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고용상태에 따른 조직몰입과 직업몰입의 갈등이 이직의도 및 직업변경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경로 ( Kyung Ro Chang ),구동회 ( Dong Hoi Koo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조직몰입과 직업몰입, 그리고 두 몰입간의 갈등을 파악한 후, 두 몰입간의 갈등이 이직의도와 직업 변경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업몰입과 조직몰입의 갈등이 이직의도와 직업변경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고용상태의 차이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스포츠센터 강사 361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직몰입과 직업몰입, 그리고 두 몰입간의 갈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몰입간의 갈등은 고조직업몰입 집단이 가장 높고, 고조직몰입 집단이 가장 낮은 갈등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몰입간의 갈등은 이직의도와 직업변경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규직의 경우 두 몰입간의 갈등은 이직의도와 직업변경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비정규직의 경우는 몰입갈등이 이직의도와 직업변경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스포츠센터의 경영자들이 비정규직 강사들의 조직에 대한 몰입과 직업에 대한 몰입의 정도를 인식하여 보다 효율적인 인적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스포츠경영학 분야에서도 종사자들의 고용상태에 따른 조직관리 및 인사관리연구의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commitment, and conflicts of those two commitment of instructors in sport centers. It was also examined if conflicts of two commitment had impacts on turnover intentions and intentions to leave a profession. Finally, it was examined if conflicts of two commitment had differen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s and intentions to leave a profession based on employment status of sport center instructors. To achieve the purpos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00 instructors (200 regular employment status and 200 irregular employment status) at ten sport centers, and 361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usable. Results showed that high in occupational commitment group had the highest conflicts on two commitments, high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group had the lowest conflicts on two commitment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conflicts of two commitments had effects on both turnover intentions and intentions to leave a profession. Finally, results showed that conflicts of two commitment didn`t ha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s and intentions to leave a profession for instructors in regular employment status, but ha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s and intentions to leave a profession for instructors in irregular employment status. Based on the results, following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irst, managers in sport centers should consider instructors commitment on both organization and occupation for effectiv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t was also suggested more researches on employment status in sport organizations should be conducted in academic field of sport management.

      • KCI등재

        가상공간에서 몰입을 유도하는 연출 방법 연구 -1인칭 시점 게임 ‘에디스핀치의 유산’을 중심으로-

        이혜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8

        현재 빅테크들의 경쟁은 메타버스 플랫폼의 선점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플랫폼의 가상공간을 현실처럼 느끼면서도, 현실과 다른 가상만의 재미를 즐길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실현하는 방법론 중 하나가 몰입이다. 가상공간의 몰입은 객석이나 화면 밖에서 제 3자의 입장으로 콘텐츠를 즐기던 관객들을 작품 안으로 끌어들이는 효과가 있다. 이런 몰입을 유도하기 위해서 게임에서는 1인칭 시점을 이용한 연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1인칭 시점은 관찰자적 입장이 약하기 때문에 스토리나 정보 전달에 취약한데, 이를 극복하면서도 1인칭 시점의 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연출 방법론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분석의 기준은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으로, 미하이는 몰입단계인 Flow에 이르기 위해서는 과제와 능력의 난이도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한 9가지의 조건을 몰입의 3단계에 맞춰 대입하고, 단계마다 9가지 요소를 달성하는 게임의 연출 방식을 분석해보았다. 분석 작품은 1인칭 시점을 기반으로 하되 몰입을 유도하는 다양한 연출 방식을 함의하고 있는 ‘에디스 핀치의 유산’으로 선정했다. 이 게임은 워킹 시뮬레이터라는 방식으로, 이야기 흐름대로 이미지를 연출하기 때문에 시각적 몰입 연출 방식을 알아보기에 적합하다. 분석 결과 ‘에디스 핀치의 유산’은 몰입 단계에 맞춘 게임의 미션과 영화 연출을 융합해 표현하고 있었다. 먼저 선행 단계에서는 이야기를 소개하는 내레이션에 맞춰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제공해 ‘목표’를 시각적으로 명확히했다. 이야기가 끊기지 않게 모션과 이미지를 연쇄시켜 ‘집중’을 유도하고, 1인칭 시점의 카메라 워크를 통해 플레이어가 캐릭터의 감정을 온전히 느껴 ‘자의식의 상실’을 경험하도록 유도했다. 결과적으로 ‘자기 목적성’을 가지고 다음 게임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를 유발한다. 칙센트미하이가 언급한 것처럼 몰입의 경험은 자기 발전과 행복감을 가져다준다. 이후 기획될 가상현실 콘텐츠 역시 현실과 다른 어떤 만족감을 주기 위해서는 이런 몰입 가능한 장르 융합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가상 콘텐츠의 기획 목적을 확실히 하고, 이에 맞춰 각 몰입 과정에 어떤 이미지와 미션들을 제공하면 좋을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학교조직요인의 효과

