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A를 활용한 제주지역 관광지의 무장애 관광환경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해설사 중심으로

        정승훈,양성수 한국관광진흥학회 2023 관광진흥연구 Vol.11 No.3

        Barrier-free tourism can be said to guarantee the right to participate, which is the right of the tourist weak to travel, and to create a tourism environment so that the vulnerable can travel conveniently and safe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rive academic approach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approach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barrier-free tourism environment of Jeju tourist destinations in the province targeting cultural tourism commentators in the Jeju.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with items related to the attributes of the barrier-free tourism environ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barrier-free tourism, and 149 valid samples were secured for cultural and tourism commentators and the IPA technique was use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keep up the good work’ included physical external accessibility items such as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parking lot’, and ‘main entrance’. The ‘under performance’ included items such as ‘road surface condition’, ‘slope’, and ‘rest facility’, as well as physical interior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facilities. In addition, convenience facilities in tourist destinations such as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shopping facilities’, and ‘mobile convenience equipment’ were included in the low-priority area, and ‘homepage accessibility’, ‘lighting’, and ‘ticket office’ were included in the possible overkill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barrier-free tourism environment policie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such as providing basic academic data related to barrier-free tourism environments, building infrastructure for barrier-free tourism environments, improving service quality, and operating and managing barrier-free tourism products. 무장애 관광은 관광약자의 관광을 하고자 하는 권리인 참여권리의 보장과 취약계층이 편리하고 안전하게여행할 수 있도록 관광환경의 조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 문화관광해설사를 대상으로도내 주요 관광지의 무장애 관광환경 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무장애 관광환경의 학술적 접근과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무장애 관광 관련 문헌고찰를 통해 무장애 관광환경의 속성 관련 항목들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문화관광해설사들을 대상으로 149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하여 IPA 기법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유지영역’에는 ‘대중교통 접근성’, ‘주차장’, ‘주출입구’, 등 물리적 외부접근성 항목이 포함되었고, ‘집중영역’에는 ‘노면상태’, ‘경사로’, ‘휴게시설’ 등 물리적 내부 접근성 및 편의이용시설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또한 저순위 영역에는 ‘식음료 시설’, ‘쇼핑시설’, ‘이동편의기구’ 등 관광지내 편의이용시설들이 포함되었으며, 과잉영역에는 ‘홈페이지 접근성’, ‘조명’, ‘매표소’ 등이 포함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무장애 관광환경 관련 학술적 기초자료 제공과 더불어 무장애 관광환경의 인프라 구축및 서비스 품질 향상, 무장애 관광상품의 운영관리 등 실무적 관점에서 무장애 관광환경 정책 수립에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동적 관광약자의 무장애관광 경험 개선을 위한 스마트관광 서비스디자인 전략 연구 -Kano 모델과 Timko 고객만족계수를 중심으로-

        안수진,황록연,김소현,최다혜,구유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관광은 인간 기본권 중 하나로 강조됨에 따라, 이동적 관광약자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동적 관광약자를 고려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본 연구는 이동적 관광 약자의 무장애관광 경험 개선을 위한 맞춤화된 무장애관광 플랫폼 서비스 디자인전략 제안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5가지 무장애관광 경험요인과 하위요소를 도출하고 사용자 리서치와 관련 자료 분석을 통해 25개의서비스 품질 속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품질 속성은Kano 모델과 Timko 고객만족계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무장애관광 경험 향상을위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였으며, 이동적 교통약자의니즈를 반영한 무장애 스마트관광 서비스 콘셉트를제안하였다. 또한 사용자 집단별 분석에서 유의미한결과를 발견하여 페인포인트와 만족, 불만족 지수를기반으로 집단별 서비스 개선 콘셉트와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이동적 관광 약자의 무장애관광 경험요인과 품질 속성을 통합적으로표기하고, 집단별 차별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화된 스마트관광 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실증적인 개선 전략으로 활용되어 이동적 교통약자의 무장애관광 경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tourism is emphasized as one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number of people with mobilitydisabilities is increasing. However, currently, research considering them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was studied to propose a service design strategy for a customized platform to improve the barrier-free tourism experience of the them.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five main factors and sub-factors were derived, and 25 service quality attributes were derived through pilot research and related data analysis. The derived quality attributes were analyzed using Kano model and Timko’s Satisfaction Coefficient. As a results, idea for improving the barrier-free tourism experience was specified and smart travel service concept including their needs was proposed. In addition, meaningful results were found in the analysis of each group, and the concept of service improvement and blue print for each group was proposed based on the painpoint,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dex.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n empirical improvement strategy that can provide differentiated new experience values to customers by comprehensively marking the factors and quality attributes of barrier-free tourism experiences of them and suggesting customized smart tourism services that reflect group-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barrier-free tourism.

