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학생 新HSK 4級 쓰기 偏誤 분석

        朴愛華(Park Ai Hua) 동아인문학회 2013 동아인문학 Vol.26 No.-

        新HSK 한국응시생이 2010년에만 53445명으로 해외 전체 응시생의 54.37%1)이며 응시생의 절반이상을 찾이 한다. 한국응시생의 평균성적이 해외 전체 응시생의 평균성적보다 조금 낮다. 본고에서는 新HSK 4級 쓰기의 1부분에서 그 원인을 찾아보았으며, 그 결과 특수문형인 存現文과 連動文, 無主語文에서 한국 응시생의 규칙적인 偏誤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存現文중 存在文 동사 뒤에는 時態조사 “著”가 부착되어 있어서 “著”를 동반한 동사는 文尾에 쓰이지 않는다고 여기기에 주술빈(主謂賓)순서를 비교적 정확하게 나열한다. 주어에 處所詞나 時間詞가 있다는 것만 알면 정확하게 순서를 나열하여 비문이 생기는 경우가 매우 적다. 隱現文은 순서 나열이 비교적 어렵고 비문이 많이 나타난다. 處所詞나 時間詞는 앞부분에 위치한다는 것은 판단이 정확하나 술어동사가 대부분이 자동사이고 또한 동사 뒤에 동태조사 ‘了’가 있는 경우가 많다 보니 ‘了’가 있는 동사 부분은 文尾에 위치해야 한다고 여겨서 隱現文은 비문이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중국어 隱現文을 한국어로 번역하면 목적어 부분이 한국어 주격 조사 ‘가, 이’로 번역 되어서 중국어의 목적어라고 생각 하지 않고 주어라고 판단해서 한국어 어순에 따라 순서를 나열해서 또한 비문이 나타난다. 連動文은 순서, 방식, 목적을 나타내는 세 가지 連動文을 주요하게 연구했다. 순서와 방식을 나타내는 連動文은 비문이 적고 목적을 나타내는 連動文은 비문이 많이 나타났다. 어떤 언어를 학습하더라도 無主語文은 하나의 돌파구라고 보아야 한다. 無主語文은 응시생들이 순서 맞추기 문제에서도 雪上加霜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비문의 어순은 모국어의 어순과 같으며 모국어의 영향을 받았음을 그대로 반영한다. 存現文, 連動文의 偏誤현상을 연구해본 결과 첫째는 중국어의 기본어순을 확실하게 알아야 하고 둘째는 存現文이나 連動文의 문형의 특성을 정확하게 알아야 하며 無主語文은 외국어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리고 모국어와의 다름 점을 잘 파악해서 모국어의 습관적인 표현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폴란드어 무주어 재귀구문과 -no/-to 구문의 수동성과 능격성 연구

        정정원(Chung Jung Wo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0 슬라브학보 Vol.25 No.3

        The Polish impersonal reflexives and ?no/to constructions are different from personal reflexives and passive constructions in some morpho-syntactic features. Above all, the Patient in these impersonal constructions has the oblique case, while the Patient in the passive and personal reflexive is promoted and obtains the nominative case. In addition, the Polish impersonal reflexives and ?no/to constructions do not allow the auxiliary verbs and the oblique case denoting the Agent. Therefore, they are classified as an active construction, which do not have grammatical subject, but imply indefinite agents. However, in these constructions the predicate is on the foreground and the Agent is on the background. The backgrounding of the Ag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emantic features of the passive construction. Therefore from a semantic point of view these constructions can be classified as a passive construction. The Polish impersonal reflexives and ?no/to constructions can be called as pseudo-ergative constructions, where the Patient is not marked morphologically. From the viewpoint of lexical ergativity, the Polish impersonal reflexives and ?no/to predicates can be derived from the unaccusative and unergative predicates. The Polish impersonal reflexives and ?no/to constructions came from old Polish passive constructions. In their transformation into the active construction, only the Patient obtained the oblique case, but its predicate remains similar to the passive predicate and the meaning of covert indefinite agent is added to the predicate itself. The impersonal reflexives and ?no/to constructions of the other Balto-Slavic languages, like Ukraine, North Russian dialect and Lithuanian, are in different stages of evolution to active construction. Therefore, the Polish impersonal reflexives and ?no/to constructions are the product of evolution, rather than the result of Sprachbund or the influence of Uralic languages.

