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의 관계에 대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

        박인숙(Park, I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민감성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과의 관계에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를 탐색해 보기 위해, 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에 대한 다문화민감성의 영향을 알아보고 교사의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과의 관계에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가 어떠한지에 대해 구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경력 3년 이상의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조사연구방법을 채 택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에 적용할 측정도구를대학원 이상의 학력과 3년 이상의 교사경력을 가진 현직 초등교사 2인에게 1차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 다문화교육역량은 다문화 민감성 의 모든 하위요인인 상호작용 참여, 문화차이 존중, 상호작용 자신감에 의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영향을 줌으로써 다문화민감성을 지닌 교사는 타문화에 대한 지식습득과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게 되어 타문화권학생들의 지도역량 이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문화민감성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조절변수로써 작용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교사의 교원학습문화의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민감 성을 증진시켜 다문화교육역량을 제고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해 무엇보다 교사들이 올바른 신념과 자질을 갖추고 학습자들을 지도하는 것이 관건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ary teach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s’ learning cul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1 elementary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of more than 3 years experience in elementary education institutions in Gyeonggi. region. The research data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of elementary teacher s intercultural sensitivity, teachers’ learning 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in effec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teachers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was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teachers’ learning cultur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In addi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emotional supporting competence were shown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s’ learning culture . However, they did not show the interaction effect in the multicultural parent consultation competence. These results show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of the teacher who has a high sense of teachers’ learning culture has a high Moderating effect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emotional supporting competence due to intercultural sensitivity.

      • KCI등재

        문화적 관점의 문화예술학 토대 연구

        김지원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20 No.1

        문화학과 차별화되는 문화예술학은 예술학의 전문적 시야를 협의적으로 모색해야 하는 연구로 예술의 태동과 관련한 의미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예술이라는 기 술적 의미를 넘어선 학문적 체계이며 기록과 반성, 재현과 모색, 창조 및 융합이라는 큰 틀의 독자적 정립을 뜻한다. 문화예술학의 학문적 토대와 관련해 문화적 관점에서 예술의 본성에 관한 지향성을 의미화하고 문화 속의 예술이 아닌 문화학과 예술학의 철학적 물음의 제기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다. 문화예술학의 기능으로서의 역할은 보편적 가치와 목표를 설정하여야 하며, 그 점 에서 문화의 양면인 선과 악의 공존은 예술학의 미적 본성 또는 진리의 추구와 맞물려 선행되어야 할 문제다. 따라서 예술이 추구하는 자유로운 이행에는 자유의 태만이 아 닌 공동체적 의식과 이타의식의 공유 또는 소통의 쾌라는 점에서 예술의 사회학적 관 점까지도 논하고 있다. Culture and art studies,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cultural studies, are studies that must explore the professional perspectives of art studies in a consultative manner, and it is necessary to start from the meaning related to the birth of art. This is an academic system that goes beyond the technical meaning of art, and it means the independent establishment of a large framework of recording and reflection, representation and search, creation and fusion. Regarding the academic foundations of culture and art studies, this course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the orientation of the nature of art from a cultural perspective and the raising of philosophical questions in culture and art studies, rather than art in culture. The role of culture and art as a function must set universal values and goals, and in this respect, the coexistence of good and evil, which are the two sides of culture, is a matter that must be preceded by the aesthetic nature of art studies or the pursuit of truth. Therefore,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of art is also discussed in terms of the sharing of communal consciousness and altruism or the pleasure of communication in the free transition pursued by art.

