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로자 생산성 향상 몰입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전략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분석

        문성옥,이종엽,이지만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3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3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근로자의 정규직 혹은 비정규직과 같은 상이한 고용형태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용형태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써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기법(고용안정성, 교육훈련, 퇴직관리, 복리후생)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고, 종속변수로써 생산성 향상 몰입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다. 상이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조사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0명의 대상 중 응답한 15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결과는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 퇴직관리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 고용형태는 교육훈련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복리후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은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퇴직관리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에서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HCHRM) is consistently emphasized to enhance employee's productivity. There are few studies that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a different employment type like a standard and a temporary employe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HCHRM and employment type on Organizational Commtiment(OC). This study included HCHRM practices, such as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as an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in a research model. To find out the interaction effects of different employment type, we classified it into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 Additionally, we examined mediation effects of OC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s who engaged in a large firms.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159 responded samples of 200 subjects. Sobel-test and regression were employed to test hypothesis of this study. First,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OC. In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employment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OC, and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and OC. Second,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had a directly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retirement 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Finally,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influenced the productivity commi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s.

      • 근로자 생산성 향상 몰입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전략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분석

        문성옥,이종엽,이지만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1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근로자의 정규직 혹은 비정규직과 같은 상이한 고용형태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용형태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써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기법(고용안정성, 교육훈련, 퇴직관리, 복리후생)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고, 종속변수로써 생산성 향상 몰입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다. 상이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조사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0명의 대상 중 응답한 15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결과는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 퇴직관리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 고용형태는 교육훈련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복리후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은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퇴직관리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에서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HCHRM) is consistently emphasized to enhance employee's productivity. There are few studies that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a different employment type like a standard and a temporary employe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HCHRM and employment type on Organizational Commtiment(OC). This study included HCHRM practices, such as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as an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in a research model. To find out the interaction effects of different employment type, we classified it into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 Additionally, we examined mediation effects of OC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s who engaged in a large firms.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159 responded samples of 200 subjects. Sobel-test and regression were employed to test hypothesis of this study. First,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OC. In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employment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OC, and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and OC. Second,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had a directly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retirement 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Finally,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influenced the productivity commi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s.

      • KCI등재

        진단평가와 개별화교육프로그램 과정에서의 가족참여에 대한 일반유치원 통합학급 담당교사와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

        문성옥,권현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bout family participations in inclusive kindergarten as well as compare their experiences about family participations in special education. One hundred and sixty nine teacher-parent pairs were participated and responded the survey questionnaire. As a result, the researcher found that both the teachers and parents understood that family participations were very important but they were not participated actively in special education process. Because teachers showed less experiences about family participation than parents, the researcher assumed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excluded in special education. Since the collaboration was the key of inclusion,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knowledgable and actively engaged in special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유치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를 위한 특수교육 서비스 과정에서의 가족참여에 대한 일반교사와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을 확인하고 가족참여 경험을 비교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유치원의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와 그들이 맡고 있는 장애유아의 부모 169쌍을 대상으로 진단평가와 개별화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의 가족참여 경험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교사와 부모 모두 가족참여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참여정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교사의 경우 진단평가나 개별화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장애유아 부모보다 잘 모르고 있었고 가족참여의 경험도 부족한 것으로 미루어 특수교육 서비스 과정에서 일반교사가 배제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교사와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와 다 학문적 협력이 있어야 바람직한 유아특수교육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 일반교사와 가족에게 진단평가와 개별화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이들의 참여기회를 확대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 KCI등재

        조직공정성, 동료신뢰와 지식공유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문성옥(Sung-Ok Moo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본 연구는 동료신뢰가 발생하기 위한 선행요인인 조직공정성과 동료신뢰와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 동료신뢰로 인해 지식공유 행동이 증가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대전 및 세종 지역에 위치한 정부 출연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유효한 255명의 설문지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모두 동료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신뢰 역시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공정성이 동료들 사이의 신뢰에도 영향을 주며, 결과적으로 동료신뢰를 통해 지식공유가 증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coworker trust, and reveals that coworker trust can increase knowledge sharing. A survey was conducted on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located in Daejeon and Sejong regions, and finally, a questionnaire of 255 valid people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e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worker trust, and coworker trust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organizational justice affects trust in coworkers, and as a result, knowledge sharing can be increased through coworker trus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근로자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전략

