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 재고

        정은실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은 어떠했는지를 반추해보기 위해 그동안 우리나라 초등학교 문제해결 지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문제해결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 현재까지 문제해결이 계속 강조되어 왔으나,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6차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교육이 양적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다가 그 이후 조금씩 약화되고 있으며,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교육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해결을 통한 지도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of teaching mathematics problem solving in Korea's elementary school through an analysis of mathematics curricula and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roblem solving had been emphasized continually from the 4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However, contents in their textbooks did not reflect the intent of the mathematics curricula properly. And amount of contents related to teaching about problem solving in the textbooks reached the peak in the 6th mathematics curriculum. Then teaching about problem solving had been weakened gradually. And it is also revealed that there had been a movement to change to teaching for problem solving in the textbooks of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a. Teaching via problem solving had not been carried out appropriately so far.

      • KCI등재

        사회과 수업에서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웹 자료 읽기를 통한 의미구성

        최병모,박길자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3 사회과교육 Vol.42 No.4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에서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웹 자료 읽기를 통한 의미구성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사회과 수업에서 웹 자료가 가지는 의의와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웹 자료 읽기를 통한 의미구성 방안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제의 사회과 수업에서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웹 자료 읽기는 수업의 어떤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의미구성은 어떻게 진행되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웹 자료 읽기 수업은 교과내용에서 고려되는 지식에 기초해서, 실제의 사회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해 갔다. 그 과정은 '문제영역→문제확인→문제집중탐구→결론의 도달'이라는 문제해결의 절차를 따라 진행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외시적 의미, 함축적 의미, 신화적 의미를 구성해 갔다. 이때 학생들은 찬반글쓰기나 토론과정에서 특정한 가치를 선택함에 있어서 인지적 혼란을 경험하지만, 오히려 그러한 인지적 혼란을 통하여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find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through web-based text reading which is used as a process of problem solution in social study instruction. First, the meaning of web-based text will be discussed. Second, meaning construction through web-based text reading as a process of problem solution is examined, followed by characteristics found in real social study instruction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class of web-based materials and meaning construction as a process of problem solu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context of class of web-based text reading is characterized as meaning construction, in which students understand social context through searching for real social problems, rather than searching for knowledg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curriculum.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follows a regular procedure of problem solution 'problem area, checking problems, intensive searching for the problems, arriving at the conclusion'. In this process, students understand sociocultural context through the meaning construction of denotation, connotation, and myth. It is particularly found that students are involved in meaning construction more actively through writing about pros and cons and debating even though students experience some intellectual confusion by such activities.