      • KCI등재후보

        이란의 문화외교 연구:이란과 시리아의 사례 연구

        유달승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09 국가안보와 전략 Vol.9 No.3

        The study of the important of culture in international relations is underdeveloped in the analysis of Middle Eastern Foreign policy formulation. One method of spreading Iranian revolutionary message in other countries was through an active cultural policy. Initially, Iranian cultural movements abroad were carried out by several institutions acting independently, including the departments of international affairs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Islamic Guidance as well as of the Islamic Propagation Organization,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Rapprochement between the Islamic School of Thought, and the Council for the Dissemination of the Persi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se were merged in 1995 to form the Islamic Culture and Relations Organization(ICRO).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ase of Iranian cultural diplomacy in Syria, to throw light on the Iranian government’s efforts to promote its islamic values and build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peoples. Iranian cultural diplomacy in Syria has to be seen within the specific framework of the Iranian-Syrian alliance. 이란은 중동에서 문화외교를 표방하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1979년 이슬 람혁명은 문화혁명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문화적 수준에서 관계 확대를 표 방하고 있다. 이란은 이슬람의 가치를 부각시키면서 혁명 메시지를 확산시 키는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란의 해외 문화 운동은 이 슬람문화지도성 산하 국제관계부서, 이슬람선전기구, 이슬람학파 간 화해를 위한 국제협회 및 페르시아어문학 전파위원회 등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여 러 기관들이 수행했다. 1995년 다양한 기관들은 이슬람문화 및 관계조직 (ICRO)으로 통합되었다. ICRO는 이후 이란의 문화외교를 조정하는 단독 책임을 맡았다. ICRO의 임무는 이슬람 혁명의 토대와 호메이니의 이념을 소개하면서 무슬림 국가들 간의 문화 교류를 강화함으로써 이슬람 단결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ICRO는 현재 전세계에 문화 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 다. 문화 센터는 이슬람공화국의 이념과 가치를 선전하고, 관계를 구축하며 페르시아어를 가르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이슬람공화국의 문화와 가치를 해외에 소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소프트 파워와 문화외교의 개념을 토대로 1979년 이슬람혁명 이후 이란과 시리아의 관계 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란과 시리아의 관계는 정치적 연대를 통해 의식적 으로 형성된 특수한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이슬람혁명 이전 이란은 레바논 과의 문화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었지만 시리아와의 교류는 거의 없었다. 하 지만 이슬람혁명 이후 이란은 시리아를 전략적 동맹관계로 규정하고 광범 위한 문화외교를 통해 양국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고 있다. 특히, 1984년 다마스커스에 설립된 이란 문화 연구 센터는 정부 차원 뿐만 아니라 민간 차원에서도 양국 간의 교류를 확대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더 나아가 이란의 시리아 문화외교는 아랍세계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새로운 모델로 제기되고 있다. 이란의 시리아 문화외교가 이란과 시리아의 동맹관계라는 구체적인 틀 안에서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이란의 문화외교는 커다란 문제 점을 안고 있다. 그것은 이란의 문화외교는 이란과 정치적인 우호 관계를 가지고 있는 국가를 주요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결국 이란 의 문화외교는 소프트 파워로서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역량을 제한하고 있다.

      • KCI등재

        상호문화주의로의 전환과 상호문화도시 정책

        최병두(Byung-Doo Choi)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4 No.1

        이 논문은 최근 서유럽에서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호문화주의와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상호문화정책의 유의성과 한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들은 동화주의에 반대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함양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호문화주의는 문화적 병렬를 방치하고 있는 다문화주의와는 달리 적극적으로 사회공간적 격리를 해소하고 상호행동과 교류를 활성화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한 상호문화정책은 서로 다른 문화와 인종들 간 상호접촉 또는 만남을 통한 의사소통과 사회적 통합을 강조한다. 유럽평의회는 상호문화주의 정책을 시행하고 확산시키기 위하여,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상호문화주의와 상호문화(도시)정책은 외국인 이주자들의 사회공간적 격리를 해소하고 나아가 문화적 다양성을 도시 발전의 새로운 수단으로 함양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유의성이 있다. 그러나 상호문화주의와 상호문화정책이 기존의 다문주의와 다문화정책의 한계를 보완하지만, 신자유주의적 또는 기업주의적 도시 전략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This paper is to consider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interculturalism and intercultural policy which have emerged recently in western Europe as an alternative to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policy. They share common points in terms of opposition to assimilation and its policy, and of cultivation of cultural diversity. But, unlike multiculturalism which has neglected cultural juxtaposition of different ethic groups, interculturalism tries to resolve positively socio-spatial segregation, promoting communicative interaction and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them. The Council fo Europe h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 programme for intercultural city in order to diffuse intercultrual policies throughout Europe and other countries. Interculturalism and intercultural (city) policy seem to have an important significance that encourages intercultural encounter or contacts among different cultures and ethnics, and hence remove socio-spatial segregation and forester cultural diversity as a new moment of urban development. But intercultrualism and its policy do not seem to have been free from neoliberal or entrepreneurial (urban) strategy, even though they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existing multiculturalism and its policy.