        정회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chers' demographic and schools' organizational variables on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tment and its' lower-order factors. Data collected from 627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Mokpo city were analyzed to fulfil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n general,teachers were committed more to their work and colleagues than they were totheir schools. Teachers reported the climate of their schools to be 'peopleoriented' and their principals to be 'participatory leaders'. Teachers' satisfactionabout their welfare and super-ordinates' support was the average level. Femaleteachers tended to make commitments to their career more than male teachersdid. Older teachers were less committed to their work and more committed totheir schools compared to younger teachers. Schools' rational and peopleorientedclimates, principals' participatory leadership, administrators' supports,teachers welfare satisfac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tment and its' lower factors. Schools' closed climates andteachers's job str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s' organizationalcommittment and its' lower-order factors. Schools' people-oriented climate was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commitment to theirwork, work-group, career whereas schools' rational climate was found to be themost important variable for teachers' commitment to their schools. 이 연구는 목포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의 조직몰입 및 그 하위요소들인 교사의 동료몰입, 일 몰입, 학교몰입, 교직몰입에 대한 학교조직변인들과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목포지역에 근무하는 전체 초등 교사 852명 중 627명의 질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교사들의 조직몰입과 학교조직변인들에 대한 인식을 파악한 결과, 교사들은 학교보다는 일과 동료교사에 대해 더 몰입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학교가 인화풍토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교장은 비교적 참여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상급자의 지원이나 복지만족에 있어서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교직에 대한 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일에 대한 몰입은 낮아졌다. 교사의 나이가 많을수록 그리고 재직기간이 길어질수록 학교에 대한 몰입이 높아졌다. 학교의 합리풍토와 인화풍토, 교장의 참여적 리더십, 상사의 지원, 교사의 복지만족이 높을수록, 전체 교사조직몰입 및 하위요소들의 몰입이 높아졌으며, 학교의 폐쇄풍토와 교사의 업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전체 교사조직몰입 및 하위요소들의 몰입이 낮아졌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전체 교사조직몰입에 대해 학교조직변인들 중 인화풍토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장의 참여적 리더십, 상사의 지원, 교사의 복지만족 순으로 큰 영향을 주었다. 교사의 일 몰입, 동료몰입, 교직몰입에 제일 큰 영향을 주는 학교조직변인은 학교의 인화풍토였으며, 교사의 학교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학교조직변인은 학교의 합리풍토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신뢰와 만족이 정서적 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계산적 몰입의 조절효과 -

        권태윤,박성규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0 마케팅논집 Vol.18 No.4

        몰입은 B2C 관계에서 많이 연구되는 변수 중의 하나이며, 연구자들은 고객충성도의 주된 선행변수로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충성도를 구축하는데 있어 은행서비스 상황에서 역할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몰입을 두 가지 구성 개념 즉 정서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으로 구성한다. 본 논문은 신뢰와 만족은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 몰입과 고객 충성도 간에 긍정적 관계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이전 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계산적 몰입을 조절변수로 포함하였다. 254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AMOS를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신뢰와 만족은 정서적 몰입의 중요한 선행변수로 파악되었으며, 정서적 몰입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적 몰입과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계산적 몰입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mitmen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studied variables in relationship marketing and several researchers propose it is the main antecedent of customer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alculative commitment in creating customer loyalty. Commitment is consist of two constructs(affective commitment and calculative commitment).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trust and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 affective commitment. Additionally this paper assumed a positive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on customer loyalty. Fin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nclude calculative commitment as moderator in our model. Data from a survey of 254 customers of banking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using AMOS program. Results in this paper indicate that Trust and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antecedents of affective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positively influences customer loyal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calculative commitment was also support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offer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조직몰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비교분석

