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전수교육에 대한 고찰-복식 관련 전통기술을 중심으로-

        이민주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6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items which has been listed as 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field of clothing. The study thoroughly reviewed the titl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ried to suggested how the transmission training should be headed. In the circumstances that there are barely any studie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field of clothing, I hope this study can provide the beginning to discuss the future valu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erson who hold the traditional artistic craft which is lis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n be categorized as 2 group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ing making the gat, there are 17 listed items o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stead, there are 35 listed items in the 18 field of the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ue to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Secondly, the study found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named in 3 ways. The titles were granted on the people who hold the tradition artistic craft as a Chimseonjang or a Nubijang, or on the craft skill itself as Hansan Mosi Jjagi or Gokseong Dolsillai, or on the process that makes the traditional artcraft as Gannil and Guanmo-gongye. With regar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cultural heritage the title could be named follow either the person or the skill itself. However, there are some titles that need sensibility of time. For example, If the the title ‘Lai’ of the Dolsillai would change into ‘Jjagi’, which is universally used as the title of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would be helpful to grow the understanding of heritages. Thirdly, It seems that the local goverments support is not enough for the people who hold and try to succes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regard to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re are honor heritage retainer, retainer and training assistant and they are all on the list managed by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s hard to find people who hold the skills besides official retainers and honor retainers. This study suggest that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r Korean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register skill holders’ name to inspire their self-confidence who protect and develop traditional artcraft skills. At last,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re are 15 training centers nationally. The centers usually operate the training course in 2ways –transmission education and hands-on education and most of their courses were focused on hands-on training aimed at general public. Devol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n retainer’s private training seems impossible to conserve and transmit traditional heritages. As such, this study recommend administration establish the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 with systematic training course.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복식 관련 무형문화재 지정종목에 대해 조사하고, 각각의 명칭이 올바른지 살펴본 후 전승관계를 통해 전수교육의 나아갈 바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지금까지 복식 관련 무형문 화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앞으로 무형문화재의 미래가치를 새겨볼 수 있는 논 의의 단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복식 관련 무형문화재의 종목, 명칭, 전승현황 및 전수교육에 대해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식 관련 공예기술을 보유한 무형문화재는 크게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로 구분한다. 먼저 국가무형문화재는 갓일을 비롯해 17종목에 17건이 지정되었으며, 시·도무형문화재는 18종목에 36건이 지정되었다. 이는 각 시·도별 특성을 반영하여 보유자를 지정한 결과이다. 둘째, 무형문화재의 명칭은 침선장, 누비장 등과 같이 기술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여하는 방법, 한산모시 짜기, 곡성의 돌실나이 등과 같이 기술 자체에 부여하는 방법, 갓일이나 관모공예와 같이 공예품 자체를 만 드는 과정에 부여한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특징을 살려 장인에게도 기술에도 명칭을 부여할 수 있 으나 현재성이 결여된 명칭에 대해서는 재고가 필요하다. 즉 ‘나이’는 피륙을 짜는 일이므로 시·도무형문화 재에서 사용하고 있는 ‘짜기’로 통일함으로써 종목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셋째, 무형문화재의 전승현황을 보면, 국가무형문화재는 명예보유자, 보유자, 전수교육조교, 이수자의 전 승체계를 이루고 있고, 문화재청에 전승자로 등록되어 있으며, 이들에게는 국가 차원의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시·도무형문화재는 보유자나 명예보유자 외에 공식적으로 등록된 전수자를 찾을 수 없다. 이 는 시·도무형문화재 전수자의 관리주체가 지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도무형문화재 전수자 역시 전통 기술을 배우고 전수한다는 자긍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므로, 각 시·도 지자체 홈페이지나 전수교육기관에 그들의 이름을 등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현재 전국에 분포된 복식 관련 전수교육관은 2019년 현재 15곳이다. 이곳에서는 전수교육과 체험교 육의 두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대체로 체험교육에 머물러 있다. 특히 무형문화재를 문화제 속 축제로만 활용한다든지, 무형문화재 보유자 개인의 전수교육에 의존하는 것만으로는 더 이상 무형문화재 보전 및 전승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문 전수교육관을 설립하여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축하 고, 공교육을 통한 전수자를 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무형문화재 전수자의 전수교육 경험 연구

