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의준(Jeong, Steve),유승호(Ryu, Seungh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3

        행복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물질주의적 가치관도 결정요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사회에 만연한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한국인의 행복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 의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어 왔다. 그러나 최근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대항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효리네 민박’, ‘숲속의 작은 집’ 등 현실세계의 물질 추구적 삶과 대비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동조하는 콘텐츠의 인기에서도 확인된다. 이렇듯 (탈)물질주의 가치관이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나 아직까지 물질주의 가치관과 소득, 그리고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논문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객관적 소득과 주관적 계층감과 함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복과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관련된 심리적, 관계적 요인들을 통제하고,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여, 총 1,405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주관적 계층감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관적 계층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낮은 그룹은 높은 쪽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행복도를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저소득층과 낮은 연령층, 그리고 여성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물질주의 가치관과 관련하여 문화콘텐츠의 정책적 활용과 사행성 콘텐츠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Materialism is related to individual"s income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Individual"s income influences one"s class conscious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ularly, Korean TV drama has been regarded as accelerator of materialistic value by rags-to-riches story and luxurious scenes.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ed number of reseach existing about how people"s materialism,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one"s materialism,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nd also examine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e"s subjective well-being. Total of 1,405 subjec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Controlling for subjectives well-bing, materialism and other psychological factors, we analyzed how these factors affect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showed that materialism was strongly related to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The interaction among thos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In particular, in the low income group with low level of materialis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scores. This tendency was revealed in relatively young group and female group. 행복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물질주의적 가치관도 결정요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사회에 만연한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한국인의 행복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 의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어 왔다. 그러나 최근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대항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효리네 민박’, ‘숲속의 작은 집’ 등 현실세계의 물질 추구적 삶과 대비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동조하는 콘텐츠의 인기에서도 확인된다. 이렇듯 (탈)물질주의 가치관이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나 아직까지 물질주의 가치관과 소득, 그리고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논문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객관적 소득과 주관적 계층감과 함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복과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관련된 심리적, 관계적 요인들을 통제하고,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여, 총 1,405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주관적 계층감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관적 계층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낮은 그룹은 높은 쪽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행복도를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저소득층과 낮은 연령층, 그리고 여성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물질주의 가치관과 관련하여 문화콘텐츠의 정책적 활용과 사행성 콘텐츠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Materialism is related to individual"s income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Individual"s income influences one"s class conscious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ularly, Korean TV drama has been regarded as accelerator of materialistic value by rags-to-riches story and luxurious scenes.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ed number of reseach existing about how people"s materialism,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one"s materialism,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nd also examine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e"s subjective well-being. Total of 1,405 subjec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Controlling for subjectives well-bing, materialism and other psychological factors, we analyzed how these factors affect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showed that materialism was strongly related to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The interaction among thos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In particular, in the low income group with low level of materialis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scores. This tendency was revealed in relatively young group and female group.

      • KCI등재

        왜 물질주의가 소비자의 충동구매를 높이는가? : 소비자 가치의 매개효과

        이진석(Lee, Jin Suk),황천덕(Hwang, Chunduk),조현영(Cho, Hyun Young),박준우(Park, Joon Woo),전승우(Chun, Seungwoo) 한국소비문화학회 2018 소비문화연구 Vol.2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materialism, consumer value, and impulsive buying. We examined how materialism is related to consumer value, and subsequently, how this value is associated to impulsive buying. Additionally,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each subcategory of consumer value (i.e., quality value, social value, ethical value, and economical value) as well as consumer value as a wh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impulsive buying. We thus pro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is materialism related to impulsive buying? 2. How is materialism related to each subcategory of consumer value? 3. How is each subcategory of consumer value related to impulsive buying? 4. To what extent does each subcategory of consumer valu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impulsive buying? To answer those research questions, we distributed the survey to 374 participants aged between 20 and 69. Our data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ialism and impulsive buying. Materialis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ll subcategories of consumer value except for ethical value. Also, among subcategories of consumer value, quality value, social value, and economical value were shown to be associated with impulsive buying. Specifically, social value was positively, and quality value and economical valu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impulsive buying behavior, respectively. Lastly, the analysis also revealed significant mediating roles of social value, quality value, and economical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impulsive buying. However, social value played a dominant role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impulsive buying. 본 논문은 물질주의와 충동구매 성향 사이의 관계를 소비자 가치가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밝힌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물질주의는 충동구매 성향과 어떻게 연관되는가? 2. 물질주의는 각각의 소비자 가치와 어떻게 연관되는가? 3. 각각의 소비자 가치는 충동구매 성향과 어떻게 연관되는가? 4. 각각의 소비자 가치는 물질주의와 충동구매 성향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매개하는가? 5. 물질주의와 충동구매 성향 사이의 관계에서 어떤 소비자 가치가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인가? 본 연구는 20세부터 69세 사이의 일반인 3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물질주의는 충동구매 성향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둘째, 소비자 가치는 품질 가치, 사회적 가치, 가성비적 가치, 윤리적 가치로 구분되었는데, 이 가운데 윤리적 가치를 제외한 나머지 가치들은 물질주의와 정(+)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충동구매 성향은 사회적 가치와는 정(+)의 관계를, 품질 가치 및 가성비적 가치와는 부(-)의 관계를 보인 반면, 윤리적 가치와의 연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사회적 가치는 물질주의와 충동구매 사이의 정(+)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반면에 품질 가치와 가성비적 가치는 물질주의와 충동구매 사이의 정(+)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가치 가운데 사회적 가치가 물질주의와 충동구매 사이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매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Study on the Effect of A Teenager`s Materialistic Sense of Value on Their Clothing Behavior