      • KCI등재

        중세⋅근대 국어 계사 구문의 쟁점과 과제

        김건희 국어사학회 2021 국어사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중세⋅근대 국어 계사 구문 연구의 쟁점과 연구 성과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첫째, 계사 ‘이’의 문법적 범주 규정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는데, 특히 이현희(1991, 1994), 한재영(1996)에서 ‘서술격조사’로 규정한 것에 대해 중세 국어 명사문의 특징을 토대로 자세히 논의하였다. 둘째 계사 ‘이’의 기원형에 대해 이기문(1972), 김정대(2005)를 중심으로 후행하는 어미들의 교체 현상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셋째 ‘이다’와 밀접한 관련성을 맺는 ‘아니다’에 대해 부정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중세 국어에서부터 이미 용언으로 재구조화된 ‘아니다’를 부사 ‘안’이 후행하는 ‘이다’를 수식하는, 소위 단형 부정으로 분석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외형적으로 명확히 확인이 가능한 계사 구문과 연계된 통사적 관점의 구문, ‘무주어문, 분열문’에 대한 연구 성과를 주로 살펴보고 다만 의미적 관점의 구문으로는 주요 중세⋅근대 국어 계사 구문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된 ‘소유 구문, 존재 구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섯째 계사 선행 요소로 의존명사나 연결어미 형태가 올 수 있음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중세⋅근대 국어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중세⋅근대 국어에서도 계사에 다양한 부류가 선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이다’에 후행하는 형태에 대해 ‘이다’ 활용형으로 볼지, 아니면 조사로 볼지에 대해서는 두 부류의 논의가 있음을 보이고 통일해서 단일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부류와 일정한 기준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부류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s and research performances on the copular construction in the Middle and Modern Korean. First, the grammatical category establishment of ‘이’ is examined, in particular, the grammatical status of ‘이’ as the predicative case marker is discuss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NP-sentence in Middle Korean. Second, the prototype of copula is investigated focused on the alternation of ‘이’ following endings. Third, ‘아니다’ which had been reconstructed as predicates from Middle Korean cannot be analysed as ‘안+이다’(short negation form of ‘이다’). Fourth, the research performances of constructions related with the copular construction in the Middle and Modern Korean are examined such as subjectless sentence, cleft construction from the syntax and possessive construction, existential construction from the semantics. Fifth, ‘이’ preceding elements such as dependence noun or connecting ending in the Middle and Modern Korean are demonstrated. Sixth, two viewpoints on the category of ‘이’ following elements, (i) ‘이’ conjugated forms or (ii) grammaticalized particle are exhibited.

      • KCI등재

        ‘투성이’의 의미 및 형태·통사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

        홍정현,이동석 한국어학회 2022 한국어학 Vol.95 No.-

        ‘Tuseong-i’ first appeared in literature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originally meant a state in which a viscous material was covered with a surface, but the meaning was later expanded to mean a state in which a non-viscous material was covered and a state with abstract properties. Although the Korean dictionary classifies ‘tuseong-i’ as a suffix, if we analyze actual usage, ‘tuseong-i’ can be used alone or combined with a phrase, and saisiot is sometimes written between the antecedent word and ‘tuseong-i’. Therefore, ‘tuseong-i’ is grammatically judged to have the status of a noun. However, this change is already found in data from the 1920s. In addition, ‘tuseong-i’ can be misanalyzed from the predicate form, and ‘i’ is cut off and the form is changed to ‘tuseong’. And sometimes ‘tuseong-i’ forms a subjectless sentence by combining with the predicate form. ‘투성이’는 18세기 말에 문헌에 처음 등장하며, 원래는 점성이 강한 물질이 표면에 덮인 상태를 의미하였으나 이후 의미가 확대되어 점성이 없는 물질이 덮인 상태와 추상적인 성질을 가진 상태까지도 의미하게 되었다. 국어사전에서는 ‘투성이’를 접미사로 분류하지만, 실제 용례를 분석해 보면 ‘투성이’는 구와 결합하기도 하고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며 선행어와 ‘투성이’ 사이에 사이시옷을 표기하기도 하는 등 문법적으로 명사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는 이미 1920년대 자료에서 발견된다. 또한 ‘투성이’는 서술어형에서 오분석이 일어나 ‘이’가 절단되어 형태가 ‘투성’으로 바뀌기도 하며, 서술격 조사와 결합하여 무주어문을 형성하기도 한다.