      • KCI등재

        특별 학술대회 팔표논문 :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서 인문학적 관점의 필요성: 장애예술의 사례에 근거한 시론(試論)

        정종은 ( Eun Chung Jong )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8 No.-

        ‘문화융성’이 현 정부의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설정되고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 공식적으로 이 기조의 실현을 위한 실천과제로 채택되면서 문화정책에서 인문학적 관점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라는 과제가 어떠한 논리를 통해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전략적 목표와 나아가서는 ‘문화융성’이라는 국정기조의 실현에 이바지하게 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거의 시도된 적이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새로운 트랜드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생태계적 접근’을 근거로 삼아, 인문학적 관점이 우리나라 문화예술의 진흥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 대한 역사적·개념적 맥락을 고찰할 것인바, 이는 생태계적 접근의 의의와 특질을 분명히 하고, 이 개념이 우리나라 문화정책계에서 핵심어로 떠오르게 된 과정과 배경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국내 ‘장애예술정책’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생태계적 접근이 비단 ICT산업이나 콘텐츠산업 진흥정책만이 아니라 문화예술 진흥정책에서도 중요한 공헌을 할 수 있다는 점, 그러나 문화예술정책 분야에서 이러한 접근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인간과 문화에 대한 원천적 이해’로서 인문학적 관점이 반드시 그 중심에 자리를 잡아야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Since ‘cultural flourishment’ became one of the four government principles of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and ‘promoting humanistic·spiritual culture’ was officially adopted as an action plan to realize the principle, the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humanistic perspective in cultural policy has arisen. However, behind the scene, it has been rarely noted how ‘promoting humanistic·spiritual culture’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e strategic objective of ‘promoting culture and the arts’, and thereby to realizing the principle of ‘cultural flourishment’. To address this issue,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why humanistic perspective is essentially required to promote culture and the arts, with the example of the ‘ecosystem approach’ which has recently grown into a new trend in the Korean cultural policy field. The article start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conceptual context of the ecosystem approach. It will help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features of the approach as well a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oncept has been elevated into a key word in Korean cultural policy. On this ground, with the case study of disability arts in Korea, I will proceed to show that the ecosystem approach is very useful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government policy, not only for nurturing ICT or content industries, but also for culture and the arts; and, more importantly, that the usefulness of the approach can be guaranteed only when humanistic perspective, as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and culture, is centered on it.

      • KCI우수등재

        문화생산의 글로벌화에 따른 새로운 문화정책 패러다임의 모색우리나라 영화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수 한국행정학회 2008 韓國行政學報 Vol.42 No.1

        이 논문은 세계화가 문화산업에 미친 영향 중 특히 문화생산의 글로벌화 추세를 분석하고 그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한다. 세계화에 따라 각종 생산요소의 월경이동이 수월해지고 또한 급팽창하고 있는 세계 문화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면서 문화산업, 특히 영화산업에 있어서 글로벌 생산이 보편화 되고 있다. 그런데 글로벌 생산으로 만들어진 영화의 경우 그 국적을 판정하기가 애매해질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영화산업 지원정책은 그 대상을 막연히 ‘한국영화’라고만 지칭할 뿐 막상 무엇이 과연 ‘한국영화’인지에 대한 명확한 개념규정이 결여되어 있다. 문화의 세계화에 대응하는 전통적 패러다임은 문화의 국적은 중요하며 문화적 정체성은 마땅히 수호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패러다임에 기초한 정책으로는 문화생산의 글로벌화에 따라 변화된 현실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 이를 대체할 대안적 패러다임의 핵심은 문화의 국적과 정체성에 대한 미련을 포기하는 것이다. 세계화 시대에 요청되는 문화정책은 문화적 순혈주의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문화다양성 개념을 확대적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읽기 능력에 대한 사례 연구

        서혁 ( Hyuk Suh ),박지윤 ( Ji Yoon Park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6 No.-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읽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사례연구와 관련된 것이다. 다문화가정의 주요 구성원(어머니와 그 자녀)에 대한 관찰, 분석, 심층 면담을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의 어머니는 한국어 능력이 크게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대체로 자녀의 교육에 관여를 하고 싶지만, 자신의 한국어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아 자녀의 교육을 돌볼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읽기 지도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들은 일정 부분 그 어머니의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어휘에 있어서 어휘의 양이 부족한 것도 있으나, 고유어, 동음이의어, 관용 표현 등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한국의 문화를 알아야 이해할 수 있는 관용 표현에 대해서 어려워하고 있었다. 한 단락 수준의 중심내용 파악과 관련하여서는 대체로 "화재+평언" 형태의 거시명제 구성에는 큰 어려움이 없었으나, 개인적인 관심에 따라 생략 가능한 세부 정보들이 추가되고, 오히려 필수적인 구체적 정보는 생략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급증하는 다문화시대 속에서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그들에 맞는 교육을 통해 읽기를 잘 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비록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제한적인 사례연구이긴 하나,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겪는 읽기에서의 어려움을 파악하였고 어머니의 사회·문화적 변인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에 대한 국어교육 관련 연구와 관련하여 어휘력, 독해력, 읽기 능력과 사회·문화적 배경 등을 중심으로 한 국어 이해 표현 능력에 대한 좀 더 광범위한 조사가 요구된다. 또한 전술한 "험프티 덤프티 갭"에서와 같이 사회문화적 문식성의 기저에 해당하는 사회문화적 지식은 모어 화자의 수준에 동일하게 도달하기 어려운 측면이 존재한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읽기 지도에서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하면서 다문화 문식성 교육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n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reading abilitie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We had an interview with 8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heir parents. Most of the parents ha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in Korean, so they had a great limitation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s studying. The students had some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due to the lack of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in particular Korean vocabulary, proper words, homonym and idioms. The students generally accomplished to wite a summary in the form of "Topic and Comments", but sometimes they had mistakes such as omitting main points or adding unnecessary detail informations. We observed some student`s lack of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during their reading texts, we named it as "Humpty-Dumpty Gap" in this paper. The gap is an obvious obstacle in reading comprehension. So when teachers try to teach reading for the student, they need a careful intention regarding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 KCI등재후보

