many cases of research on these generations both in domestic and abroad, but they are concentrated mainly on cultural phenomena and fashion brands. This study examines recent trends and design trends of jewelery market which is changing to accommodate the new needs of Millennial generation specifically. Methods Research was preceded to understand their cultural background about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motive and consumption behavior. In order to study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illennial generations are reflected in the market, I surveyed examples of specific overseas jewelery brands including Tiffany, which has achieved successful sales growth through various innovative marketing. Result First. as the fashion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becomes casual, the demi jewelery market is growing. The synthetic diamond market is expected to change as the perception of diamond is changing rapidly. Second, Millennium generation wants to express their identity, so products such as customizing jewelery are gaining popularity. Third, millennium generation is interested in business philosophy and social return of the enterprise, so it is effective to promote transparent source of raw or precious metal, mining process, and corporate ethics. Fourth, digital media marketing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due to immediate information sharing by the Millennium generation using social media, and marketing using famous celebrity is showing even greater power. Lastly, in addition to online services, the O2O service, which expands the jewelery shopping experience in real stores, is effective. Conclusion It seem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jewelery products that fit the Millennium generation and to approach them through social media communication. There is a favorable aspect to individuals and small-scale brands that can appeal to creativity and personal service because they tend to be anti-corporate and monolithic.

      • KCI등재

        밀레니얼세대의 직업가치가 첫 직장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 개인-직무적합성과 일자리만족의 연속매개효과 -

        최지현(Choi, Jeehyun),서승호(Seo, Seungho)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4

        본 연구는 밀레니얼세대의 높은 퇴사율과 1년 이내 조직퇴직률의 사회적 문제를 배경으로 밀레니얼세대의 근속기간을 늘리기 위한 방안을 HRD 관점에서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의 가장 최근 자료인 2019년(GOMS 2018) 자료에서 밀레니얼세대(1985년-1995년생)의 정규직 1,977명의 응답값을 활용하여 직업가치(내재적/외재적), 개인-직무적합성, 일자리만족,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만이 일자리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일자리만족의 관계에서만 개인-직무적합성이 매개하였다. 셋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외재적 직업가치는 첫 직장 근속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 및 외재적 직업가치와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은 매개하지 않았다. 다섯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에서만 일자리만족이 매개하였다. 여섯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에서만 개인-직무적합성 및 일자리만족이 연속매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HRD 관점에서 밀레니얼세대 구성원의 근속기간을 늘리기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시사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in order to increase millennials’s tenure from the perspective of HRD with the background that social problems of the high turnover rate of millennials and the organizational retirement rate within one year. We used the secondary data set of 2019 (GOMS 2018), the most recent data of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 used 1,977 responses of full-time millennials (born 1985-1995)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alue (intrinsic/extrinsic), person-job fit, job satisfaction, and the first tenur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the intrinsic work value of millenn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person-job fit mediat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work value and job satisfaction of millennials; thir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of millennial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first tenure; fourth, person-job fit did not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of millennials and their first tenure; fifth, job satisfaction mediat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insic work value of millennials and their first tenure; sixth, personal-job fit and job satisfaction serially mediat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insic work value of millennials and their first tenu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of HRD perspective.

      • KCI등재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선호도 연구 -밀레니얼세대를 중심으로-

