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한 얼굴의 물질주의

        이진석(Lee, Jin Suk),조현영(Cho, Hyun Young),전승우(Chun, Seungwoo) 한국마케팅학회 2019 마케팅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물질주의의 세 가지 핵심 요소인 획득중심, 성공수단, 행복추구적 물질주의 각각이 과시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물질주의의 세 요소와 과시적 소비 사이에서 변화 기대의 매개역할도 조사하였다. 추가적으로 변화 기대를 4가지 하위 범주(자신을 향한 지각 변화, 관계 변화, 쾌락 변화, 효능감 변화)로 구분하고 각각의 매개역할을 조사하여, 각각의 물질주의가 과시적 소비를 이끄는 구체적인 이유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런 이론적 주장을 실증하고자 일반인 39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획득중심적 물질주의와 성공수단적 물질주의는 과시적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행복추구적 물질주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성공수단적 물질주의는 변화 기대를 높여 과시적 소비를 증가시켰으나 행복추구적 물질주의의 경우 변화 기대가 부정적인 방향으로 매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변화 기대의 하위 범주 중 자신을 향한 지각 변화만이 매개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획득중심적 물질주의의 경우, 과시적 소비와 직접적인 관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변화 기대의 매개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hree components of materialism – acquisition centrality (centrality), possession-defined success (success), and acquisition as the pursuit of happiness (happiness) – have influence on conspicuous consumption. We also investigated how transformation expectations mediat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of the three component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In addition, after dividing transformation expectation into four sub-dimensions, this study looked at how each of the transformation expectation plays mediating roles in the process. To empirically test the theoretical arguments, we conducted a survey with 393 respondents. The results confirmed our predictions that centrality and success were positively related, and happi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onspicuous consumption, respectively. Specifically, success increased transformation expectations and, in consequence, conspicuous consumption, but the transformation expectations medi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Among four-sub dimensions of transformation expectation, the only transformation of self and other’s perception of self significantly mediated such relationships. For centrality, only a direct relationship with conspicuous consumption was observed without the mediation of transformation expectations being significant. Based upon the results, theoretical as well as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의준(Jeong, Steve),유승호(Ryu, Seungh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3

        행복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물질주의적 가치관도 결정요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사회에 만연한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한국인의 행복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 의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어 왔다. 그러나 최근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대항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효리네 민박’, ‘숲속의 작은 집’ 등 현실세계의 물질 추구적 삶과 대비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동조하는 콘텐츠의 인기에서도 확인된다. 이렇듯 (탈)물질주의 가치관이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나 아직까지 물질주의 가치관과 소득, 그리고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논문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객관적 소득과 주관적 계층감과 함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복과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관련된 심리적, 관계적 요인들을 통제하고,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여, 총 1,405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주관적 계층감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관적 계층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낮은 그룹은 높은 쪽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행복도를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저소득층과 낮은 연령층, 그리고 여성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물질주의 가치관과 관련하여 문화콘텐츠의 정책적 활용과 사행성 콘텐츠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Materialism is related to individual"s income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Individual"s income influences one"s class conscious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ularly, Korean TV drama has been regarded as accelerator of materialistic value by rags-to-riches story and luxurious scenes.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ed number of reseach existing about how people"s materialism,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one"s materialism,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nd also examine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e"s subjective well-being. Total of 1,405 subjec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Controlling for subjectives well-bing, materialism and other psychological factors, we analyzed how these factors affect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showed that materialism was strongly related to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The interaction among thos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In particular, in the low income group with low level of materialis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scores. This tendency was revealed in relatively young group and female group. 행복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물질주의적 가치관도 결정요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사회에 만연한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한국인의 행복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 의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어 왔다. 그러나 최근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대항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효리네 민박’, ‘숲속의 작은 집’ 등 현실세계의 물질 추구적 삶과 대비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동조하는 콘텐츠의 인기에서도 확인된다. 이렇듯 (탈)물질주의 가치관이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나 아직까지 물질주의 가치관과 소득, 그리고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논문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객관적 소득과 주관적 계층감과 함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복과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관련된 심리적, 관계적 요인들을 통제하고,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여, 총 1,405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주관적 계층감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관적 계층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낮은 그룹은 높은 쪽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행복도를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저소득층과 낮은 연령층, 그리고 여성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물질주의 가치관과 관련하여 문화콘텐츠의 정책적 활용과 사행성 콘텐츠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Materialism is related to individual"s income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Individual"s income influences one"s class conscious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ularly, Korean TV drama has been regarded as accelerator of materialistic value by rags-to-riches story and luxurious scenes.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ed number of reseach existing about how people"s materialism,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one"s materialism,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nd also examine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e"s subjective well-being. Total of 1,405 subjec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Controlling for subjectives well-bing, materialism and other psychological factors, we analyzed how these factors affect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showed that materialism was strongly related to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The interaction among thos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In particular, in the low income group with low level of materialis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scores. This tendency was revealed in relatively young group and female group.

