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품종별 수집 시기 마늘의 물리적 특성 구명

        박형규 ( Hyung Gyu Park ),김영수 ( Yeong Su Kim ),강석호 ( Seok Ho Kang ),우승민 ( Seung Min Woo ),하유신 ( Yu Shin Ha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마늘 작업단계별 노동시간은 생산지 기후에 따라 선정되는 재배 양식인 한지형과 난지형에 따라 다르며, 마늘의 수확 작업은 전체 노동시간 중 각각 73.1%, 50.2%를 차지한다. 줄기가 절단된 마늘은 굴취기를 이용하여 땅속에서 굴취한 후 인력을 동원하여 수작업으로 수집 작업이 이루어진다.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마늘 수집 작업은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마늘수집기 개발이 요구된다. 마늘수집기 개발을 위하여 수집 직전 마늘의 물리적 특성을 구명하여 기계개발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마늘의 기하학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한지형은 의성 품종, 단양 품종, 난지형은 남도 품종, 대서 품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늘의 기하학적 특성의 측정은 Universal Testing Machine(LTCM-100-EU, Chatillon, USA)을 활용하여 마늘의 압축 전, 후 과정을 촬영한 이미지를 ImageJ 프로그램 이미지 스케일링을 통하여 길이, 폭을 구하였고 마늘의 기계적 특성인 포아송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헤르츠의 접촉이론, 후크의 법칙에 적용하여 마늘의 기계적 특성인 탄성계수와 응력을 측정하였다. 일정 속도로 상승하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재료에 올려진 마늘이 최초로 운동을 시작하는 각도를 측정하여 정마찰계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난지형 마늘 기하학적 특성인 무게, 길이, 폭이 한지형 마늘의 기하학적 특성과 비교하여 큰 결과값이 나타났으며, 편차 또한 크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난지형 마늘에서만 불완전 쪽마늘의 존재로 인하여 형상적 균일도가 떨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기계적 특성으로 대서 품종의 탄성 계수가 가장 큰 값이 나타났으며, 편차 또한 가장 컸다. 응력은 한지형 단양 품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단양 품종 기하학적 특성의 편차가 가장 낮아 형상적 균일도가 높기에 마늘 벌크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저항이 균일함에 따라 높은 응력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품종별 최대, 최소 정마찰계수는 각각 알루미늄, 플라스틱으로 동일한 재료에서 나타났다. 측정된 품종별 마늘의 물리적 특성을 통하여 수집부 규격 설계, 재료 선정에 용이하며, 본 연구의 결과물은 마늘 손상률 및 이탈률을 감소시키고, 다품종 적용이 가능한 기계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주거용 건물에서 건축물의 물리적 요소와 세대특성이 에너지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김만수,정성원 한국주거학회 2019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0 No.1

        Energy consumption of the residential sector was the highest in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of Korea. The energy use of residential buildings is affected not only by the building factors, but also by the features of household. Whil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building factors related to energy consumption, there is a limitation of research considering household feature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energy consumption by integrating the building factors and household features integrated with the previous prior researc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rive building factors and household features that affect residential building energy use. The data used in the study was 'Household Energy Standing Survey'. These data provid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space of 2,514th generation, information about households and actual energy use.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mpact on individual variables. It was divided into five periods, annual,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Research has shown that in addition to the building factors, the household feature also has a strong influence on residential energy u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rived the building factors and household features that can be applied to efficiently manage residential energy. 국내 총 에너지사용량중 주거 부문 에너지사용량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건축물의 물리적특성과 세대특성을 함께고려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물리적 특성과 세대특성을 통합 고려하여 주거 에너지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분석에는 '가구 에너지 상설 표본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각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기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간, 여름, 겨울철 기간을 나누어 각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살펴보았다. 세기간의 공통적인 영향요인은 거주년수, 세대원수, 직업, 소득, 건축물의 방향이 나타났다. 그 외 65세 이상 세대원수, 외벽수, 주거면적, 냉방방식과 난방방식이 추가적으로 각 기간별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인 건축물의 방향와 소득을 토대로 건축물의 물리적 특성과 세대특성 모두 주거 에너지사용량에 비슷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주거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연구에서 활용 할 수 있는 건축물의 물리적 특성과 세대특성 요소를 도출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닐 수 있을것이다.