        엄경희,엄태경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As a new strategy according to the change in market environment, the understanding and the analysis of cultural trend is the process to discover new opportunity for the enterprise and to create th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can satisfy the consumer based on the overall human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millennials, who occupy 30% of the world consumption and are the center of the global corporate management activity, are skilled with smart devices and can perform multitasking, they acquire the information through sharing and communication of diverse lifestyles and have a freedom of wide range of choice. As the real global generations experienced the growth in a rich environment and having many experience, the millennials having active attitude on the consumption for themselves, are the future generations focused by entire world. For such millennials who are the center of cultural trend, it is deemed to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y by the cultural emotion of millennials. In addition, the research fit to the timestream for the design products matched to the consumer’s needs is deemed to be necessary throug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which is coming around the millennial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of the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design products to be developed in future and the opportunity to create new market by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preference of the design products reflected wit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alysis of the millennials. As the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es,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data search were performed for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 such as definition of cultural trend, millennials and the change of consumption, the case of design product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etc. The results was drawn by conducting online questionnaire survey utiliz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Likert 5-point scale. For the scope of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millennials (19~39 years ol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selecting 4 cultural trends of ‘individualism’,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ustainability’ and ‘automation’, which are launched as design products out of 6 2020-2030 cultural trend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esign product preference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and the elements preferred when purchasing the design produc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trend,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most preferred product reflected wit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with the overall pattern of general, age group,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the residential area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s was the design product reflected with the trend of ‘individualism’ and the design product of ‘sustainability’ also have higher preference followed by ‘automation’ an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order. Second, it was observed that as the preferential element when purchasing the design produ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2020-2030 cultural trend of the millennials, for ‘individualism’, my own personality can be expressed and the exceptionalness felt by using and purchasing the product is considered important, for ‘virtuality and augmented reality’ the pleasure and happiness through experience were considered important. It was investigated that for ‘sustainability’, the environmentally positive impact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positive impact was investigated as the important element and for ‘automation’, the guarantee the safety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e design products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for the millennials are de...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새로운 전략으로 문화트렌드의 이해와 분석은 인간의 총체적 지식정보를바탕으로 기업의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소비자에게만족을 줄 수 있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다. 또한, 세계 소비 30%를차지하며 세계적 기업 경영활동의 중심이 되는 밀레니얼 세대는 스마트기기에 능숙하여 멀티테스킹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삶을 빠르고 쉽게 공유하고 소통을 통한 정보 습득과 폭넓은 선택의 자유를 가진다. 자기자신을 위한 소비에 적극적인 태도의 밀레니얼세대는 풍요로운 성장과 많은 경험을 겪은 진정한 글로벌 세대로 전세계에서 주목하는 미래 세대이다. 이러한 문화트렌드가 중심이 되는 밀레니얼 세대의 문화적 감성에 의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고사료된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다가오는2020-2030 문화트렌드 분석을 통해 소비자 니즈에 맞는 디자인제품을 위한 시대 흐름에 적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인구통계학적 분석에 따른 2020-2030 문화트렌드를반영한 디자인 제품의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여 앞으로 개발될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디자인제품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와 새로운 시장 창출 기회의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화트렌드에 대한 정의, 밀레니얼 세대와 소비 변화,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사례 등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과 문헌 조사, 인터넷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초통계분석과 리커트(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범위로는 2020-2030 문화트렌드 6개 중 디자인 제품으로 출시 된 문화트렌드 4가지 ‘개인주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지속가능성’, ‘자동화’를 선정하여 밀레니얼 세대(19~39세)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의한조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선호도와 문화트렌드 특성에 의한 디자인제품 구매시 선호하는 요소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도출시켰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직업, 학력, 거주지역의 전반적인 양상으로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중 가장 선호하는 제품은 ‘개인주의’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이며, 지속가능성’ 디자인제품 또한 높은 선호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자동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순으로 높은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의 2020-2030 문화트렌드 특성에 의한 디자인제품 구매 시 선호 요소로 ‘개인주의’는 나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어야하고, 제품을 사용하고 구매함으로써 느껴지는 특별함을 중요하게 여기며,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은 체험을통한 즐거움과 행복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알 수있었다. ‘지속가능성’은 환경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가장 중요 요소이며 사회적, 경제적인 긍정적인 영향도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로 조사되었으며, ‘자동화’는안전의 보장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한 2020- 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은 ‘개인주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제품, 소비자에게 특별함을 부여하는 디자인으로개발 ...