        박성호 영남춤학회 2019 영남춤학회誌 Vol.7 No.2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Initiators' Experiences of Education of Traditional Dance - focused on "Dongrae Hanryang Dance"- Park, Sung-Ho (Park Sung-Ho Dance Comp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the initiators who are practicing Dongrae Hanryang dance(a maledance performed by a noble man in partyrooms), one of the intangible cultural treasures in Busan, and to illuminate the essential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with a phenomenological method. To attain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analytical method of Colaizzi's descriptive phenomenology is applied in this study.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initiators of Dongrae Hanryang dance, which is the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4. They are 7 men over age 35, who consented to this research. For the data collection, meetings prior to interviews and depths interview meetings were conducted with research participants, from January to May in 2018. The five themes derived from training experiences of Dongrae Hanryang dance are as follows: First, training-education of Dongrae Hanryang dance is aiming at its preservation and succession. Second, initiators have thought that its original form and cultural value should be shared with people. Third, a comprehensive system of the training course should be taken. Forth, a management of the promotion review should be changed to take a systematic training course of Dongrae Hanryang dance. Last, supports for training of Dongrae Hanryang dance should focus on how to improve the education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characteristics that have shown in training environment and training courses of the intangible cultural treasures through research findings that analyzed initiators' vivid experiences in the training course of Dongrae Hanryang dance. 본 연구는 현상학적인 연구방법을 동원하여 무용분야의 시.도 지정 문화재인 부산의 동래한량춤 전수자들이 무형문화재 전수활동을 통해 경험하는 내용을 기 술하고 그 경험의 구조와 본질적 의미를 드러내어 전통춤 분야의 무형문화재 전 수과정의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동래한량춤 전수자들은 전수교육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둘째, 동래한량춤 전수경험의 구조와 본질은 무엇인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Colaizzi의 기술적 현상학의 분석방법을 적용하 였다. 현상학적 방법은 연구 참여자의 경험 분석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찾아내는 데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무형문화재 제14호 동래한량춤 전수자들이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만 세 35세 이상 성인 남성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신들의 현재 경험을 구체적으로 진술할 수 있는 참여자와 심층면담 을 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 예정자들과의 사전 면담 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2018년 1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 하에 음성 녹음기를 사용하였고, 면담과정에서 참여자와 연구자의 의견을 교환 하기도 하고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반응과 생각, 느낌을 면담노트에 기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구성하는 16개의 중 심의미와 5개의 주제를 추출하였다. 이 중 다섯 가지 경험의 주제는, 동래한량춤 보존과 계승발전의 병행이 전수교육의 목표이며, 전수자들은 동래한량춤의 원형 과 문화적 가치를 공유해야 함을 느끼며, 전수과정의 종합적 체계를 잡혀야 하 며, 체계적 전수 교육이 가능하려면 승급심사 관리가 변화되어야 하며, 전수지원 도 교육프로그램 개선의 방법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첫째, 동래한량춤의 전수과정을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무형문화 재의 전수환경과 전수과정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의 남성 홀춤 인 한량춤의 전수과정을 통해 무형문화재 전수 환경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적 논의를 이끌어내었다.

      • KCI등재

        문화재청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의 인력활용 방안 -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

        김민경 ( Minkyung Kim ),김형남 ( Hyungnam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9 No.2