      • KCI등재

        경량형 옥상녹화 식재기반의 물리성과 레플렉숨 생육특성

        이홍,강태호,Li, Hong,Kang, Tai-Ho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6

        이 연구는 식생모듈박스에 적용한 레플렉숨을 중심으로 식물 생육특성 간의 관계 및 식물의 생육특성과 토양 물리적 특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토양 물리적 특성과 식물 생육특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의 분석은 SPSS Ver 19.0 for Window용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 물리적 특성과 생육특성의 다중회귀 분석 결과, 레플렉숨에 대한 회귀식은 초장=$3.993-14.070^*$(용적밀도)+$.233^*$(고상)+$.038^*$(액상)+$.068^*$(침투율)로 나타났으며, 이 중 용적밀도와 고상이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레플렉숨에 대한 회귀식은 초폭=$2.931-33.925^*$(용적밀도)+$.566^*$(고상)+$.206^*$(액상)+$.027^*$(침투율)이며, 이 중 용적밀도와 고상이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즉, 초장 및초폭과 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일정한 회귀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 상하부 생체량과 건중량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 직접적인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in order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edum reflexum.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19.0 for Window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 regression equation: The length=$.993-14.070^*$(soil bulk density)+$.233^*$(solid phase)+$.038^*$(liquid phase)+$.068^*$(permeability). The significance of soil bulk density and solid phase was great. The width=$2.931-33.925^*$(soil bulk density)+$.566^*$(solid phase)+$.206^*$(liquid phase)+$.027^*$(permeability). The significance of soil bulk density and solid phase was great. The wet weight and dry weight of the upper and lower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did not have a direct relationship.

      • KCI등재

        입지별 아파트단지 개발특성 분석

        이천기,이주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2 國土計劃 Vol.37 No.5

        물리적특성, 입지여건, 개발성격, 물리적환경, 주변환경 등 6개 부문의 27개로 구성하였다.개요는 단지명, 주소, 허가연도, 준공연도 등과 같은 기본적인 내용을 변수로 하였다. 특히 허가연도를 변수에 포함시킨 것은 규제변화에 따라 실제 아파트개발 양상이 변화하는 기준이 준공연도가 아닌 허가연도이므로, 규제변화에 따른 단지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물리적특성은 대지면적, 용적률을 비롯한 7개 변수로 구성되며, 단지의 수평적·수직적 개발용량을 설명하게 된다.입지여건은 서울시 기본계획에서 규정한 도심중심위계, 권역, 역세권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도시중심위계는 서울시 공간구조의 과제인 다핵심화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 거점중심을 기준으로 영역화하는 과정을 통해 변수화 하였다.개발성격은 개발주체 및 개발방법의 두개 변수로 구성하였다. 개발주체는 공공과 민간으로 개발방법은 신개발과 재개발·재건축으로 분류하여 더미변수(Dummy variable)화 하였다.물리적환경은 접도수, 도로폭, 세장비 등을 이용하여 단지의 개발여건 분석을 위해, 주변환경은 단지인접, 공원수, 학교수, 대형상가수 등을 이용하여 단지 주변의 주거환경특성 분석을 위해 변수로 선정하였다.

      • 주택가격연구에서의 물리적, 환경적 변수와 대통령임기의 영향력 분석

        이다연,신민수 한국경영정보학회 2019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는 물리적, 환경적, 사회적 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물리적 환경적 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회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가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사회적 특성으로는 대통령 임기 후 기간을 사용한다. 각 대통령 임기별로 시장의 증감률을 살펴보면 상승 – 하락 사이클이 반복된다. 각 정부 전반기에 시장은 상승하다가 후반기에 하락하는 패턴이다. 이러한 대통령 임기가 시기별로 주택가격에 어떠한 영향력을 주는지를 분석한다.

      • KCI등재

        호텔창호의 물리적 특성이 고객감정에 미치는 영향

        윤준호,정경일,이상건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의 특급호텔을 대상으로 호텔 창호의 물리적 특성과 고객감정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측정도구를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위해 호텔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다. SPSS 11.5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요인분석 그리고 연구과제의 검증을 위해서는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수의 요인분석결과 호텔 창호의 물리적 특성은 기능적 특성요인과 디자인 특성요인으로 요인화하였고, 고객감정은 긍정적인 즐거움과 부정적인 지배감으로 요인화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도출된 각 각의 요인군을 독립변량 및 종속변량으로 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호텔 창호의 기능적 특성요인과 디자인 특성요인 모두가 고객의 긍정적인 반응인 즐거움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이 검증되었다. 특히, 디자인 특성요인 보다는 기능적 특성요인이 상대적으로 고객의 즐거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이 검증되었다. 이런 분석결과를 토대로 호텔경영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결론부분에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otel windows and the customer's emotion. A sample of 280 surveys which showed a 93.3% usable response rat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adopted to identify two underlying dimension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otel windows: functional and design, and two underlying dimensions of the customer's emotion; pleasure and control.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adopted to examine the overall correlation between the two underlying factors from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otel windows and the two underlying factors from customer emotion. The highe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oth physical characteristics factors and the pleasure factor of customer emotion. And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examined.