      • KCI등재

        한국어 소형문 연구

        함병호 ( Ham Byeong-ho ) 한말연구학회 2021 한말연구 Vol.- No.60

        This paper discusses the status of minor sentence in the Korean sentence system. Minor sentences can be viewed as a type of sentence in terms of being an independent linguistic unit with illocutionary force and intonation. And elliptical sentence in discourse can also be included in minor sentences. Therefore, minor sentence is defined as ‘sentences in which a fixed form different from the full sentence or a form in which some elements are omitted from the full sentenc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discourse context are used independently’. Minor sentences are divided into elliptical minor sentences and typical minor sentences. The latter are subclassed into independent words, subjectless sentence, and nominal construction. There are noun phrases, nominal endings, and ‘-ㄹ 것’ construction in minor sentences with a nominal construction. Word minor sentences are generally included in the elliptical minor sentence, but all words that have their own pragmatic function are included in the interjection minor sentence.

      • KCI등재

        헝가리어의 수동 표현에 대한 연구

        박수영 ( Soo Young Park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6 언어와 언어학 Vol.0 No.37

        In this paper I will try to explore how the voice as a grammatical category in Indo-European languages is expressed in Hungarian, Because Hungarian and Korean are grouped into the same typological class, in which the syntactic relations and the semantic meanings are realized morphologically, this study helps to examine the recent tendency of unacceptable derivations of passive -verbs in Korean and to find its solutions. In Hungarian, the expressions of passive meaning are realized either on morphological level. or on syntactic level. On morphological lovel. the passivity is expressed with the oppositions of transitive vs intransitive verb pairs, which are derived from same lexical roots, such as active-transitive verbs, middle verbs and passive verbs, If an active-transitive verb has no its intransitive pair, the passive expression is realized on syntactic level by the subjectless sentences with active-transitive verbs, It results from the hungarian word formational system of verbs, where each verb has its oppositional pari in transitivity and the re-derivation of passive verb from the middle verbs is not permitted.

      • KCI등재

        문두 ‘沒(有)+NP+VP’ 구문에 대한 일고찰 - ‘有+NP+VP’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오유정(Oh, You-jeong) 한국중어중문학회 2021 中語中文學 Vol.- No.84

        This paper reconsiders previous academic discussion on ‘YOU(有)+NP+VP’ subjectless construction as a ‘topic’ structure. Based on this, I explored the information structure and discourse function of ‘MEI(YOU)(没(有))+NP+VP’, which is a negative version of ‘YOU+NP+VP’. ‘YOU+NP+VP’, as a presentational construction, introduces a new referent into the discourse. Through the investigation in this paper, it was found that ‘MEI(YOU)+NP+VP’, as the negative version of ‘YOU+NP+VP’, fulfils a variety of pragmatic functions through the contradictory structures that present ‘non-existent’ referent. Such functions include: emphasizing negative situations,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such as ‘discontent’ and ‘lethargy’ and conveying a strong positive meaning.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use of negative sentences is more restrictive than affirmative sentences. However, according to the corpus analysis, the use of negative ‘MEI(YOU)+NP+VP’ was more frequent than that of affirmative ‘YOU+NP+VP’. Furthermore, according to different language registers, the distribution of ‘YOU+NP+VP’/‘MEI(YOU)+NP+VP’, the nouns and verbs of each sentence pattern are different. It can be noticed that language register is an important basis for the investigation of linguistic facts and deserves further at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