        최근 각 지자체가 설립하는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이 10년간 연평균 5개소 가량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문화재청은 전국 전수교육관의 운영에 있어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치하는 사업을 처음 실시했다. 이 사업은 국가무형문화재 이수자로서 문화예술교육사 2급 취득자를 대상으로 신청받아, 해당 지자체를 통한 복무 및 급여관리 등이 이뤄지고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직무역량강화 워크숍을 진행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에 따라 다목의 전수교육관은 1명 이상의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치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지자체가 개별적, 자율적으로 배치 사업을 신청할 경우에만, 그것도 승인을 받았을 때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정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문화예술교육사 배치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현장 관계자를 인터뷰하여 해당 사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현장에서의 실질적 문제점 파악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으로는 사업에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사와 직무역량교육담당자 등 총 8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약 2주 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가자당 2회에 걸쳐 메일과 전화로 질의응답이 이뤄졌으며 질문지는 인력수급, 계약형태 및 기간, 급여 및 복지, 역량강화교육, 네트워크구축 측면으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연구 참가자는 인력수급과 계약기간, 급여 등의 대부분 항목에서 불만족을 느끼고 있었고 이로 인해 연속되고 안정된 형태의 고용과 처우 개선을 원하고 있었다. 또한 정기적인 보수교육과 교육사 간 네트워크 구축으로 정보 교류 및 소통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Recently, the number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ining Centers established by each local government has increased by about 5 per year for 10 years. In relation with thi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irst implemented the project of arranging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o enhance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in the operation of training centers nationwide. This project is designed to receive an application from the persons who acquired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level 2 license and have completed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erforming service and salary management through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and conducting a job competency strengthening workshop at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However, even i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Act specifies the displacement of more than one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t the training center, it undesirable for each local government to Selection is voluntary, not forc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 total of eight people, including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job volume education managers, were interviewed by 1 phone call & 1 email per participant(About 2 weeks from July 2021). The researcher explained to them about manpower supply, contract type and period, salary and welfare, capacity building education, and network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pondents were dissatisfied with most of the items, including manpower placement, contractual terms and salaries, and wanted to improve employment and treatment in a continuous and stable type. They also respond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by establishing regular supplementary education and network between educators.

      • KCI등재

        지역 전수교육관의 문화융합을 위한 공간 개선 연구

        이상희,전칠수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전수교육관의 대형화와 복합화 추세에 있어, 교육 외에도 방문객을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 다양한 문화생활 지원을 위한 복합화의 방법,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무형문화재 전수시설로서 공공성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많은 중소도시의 경우 무형문화재전수시설은 전반적으로 복합 화와 공공성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이 미비한 상태여서, 전수교육관의 활성화를 위해 개선이 더욱 절실하다. 따 라서 본 연구는 전수교육관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도권 및 광역권 등의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에 3곳의 전수교육관에 대한 방문조사를 통해 사용자 관점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건립과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전수교육관이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공공성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도록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programs for visitors as well as those for teaching, ways on how to make these halls a culture complex that can support diverse cultural activities for citizens, and strategies to increase their utilization for the public as an facility open to the community, given the trend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eaching halls are getting bigger and complex.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eaching halls of it is need to make improvements to the facility for their activ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as a collected information on their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to find ways for their activation from a user perspective by visiting thre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eaching halls except Seoul and large cities of metropolitan areas. We expect that findings from the study will provide a basis to set directions to mak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eaching halls a culture complex facility.