      • KCI등재

        물류부동산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신아(Kang, Shin Ah),이재순(Lee, Jae Soon) 대한부동산학회 2016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4 No.2

        최근 온라인 소비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3PL(Third Party Logistics)의 시장 점유 확대 등에 힘입어 물류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투자자들의 관심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물류부동산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으며, 특히 수익형 부동산의 투자대상으로서 물류부동산의 시장특성이나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임대료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체물류시설의 40% 이상이 집중되어 있는 수도권의 물류부동산을 대상으로 임대료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물류부동산 임대료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적특성, 물리적 특성, 경제적 특성 변수들을 설정한 후 헤도닉 가격모형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입지적 특성 변수들 중 교통접근성을 나타내는 고속도로인터체인지에 가까울수록, 진입로가 넓을수록 임대료가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부, 중부, 영동고속도로를 따라 물류부동산의 지리적 영역이 확장되고 있어 배후도시와의 거리 변수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변수에서는 연면적, 경과연수는 임대료에 음(-)의 영향을, 용적률, 냉동냉장시설여부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적 특성 변수에서는 대기업테넌트 입점 여부가 물류부동산의 임대료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online consumer market expands, not only the growth of the logistics industry but also the demand for logistics properties in the real estate market is increasing rapidly. However, studies on logistics real estate have not been actively conducted yet. Especially,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the rent determinants of logistics properties which affects the return rate on logistics proper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offer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n the rent determinants of the logistics properties. This study used hedonic Price model (linear model) and the data used for analysis was the rent data of individual warehouse in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converted rent,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accessibility to highway IC(-) and wide of the ramp(+) could have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rent of warehouse.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factor of negative (-) effect on the rent was the floor area ratio, and the positive (+) effect on the freezing and refrigerating facilities were analyzed. In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contracts of large tena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nt of logistics properties.

      • KCI등재

        북동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 심해저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지상범,이현복,김종욱,형기성,고영탁,이경용,Chi, Sang-Bum,Lee, Hyun-Bok,Kim, Jong-Uk,Hyeong, Ki-Seong,Ko, Young-Tak,Lee, Kyeong-Ya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 자원환경지질 Vol.39 No.6

        북동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사이에 위치한 연구지역 퇴적물의 입도, 함수율, 입자 밀도, 전밀도, 공극비, 그리고 공극률 등 물리적 특성과 퇴적학적 변화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2년까지 7회의 조사작업을 통해 연구지역 각 지점에서 다중주상시료채취기로 채취된 69개 표층퇴적물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퇴적물은 원양성 적점토가 분포하는 북부지역(북위 16-17도), 생물기원의 규질 퇴적물이 분포하는 중부지역(북위 10-11도), 탄산질 퇴적물이 분포하는 남부지역(북위 5-6도)으로 구분되며,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은 이들 퇴적물의 유형에 따라 뚜렷이 다른 특성을 보인다. 북부지역은 수층의 기초생산성이 낮고 육성기원 입자의 유입이 많으므로 입도는 세립질이며, 함수율이 낮은 특성을 보인다. 반면에 중부지역은 수층의 생산성이 높고 수심이 탄산염보 상심도보다 깊으므로 다공질이며 입자크기가 큰 생물기원 규질 입자의 유입이 높아 평균입도는 가장 조립질이며, 함수율이 매우 높다. 한편, 남부지역은 수심이 탄산염보상심도보다 얕으므로 수층으로부터 유입되는 탄산질 퇴적물이 용해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퇴적되어 가장 낮은 함수율과 높은 밀도를 보인다. C-C지역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과 연관된 주요 요인들은 적도부근 해역의 높은 생산성에 따른 생물기원 입자의 유입, 탄산염보상심도를 고려한 수심 수층 생산성에 비례하는 퇴적률, 대륙으로부터 바람에 의해 유입되는 육성기원 입자의 공급, 그리고 생물기원 퇴적입자의 용해 및 자생광물의 형성과 연관된 저층해수의 화학적 특성 등으로 판단할 수 있다. Deep-sea surface sediments acquired by multiple corer from 69 stations in 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of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of mass physical properties and sedimen-tological processes. The seabed of the middle part ($8-12^{\circ}N$) of the study area is mainly covered by biogenic siliceous sediment compared with pelagic red clays in the northern part ($16-17^{\circ}N$). In the southern part ($5-6^{\circ}N$), water depth is shallower than carbonate compensation depth (CCD). The mas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grain size distribution, mean grain size, water content, specific grain density, wet bulk density, void ratio, and porosity of sediments are distinc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parts of the study area. Surface sediments in northern part are characterized by fine grain size and low water contents possibly due to low primary productivity and high detrital input. Conversely, sediments in the middle part are characterized by coarse grain size and high water contents, which might be caused by high surface productivity and deeper depth than CCD. The sediments show low water contents and high density in the southern part, which can be explained by shallower depth than CCD.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variations in mass physical properties of sediments are influenced by combined effects including biogenic primary productivity of surface water, water depth, especially with respect to CCD, sedimentation rate, detrital input, and the geochemistry of the bottom water (for example, formation of authigenic clay minerals and dissolution of biogenic grains).