        Lim, Sook-Ja,Lee, Mihyun 한국의류학회 2001 한국의류학회지 Vol.25 No.10

        본 연구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하여 준거집단이나 사회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으며, 의복과 외모에 관심이 높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전통적 가치관이 무너지고 소비 지향적인 물질주의 가치관이 팽배한 사회 분위기 속에 이들의 심리적 변수인 가치관이 의복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의 강남과 강북에 위치한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사용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M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물질주의 가치관은 청소년의 의복착용행동에 영향을 미쳐,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은 청소년은 물질주의 가치관이 낮은 청소년에 비해 의복 착용시 심미성을 더 중시하고 의복에 대한 관심과 의존도가 높으며, 의복을 또래집단과 비슷하게 입으려는 동조성도 더 높았으며 의복을 통해 과시하려는 경향도 높았다. 그러나 의복착용시 정숙성은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물질주의 가치관은 청소년이 의복을 구매할 때도 영향을 미쳐,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은 청소년의 의복 구매동기는 물질주의 가치관이 낮은 청소년에 비해 더 충동적이고 과시적이며, 유행과 개성 지향적인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실질적이거나 실용적인 구매동기는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주의 가치관에 따라 청소년의 의복 구매시 사용하는 정보원천과 즐겨 구매하는 장소도 차이가 나타나,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은 청소년이 물질주의 가치관이 낮은 청소년보다 의복 구매시 정보를 얻기 위해 더 많은 정보원천을 사용하며, 다양한 구매장소를 활용하며, 더 비싼 의류제품을, 더 자주 구매하며, 쇼핑을 위해서도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은 이들의 의복관심과 의복착용 그리고 구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친환경 소비에 물질주의와 친환경 가치 인식이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 효과

        이희정 ( Lee Heejung ),김나민 ( Kim Namin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2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관련 경제규모가 증가하고 기업이 다양한 친환경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접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제품의 소비가 그 관심의 정도에 비해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위해 친환경 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던 물질주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물질주의와 친환경 소비가 상호 연관이 낮을 것이라는 기존 연구의 관점에서 물질주의를 두 가지의 구체적 개념으로 세분화하여 친환경 가치와의 연관성 및 친환경 소비에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물질주의를 축적형 물질주의와 존중형 물질주의로 구분하여 개념화하고 네 가지 유형의 친환경 가치에 각기 다른 영향을 주는지 실증하였다. 또한 두 가지 유형의 물질주의가 친환경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친환경 가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혁신성이 물질주의와 연관성이 높다고 여기고 물질주의가 친환경 가치 인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소비자 혁신성이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축적형 물질주의는 사회적,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존중형 물질주의는 조건적,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 물질주의가 친환경 가치인식과 연관이 낮거나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점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단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존중형 물질주의가 친환경 소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조건적, 감정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효과는 존중형 물질주의가 친환경 가치 가운데 조건적(+),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 소비의 촉진을 위해 물질주의적 관점에서 소비자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도출하는 등 향후 친환경 제품에 대한 마케팅 전략에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As interest in eco-friendliness increases, the size of the related economy is expanded and companies provide a variety of eco-friendly products. Although the number of green products available to consumers has grown, the consumption of green products is not active compared to the level of interest. To provide an appropriate explanation, this study seek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green consum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m, which has not been covered in existing research.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of existing research that materialism and green consumption have a low correlation, we attempted to subdivide materialism into two specific concepts to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perceived green values and its influence on green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materialism was divided into accumulative materialism and appreciative materialism,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to examine whether the four types of green values have different effects. In addition, we sought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green values in the process in which two types of materialism affect green consump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materialism and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consumer innovativeness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process of materialism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green values. Online survey was executed to test the hypotheses. Total 200 responses were gathered and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at accumulative materialism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functional values, and appreciative materialism has a positive effect on conditional and emotional values. This could serve as a clue to change the perspective that existing materialism has little correlation with or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green value awareness.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ditional and emotional values were confirmed in the process of appreciative materialism influencing green consump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was found to moderate the impact of appreciative materialism on conditional (+) and social (-) values among the perceived green valu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significance in future marketing strategies for green products, including the need for a strategy to stimulate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green products from a materialistic perspective in order to promote green consumption.