      • KCI등재

        중요무형문화재 전승자 명칭 및 선정에 관한 연구

        송미숙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9 No.1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전승자들의 명칭의 변화 및 선정에 따른 문제점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1.2차 사료의 각종 문헌들을 고찰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문화재 대표적 전승자인 ‘보유자(保有者)’ 명칭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문화재 보호법에 무형문화재 보유자라는 명칭으로 쓰이고 있지만, ‘보유자’라는 명칭은 법률적으로 규범 한 명칭일 뿐 실제적으로는 많이 쓰이지 않는다. 널리 알려진 ‘인간문화재’로 명칭을 바꾸어서 법률적으로 규범 하는 명칭과 실질적으로 쓰임이 큰 명칭과의 혼선이 없도록 무형문화재 보유자 명칭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무형문화재 전수교육조교의 명칭을 연수에 따라 등급별로 구분해야 된다. 무형문화재 보유자가 지정되면, 그 밑으로 보유자 후보, 전수교육조교, 이수자, 전수자 등의 등급별로 세분화 되었었던 초기와 다르게 보유자 밑으로 전수교육조교로 통일되면서, 여러 문제가 도출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년수에 따른 등급시험을 치를 것을 제안한다. 셋째, 이수자 선정에 대한 편파적 성향과 무분별한 이수증 남발은 무형문화재의 보존 및 전승에 대한 올바른 취지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보유자나 보유단체의 권력을 강화시켜 주고 있다. 이수자 선정을 공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선행된 체제에서 벗어나 문화재청이 주도하거나 자문을 구할 자문기관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전수교육조교 선정 시 보유자의 추천에 의한 기존의 추천제 방식에서 벗어나 자격이 되는 이수자가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대한 자격 조건은 공정하면서 체계적으로 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blems accompanying the change of titles for initiates along with the current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transmission. As the study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method of exploring various literary data on primary and secondary historical materials, and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First,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archetype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Not depending on archetyp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it is essential to think over how to preserve the archetypes, collecting reliable sources, and through which way to have them applied. Second,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holder (保有者),’ a representative initiate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 According to the cultural asset protection law, a title named as ‘a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is used, but since the title of ‘holder’ is only a legally named one, it is not broadly used in reality. This is the right moment to reexamine the title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order to get rid of the conflict between a legal name and a broadly used name by changing it into the title of ‘human cultural asset’ which is broadly well known, Third,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titles for the transmission teaching assistant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by the level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Different from the beginning that given a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designated, titles were divided into such as a holder candidate, a transmission teaching assistant, a finisher, a apprentice by their level in a descending order, the tiles were currently unified as a holder and a transmission teaching assistant, bringing about various problems. A minute classification of apprentice titles could prevent from pleas of conflicting problems rather than unifying them into ‘the transmission teaching assistant.’

      • KCI등재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과정 방향 제안: 좌수영어방놀이를 중심으로

        추나영 한국무용학회 2021 한국무용학회지 Vol.21 No.3

        이 연구는 무형문화재인 좌수영어방놀이의 전수교육을 중심으로 전수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진단하 고, 보다 효과적인 전수교육이 가능하도록 전수교육참여자들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적 방향을 탐색 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전승교육사 및 이 수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전수 교육의 문제점 진단에 있어서는 전수교육 일정 및 시간, 공연위주의 연습, 반성적 수업의 부재, 회원의 자질 부 족이 지적되었으며, 이에 의해 전수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의견을 모았다. 둘째, 이를 토대로 제시된 교육과정 개발 방안 요소로는 무형문화재에 대한 기본 지식 및 태도 형성을 위한 이론 교육, 전체적인 공연에 대한 안목 향상을 위한 공연관람, 전문성 강화를 위한 파트장 중심의 기간별 실습 후 배역 부여, 이수자 를 대상으로 한 교육방법론 교육 등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was to deduce problem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propose component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more effective transfer education in JwasuyungEobangNory. To do thi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education assistants and the completes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course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based on the intervie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were the incorrect training schedule and time for education, performance-oriented practice, the lack of self-reflection for classes, and the lack of membership & leadership. these were pointed out as the reason why effective classes were difficult. Second, the element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esented theoretical classes for studying basic knowledge and cultivation of their attitude, watching performances to enhance understanding performance, training under the leather of the part, and education of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서울굿을 중심으로 본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학습 방법의 의미