      • KCI등재

        친환경 소비에 물질주의와 친환경 가치 인식이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 효과

        이희정 ( Lee Heejung ),김나민 ( Kim Namin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2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관련 경제규모가 증가하고 기업이 다양한 친환경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접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제품의 소비가 그 관심의 정도에 비해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위해 친환경 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던 물질주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물질주의와 친환경 소비가 상호 연관이 낮을 것이라는 기존 연구의 관점에서 물질주의를 두 가지의 구체적 개념으로 세분화하여 친환경 가치와의 연관성 및 친환경 소비에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물질주의를 축적형 물질주의와 존중형 물질주의로 구분하여 개념화하고 네 가지 유형의 친환경 가치에 각기 다른 영향을 주는지 실증하였다. 또한 두 가지 유형의 물질주의가 친환경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친환경 가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혁신성이 물질주의와 연관성이 높다고 여기고 물질주의가 친환경 가치 인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소비자 혁신성이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축적형 물질주의는 사회적,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존중형 물질주의는 조건적,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 물질주의가 친환경 가치인식과 연관이 낮거나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점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단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존중형 물질주의가 친환경 소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조건적, 감정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효과는 존중형 물질주의가 친환경 가치 가운데 조건적(+),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 소비의 촉진을 위해 물질주의적 관점에서 소비자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도출하는 등 향후 친환경 제품에 대한 마케팅 전략에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As interest in eco-friendliness increases, the size of the related economy is expanded and companies provide a variety of eco-friendly products. Although the number of green products available to consumers has grown, the consumption of green products is not active compared to the level of interest. To provide an appropriate explanation, this study seek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green consum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m, which has not been covered in existing research.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of existing research that materialism and green consumption have a low correlation, we attempted to subdivide materialism into two specific concepts to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perceived green values and its influence on green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materialism was divided into accumulative materialism and appreciative materialism,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to examine whether the four types of green values have different effects. In addition, we sought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green values in the process in which two types of materialism affect green consump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materialism and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consumer innovativeness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process of materialism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green values. Online survey was executed to test the hypotheses. Total 200 responses were gathered and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at accumulative materialism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functional values, and appreciative materialism has a positive effect on conditional and emotional values. This could serve as a clue to change the perspective that existing materialism has little correlation with or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green value awareness.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ditional and emotional values were confirmed in the process of appreciative materialism influencing green consump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was found to moderate the impact of appreciative materialism on conditional (+) and social (-) values among the perceived green valu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significance in future marketing strategies for green products, including the need for a strategy to stimulate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green products from a materialistic perspective in order to promote green consumption.