      • KCI등재

        국내 무장애관광 유형별 사례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오성범(Sungbum Oh)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에서는 무장애관광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를 고려하여, Lee(2016)가 제안한 관광약자의 관광지 선택 요인 지표를 근거로 국내의 대표적인 무장애관광 사례를 탐색하고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 무장애관광 산업분야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은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난 20여년간 학술지와 주요 정책보고서 등을 통해 보고된 대표적 무장애관광 사례를 선정하고 유형별로 분류하여 주요 특징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무장애관광 상품 개발 과정에서의 관광지 매력도 고려, 관광시설 및 교통편의에 대한 접근성 개선 지속, 민간이 운영하는 관광 편의시설과의 밀접한 연계, 안전이나 위생과 관련된 편의서비스 전반에 대한 행정적지원체계 등이 논의되었다. Considering the increasing social interest in barrier-free tourism, this study explored and characterized representative barrier-free tourism cases in Korea based on the indicators of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factors for barrier-free tourism proposed by Lee (2016).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o revitalize the domestic barrier-free tourism industry. To carry out the research objectives, representative barrier-free tourism cases reported in journals and major policy reports over the past 20 years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by type to summarize their main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clude attractiveness of tourist destination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barrier-free tourism products, continued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o tourist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close cooperation with private tourist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s for safety and hygiene-related services.

      • KCI등재

        빅데이터분석을 활용한 무장애관광 인식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현유민,김병필,이상묵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제주 배리어프리 인식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어떤 단어가 추출되고, 추출된 단어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주무장애관광’에 대한 감정인식을 파악하고, 감정분석을 통해 무장애관광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도구로는 Textome과 UCINET 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F-IDF 분석, CONCOR 분석, 감정분 석을 실시하였다. 텍스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023년 5월 1일부터 2024년 5월 1일까지 '무장애 관광+제주'라는 키워드로 데이터를 수집 하였으며, 수집 채널은 국내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으로 제한하였다. '무장애 관광+제주'를 키워드로 한 CONCOR 분석 결과, 총 4개 클러스터(정책 및 지원, 운영 및 프로그램, 웰니스 관광, 자연환경)로 분류되었다. 감정분석 결과, 대부분의 문서가 긍정적, 중립적 위치에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교통과 관련된 부정적인 인식이 드러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개인과 사회의 동향을 더 잘 이해하고, 향후 무장애 관광지 제주 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이나 사업 모델을 제안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제주의 무장애 관광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Present study conducted to verify what kinds of words are being extracted and how the extracted words are connected using big data analysis about Jeju barrier-free awareness. In addition, this study aim to identify emotional perceptions of ‘Jeju barrier-free tourism’ and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for revitalizing barrier-free tourism through emotional analysis. As analysis tools, we used Textome and UCINET 6.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TF-IDF analysis, CONCOR analysis, and emotional analysis. Using Textom program, data was collected with the keyword 'Barrier-free tourism + Jeju' from May 1, 2023 to May 1, 2024, and the collection channels were limited to the domestic portal sites 'Naver' and 'Daum'. The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using the keyword ‘barrier-free tourism + Jeju’, it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4 clusters (policy and support, operation and program, wellness tourism, and natur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emotional analysis, most of the documents were positioned as positive and neutral, but this study found that negative perceptions related to transportation were reveal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 individual and social trends and propose policy development or business model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Jeju as a barrier-free tourist destination. In addition, present study was able to suggest various policies and marketing implications for barrier-free tourism in Jeju.