      • KCI등재

        밀레니얼세대와 X세대, 86세대의 금융상품 보유 행동

        주소현(So-Hyun Joo),유명수(Myung Soo Yoo),고은희(Eun-Hee Koh) 한국FP학회 2020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3 No.2

        세대는 각 세대가 성장하면서 경험한 고유의 특성에 의해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닌다. 세대별 차이를 파악하는 것은 각 세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개인재무설계 의사결정에서 맞춤형 재무설계안의 도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현재 세대가 라이프사이클 상의 다음단계로 진입할 때 이전세대와 어떤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를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밀레니얼세대(1988~1998년생), X세대(1971~1974년생), 86세대(1964~1970년생)의 금융상품 보유행동을 비교하였다. 특히, 금융상품 보유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자기과신, 재무적 자기효능감, 재무위험수용성향을 비교하여 이러한 특성이 세대별 금융상품 보유행동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년 4월 전문 조사업체를 통해 밀레니얼세대 316명, X세대 171명, 86세대 148명을 대상으로 개인의 금융상품 보유행태, 자기과신, 재무적 자기효능감, 재무위험수용성향을 온라인으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각 세대별로 심리적인 특성과 금융상품 보유행동에서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먼저 각 세대는 개인재무와 관련이 있는 심리적인 태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의 경우에는 X세대 및 86세대와는 다른 태도를 보였는데 투자에서의 자기과신 성향이 높고, 재무적 자기효능감을 높게 평가하며, 재무위험수용성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밀레니얼과 X세대, 86세대의 금융상품 보유현황은 세대별로 차이가 있어 대부분 금융상품은 밀레니얼 세대보다 X세대와 86세대에서 보유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밀레니얼 세대는 다른 세대와 비교할 때 암호화폐 보유 비중이 높았다. 다른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밀레니얼 세대는 X세대 및 86세대와 비교할 때 중간 이상 위험을 가진 금융투자상품 보유와 비교하여 위험 수준이 낮은 안정형 상품을 보유할 경향이 높았으며 또한 암호화폐와 같은 위험수준이 매우 높은 상품을 보유할 경향이 높았다. 자기과신, 재무적 자기효능감, 재무위험수용성향이 높을수록 위험 수준이 높은 금융상품을 보유할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금융상품 보유 의사결정에서 세대 차이와 심리적 변수의 영향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Each generation features unique characteristics due to the experiences and exposures to different socio-economic environments in which they grew up. Understanding generational differences are important in financial planning, especially in developing customized financial plans. In addition, identifying the younger generation’s characteristics can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financial markets and financial consumer decision making.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financial product ownership among Millennials, generation Xers, and the 86 generation in Korea. To explore financial product ownership decisions, three psychological traits of overconfidence,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risk tolerance were examined among the three generations. An online survey involving 316 Millennials, 171 Xers, and 148 members of the 86 generation was conducted in April 2019. Survey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traits and financial product ownership among the three generations. Millennials showed higher levels of overconfidence,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risk tolerance than the other two generations. For most financial products, Millennials’ ownership was lower than Xers and 86 generations. However, crypto-currency ownership was higher. When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Millennials tend to own less risky financial products as well as very risky financial products compared to above risk level financial products,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When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overconfidence,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risk tolerance were more likely to own riskier financial products.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influence of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psychological traits in financial decision making.

      • Millennial Generation’ Political Perception and Evaluation on Japan

        전종우 ( Jong Woo Jun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2 문화와 세계 Vol.3 No.1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들이 기성세대들과 국가 정체성과 정치, 외교적인 인식에서 어떻게 다른지 알아본 것이다.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 세대로 나누어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밀레니얼 세대들은 한국인 정체성에 있어서는 기성세대보다 낮게 나타나 한국인으로서의 사회 정체성이 기성세대와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밀레니얼세대는 정치성향이 진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 관여도의 경우 기성세대들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본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기성세대보다 일본에 대해 친숙하였다. 또한 남성이 더 일본에 친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에 대한 태도는 밀레니얼 세대와 남성이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세대와 성별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밀레니얼 세대들이 소비자로서의 차이는 물론 정치적으로도 기성세대와는 차이가 있다는 의미로 유권자로서의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Nowadays, Academicians started to be interes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 generation. This study tried to explore differences of perception on ethnic identity, political orientation and involvement, and diplomatic issues. We divided people into millennial and older generation, and collected survey data.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millennials showed more progressive political orientation. Political involvement was not different. For ethnic identity, millennials were less degree of ethnic identity than older generation. Perception on Japan was also different. Millennials were more familiar with Japan, and they hol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Japan. In addition, male is more familiar with Japan, and hol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Japan. We also fou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eneration and gender at Japan attitudes. These results means that millennials were different from older generation as consumers, and they have different preference as voters. It could provide understandings of millennial generation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 KCI등재