        홍태한 한국공연문화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learning methods for education to transmit the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ocusing on Seoul-gut. Recently, as the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as promulgated, ‘the archetype’ instead of ‘the prototype’ has become highlighted as a crucial axis for transmission. Although there are some controversies over the definition of the archetype among scholars, it is now possible for transmitters to make use of transformations rather freely being freed from strict orientation to the prototype to follow some fixed frame. Examining learning methods used in education to transmit mudang-gut, one of the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however, this author has found that the prototype is still emphasized or in the center of learning instead. Presenting learning methods employed for Hwanghaedopyeongsansonoreum-gut of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amijanggunsadang-gut of Seoul Special City’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Bonghwasandodang-gut as examples, this researcher intends to reveal the reality. In the recent situation that education centering around academies is being widely spread to transmit mudang-gut, setting forth the designation of some of the item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y are publishing articles on newspaper as an advertisement to encourage learning about mudang-gut. 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there are more and more shamans intending to learn mudang-gut coming to the society for preserving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y can, of course, perform mudang-gut on their own but come to learn it as there is no fixed or definite system for it. Even though the concept of the archetype was introduced, as now it is possible to learn the fixed frame through learning about the prototype regarding the item of mudang-gut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ose involved in shamanism are coming to it more and more. As transmitting the prototype rather deteriorated the liveliness of gut, those involved in shamanism are coming to it to learn about gut thinking that it is where they can learn the basic frame and also acquire more detailed knowledge about shamanism. Therefore, it is needed for the item of mudang-gut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accept the aspects of change and develop new methods of education to transmi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이 논문은 서울굿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전수교육 학습 방법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최근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면서 ‘원형’을 대신하여 ‘전형’이 전승의 중요한 축으로 떠올랐다. 전형의 개념에 대해 학자들 간에 논란이 벌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고정된 틀을 지켜야 하는 원형 중심에서 벗어나 전승자에 따라 자유로운 변개가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목 중 무당굿의 전수교육 학습 방법을 살펴보니 오히려 원형을 강조하거나 학습의 중점에 두고 있다. 국가 무형문화재 황해도평산소놀음굿, 서울틀별시 무형문화재 남이장군사당굿, 봉화산도당굿 등의 학습 방법을 예로 들어 이러한 실상을 제시했다. 최근 무당굿을 전수하는 학원식 교육이 널리 퍼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무형문화재로 인정된 여러 종목들은 무형문화재 지정을 앞세우면서 신문에 무당굿 학습을 알리는 광고성 기사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고에 호응하여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보존회에 와서 무당굿을 학습하려는 무속인도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자유로운 무당굿 연행은 가능하지만, 고정되고 분명한 무당굿의 체계가 없어 이를 배우러 오는 것이다. 전형 개념이 들어왔지만, 무당굿의 무형문화재 종목에서 실시하는 원형 중심의 학습을 통해 고정된 틀의 학습이 가능하게 되면서 이를 찾는 무속인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원형의 전승이 굿의 생동력을 떨어트리면서, 오히려 기본적인 틀의 학습이 가능한 곳이라는 인식, 구체적인 무속 지식을 배울 수 있다는 인식을 주어 여러 무속인들이 굿 학습을 위해 찾고 있다. 따라서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무당굿에서는 이러한 변화상을 수용하여 새로운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방식을 개발하여야 한다.

      • 무형문화재 공예종목의 현황과 과제

        장석,장경희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5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4 No.-

        1962년에 제정된 문화재보호법 아래에서 변화해온 무형문화재 공예 종목의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2015년 새로 제정된 무형문화재신법이 반 포되면서 공예종목의 지정, 보유자의 인정, 이수자의 전수 등의 향후 과 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무형문화재 공예종목의 지정을 개선해야 한다. 현재 공예기술 은 모두 보유자 개인의 1인 종목으로 국한되나 기술의 성격에 따라 여 럿이 참여하는 단체 종목으로 지정하거나 지역 공동체의 집단 문화유산 의 성격을 지닌 것은 ‘민속무형문화재’ 등 새로운 분류기준을 마련하길 제안한다. 둘째, 무형문화재 종목의 발굴과 조사 체제의 개선도 요구된다. 오랜 역사를 지닌 공예기술을 중심으로 근래 쓰임이 없어져 사라질 위기에 처한 종목들을 새롭게 발굴하도록 한다. 이러한 종목을 지정할 때 전통 사회에서 전승되어 오던 기술에 대한 연구조사를 선행한 이후, 해당 종 목 전체의 실태와 전승 현황, 전승자 유무 등을 사전 조사를 전국적으 로 수행한 후 종목지정과 보유자 인정을 하도록 제안한다. 셋째, 현행 법제의 지원시스템은 보유자 1인 독점이나 가족 전승 행 태를 개선하여야 한다. 아울러 현행 보유자 위주로 집중되는 지원체제 에서 차세대 미래 인재를 양성하는 방안으로 변화해야 한다. 그들 미래 보유자들이 자존감을 가지고 활동하는 프로그램을 늘리거나 ‘상박하후 (上薄下厚)’ 지원체제로 대폭 확대 개편하길 제안한다.