      • KCI등재

        한국판 물질주의척도의 타당화 연구

        유지혜,설경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4 No.3

        Materialistic values can be a important variable to understand Korea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ial Values Scale (K-MVS)(Richins & Dawson, 1992). In study 1, we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to ascertain the three factor model of the original MVS using 417 Korean undergraduate student data(sample 1). The CFA confirmed the three-factor model of the MVS. Yet, three items that yielded low factor loadings in this study as well as in other MVS validation studies were excluded from the final model. In study 2, content, construct,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K-MVS were examined with 650 undergraduate student data(Sample 2). We also tested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two groups(i.e., college student group of Sample 2 and employee group of Sample 3).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three-factor model of the K-MVS hold true across the two groups. Lastly test-retest reliability was calculated with 408 female college student data(Sample 4) that filled out K-MVS twice within 6 month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MVS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for assessing materialistic values in Korea. 물질주의 가치 추구는 한국인의 정신건강 및 심리적 안녕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변인일 수 있다. 이 연구는 물질주의 연구를 활성화하고 신뢰로운 측정을 하고자 물질주의 가치 척도로 가장 자주 사용되는 Richins와 Dawson(1992)의 물질주의 가치 척도(Material Values Scale)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1은 번안한 한국판 물질주의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17명(표본 1)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원척도의 요인과 동일한 3요인을 확인하였다. 원척도가 제시한 하위요인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성공판단, 소유중심, 행복추구라 명명하였다. 이 과정에서 요인부하량이 낮은 3개의 문항은 물질주의 가치 척도의 다른 언어로의 타당화 연구를 참조하여 삭제하였고, 총 15문항으로 한국판 물질주의척도를 구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표본 1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 대학생 650명(표본 2)을 대상으로 한국판 물질주의척도를 검증한 결과 수렴 및 변별타당도, 동시타당도, 예측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경제활동을 하는 직장인 392명(표본 3)과 대학생(표본 2)을 대상으로 다집단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판 물질주의척도를 대학생과 직장인에게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표본 3)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예측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대학생 408명(표본 4)을 대상으로 6개월 간격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또한 양호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판 물질주의척도가 성인을 대상으로 한 개인의 물질주의 가치 수준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하는 도구임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운동의 변화와 탈물질주의

        강수택(Soo Taek Kang),박재흥(Jae Heung Park)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1 OUGHTOPIA Vol.26 No.3

        이 논문의 목적은 현대 한국 사회운동의 변화과정에서 탈물질주의 가치가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두 가지 자료를 주로 사용하였는데 하나는 사회운동의 주요 행위자인 시민사회단체의 설립경향에 관한 통계자료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세계가치조사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다섯 차례 실시된 가치조사 자료 가운데 1990년 이후에 실시된 네 차례의 조사결과 자료다.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필자는 사회운동 쟁점의 변화, 사회운동 참여자의 가치변화, 그리고 사회운동 참여자의 정치적 행위 방식의 변화라는 세 측면에서 탈물질주의 가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탈물질주의적인 쟁점이 한국 사회운동의 확산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사회운동 참여자에게서 탈물질주의 가치성향이 전반적으로 강화되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항적 정치행위에의 참여도가 물질주의자보다 탈물질주의자에게서 훨씬 뚜렷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이들 탈물질주의자들이 한국의 사회운동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ost-materialist values on the change of social movement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For this analysis two kinds of empirical data are utilized: 1) the data collected from the NGO/NPO survey; 2) the data obtained from the Korean Values Survey in the frame of World Values Survey. The analysis is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1) the change in the issue of social movements; 2) the change in the value orientation of the participants in social movements; 3) the change in the way of political action of the participants in social movem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t-materialist values have influenced on the growth of social movements through the spread of post-materialist issues, and the post-materialist value orientation has increased among the participants in social movements. The result also shows that post-materialists have been more active than materialists in the political action: it implies post-materialists have played more active role in the Korean social movements.