      • KCI등재

        전기회로 문제해결에서 전문가와 초보자의 사고 과정 분석

        김태훈,조한진,강보선 한국기술교육학회 201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purpose of training electrical engineering professionals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thinking process of experts and novices in resolving problems occurring in electric circuits. Four professors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seven university students who had taken a subject on electric circuit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experts and novices respectively.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solve electric circuit problems with differing levels of complexity of high, medium, and low, using the think-aloud protocol.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participants was recorded with a tablet PC and a video camera. The recording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thinking process based on the codes of problem-solving processes. The coding was done using InterAct 8.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identified as follows. Firstly,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time required for each stage of problem solving were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problems. With high-complexity problems, the novices showed a higher frequency and required more time for understanding (U) and evaluation (E), whereas the experts for planning (P). With medium-complexity problems, the novices showed a higher frequency and required more time for evaluation (E), whereas the experts for planning (P). With low-complexity problems, the novices showed a higher frequency and required more time for planning (P), whereas the experts for understanding (U) and evaluation (E). Secondly,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time required for each problem solving activity were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problems. With high-complexity problems, the experts showed a higher frequency and required more time for specifying the circuit (U4), confirming the applied method (P1), and doing mathematics (C3), whereas the novices for reading the problem (U1), specifying the problem (U3) and evaluating the solution (E4). With medium-complexity problems, the experts showed a higher frequency and required more time for confirming the applied method (P1), transforming the circuit (C1) and evaluating the solution (E4), whereas the novices for doing mathematics (C3) and evaluating the mathematical process of problem solving (E3). With low-complexity problems, the experts showed a higher frequency and required more time for specifying the circuit (U4), transforming the circuit (C1), doing mathematics (C3), evaluating the problem at hand (E1) and evaluating the solution (E4), whereas the novices for reading the problem (U1) and confirming the circuit (U2). 이 연구의 목적은 전기회로 문제 해결에서 전문가와 초보자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여 그 차이를 구명하고, 전기공학 분야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전기공학 전공 교수 4명과 전기회로 과목을 이수한 대학생 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 4명은 전문가로 분류하였으며, 대학생 7명은 초보자로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은 주어진 상, 중, 하의 난이도를 가지는 전기회로 문제를 개별적으로 발성 사고법을 통하여 해결하였다. 전기회로 문제의 해결 과정은 Tablet PC와 비디오 카메라를 활용하여 녹화하였다. 녹화된 영상은 문제해결 과정 코드에 기반한 문제해결 사고 과정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녹화된 영상에 대한 코딩은 InterAct 8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한 전기회로 문제 해결에서 전문가와 초보자의 사고 과정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회로 문제 수준에 따라 전문가와 초보자는 문제해결 단계별 수행 빈도 비율과 소요 시간 비율이 서로 다르다. 문제해결 단계에서 난이도에 따라 ‘상’ 난이도에서 초보자는 이해 단계(U)와 평가 단계(E), 전문가는 계획 단계(P), ‘중’ 난이도에서 초보자는 평가 단계(E), 전문가는 계획 단계(P), ‘하’ 난이도에서 초보자는 계획 단계(P), 전문가는 이해 단계(U)와 평가 단계(E)에서 더 많은 빈도를 나타내고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기회로 문제 수준에 따라 전문가와 초보자는 문제해결 활동별 수행 빈도와 소요 시간이 서로 다르다. 문제해결 활동에서 난이도에 따라 ‘상’ 난이도에서 전문가는 회로 구체화하기(U4), 적용 방법 확인하기(P1), 수학식 전개하기(C3)에, 초보자는 문제 읽기(U1), 문제 구체화하기(U3), 도출된 답 평가하기(E4)에, ‘중’ 난이도에서 전문가는 적용 방법 확인하기(P1), 회로 변형하기(C1), 도출된 답 평가하기(E4)에, 초보자는 수학식 전개하기(C3), 수학적 문제 해결과정 평가하기(E3)에, ‘하’ 난이도에서 전문가는 회로 구체화하기(U4), 회로 변형하기(C1), 수학식 전개하기(C3), 주어진 문제 평가하기(E1), 도출된 답 평가하기(E4)에, 초보자는 문제 읽기(U1), 회로 확인하기(U2)에 더 많은 빈도를 나타내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설계과정(Design Process)을 통한 문제해결과정에서 브레인스토밍의 역할

        유재영,최준섭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3

        이 연구는 학생들이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을 과정에서 브레인스토밍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한 현장사례 연구이다 . 사례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문서자료(학습활동지, 서술형 설문지, 설계과정자료[스케치, 구상도, 부품도 ])를 살펴보았고, 질적조사(qualitative research) 방법 중에 하나인 문서자료를 의존함으써 발생할 수 있는 부족함을 보완 하기 위해 학생들과 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 값은 아래와 같다. 첫째, 브레인스토밍이 활발하게 나타나는 시기는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한 초기단계와 제작을 통해 문제의 조 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투석기가 제작된 시기였으며, 브레인스토밍의 문제해결 기여정도를 살펴본 결과 A팀은 85%, B팀은 74%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브레인스토밍은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소단위 문제해결과 중단위 문제해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 또한 브레인스토밍과 설계과정의 하위 영역인 제작(실험, 관찰, 측정)과정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제작실패로 인한 원인분석, 제작 오류로 인한 재설계, 문제의 조건을 만족 시키지 못할 경우 상위단계로 피드백 작용을 하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 This study is a field case study of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 in the course of design in order to identify the role of brainstorming in the design process. The study reviewed documents prepared by students, such as activity worksheets, essay-type survey papers, works and their photos, student activity photos and other design data (sketches, conceptual drawings, part drawings), while conducting interviews with students to supplement its dependence on document revie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brainstorming process occurred most actively in the beginning step when students first spotted a problem and tried to come up with a solution, as well as when they completed the making process with a catapult that did not meet the conditions of the problem. In terms of how contributive the brainstorming sessions were to problem solving, it was observed that brainstorming influenced th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the percentage of eighty five for team A, and seventy four for team B. Second, brainstorming played roles in both small unit and medium unit problem solving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design process. Furthermore, brainstorming as part of the design process and making process, which is the lower domain of the design process (experiment, observation, and measurement), influenced each other by feed backing to the previous step when conditions of the problem failed to meet, and when redesigning was executed due to idea design, quality of catapult, cause analysis, and production errors.