      • KCI등재

        무형문화재 전승사와 전수과정의 재이해: 교육학적 관점

        최성욱 한국교육원리학회 2011 교육원리연구 Vol.16 No.1

        자율성을 지닌 삶의 한 양상으로 교육을 개념화하면 이전에 간과했던 수많은 삶의 편린들이 교육학의 새로운 논의대상에 오르게 된다. ``무형문화재의 전승``이라는 주제는 그 중 하나이다. 무형문화재 ``전수교육``에 관한 기존의 입장은 ``문화전달을 위한 교육``을 강조하여 전승에 필요한 기능적 측면을 강조했기 때문에 교육의 실질적인 원리와 전개과정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하였다. 특히 ``원형 보존``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전수교육``은 기·예능의 재현을 위한 도구적 과정으로 치부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원형 보존``의 교의는 그 자체로 품위형성의 체험적 기반을 소홀히 할 소지가 다분히 있고, 그런 이유에서 단순 보존보다는 전수과정의 활력을 되찾는 것이 핵심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수준의 복원``에서 ``과정의 복원``으로 전환하는 일대 혁신이 필요하고, 국가의 지원도 그런 쪽으로 가닥을 잡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무형문화재의 발생과정을 단계적으로 매개하는 교육이 자리잡을 때, 무형문화재가 지닌 내재적 가치를 좀 더 여실하게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 기록화와 전수교육관에 대한 연구

        김지희,이영학 한국기록학회 2018 기록학연구 Vol.0 No.56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formless. It’s of importance to preserve heritage in line with society drastically being transformed. It’s passed down by human being. It is, on the other hand, impossible to preserv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olely based on memory, for it’s changed in succession. Thus, it be archived to pass down.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state of affair related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ations, examined the shortages thereupon. Furthermore, Training center should be in charge of documentation for a solution.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ttributed to the top-down documentation system by central administrative organ, to open up the possibility of viewpoint of different successors, organizations. In addition to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s should be of different aspects of community history. Featur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hich are convergent to the Regionality, tendency of variation, transmission, can be magnified when documentating. Finally, Training center is going to play a major role being vitalised. The record manage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and policies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highly complicated sinc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opened and the law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acted with its recognition attracted. Therewith this study wishes to see a cornerstone of record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laying stress on training center in which educations and pass-dow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lively achieved. 무형문화유산은 형태가 없는 문화유산을 말한다. 급격한 사회의 변화와더불어 무형문화유산의 보존은 더욱 중요해졌다. 무형문화유산은 사람을통해 전승된다. 그러나 온전히 사람의 기억에 의존하여 무형문화유산을보존할 수는 없다. 무형문화유산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이를 기록에 담아보존하고 전승해야 한다. 이에 현재 무형문화유산 기록화의 현황을 파악하고 한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전수교육관에서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를 제안한다. 전수교육관에서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는 첫 번째, 현재의 행정기관 위주의 하향식 기록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두 번째, 전승자와 보유단체의 관점이 담긴 기록화를 가능하게 한다. 세 번째로 무형문화유산 공동체의 역사와 정체성이 반영된 깊이 있는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를 할 수 있다. 네 번째, 무형문화유산의 전승성, 변이성, 지역성을 살려 기록화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이러한 전수교육관 기반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는 전수교육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무형문화유산법 제정과 국립무형유산원의 개원 이후 무형문화유산에관한 제도, 정책뿐만 아니라 무형문화유산 기록관리도 빠르게 고도화되었으며, 기록에 대한 인식 또한 높아졌다. 변화에 힘입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장 생생한 현장인 전수교육관에 주목하여무형문화유산 기록의 기반을 마련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