      • KCI등재

        한국의 세대 변화와 탈물질주의

        박재흥(Jae-Heung Park),강수택(Soo-Taek Kang)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탈물질주의 가치의 변화 추이를 출생 코호트별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그 가치가 어느 정도 공유되고 있으며 각 코호트가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를 경험적으로 검토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세계가치조사?(WVS) 자료로서 1982-2005년 기간 중 다섯 차례에 걸쳐서 조사된 자료이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구 선진공업국들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의 탈물질주의 가치는 아직 널리 확산되지 않은 상태이다. 1980년대 중·후반 경기 호황과 시민사회 영역 확대의 흐름 속에서 탈물질주의 가치가 빠르게 확산되었으나, 90년대 중반 이래 신자유주의 경쟁체제가 강화되고 안보 불안감이 심화되면서 탈물질주의 가치가 위축되기 시작했다. 둘째, 1955년 이후 출생한 코호트는 1990년 조사에서 탈물질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도록 하는 데 기여했으나 동시에 그 이후 조사에서 비율의 급격한 감소에도 기여했다. 셋째, 전체적으로 볼 때 1990년 이래 탈물질주의와 물질주의 비율은 모두 감소하고 그 감소분만큼 혼합형이 증가했다. 1955-69년 코호트와 1970-84년 코호트는 탈물질주의 비율 감소에 기여했으며, 1925-39년 코호트와 1940-54년 코호트는 물질주의 비율 감소에 기여했다. 심층적인 코호트 분석을 위해서는 조사 자료가 더욱 축적되어 보다 장기적인 관찰을 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se a shift in materialist/postmaterialist value by birth cohort since 1990, and furthermore to explore the extent empirically to which the value has sprea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hort. Data from the 1st-5th waves of the World Value Surveys(WVS) were utilized which were carried out during 1982-2005.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 of postmaterialist value in Korea is quite low in comparison with that in West European countries. The proportion reached a peak in 1990 data and has declined afterwards. 2) The younger birth cohorts born after 1955 contributed to making the high proportion of postmaterialist value in 1990 data, but also to the rapid decrease in that proportion afterwards. 3) Since 1990, 1955-69 and 1970-84 cohort have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postmaterialist value, and 1925-39 and 1940-54 cohort have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materialist value.