      • 상업지역의 환경적 특성에 따른 범죄위험도 분석

        이경훈(Kyung Hoon Lee),강경연(Kyeong Yeon Kang) 한국셉테드학회 2015 한국셉테드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상업지역을 대상으로 범죄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 경제, 토지지용과 관련된 내용뿐만 아니라 도시 및 건축 환경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행정동 단위로 환경적 특성에 따른 범죄위험도를 분석하여 범죄예방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될 평가지표를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기존 위험도 평가모델의 사례분석을 통해 범죄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인과 물리적 특성 변인을 도출하였다. 분석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지역의 상업화비율과 범죄발생밀도의 분포를 고려하여 서울시 6개 자치구의 106개 행정동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물리적 특성, 범죄발생 특성에 관한 평가지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범죄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총 4개로 요약, 추출하였으며, 주성분 회귀분석을 통해 범죄유형별 주요 영향요인 및 영향력을 추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dexes of evaluation including sociodemographic, economic, land-use characteristics as well as urban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which affect the occurrence of crime in the commercial area, and to assess the crime risk of administrative dong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inally, this study aims to deduce some implications for the crime prevention policy. To identify the indexes of evaluation, existing studies and risk assessment model were analyzed. 6 administrative ku and 106 administrative dong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commercial land use and the frequency of crime occurrence. Collected data from 106 administrative dong were analyzed to fi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indexes of evaluation. The physical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which affect the occurrence of crime were summarized into 4 major factors through principle component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광양지역 해성점토의 물리적 특성 분석

        허열(Heo Yol),권선욱(Kwan Seonwok),강석범(Gang Seokberm),박성훈(Park Seonghoo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0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1 No.12

        우리나라 서, 남해안은 정규압밀 또는 약간 과압밀된 연약 점토층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연약지반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설계와 시공을 위해서는 사전에 지반공학적 및 점토의 물리적 특성을 상세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해안 광양지역 해성점토에 대하여 자연함수비, 비중, 전체단위중량, 초기간극비, 액성한계, 소성한계, 활성도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토질정수간의 물리적 특성의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비교적 신뢰성이 크다고 볼 수 있는 대형 항만공 사용 최근자료를 수집하여 이용하였다. 상관관계분석에서 선형회귀분석과 비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값을 도출하였다. 본 분석에 사용된 통계 소프트웨어는 SPSS(Version10.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물리적 토질정수 사이의 선형및 비선형 회귀분석결과 함수비와 초기간극비의 상관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형 및 누승형 회귀분석에서 동일한 결정계수를 나타내 주고 있다. 기타 다른 정수사이의 상관성은 누승식 및 지수승식 형태의 비선형 회귀분석이 선형회귀분석보다 양호한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Normally consolidated and slightly overconsolidated soft clay layer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 coast of Korea. To ensure the efficient and economical construction design of any structure to be built on this soft soil, exhaustive studies related to geotechnical and physical engineering properties are requir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uthern Gwangyang marine clay in the Korea Peninsula were examined, including natural water content, specific gravity, total unit weight, initial void ratio, liquid limit, plastic limit, and physical properties of activity and soil parameters. For the parameter relationship analysis, the latest relatively reliable data on the large harbor construction work were used, optimum values were deducted with linear regression and non-linear regression between soil parameters, water content or initial void ratio appears to be very large. Moreover, in the linear and involution pattern regression, equal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ppeared. The relationship of the different parameters was shown to be excellent in the non-linear regression of involution equation and exponential equation pattern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