        한국 통일문화의 다문화적 접근

        임채완,정소영 대한정치학회 2014 大韓政治學會報 Vol.22 No.1

        한국 사회는 이미 ‘단일민족국가’에서 벗어나 급속히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한반도의 통일담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서 최근 한국 사회의 화두가 되고 있는 다문화담론이 한반도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활용될 것인지에 주목하여 접근하였다. 구체적으로 다문화시대 통일 한반도를 대비한 남북한 통일문화의 중요성을 인식 하고 통일문화의 다문화적 현상과 그 실천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는 통일 후 많은 사회내적 갈등이 표출되었던 독일의 사례에서 통일문화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통일이란 국가기구나 영토와 같은 외형적 통합뿐만 아니 라, 통일문화를 바탕으로 한 진정한 사회내적 통합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사 례이다. 최근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통일 환경은 독일보다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왜냐 하면 다문화적 상황을 맞은 한국 사회가 통일 과정에서 남북한의 민족적 통일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이주자(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외국국적동포, 북한이탈주민 등)들을 통합해서 한반도 통일로 나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한국 사회가 다양한 배경을 가진 개인, 집단들 이 존재하는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이들을 어떻게 포용하고, 통합해 갈 것인가 하는 것이 통일담론의 중요한 의제로 설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상황들이 고려 된 새로운 통일문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통일문화의 다문화 적 현상인 통일주체의 확장, 통일에 대한 유연한 사고, 사회통합의 다문화적 수용을 살펴보고, 통일문화의 다문화적 실천적 과제인 남북한 문화교류 협력 강화, 다문화적 통일교육의 활성화, 사회갈등 조정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무용에서의 문화다양성 교육의 가능성

        서예원 한국초등체육학회 201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무용의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소극적 적용을 반성하며, 적극적 의미의 다문화교육으로서의 문화다양성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무용을 통한 문화다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목표는 움직임 표현과정에서 인지, 정서, 감각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문화적 감수성을 기르고 문화적 공존을 실천하는 것이며 그에 따른 구체적 목표가 제시되었다. 교육내용의 선정은 2009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초등학교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이 적용되었다. 그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 표현을 통해 타인과 의사소통하고, 개성을 존중하고, 소통하는 무용의 기본 원리를 사용하여 다양성, 문화이해, 평등성, 반편견, 협력, 정체성 등의 개념을 포함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제시되었다. 교수방법으로는 즉흥창작, 시각 자료의 활용, 토의 및 토론 학습 등이 사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as a positively multicul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this, The Dance Program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was suggested in base of National Curriculum for fifth and sixth grades. Therefore the purpose and validity of the program were suggested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based on 2009 reform curriculum and elementary multicultural education concepts. Improvisation, visual materials and discussion were suggested as a teaching methods. The Dance Program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means the practice of positively multiculural education for both the minority and the majority. So far, the existing dance program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were composed of the understanding about Korean culture or the experience of foreign dances. From now on, the Dance Program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will investigate the harmony with life as a common community through communication, concord, comprehension, reception and mutual reliance between diverse groups and cultures.