        문성옥(Sungok Moon),이종엽(Jongyeop Lee)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5 産業關係硏究 Vol.25 No.1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정규직 혹은 비정규직과 같은 상이한 고용형태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용형태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기법(고용안정성, 교육훈련, 퇴직관리, 복리후생)을 연구 모형에 포함하였고, 종속변수로서 생산성 향상을 연구 모형에 포함하였다. 상이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200명의 대상 중 성실히 응답한 15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 퇴직관리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 고용형태는 교육훈련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복리후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은 생산성 향상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퇴직관리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에서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생산성 향상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HCHRM) have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to enhance employee"s productivity. There are few studies that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 of a different employment type like a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of HCHRM and employment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OC). This study included HCHRM practices, such as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as an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loyee’s productivity enhanc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in a research model. To find out the interaction effect of different employment type, we classified it into a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OC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s who engaged in large firms.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n 159 responded samples of 200 subjects. Sobel-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test hypotheses of this study. First,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OC. In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 employment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OC,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and OC. Second,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had directly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retirement 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Finally,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productivity enhancement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 KCI등재

        일반유치원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과 가족참여에 대한 인식

        문성옥 ( Seong Ok Moon ),권현수 ( Hyun Soo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일반유치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장애유아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통합학급 담당교사에 의한 특수교육 서비스 제공의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유치원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과 가족참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통합유치원의 특수교육 서비스 질을 개선하기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학급 담당교사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고 특수교육 서비스 과정에서의 가족참여에 대해서도 유치원 설립형태나 특수교사의 지원이 있는가 여부에 따라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유아의 의무교육 시행이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기위해서는 사립유치원에 대한 정책적, 재정적 지원이 보장되고 장애유아가 있는 일반유치원에 대해 특수교사 배치를 의무화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면서 더불어 일반교사와 가족을 위한 교육기회를 확대하고 실질적인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Because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been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are increased, there are enormous needs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and skills about special education.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studied about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IEP and family participations in inclusive kindergarten. As a result, the researcher reported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know well about IEP and showed perceptional differences depend on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level, organization status as well as availabil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ed several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in inclusive environments: (1) there should be more systematic supports for private schools, (2)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placed in every inclusive school, (3)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eachers as well as families, and (4) many practical ways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families in speci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문성옥(Moon Sung Ok),이지만(Lee Ji Man),이주일(Lee Ju Il)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7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4 No.4

        조직내 대인 신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직내 대인 신뢰를 높이기 위한 선행요인과 효과성을 다룬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조직내 대인 신뢰의 선행변수로써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신중한 선발, 교육훈련, 성과관리, 고용 안정성, 퇴직관리)의 영향을 살펴보고, 결과변수로써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직내 대인 신뢰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이 조절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전체 모형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 재직 근로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성실히 응답한 총 341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PROCESS macro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고몰입 인적자원관리는 조직내 대인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조직내 대인 신뢰는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의 관계를 조직내 대인 신뢰가 매개하고 있음을 밝혔다. 넷째,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은 조직내 대인 신뢰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내 대인 신뢰를 거쳐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해서도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한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Thus, we suggest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selective recruitment, education and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job security, and retirement management) as a antecedent of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and investigate how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affects employees’ productivity-enhancing behavior. We als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and employees’ productivity-enhancing behavior is moderated by the degree of perceive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and ultimately advance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To test our suggested hypotheses,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mployees in Korean firms, but 59 of them were incomplete, leaving 341 completed samples for data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ROCESS macro for SPSS were employed to test the suggested hypotheses. Our results show that first,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posi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Second,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positively affects employees’ productivity-enhancing behavior. Third, we find that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is an important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mployees’ productivity-enhancing behavior.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and the outcome variable is positively contingent on the level of perceive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Finally, we find strong support for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 CFDS기법을 이용한 난류 유동장 해석

        문성옥(S.M. Moon),이정상(J.S. Lee),김종암(C. Kim),노오현(O.H. Rho),홍승규(S.K. Hong)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1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1 No.-

        An evaluation of one zero-equation and two one-equation eddy viscosity-transport turbulence closure models as implemented CFDS(Characteristic Flux Difference Splitting) code is presented herein. Comparisons of Baldwin-Lomax model as zero-equation and Baldwin-Barth and Spalart-Allmaras model as one-equation are presented for three test cases, first involving the 3 dimensional supersonic flow at M=1.98 over tangent ogive cylinder, second involving the 2 dimensional transonic flow at M=0.79 over RAE 2822 airfoil, third involving the 3 dimensional transonic flow at M =0.84 over ONERA M6 wing. The numerical results of CFDS code will also examined through direct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data.

      • KCI등재

        유연한 인적자원관리제도가 개인적 양면성에 미치는 영향 : 경영진 신뢰의 조절효과

        문성옥(Sung-Ok Moon),이지만(Ji-Man Lee)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2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3 No.1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and individual ambidexter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manage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llected 971 survey data from employees in Korea. The Confi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 First, the flex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ambidexterity. Second, trust in management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individual ambidexterity.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First, this study is critical that it examines individual ambidexterity and antecedent factor, which have not been relatively researched in Kore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individual ambidexterity can be increased through flex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Second, individual ambidexter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Third, it is important to find the boundary condition of trust in management. By finding conditions that enhance the effect of flex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individual ambidexterity, i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applicable to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