      • KCI등재

        관광안내소의 무장애 관광 서비스품질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현덕,조우제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관광안내소의 무장애 관광 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지를 알아보고,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대구 관광안내소의 무장애 관광객 안내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대구 관광안내소의 경쟁력 제고와 무장애 관광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관광안내소, 무장애 관광, 서비스 품질, 만족도, 행동의도 등 측정개념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이에 따른 관련 선행연구를 다양하게 고찰하였다. 이를 근거로 연구 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고 실증분석을 통해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안내소 서비스품질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신뢰성, 공감성, 확신성, 반응성의 순으로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채택되었다. 둘째, 관광안내소 서비스품질이 행동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공감성, 반응성, 신뢰성의 순으로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채택되었다. 셋째, 관광안내소 서비스 품질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mponents of barrier-free tourism service quality of tourist information centers affec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nd to identify specific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Daegu tourist information centers' guidance for barrier-free tourists by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atisfaction on behavioral intentions. First, the impact of tourist information center service quality on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and it was found that reliability, empathy, assurance, and responsiv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in that order, and tangi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Second, the impact of tourist information center service quality on behavioral intentions was investigated, and it was found that empathy, responsiveness, and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s in that order, and assurance and tangi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tourist information center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s.

      • KCI우수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무장애 관광정보 접근성 연구

        이재일(Jaeil Lee),배소영(So Young Bae) 한국관광학회 2023 관광학연구 Vol.47 No.7

        유럽, 미국, 호주 등의 주요 선진국에서는 무장애 관광이 중요한 정책 의제로 논의되고 있다. 이는 모두를 위한관광의 실현을 통해 지속가능한 관광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국관광공사는 2015년부터 ‘열린관광’ 사업을 시작하여 장애인을 비롯한 관광약자들의 관광활동이나 서비스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UNWTO로부터 포용적 관광지우수사례로 선정되는 등 세계적인 인정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열린관광’ 홈페이지 내 열람이 가능한열린관광지 92개소의 무장애 관광 관련 텍스트들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관광약자들의정보 접근성에 대해 점검 및 논의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열린관광’ 홈페이지 내 제공되는 무장애 편의정보 대부분이지체장애 편의정보 또는 시각장애 편의정보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정보는 현저히 낮게 나타났으며, 열린관광지 내 이동권에서도 제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CONCOR분석을 통해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을 동반해야 하는 관광자에게 필요한 무장애 편의정보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열린관광’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논문, 블로그, 뉴스 등에 국한되어 있던 텍스트마이닝 분석 대상의 범위를 공공기관 홈페이지까지 확대하고, 관광약자임과 동시에 정보취약계층인 장애인이 마주하는 여러 관광 제약 중 정보 접근성 향상에 대해 논의하였음에 학문적 의의가있다. 또한 열린관광지 조성 사업과 무장애 관광도시 조성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barrier-free tourism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olicy agenda. The trend aim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ustainable tourism by promoting tourism for all. Since 2015,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has launched the ‘Accessible Tourism for All’ initiative,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ourism activities and services for tourists with disabilities. The effort has gained global recognition, with the project nominated by the UNWTO as an exemplary case of accessibility and inclusive tourism.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barrier-free tourism information accessibility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texts offered by 92 barrier-free tourism destinations from the ‘Accessible Tourism for All’ website. The analysis revealed that barrier-free information mostly pertained to orthopedic or visual impairment. However, information for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 was extremely limited. It turned out that hearing-impaired individuals had constraints on mobility within so-called accessible tourism destinations. From the CONCOR analysis, barrier-free information for tourists in need of wheeled vehicles was identified. The research expanded the target of text mining techniques which had primarily focused on academic articles, blogs, or news. It also enhanced academic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can travel but face information constraints. This study offers a series of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accessible tourism sites as well as a barrier-free tourism city project.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무장애 관광정책의 우선순위 분석 - AHP 기법의 적용 -