      • KCI등재후보

        쉬운 참여와 어려운 참여 : 대전과 목포지역 젊은이의 가치정향과 정치참여

        김욱(Kim Wook),김영태(Kim Young-tae) 한국정치정보학회 2006 정치정보연구 Vol.9 No.1

        최근 한국의 선거 및 정치 과정에서 젊은 유권자의 중요성이 급증하고 있으나, 젊은 유권자의 투표참여율은 기성세대에 비해 현저히 낮은 상태이다. 이러한 부조화를 설명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일단 투표참여와 같은 쉬운 참여와 선거운동, 시위 등과 같은 보다 어려운 참여를 개념적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이 두 가지 형태의 참여를 유발하는 요인과 과정이 서로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연구에서 특히 주목하고 있는 요인은 정치문화의 변동을 통한 탈물질주의적 가치의 대두와 성장이다. 기성세대와는 달리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으로 무장된 젊은 유권자의 경우 투표참여와 같은 단순하고 쉬운 참여보다는 보다 많은 자발적 의지가 필요한 어려운 형태의 참여에 보다 이끌리는 경향이 있다. 즉 탈물질주의적 가치가 쉬운 참여와 어려운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 수준에서 볼 때, 탈물질주의적 가치를 가진 유권자와 물질주의적 가치를 가진 유권자는 쉬운 참여의 가담 율에 있어서는 별 차이가 없겠지만, 어려운 참여에 있어서는 전자가 후자보다 가담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과 목포 지역 젊은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러한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해 본다. 먼저 젊은이들은 탈물질주의적 가치의 분포라는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전 지역 젊은이들에 비해 목포 지역 젊은이들 사이에서 탈물질주의적 가치가 더 많이 확산되어 있다. 그러나 탈물질주의적 가치가 쉬운 참여와 어려운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두 지역간 차이가 없다. 두 지역 모두에서, 이론적 예상대로, 탈물질주의적 가치는 투표와 같은 쉬운 참여에는 별 영향력이 없는 반면, 어려운 참여에는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어려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우 직접적으로는 물론 정치이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The importance of young voter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Korean elections. Yet the rate of voting participation for the young still remains much lower than that for the older voters. In order to explain the "seemingly" contradictory phenomena, this study first focuses on the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easy" participation (e.g., voting) and "difficult" participation (e.g., campaigning and demonstration), and then argues that the two forms of participation might be caused by different factors and in different contexts. In particular, this study emphasizes the emergence of post-materialism among the young Korean voters as a key factor affecting easy participation and difficult participation in different ways. At the individual level, one can expect that those with more post-materialistic values are more likely to engage themselves in difficult participation than those with more materialistic values, while the two groups show little difference in terms of easy participation. These hypotheses are empirically tested with survey data on young voters in Daejon and Mokpo regions. Although the young people in Mokpo are more post-materialistic than the young in Daejon, the effects of post-materialism on their particip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are the same across the two regions. In both regions, the factor of post-materialism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voting participation, yet a clearly positive effect on difficult forms of participation.

      • KCI등재

        성인여성소비자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중심성, 물질주의 가치에 따른 소비특성 분석

        홍은실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중심성, 물질주의 가치의 상호관련구조를 살펴 본 후 이들 변인을 특성변인으로 하여 조사대상여성을 유형화하여 그 유형별 소비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2년 2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전국적으로 실시하여 479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 는 SAS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피어슨의 적률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Ward의 계보적 군집분석, 교차분 석, 일원분산분석, 던컨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중심성은 매우 강한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나 물질주의와의 관계에서는 서로 상반된 방향의 관계를 나타내서 자아존중감은 물질주의 가치와 정적인 관련성을, 내적통제중심성은 물질주의 가치와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심리가치변인에 따라 조사대상 성인여성은 네 유형, 즉 ‘소신 있는 비물질적 고자존 집단’, ‘소신 있는 물 질적 고자존 집단’, ‘비소신 비물질적 저자존 집단’, ‘비소신 물질적 저자존 집단’로 분류되었다. 셋째, 심리가치변인에 따라 분류된 성인여성소비자 유형은 쾌락적 가치, 과시․동조가치, 구별가치의 소비가치 와 돈에 대한 태도, 소비행동, 재정스트레스와 만족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신있는 비물질적 고자존 집단’은 소비가치 수준이 매우 낮으며 돈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 모두 낮았다. 고 급품 소비와 과다소비 수준은 낮은 반면 계획소비 수준은 매우 높았으며, 재정적 스트레스가 낮으며 재정만족 도 수준은 높았다. ‘소신있는 물질적 고자존 집단’은 소비가치 수준이 높으며 돈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 며 부정적인 태도 수준은 낮았다. 고급품 소비와 과다소비 수준은 낮은 편이나 계획소비 수준은 높았다. 재정 스트레스가 낮았으나 재정만족도 수준은 매우 높았다. ‘비소신 비물질적 저자존 집단’은 소비가치 수준이 낮 으며 돈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낮고 부정적 태도 수준은 높았다. 고급품 소비와 과다소비 수준이 낮은 편이며 계획소비 역시 낮았다. 재정적 스트레스가 높으며 재정만족도 수준은 낮았다. ‘비소신 물질적 저자존 집단’은 소비가치 수준이 매우 높으며 돈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 모두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다. 고급품 소 비와 과다소비수준은 매우 높은 반면 계획소비 수준은 매우 낮았다. 이들은 재정스트레스가 매우 높으며 재정 만족도 수준은 매우 낮았다.