        밀레니얼세대가 방송콘텐츠제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문가인터뷰를 중심으로 -

        정은이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4

        본 연구는 흔히 요즘 세대로 일컬어지는 밀레니얼세대(Y세대)의 성향이 방송콘텐츠 제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베이비붐세대, X세대, Y(밀레니얼)세대, Z세대로 이어지는 세대 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이전의 기성세대와 다르게 밀레니얼세대는 자기의사표현이 적극적이고 정확하며, 세대의 개성 역시 뚜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인간의 삶과 밀접한 방송에서의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는 이러한 새로운 세대의 의식이 어떠한 변화를 생성할지 의문이 생긴다. 이에 본 연구는 방송제작경력 15년 이상의 방송콘텐츠 전문가집단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로 밀레니얼세대가 연구를 진행하였고, 16명의 전문가들은 밀레니얼세대가 방송콘텐츠제작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변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밀레니얼세대는 적극적으로 방송에 참여하는 영상세대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의 영향을 받는 콘텐츠의 성격에는 콘텐츠의 세대화가 일어나고 콘텐츠소비에 있어서 개인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장르의 융합과 함께 삶의 질을 중시하는 프로그램이 제작되고 있다. 셋째, 영상의 시각적 요소 상승하고 있고, 넷째, 방송의 패턴화 등이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의 대답을 통해 밀레니얼세대는 방송콘텐츠제작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기성세대와는 다른 양상의 방송콘텐츠제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새로운 세대의 매체별 광고 영향력 및 광고 태도 :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를 중심으로

        신소영,김희정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4 마케팅논집 Vol.32 No.1

        본 연구는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주목되고 있는 새로운 세대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파악하였다. ‘MZ세대’ 즉,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의 특징과 유형에 대해 구분하고, 미디어 이용과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과 미디어 이용을 알아보는 측정척도를 사용하여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측정했다. 그 뒤 유형별 미디어의 영향과 광고 태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세대별로 3가지 유형의 라이프스타일로 총 6개의 군집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밀레니얼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뉴미디어콘텐츠신뢰형’, ‘자기트렌드지향형’, ‘보수적현상유지형’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며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나홀로콘텐츠소비형’, ‘보수적낙천주의형’, ‘초연결트렌드지향형’으로 구분되었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의 공통적인 특징은 모바일 시청 소비를 선호하는 집단과 트렌드에 민감한 집단, 보수적 가치를 지향하는 집단으로 나뉜다는 것이다. 하지만 밀레니얼세대보다 Z세대가 5G같은 디지털 신기술을 보다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점과 자신만의 타임테이블 안에서 콘텐츠를 소비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유형화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매체별 광고 영향력을 비교해보았을 때, 세대별/매체별 광고 영향력에서 전반적으로 밀레니얼세대의 광고 영향력이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매체별 광고 영향력은 두 세대 공통적으로 온라인 광고의 영향력이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었으며,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광고 태도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유형화를 통해 ‘MZ세대’의 특징을 분석하고 매체별 광고 영향력과 광고 태도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classified the lifestyle of the 'MZ generation' and explored the Effects on Commercial Power of each medium and Viewers’ attitudes of advertising.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lifestyle type and empirically studied the influence of differentiated media and advertising attitudes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As a result of a survey of 'MZ generation', a total of 6 clusters were identified with 3 types of lifestyles for each generation. When comparing the Commercial Power of each medium according to the analyzed lifestyle type,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advertising influence of millennials was high in terms of advertising influence by generation/media. Viewers’ attitudes of advertising, online advertising had a high influence average in common with the two generations, and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vertising attitudes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In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through the categorization of a new generation's lifestyle and verifies the advertising influence and advertising attitude of each med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