        김흥수 한국정책개발학회 2008 정책개발연구 Vol.8 No.2

        현대 조직에서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위해서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이 요구되고, 조직 구성원들의 자율성과 책임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학자들을 중심으로 조직몰입의 원인과 결과를 연구하는 과정에 과거에는 획일적인 연구를 하였으나 지금은 자율성 차원의 몰입을 연구하는 데 집중되어 오고 있다. 또한,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가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에 대한 태도중심의 연구에서 조직에 대한 태도중심의 연구로 많이 이동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구성원들의 조직 몰입의 결정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탐색하고 조직몰입에 관한 이론적 기초를 바탕으로 하고, 공공조직 과 민간조직 구성원들의 조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조사, 비교함으로써 조직몰입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 조직몰입 결정요인에 대하여 각 변수의 영향력 크기를 측정해 본 결과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조직몰입의 차이를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직몰입의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입장에서 조직몰입의 결정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조직몰입의 단일차원적인 입장에서 연구되어 온 그 동안의 연구에 새로운 변화라고 본다. 또한 기존의 연구가 민간기관이나 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연구하더라도 특정분야를 대상으로만 하는 경향이 있는데 연구 성과를 여러 직종의 공무원사회와 다양한 분야의 민간기관에 적용하려고 노력하였다.

      • KCI등재

        몰입(flow) 기능의 재구성: 몰입과 행복 관계에 대한 타인맥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훈아,한성열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flow in relational context. Previous studies on the function of flow suggested that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personal growth and happiness. However, Previous studies were only focused on individual context and aspect of flow. However it was supposed that the function of flow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xts, the present study focused relational function of flow. In study 1, moderate effects were found that significant other's approval/disapproval, regulation with significant other and self conscious emotion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on flow and happiness. In study 2, the reasons of disapproval on person's flow were that flow activities were not socially valuable and flow pursuing frequently violated relational expectancy. The Results of present studies suggested that the functions of flow could be changed and reconstructed along the contexts.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had a valuable implication in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conduct a research on individual happiness and positivity only in individual context. Instead, It is necessary that individual positive concepts should be reappraised carefully in relational, interdependent, moral context. 기존 몰입연구는 개인적인 경험측면과 몰입경험이 개인에게 어떠한 긍정적 기능이 있는지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몰입경험과 경험의 기능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몰입경험에 대한 중요타인의 평가, 중요타인의 평가에 따른 몰입의 심리적 결과물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중요타인의 개인몰입에 대한 동의여부, 몰입으로 인한 자의식 유무, 타인과 의견공유 여부가 몰입과 행복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개인몰입에 대한 중요 타인의 동의여부, 몰입자의식, 의견조율은 몰입수준과 상호작용하여 몰입의 결과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의여부, 자의식은 동일한 패턴의 조절효과를 보였고, 의견공유는 반대 패턴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논의부분에 논의 하였다. 연구 2에서는 무엇 때문에 개인의 몰입에 타인이 동의/비동의를 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적으로 가치 없는 활동, 다른 활동에 지장을 주는 활동에 몰입하는 경우 중요타인은 개인의 몰입에 동의하지 않았고, 사회적 가치가 있는 영역에 몰입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타인이 인정할 수 없는 활동에 몰입할 경우, 타인은 개인의 몰입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이는 다시 개인의 몰입의 결과물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추론되었다. 이와 관련된 문제를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프로 농구선수들의 몰입 경험에 대한 탐색

        양한승 ( Yang Han Seung ),이비 ( Li Fei ),풍해도 ( Feng Haitao ),황진 ( Hwang Ji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2

        목적: 이 연구는 프로농구선수들이 시합상황에서 경험하는 ‘농구 몰입’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프로농구선수 11명을 대상으로 몰입 상황, 몰입 전 또는 순간에 대한 느낌, 몰입 이후 필수요소 등의 질문을 통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몰입발생 이전과 몰입 진입 단계에서 경기 전에 나타나는 몰입 단서를 통해 몰입의 전조 증상을 진술했으며 이를 통해 플레이에 보다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경험 중에는 몰입상황을 통제할 수 없었으며 시합상황 파악, 상대 움직임 예측, 완벽한 컨디션 그리고 시간의 변형 같은 몰입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결과 단계에서는 시합 영상분석을 통해 몰입 유지 및 재정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상 통증을 잊고 경기에 뛰거나, 몰입경험의 놀라움 반응 등의 몰입의 특별함이 진술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몰입상황을 유지하고 적응하기 위해서 자기 수행에 긍정적인 요소들이 활성화 되어야하며, 더 많은 경험을 추구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의 제공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depth information on ‘basketball flow’ that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experience in real game situations. Methods: 11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were given in-depth interviews based on questions about flow situations, their feelings before and at the moment of flow, and the essential factors after flow.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inductive contents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aid that before flow and at the beginning of flow, players stated signs of flow through the clues to flow occurring before games and those signs helped players to pay more attention to games. The results also said that players couldn’t control flow situation but experienced flow such as the grasp of the game situation, the prediction about the opponents, perfect condi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ime. At the stage of flow result, players were provided with self-regulatory feedback through analysis of video images of the game and they stated reactions of surprise about their flow experiences like finishing games without recognizing their pain from injury. Besides, players’ mood states, routine, feelings of achievement, and their relations with coaches were mentioned. Conclusion: Discussions were made based on results and more follow-up research on professional sport players’ flow was suggested.