      • KCI우수등재

        학업성취압력과 물질주의 간의 관계에서 정체성 명확성의 조절효과: 대학생 표본을 대상으로

        조하정,이다예,박선웅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5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PAAP) and materialis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dentity clarity between the two. We recruited participants (N = 119) from a private university in South Korea.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PAAP and dispositional materialism. Participants were then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identity clarity or control condition. Participants in the identity clarity condition were asked to write about the experiences in which they clearly felt about and grasped their self-identity.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in the control condition were asked to describe what had happened the day before without including any subjective thoughts and feelings. Right after the writing task, participants completed a measure of state materialism. Supporting our hypotheses, PAAP and dispositional materialism were positively related. Also, in the identity clarity condition, participants showed decreased state materialism relative to dispositional materialism, while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dispositional and state materialism was observed in the control condition. Lastly, identity clarity manipulation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PAAP and state materialism. Specifically,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PAAP and state materialism was observed in the control condition, but not in the identity clarity condition, after controlling for dispositional materialism, gender, age, and school year.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자녀의 물질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정체성 명확성이 조절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한국의 대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참여자들은 부모로부터 느낀 학업성취압력과 기질적 물질주의를 묻는 문항에 응답하였다. 이후 참여자들은 주어진 글쓰기 과제를 통해 정체성 명확성 조건과 통제 조건으로 무선할당되었다. 정체성 명확성 조건에 할당된 참여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지각했던 경험을 작성하였고, 통제 조건에 할당된 참여자는 전날 있었던 일에 대해 객관적으로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태 물질주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로부터 느낀 학업성취압력과 기질적 물질주의는 정적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또한, 정체성 명확성 조건에서는 참여자들의 상태 물질주의가 기질적 물질주의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통제 조건에서는 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나아가, 정체성 명확성 조작은 학업성취압력과 상태 물질주의 간의 정적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업성취압력과 상태 물질주의 간의 정적 상관이 통제 조건에서는 유의했으나, 정체성 명확성 조건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기질적 물질주의, 성별, 나이, 학년이 공변인으로 투입됨).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만연한 두 변인, 즉 학업성취압력과 물질주의가 서로 정적인 관계에 있음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으며, 자신만의 내적 기준을 확고하게 확립하는 것이 물질주의를 낮출 수 있는 하나의 방법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패션복제품 구매자의 브랜드민감성, 물질주의, 허영심에 관한 연구

        이승희(Seung Hee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복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브랜드민감성, 물질주의, 그리고 허영심을 중심으로 그 관련성을 조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통한 서베이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범위로는 패션복제품, 브랜드민감성, 물질주의 및 허영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설정된 4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분석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대의 명품 복제품을 구매해본 여자 대학생에게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그중 총 112명의 자료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주의 문항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행복추구, 소요추구, 생활중심의 세 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에게 실재하는 브랜드민감성, 물질주의, 그리고 허영심 정도를 조사한 결과, 허영심의 성취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외모관심, 브랜드 민감성, 그리고 물질주의의 소유추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결과, 전반적으로 브랜드 민감성, 물질주의, 그리고 허영심이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민감성의 고저에 따라 물질주의와 허영심의 차이를 조사해 본 결과, 브랜드 민감성이 높은 사람은 브랜드 민감성이 낮은 사람보다 물질주의 성향과 허영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허영심이 브랜드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외모관심과 외모자신감이 높을수록 브랜드에 대한 민감성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물질주의 변인이 브랜드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물질주의가높을수록 브랜드 민감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패션 명품 복제품 구매에 브랜드 민감성,물질주의와 허영심이 주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패션기업의 마케팅전략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brand sensitivity, materialism, and vanity in fashion counterfeiter purchasers. For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survey method was used, using the questionnaire. As main scopes of this study included literature review of counterfeits and three variables, and testing analysis about 3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one hundred and twelve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purchased fashion counterfeits participated.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 Alpha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factor analysis, materialism had 3 factors-happiness pursuit, possession pursuit, and life oriented. Second, among all variables, counterfeits, the score of achievement concern, one of vanity variabl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ppearance concern, and possession pursuit. Third, there were ver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brand sensitivity, materialism and vanity among fashion counterfeit purchaser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high brand sensitivity group and low brand sensitivity group on materialism and vanity. Fifth, among 4 vanity factors, appearance concern and appearance view showed the biggest impact on brand sensitivity. Finally, among 3 materialism factors, happiness pursuit and possession pursuit had the significant impact on brand sensi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would provide fashion companies with brand manage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marketing strategies.