        허병선(Heo, Byung-Seon),윤지민(Yoon, Jie-Mi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1 觀光硏究論叢 Vol.33 No.1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특성을 반영하여 무장애 관광정책에 있어 AHP 기법을 활용하여 정책우선순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무장애 관광 정책, AHP 기법의 개념과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의 틀과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국내 대표 무장애 관광정책인 열린관광 환경 조성사업과 관련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특성이 반영된 무장애 관광정책의 내용을 구조화하였으며, 공공기관 담당자 및 민간부문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분석을 위한 쌍대비교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전문가에 대한우선순위는 물리적 환경 개선, 정보 접근성 보장, 맞춤형 콘텐츠 개발, 교육 및 서비스 지원 순으로 중요도가 확인되었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간의 집단별 우선순위차이에서는 공공부문 집단에서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보였던 ‘교육 및 서비스 지원’이 민간부문 집단에서는 ‘맞춤형 콘텐츠 개발’ 요인보다 더 중요하게 나타났다. 세부 집단별 우선순위 차이에서는 민간단체와 학계에서 ‘물리적 환경 개선’ 보다 ‘정보 접근성 보장’에 더 큰 중요도를 보였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급변하는 관광 환경에서 무장애 관광정책의 추진을 위한 실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licy priority of barrier free tourism policy in the post Covid-19 era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The literature review contains the concepts and precedent studies of barrier free tourism policy and AHP methods. For the research design, an analytical model composed of policies regarding barrier free tourism in the post Covid-19 era was proposed. The pairwise comparison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government officials and non-government experts in responsible for barrier free tourism policy.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has the highest priority in overall policy priority followed by accessible information, tailored contents development and supports in education and services. When the policy priority was compared between groups of respondents, education and services showed a higher priority in non-public experts than in public officials. Specified group analysis showed private organizations and academia put accessible information prior to improvement in physical environment. These findings made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lementing barrier free tourism policy in rapidly changing tourism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ovid-19 situation.

      • KCI등재

        빅데이터분석을 활용한 무장애관광 인식연구: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현유빈,김병필,이상묵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제주 배리어프리 인식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어떤 단어가 추출되고, 추출된 단어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주무장애관광’에 대한 감정인식을 파악하고, 감정분석을 통해 무장애관광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도구로는 Textome과 UCINET 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F-IDF 분석, CONCOR 분석, 감정분석을 실시하였다. 텍스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023년 5월 1일부터 2024년 5월 1일까지 '무장애 관광+제주'라는 키워드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 채널은 국내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으로 제한하였다. '무장애 관광+제주'를 키워드로 한 CONCOR 분석 결과, 총 4개 클러스터(정책 및 지원, 운영 및 프로그램, 웰니스 관광, 자연환경)로 분류되었다. 감정분석 결과, 대부분의 문서가 긍정적, 중립적 위치에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교통과 관련된 부정적인 인식이 드러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개인과 사회의 동향을 더 잘 이해하고, 향후 무장애 관광지 제주 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이나 사업 모델을 제안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제주의 무장애 관광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Present study conducted to verify what kinds of words are being extracted and how the extracted words are connected using big data analysis about Jeju barrier-free awareness. In addition, this study aim to identify emotional perceptions of ‘Jeju barrier-free tourism’ and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for revitalizing barrier-free tourism through emotional analysis. As analysis tools, we used Textome and UCINET 6.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TF-IDF analysis, CONCOR analysis, and emotional analysis. Using Textom program, data was collected with the keyword 'Barrier-free tourism + Jeju' from May 1, 2023 to May 1, 2024, and the collection channels were limited to the domestic portal sites 'Naver' and 'Daum'. The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using the keyword ‘barrier-free tourism + Jeju’, it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4 clusters (policy and support, operation and program, wellness tourism, and natur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emotional analysis, most of the documents were positioned as positive and neutral, but this study found that negative perceptions related to transportation were reveal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 individual and social trends and propose policy development or business model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Jeju as a barrier-free tourist destination. In addition, present study was able to suggest various policies and marketing implications for barrier-free tourism in Jeju.