      • KCI등재후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서)

        김수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eight 5-year-old children in kindergarten “H” in Gyeongju, Kyungsang Province. The eight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hich lasted for 14 weeks. During this time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were videotaped, and all dialogues were transcribed. The tests used were Young-Chai Kim's (2002) translation of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as scored with Hennessey & Amabile's (1988) problem solving ability. The results: 1.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2.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the participant's activities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는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8명이었으며, 창의적 사고의 측정은 Torrance의 창의적 사고 검사 중 언어검사 한국판(김영채 역), 문제해결 능력의 측정은 Hennessey와 Amabile(1988)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Isaksen과 Treffinger(1992)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본 연구자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으로 재구성하여 14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점수가 높은 유아들은 창의적 사고 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유아들은 창의적 사고 점수 역시 사전 보다 사후에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의 참여정도는 창의적 사고와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집단 구성원의 창의성 유형이 문제 유형에 따라 문제해결 과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가람 ( Garam Lee ),조규락 ( Kyoo-lak Cho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 문제해결 상황에서 구성원의 창의성 유형이 문제 유형에 따라 문제해결 과정 및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성 유형별 집단에게 상이한 유형의 문제를 제공하여 문제해결 활동을 실시하였고, 이들의 문제해결 과정과 문제해결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단 구성원의 창의성 유형은 문제 유형에 따라 문제해결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은 담화의 패턴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은 집단 구성원의 특성과 집단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속성에 따라 집단의 상호작용 과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집단 구성원의 창의성 유형은 문제 유형에 따라 창의적 문제해결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의성의 가장 주요한 속성 중 하나인 새로움 측면에서 문제 유형별로 상반된 성과를 나타냈는데, 기획 문제해결에서는 혁신적 유형 구성원 집단이 적응적 유형 구성원 집단보다 성과가 높았으나, 인지갈등 문제해결에서는 적응적 유형 구성원 집단이 혁신적 유형 구성원 집단보다 성과가 더 높았다. 이는 집단 문제해결에서 구성원의 창의성 유형 및 문제 유형이 상호관련성을 가지면서 창의적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집단 문제해결의 과정적 측면과 결과적 측면을 함께 면밀히 탐구하여, 집단 문제해결에서 구성원의 특성과 당면한 문제의 특성에 따라 창의적 문제해결의 과정과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creativity type 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problem type in a group problem solving situ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provided different types of problems to the groups, executed problem solving activities, and analyzed their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problem solving outcome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affected group member's problem solv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blems. Each group showed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discourse, which means that the process of group interaction can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members and the problem they are solving. Second, the creativity type of group members influenced creative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problem type. Especially, in terms of novelty that is one of the significant attributes of creativity, the opposite result showed according to the problem type. That is, innovative type group showed higher performances than adaptive type group in problem solving planning process, while adaptive type group was more effective in solving cognitive conflict problem. It means that group creativity type and problem type interrelates and affects member's creative problem solving. Since the study thoroughly investigated both process and outcome of group problem solving, it is very suggestive in that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outcome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and the problem type in the group problem solving.

      • KCI등재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의 문제해결 과정 분석: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차이