      • KCI등재

        국내 조직몰입 연구의 현황과 향후 방향

        이목화(Lee, MokHwa),문형구(Moon, HyoungKo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2

        지난 20여년이 넘는 시간 동안 국내 조직몰입 연구는 비약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면서, 조직몰입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지난 연구들을 종합해 보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노력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6년 첫 번째 조직몰입 연구가 등장한 이래, 지난 27년 동안 국내 경영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조직몰입 연구들의 내용을 정리, 분석해 본 후, 이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학 관련 학술지에 실린 총 259편의 조직몰입 관련 연구들을 4개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째, 연구 현황 부분에서는 시대 별 연구 분포 및 연구 유형을 정리하였다. 둘 째, 개념 분석에서는 조직몰입의 정의와 차원(dimension)에 관련된 이슈들을 해외연구 결과와 비교, 정리해 보았다. 셋 째, 방법론 분석에서는 실증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수집 방법, 측정도구의 활용 빈도 및 활용 현황, 활용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 째, 내용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검증된 조직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선행 변수의 경우에는 그 양이 방대하여 이를 5가지 속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여기서 나타난 국내 조직몰입 연구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조직몰입을 Mowday, Steers, & Porter(1979)가 주장한 단일차원의 태도적 몰입으로 보는 경향이 강했으며, 이를 반영하듯 조직몰입 측정도구 중 OCQ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결과변수보다는 선행변수에 대한 검증이 더 활발했으며, 그 중에서도 그룹-리더관계와 작업경험에 해당하는 선행변수의 검증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이루어질 조직몰입 연구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 째, 개념측면에서는 조직몰입을 단일차원으로 다룰 경우, Mowday, Steers, & Porter(1979)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는 점과 Meyer & Allen(1987) 모델의 국내적용가능성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 째, 연구방법론 측면에서는 측정도구의 엄격한 적용 및 이와 관련된 충실한 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 째, 연구 내용 측면에서는 조직 몰입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 객관적 성과지표의 활용, 유지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의 결과 변수에 대한 연구, 그리고 조절변수를 검증함에 있어서 변수 유형의 다양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외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개념연구 및 리뷰연구의 필요성과 Meyer & Allen(1987)이 제시한 3가지 요인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함께 제안하였다.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study of organization commitment has rapidly developed and been verified by diverse variables. However, the reviews of past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orts for future research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a review of organization commitment research conducted in South Korean business administration field for the last 27 years, will became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For this study, a total of 259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were publish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journals are analyzed in four parts. In the first part, all studies were organized by period of distribution and research type. Second part, we compared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dimension of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third part the trend of methodology on collecting data and the usage of measurement tools are reviewed. Finally, the variables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are review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tecedents, the vast amount of variable enabled them to be divided and organized by five characteristics. If we review the internal research for organization commitment, Porter et al (1974) maintained that the influence of attitudinal commitment of a single dimension was strong; this thought was reflected by OCQ, which became the most popular measurement among organization commitment measurement tools. Furthermore, there was more active research on antecedents than on consequences and studies on the group-leader relation variables and work experience variables are more actively pursued. This study suggests the next direction for organization commitment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ual aspect suggests applying Mowday, Steers, & Porter(1979)'s single dimension model and verifying Meyer & Allen model's validity. Secondly in the methodology aspect, we recommend the strict application of measurement tools with providing of substantial information. Thirdly in the content aspect, we suggests the study on the negative effects for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consequences of continuance/normative commitment especially with the actual performance data. Also, in the study of verifying control variables more diverse set of variables is necessary. Lastly, this study explains the necessity for interaction effect among three components.