      • KCI등재후보

        쉬운 참여와 어려운 참여 : 대전과 목포지역 젊은이의 가치정향과 정치참여

        김욱(Kim Wook),김영태(Kim Young-tae) 한국정치정보학회 2006 정치정보연구 Vol.9 No.1

        최근 한국의 선거 및 정치 과정에서 젊은 유권자의 중요성이 급증하고 있으나, 젊은 유권자의 투표참여율은 기성세대에 비해 현저히 낮은 상태이다. 이러한 부조화를 설명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일단 투표참여와 같은 쉬운 참여와 선거운동, 시위 등과 같은 보다 어려운 참여를 개념적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이 두 가지 형태의 참여를 유발하는 요인과 과정이 서로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연구에서 특히 주목하고 있는 요인은 정치문화의 변동을 통한 탈물질주의적 가치의 대두와 성장이다. 기성세대와는 달리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으로 무장된 젊은 유권자의 경우 투표참여와 같은 단순하고 쉬운 참여보다는 보다 많은 자발적 의지가 필요한 어려운 형태의 참여에 보다 이끌리는 경향이 있다. 즉 탈물질주의적 가치가 쉬운 참여와 어려운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 수준에서 볼 때, 탈물질주의적 가치를 가진 유권자와 물질주의적 가치를 가진 유권자는 쉬운 참여의 가담 율에 있어서는 별 차이가 없겠지만, 어려운 참여에 있어서는 전자가 후자보다 가담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과 목포 지역 젊은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러한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해 본다. 먼저 젊은이들은 탈물질주의적 가치의 분포라는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전 지역 젊은이들에 비해 목포 지역 젊은이들 사이에서 탈물질주의적 가치가 더 많이 확산되어 있다. 그러나 탈물질주의적 가치가 쉬운 참여와 어려운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두 지역간 차이가 없다. 두 지역 모두에서, 이론적 예상대로, 탈물질주의적 가치는 투표와 같은 쉬운 참여에는 별 영향력이 없는 반면, 어려운 참여에는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어려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우 직접적으로는 물론 정치이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The importance of young voter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Korean elections. Yet the rate of voting participation for the young still remains much lower than that for the older voters. In order to explain the "seemingly" contradictory phenomena, this study first focuses on the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easy" participation (e.g., voting) and "difficult" participation (e.g., campaigning and demonstration), and then argues that the two forms of participation might be caused by different factors and in different contexts. In particular, this study emphasizes the emergence of post-materialism among the young Korean voters as a key factor affecting easy participation and difficult participation in different ways. At the individual level, one can expect that those with more post-materialistic values are more likely to engage themselves in difficult participation than those with more materialistic values, while the two groups show little difference in terms of easy participation. These hypotheses are empirically tested with survey data on young voters in Daejon and Mokpo regions. Although the young people in Mokpo are more post-materialistic than the young in Daejon, the effects of post-materialism on their particip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are the same across the two regions. In both regions, the factor of post-materialism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voting participation, yet a clearly positive effect on difficult forms of participation.

      • KCI우수등재

        불확실한 정체성과 낮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물질주의의 매개효과

        박선웅,박예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3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uncertain identity increases materialism, which in turn decreases psychological well-being.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test this idea. In Study 1,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identity commit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terialism. It was found that identity certainty as assessed by identity commit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materialism and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at materialism mediated the link between identity certain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udy 2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uncertain identity causes materialism using an experiment. Identity (un)certainty was manipulated by asking participants to write a story in which they experienced a strong sense of who they were (certainty condition) or a story in which they experienced the lack of identity (uncertainty condition). Right after the writing task, participants competed a measure of state materialism. Participants in the certainty condition showed a lower level of state materialism relative to those in the uncertainty condition, indicating the causal role of identity in materialism. Given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materialism and mental health, notoriously high materialism in Korea is a big social problem. The present study’s contribution is to identify identity uncertainty as one of the antecedents of materialism.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한 정체성이 높은 물질주의를 야기하여 낮은 심리적 안녕감으로 이어지는지 확인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1에서 참여자들은 정체성 전념, 심리적 안녕감, 물질주의를 측정하는 척도에 자기보고식으로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불확실한 정체성(즉, 낮은 정체성 전념)은 높은 물질주의 및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관계에 있었고, 불확실한 정체성과 낮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는 물질주의에 의해 매개되었다. 연구 2에서는 정체성과 물질주의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정체성의 (불)확실성 정도를 조작하기 위해 확실성 조건에 배정받은 참여자들에게는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해 확실하게 느꼈던 경험을 적도록 요청하였고, 불확실성 조건에 배정받은 참여자들에게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불확실하게 느꼈던 경험에 대해 적도록 요청하였다. 글을 쓴 직후에 참여자들은 상태물질주의 척도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확실성 조건에 있었던 참여자들은 불확실성 조건에 있었던 참여자들에 비해 낮은 수준의 물질주의를 보였다. 이 결과는 정체성의 확실성 정도가 물질주의 수준에 인과적 영향력을 끼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질주의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고려할 때 한국인의 높은 물질주의는 큰 사회문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불확실한 정체성이 물질주의를 야기하는 원인 중 하나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