        임규연 ( Kyu Yon Lim ),김주연 ( Joo Yeun Kim ),김혜준 ( Hae June Kim ),김영주 ( Young Joo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양과 순서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습자간 상호작용 내용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자간 상호작용 메시지를 Poole과 Holmes(1995)가 제시한 문제해결 기능에 따라 6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내용을 분석(Content Analysis)하였다. 그 후 그들의 연구에서 사용한 8가지 문제해결 단계로 재분류하여 내용을 패턴화하였다. 집단별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양과 순서 모두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분석(PA) 패턴이,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해결안 도출(SD)이 빈번히 나타났다.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에서는 문제해결과정 조정(OO) 후 문제분석(PA)으로의 이동한 경로가 많았던 반면,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해결과정 조정에서 해결안 도출(SD)의 경로가 빈번하였다. 이는 학습초기에는 문제 표상 및 해결안 탐색을 촉진하는 지원적 스캐폴딩을, 학습 후기에는 지식을 공유하고 협의하는 과정을 촉진하는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을 질적으로 탐색함으로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 학습환경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two groups in terms of the amount and the sequences in web-bas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e two groups were provided with different types of scaffoldings. A content analysis framework suggested by Pool and Holmes (1995) was used to analyze communication patterns for problem solving process. The results showed differently for two groups both in the amount and the sequences. Students provided with supportive scaffoldings went through Problem Analysis (PA) patterns most often in their communication, whereas students provided with reflective scaffoldings frequently showed Solution Development (SD) patterns. In terms of sequences, it was the most frequent path from Orientation (OO) to Problem Analysis (PA) in the supportive scaffolding groups. On the contrary, it was the most frequent path from Orientation (OO) to Solution Development (SD) in the reflective scaffolding groups. By explor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proces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on designing efficient web-base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안전에 관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이 유아의 안전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에 관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안전에 관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경주시에 소재한 Y 유치원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곽은복(2000)의 안전문제해결사고검사를 통해 가장 높은 점수와 낮은 점수 12명을 제외한 18명을 두 집단(실험·비교)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10주간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유치원 활동에 참여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안전문제해결 수행능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10주간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질적 분석하였고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Mann-whitn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성적학대 안전, 안전하게 놀이하기, 화재안전에 대해서는 논리적이고 적절하게 문제해결을 수행하였지만, 낮선사람 안전, 환경오염 안전에서는 적절하게 문제를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전에 관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은 유아의 안전문제해결 능력 및 안전문제해결 능력의 하위요인(운동안전, 낯선사람 안전, 성적학대 안전, 화재안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안전에 관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은 유아의 안전문제해결 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고, 유아들에게 낯선사람 및 환경오염 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Aiming to provide appropriate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developing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ies about safety, this study assesses the effec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children's safety picture-books on the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kindergarten children.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eighteen 5 year-old children enrolled at "Y" kindergarten in Gyeongju.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test scores on Kwak, Eun Bog's (2000) Safety Problem-solving Thinking test. Each group had 9 children, one group was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E) and the other as the comparative group (C). The experimental group (E) was video taped for ten weeks while they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in order to document response patterns and assess quality of performance.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data were analyzed with "the "Mann-Whitney U Test".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1. The children logically solved problems in the programs' safety subsets of sexual abuse, safety in play, and fife safety. But they were unable to solve problems in the safety subsets of stranger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2.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safety picture-books has enhanced safe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afety problem-solving ability's sub-factors :movement, strangers, sexual abuse, fir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safety picture-books wa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safe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afety education. However, the findings with regard to the difficulty most of the children had in safety problem solving in the subsets of stranger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strongly suggest that more systematic and didactic safety instructions are necessary in these area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팀 문제해결 학습에서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문제해결 과정 분석

        박수진,최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발명영재가 구조화된 문제, 중간 구조화된 문제, 비구조화된 문제 등 문제의 구조 화 정도에 따른 팀 문제해결 학습에서 문제해결 과정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여 규명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 서는 초등학교 발명영재교육에서 학생들의 팀 내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수업 전략을 추출하고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팀 문제해결 학습 모형(박수진, 2013)을 초등 학교 발명영재학급 수업에 적용하여 발명영재 학생들이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 서부교육지원청 산하 G초등학교 발명영재 학급 5학년 학생 중 선발 과정에서의 팀 간에 입학 성적을 기준으로 동질한 3개 팀을 구성하여 12명을 최종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설계는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팀 문제해결 학습을 독립 변인으로 하여 일주일에 2시간 씩 6주간 총 12시간 동안 실시하여 촬영한 동영상 18개에서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초등학교 발명영재는 팀 문제해결 학습에서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라 문제 확인, 정보 수 집, 해결방안 탐색, 해결방안 선정, 구체적 계획, 실행(모형 제작), 평가 및 정리 중에서 정보 수집 단계와 모형 제작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팀 문제해결 학습에서 구조화된 팀 문제 해결 학습(WS-TPSL)은 정보 수집 단계의 빈도는 낮은 편이나 특히 모형 제작단계에서는 그 빈도가 비구조화 된 팀 문제해결 학습(IS-TPSL)에 비해 높았다. 이는 발명영재학생들이 구조화된 팀 문제해결 학습(WS-TPSL) 는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사고 활동을 하기 보다는 순서에 따라 모형을 제작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고 차원 사고를 하기 보다는 제시된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만드는 데 주된 활동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aged inventive gifted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in regards to three levels of problem structuralization(well-structured team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rately-structured team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and poorly -structured team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To implement this study, three models of TPSL(team-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based on the level of problem structuralization were used to encourage creative thinking and interaction between team members. This research analyzed how the problem solving process was different among the levels of problem structuralization; WS-TPSL, MS-TPSL and PS-TPSF. 12 fifth grade students in three same-leveled teams according to their test scor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s program based on different levels of problem structuralization was implemented during a science camp for inventive gifted students at G elementary school for two hours a week over the course of six weeks(A total of 12 hours). After video recording the classes, the problem solving process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two qualified resear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how students solve problems differently based on the structure level of team problems(WS-TPSL, MS-TPSL and PS-TPSF). The process of TPSL is as follows; defining a problem, collecting data, brainstorming problem solving strategies, Choosing a strategy, Creating a specific plan, Implementing the plan, evaluating the results and reflecting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form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implementation (making model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