      • KCI등재

        몰입의 정의와 몰입형 미디어 계보학의 문제

        오준호 한국영상학회 2014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2 No.1

        본 논문은 몰입이라는 용어가 뉴미디어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사용되는 맥락과 몰입형 미디어를 실감미디어로 표기할 때 내재된 기술중심주의적이거나 형이상학적인 태도에 이의를 제기하고 대안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본 논문은 몰입에 접근하는 맥락을 ‘몰입-감각적 사실성’과 ‘몰입-성찰(거리두기)’의 쌍으로 구분하고, 뉴미디어 콘텐츠 관련 국내연구들 중에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접근하는 연구들을 선별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학을 환영기술이라는 측면에서 기술한 올리버 그라우(Oliver Grau)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공간성(spatiality)과 장치(dispositif)의 관점에서 확장영화를 중심으로 한 예술적 실천을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로 서술하고자 한다. 몰입과 몰입형 미디어 관련 선행연구들은 몰입을 감각적 사실성의 차원에서 정의하고, 환영기술의 진보가 새로운 몰입을 가능하게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장치는 담론들, 건축적 형식들, 지식과 권력의 진술들과 전략들, 주관적 성향들과 문화적 경향들의 이질적인 집합이다. 그리고 장치 개념을 미디어에 적용하면, 장치는 미디어를 특징짓는 응시들의 공간적 또는 상징적 배치로서 공간성의 재구성을 의미한다. 재현의 투명성으로서 이미지, 사물, 장면, 환영기술에서 지각의 건축술로서 공간, 사건, 상황, 장치로 관점을 전환하면, 몰입을 가상의 지각을 실제화하기 위한 관객의 자기탐색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지각을 재구성하는 공간적 배치의 새로움을 중심으로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를 대안적으로 서술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Extreme Sport에서의 몰입경험에 관한 연구

        안현균 한국체육철학회 200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ticulat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its components of flow experience in the so-called 'extreme sport' by describing and analyzing,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For doing this, the study focused its main concern into the performer's own experiential-subjective experience. The 'experiential description and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10 research participants' flow experience and to categorize their meaning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rticula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ree experiential concepts were clarified as the definitional components of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1) flow experience as a unique experience, 2) flow experience as the non-purposeful experience, 3) flow experience as a momental experience. 2. Based 10 research participants' description of flow experience in performing extreme sport,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were articulated as the essential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of flow experience: 1) concentration or flow, 2) unity of behavior and consciousness, 3) adventure and limitation, 4) resolving of nervousness and thrill, and 5) achievement. 3. The following things were proposed as the social values and human educational implications: 1) The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would be clarified essential resources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sport. 2) The meaning and value of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would be the tool for achieving individual's self-realization and understanding others. 3) The value of the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would be reconsidered for promoting and developing sport culture. 스포츠는 인간의 의식과 신체가 총체적으로 구현된 가장 원초적인 인간 경험이다. 그것은 생활세계의 발로이자 인간실존의 표현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Extreme Sport 수행 중에 체험하게 되는 ‘몰입경험’의 본질적 특성과 구조를 현상학적 묘사를 통하여 규명하려는 것이다. 연구 참가자로 선정된 전문 Extreme Sport 참가자 10명의 몰입경험 체험이 현상학에 근거한 ‘체험적 묘사와 분석방법’을 통하여 범주화 및 의미화 되었다. 분석된 연구결과와 해석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이 연구의 결론으로서 명료화되었다. 1. Extreme Sport에서 겪게 되는 몰입경험의 정의적 요소는 다음의 세 가지 체험적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1) 독특한 체험으로서의 몰입경험, 2) 비자발적인 체험으로서의 몰입경험, 3) 일시적 체험으로서의 몰입경험. 2. Extreme Sport 수행시의 몰입경험의 와중에서 겪게 되는 체험적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체험의미범주로 명료화 할 수 있었다. 1) 몰두와 집중, 2) 행위와 인식의 일치, 3) 도전과 한계, 4) 긴장과 불안의 해소 5) 성취감. 이것들은 몰입의 상황에서 체득되는 몰입경험의 본질적 특성을 이해하는 척도라고 할 수 있었다. 3. Extreme Sport를 수행과 몰입경험이 가져다 줄 수 있는 교육적 의의는 일차적으로 체험적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스포츠 수행의 내재적 가치의 이해와 체험적 방식으로서의 스포츠 조명의 중요성이 다음과 같이 부각되었다. 1) Extreme Sport 수행에서의 몰입경험의 체험은 스포츠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보다 확연한 원천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2) Extreme Sport에서의 몰입경험의 체험적 의미와 가치들은 개인적으로는 자아의 인식과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체험이며 사회적으로는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타자 및 자연을 향한 존중감과 인성의 개발에 연결될 수 있다. 3) Extreme Sport의 참가에서 얻을 수 있는 몰입경험의 가치는 인간에게 있어서 스포츠 문화를 배양하고 고양시키는 원천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