      • KCI등재

        논문(論文) :19세기 말 독일 프로테스탄트의 반(反)가톨릭 “문화투쟁”

        김희영 ( Hee Young Kim ) 대구사학회 2015 대구사학 Vol.120 No.-

        최근 몇 십년간, 비스마르크의 ‘문화투쟁’에 관한 역사적 평가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블랙번(David Blackbourn), 엔드슨(Margaret Anderson), 베커(Winfried Becker) 등이 지적했다시피 1871년의 독일 통일 이후 민족 자유당의 가장 중요한 의제가운데 하나가 독일사회의 프로테스탄티즘으로의 ‘문화적 전환’이었다. 즉, 독일사회의 소수 집단가운데 상대적으로 수적 비중이 가장 높았던 가톨릭 진영에 대한 ‘문화투쟁’이 민족 자유당의 가장 뚜렷한, 그리고 가장 단호한 정치노선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독일 프로테스탄트 진영의 문화투쟁은 궁극적으로는 독일의 가톨릭 신자들을 프로테스탄티즘에 동화시키려했던 민족 자유당의 정치적 시도였다. 이러한 ‘문화투쟁’은 민족주의적 그리고 자유주의적 프로테스탄트들이 정치적, 사회·경제적, 그리고 도덕적 진보라는 전망 아래서 시대에 뒤떨어진 종교체계의 해체를 염두에 두고 전개되었던 문화적 차원의 가톨릭 척결운동이었다. 결국 프로테스탄트와 가톨릭 사이의 종교적 갈등은 궁극적으로는 독일 민족의 삶의 방식에 관한 것이었고,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문화투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프로테스탄트의 문화투쟁’을 ‘세속화’(secularization)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민족주의적, 그리고 근대주의적 맥락에서 재평가해 보려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신조주의(confessionalism)가 지니는 ‘도구성’(extrinsic orientation)에 주목하며, 문화투쟁을 독일 제2제국의 사회·문화적 관계망 속에서 해석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자유주의, 민족주의적 이데올로기로 무장한 프로테스탄트의 문화투쟁이 그들의 ‘민족주의적, 그리고 근대주의적 전망’과 그들이 가톨릭 탓으로 돌렸던 ‘후진성’ 사이의 충돌이었음을 규명한다. 즉, 문화투쟁은 자유주의적 중산층 프로테스탄트들이 프로테스탄트 문화를 독일의 고급문화로 인식했고, 새로운 민족의 정신적 성숙을 위한 근원으로 간주하려 했기 때문이었던 것이다. 그 이유는 프로테스탄트 문화가 민족주의적일뿐만 아니라 진보적이기 때문이었다. 1870년대에서 80년대에 이르기까지 독일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이른바 ‘가톨릭 후진성 논쟁은 이렇듯 프로테스탄트의 민족주의적, 근대주의적 전망에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In recent decades,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s of the Kulturkampf has entered a new phase. From the early 1980s, David Blackbourn, Margaret Anderson, and others have argued not only that cultural transformation was a fundamental part of the National Liberal Party`s agenda, but that the Kulturkampf was its clearest and most determined manifestation. Once dismissed as part of Bismarck`s inscrutable political strategy, the Kulturkampf is now viewed as evidence of National Liberalism`s attempt to assimilate forcibly the large German Catholic minority into the culturally Protestant bourgeois identity envisaged for the German empire. This article is to trace in context of socio-cultural transformation the distinctiveness of Liberals and Protestant`s anti-Catholicism in the late 19th-century Germany. To trace this distinctiveness,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Protestant discourse about the negative effects of Catholicism on political, cultural, economic, and intellectual life. Also this article will suggest ways in which the Protestant discourse was distinctive, specifically in its emphasis upon economic culture and in the quality of its analysis. Although Bismarck ‘Kulturkampf’ had begun as a church-state conflict over schools and climaxing in nationwide anti-Catholic legislation in the 1870s and 1880s, Protestant`s Anti-Catholicism became literally "a struggle for culture," a conflict between Protestant liberalism and Catholicism that Catholics viewed as a "state-decreed attempt to Protestantize" them, and liberal Protestants saw as the dismantling of backward religious institutions "in the name of material, social and moral progress." At stake for both sides was "a way of life." Long after Kulturkampf legislation had been officially dismantled, the persistence of militant anti-Catholic Protestant organizations meant that Catholic solidarity was still seen as necessary. For the liberal Protestant-educated middle classes, it was obvious that high German culture was Protestant. Protestant culture was considered by many Germans to be a source of spiritual nourishment for the new nation because it was nationally oriented and progressive. It was imbued with a "masculine" vitality and was conducive to material progress and national greatness. Catholicism, by contrast, was believed to be a dark and powerful force that hindered German progress. Unmoved by the light of reason, a malevolent priestcraft was accused of brainwashing Catholics by shrouding them in a world of magic and mystery, rendering them intellectually and spiritually depen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