      • KCI등재후보

        무장애 관광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권신형,김진희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2023 문화예술융합연구 Vol.4 No.3

        이 연구는 관광활동에서 평등한 권리 보장을 위해 실현되고 있는 무장애 관광의 현황과 지속가능한 방향에 주목하였다.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모든 국민의 평등한 관광 향유권을 보장하기 위해 열린 관광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열린관광지 사업이 범위 확대에만 집중되고 있어, 지속가능한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무장애 관광의 사례로 이 연구에서는 DMZ 생태평화공원, 금강소나무숲길, 왕피천생태탐방로, 경주시 황리단길, 마디디 정글 생태산장의 지속가능한 요인을 살펴보았다. 지속가능한 관광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협업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sustainable direction of barrier-free tourism that is being realized to guarantee equal rights for tourism activities. Korea has been promoting an open tourist destination policy to ensure equal rights to enjoy tourism for all citizens since 2015. As the characteristics of open tourist destination focus relay on expansion of the project, it raises the need for discussion on sustainable dir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discussed to sustainable tourism cases such Gyeongju-si Hwangnidan-gil, DMZ Ecological Peace Park, Geumgang Pine Forest Trail, Wangpicheon Ecological Trail, and Madidi Jungle Ecological Hut were examined. In order to create a sustainable tourism environ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operation of local residents is the most important.

      • KCI등재

        접근가능한 관광(Accessible Tourism)은 무엇인가? - 전문가 조사를 활용한 개념분석 연구 -

        임지은(Lim, Jee-Eun),홍서윤(Hong, Seo-Yoo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3 觀光硏究論叢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접근가능한 관광(accessible tourism)의 의미를 명확하게 개념화하고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광접근성과 관련한 사회 패러다임 변화를 이론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접근가능한 관광 분야의 정책자·업계종사자·학자 30인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 접근가능한 관광의 대상은 신체적 취약계층과 동반자, 소수언어 사용자가 포함되었고, 접근가능한 관광의 관점에서 장애인은 배려나 포용의 대상이 아닌 관광객의 일부라는 의견이 합의되었다. 또한 접근가능한 물리적 환경은 장애물의 제거와 시설 개선 뿐만 아니라, 범용적 시설 계획까지 이루어져야한다는 결과가 나타났고, 접근가능한 인적 서비스는 균등한 관광 기회의 가치를 교육하고 표준화된 접근가능한 관광서비스 매뉴얼을 개발 및 준수하는 것까지 포함해야한다는 결과도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결과에 기반한 논의에 의해 접근가능한 관광을 세 가지 의미로 해석하였다. 첫째, 접근가능한 관광의 개념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장애 패러다임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수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둘째, 접근가능한 관광은 다양한 조건의 관광객들에게 관광접근성을 보장하는 것에서 나아가, 관광객들의 신체적 특성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를 보편적으로 고려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셋째, 접근가능한 관광의 개념은 사회 전반적 평등을 추구하는 가치가 아니라, 관광산업에서 고객으로서 형평성있는 관광향유권을 보장받도록 하기 위한 지향점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paradigm shif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ccessible tourism and to better conceptualize the term of accessible tourism by examining the opinions of 30 policy makers, industry workers, and scholars in the field of accessible tourism. As a result, it was agreed that the targets of accessible tourism included the physically vulnerable, their companions, and minority language speakers, and that the disabled were part of the tourists, not a target of consideration or inclusion.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ccessible physical environments should be implemented not only to remove obstacles and improve facilities, but also to plan universal facilities. Accessible human services educate the value of equal tourism opportunities and develop standardized accessible tourism service manuals. This study interpreted accessible tourism in three meanings based on the results. First, the concept of accessible tourism is currently being accepted as a means of actively practicing the social disability paradigm in Korea. Second, accessible tourism is developing in a direction that universally considers all of the tourists without distinguishing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Third, the concept of accessible tourism is not a value that pursues social equality, but rather has a point to guarantee fair enjoyment of tourism in the tourism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