      • KCI등재

        항공사 프리미엄클래스 승객의 물질주의 가치가 브랜드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문경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프리미엄클래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을 대상으로 승객들의 물질주의 가치,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브랜드태도가 물질주의 가치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국적 항공사가 국내선 노선에서 운영하고 있는 항공사 프리미엄클래스를 이용한 적이 있는 승객들(20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1년 11월 29일부터 12월 19일까지 진행하였다. 총 257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을 통해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항공사 프리미엄클래스 승객의 물질주의 가치는 행복추구적 물질주의, 성공수단적 물질주의, 획득중심적 물질주의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항공사 프리미엄클래스 승객의 물질주의 가치와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물질주의 가치의 하위요소 3가지는 각각 브랜드태도와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태도 또한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공사 프리미엄클래스 승객의 물질주의 가치와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물질주의 가치와 행동의도 사이에서 브랜드태도는 매개효과가 나타나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매개변수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항공사 프리미엄클래스 승객의 물질주의 가치는 VAB모델을 적용할 수 있으며, 고객심리 매커니즘을 바탕으로 재이용, 추천의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함으로써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수집표본의 한계와 설문조사방법의 한계점이 있어 그 한계점을 극복하여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물질주의 가치와 행복 간의 관계에서 생애목표설정의 매개효과

        김연정(Yeon-J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물질주의 가치와 행복 간의 관계에서 생애목표설정(내적목표설정, 외적목표설정)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충청지역에 소재한 3개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3명으로 주요 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2019년 9~12월에 거쳐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2.0 program을 사용하여 주요 연구변인들의 왜도와 첨도를 분석하여 정규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물질주의가치와 행복, 생애목표설정의 수준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으로 분석하였으며, 생애목표설정의 매개효과는 회귀분석을 이용하는 Baron과 Kenny(1986)의 절차를 통해 검정하였고, Sobel 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물질주의 가치는 행복 및 내적목표설정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외적목표설정과는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목표설정은 물질주의 가치와 행복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적목표설정은 물질주의 가치와 행복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만연해 있는 대학생의 물질주의 가치와 행복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내⋅외적목표설정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임에 의의가 있으며, 대학생들이 자신의 신체적 건강을 관리하고 타인과의 친밀감은 형성하거나 이타주의적 행동과 영적 성장을 위한 활동을 계획하는 등의 내적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행복 향상을 위한 주요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물질주의가치 추구가 만연해 있는 한국의 사회적 분위기에서 대학생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내적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goal (intrinsic and extrinsic)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tic value and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203 students at three universities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9,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Results First, materialistic valu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and intrinsic life goal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rinsic life goal. Second, intrinsic life go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between materialistic value and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extrinsic life goal dose not appear. Conclusions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set up intrinsic life goal for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가치변화와 민주주의 공고화

        어수영(Soo Young Auh) 한국정치학회 2004 한국정치학회보 Vol.38 No.1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 정치, 경제적인 변화가 한국인의 가치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후 이 변화가 민주주의 공고화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를 1990, 1996, 2001년에 걸처 실시된 실증조사 자료를 토대로 연구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사회는 물질주의적인 풍요와 전쟁의 위협이 인간의 가치체계의 변화-물질주의와 탈물질주의의 성장과 변화를 연구하는데 최상의 여건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도 탈물질주의자가 성장하고 있으며 20-30대에 많이 분포되고 50-60대가 되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3번의 실증조사 자료는 연령보수화이론(life cycle thesis)과 정치세대이론(political generation thesis)의 두 논쟁에서 정치세대이론을 지지하고 있다. 시민적 관용성(civic tolerance), 정치제도에 대한 신뢰, 사회제도에 대한 신뢰, 항의형 정치참여 등 민주주의 주요한 가치의 변화와 성장에는 가치변화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20-30대, 고등교육을 받은 응답자들이 가장 관용도가 높으며, 정치, 사회제도에 대해 가장 비판적이고 항의 활동에 적극적이였다. 4개의 민주주의 가치에서 세대간에 심한 격차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세대간의 대화가 어려우며, 사회ㆍ정치면에 불안을 야기 시킬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ocio-economic change on Korean citizens’ value system and their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in Korea. Koreans have experienced rapid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e past half century. It is, therefore, one of the best cases to test the theories of value changes, i.e., whether and how its rapid socioeconomic changes have given rise to material/post-material values. The analysis of the three World Value Survey data in 1990, 1996 and 2001 reveals that the Korean data support the political generation thesis rather than the life cycle thesis. It shows that the post-material value holders have been growing among the young and college-educated, while they decrease sharply among the mid and old age groups. The value change has a powerful influence on the civic tolerance, trust in both political and social systems, and protest participation. The post-materialists and the educated young respondents show high civic tolerance, while they show very high distrust attitude toward political and social systems. They are also very active in protest participation. There is a wide gap between materialists and post-materialists in the democratic values such as civic tolerance, trust, and particip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young generation differs sharply from the old generation in the democratic value orientation. The former maintains high civic tolerance, distrust in political and social systems, and high protest participation, whereas the latter shows low civic tolerance, high trust in political systems, and low protest participation. This sharp contrast in attitude between the young and old generations becomes a problem to the maintenance of social stability and politic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