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세일본의 목민사상과 사회변혁

        이희복(李喜馥)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4 다산과현대 Vol.7 No.-

        본고는 근세일본의 목민사상을 소개하는 글이다. 근세일본이란에도시대(1603~1867)를 포함한 근대 이전의 300년간을 지칭한다. 목민이란 백성을 보살핀다는 의미이며, 목민사상이란 목민을 실천하는 군주의 정치론에서 유래한다. 즉 어진 군주가 백성을 편안하게 보살피어 온 나라가 평화로운 세상을 구가한다는 이상적인 정치사상이다. 근세일본의 목민사상은 외래사상이다. 임진왜란 때에 조선에서 반입된 밀양본 『목민충고』와 근세후기 중국에서 전래된 중국본 『목민심감』은 외국에서 수용된 대표적인 목민서물이다. 근세 일본 사람들은 외래사상인 목민사상을 활용하여 사회체제를 안정시켰다. 몇 번이나 되풀이된 천변지이와 자연재해를 극복하는데 목민사상은 유용했다. 특히 자연재해로 인한 대기근을 극복하기 위해 근세일본인들은 합심했다. 군주는 자식을 양육하듯이 백성을 보살폈으며, 그런 군주의 어진 정치에 부응하둣이 백성들은 난국을 헤쳐 나갔다. 목민사상의 활용은 주로 지방번국의 번정개혁에서 이루어졌다. 근세일본은 봉건제국가였다. 그것은 중앙의 막부와 지방의 번국이 존재하는 중층국가였다. 중층국가에서 군주는 일본국왕인 쇼군과 번국제후인 다이묘가 중층으로 존재한다. 그 중층적 국가체제를 일본역사에선 막번체제라고 부른다. 목민사상을 활용한 번정개혁을 실시한 것은 번국제후인 다이묘이며, 번정개혁에 참여한 민중은 지방번국의 영민이었다. 목민사상은 17세기에 수용되어 18세기에 실천되었으며 19세기에 변용되었다. 변용기인 1868년 근세일본의 막번체제는 해체했다. 그리고 새로운 통치주체로 전통적 왕조의 텐노가 재차 부상했다. 이른바 최고통치자가 교대하는 일본사회의 변혁이다. 그것을『목민의 사상』에서 확인했다.

      • KCI등재

        목은 이색의 시문에 나타난 서예관 고찰

        이기범(Lee, Gi-bum)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7 No.-

        Mokeun(牧隱) Lee Saek(李穡, 1328-1396) was a scholar and writer who contributed greatly to the spread of Jujahak(朱子學) after studying in Yuan Dynasty and returning from abroad while living in a turbulent period of transition to the dynasty, which goes on to Joseon from Goryeo. He was ever respected as Yujong(儒宗) thanks to having trained Shinjin-Sadaebu(新進士大夫, new aristocrats) while acting as Seonggyun Daesaseong(成均館大司成), but was also a writer of great literature(大文豪) who left about 6000 poem(詩)s and around 200 prose(散文)s. He is a figure as well who left the most records in terms of calligraphy and painting(書畵) in the end of the Goryo Dynasty period. As for a modern scholar’s evaluation on Mokeun(牧隱), he is rated mostly as having Jaedo-based(載道的) literary view. However, Mokeun(牧隱) tended to show ‘Munjongdochul(文從道出)’ that affirmed the literary effective value. Because of this, even Mokeun(牧隱) himself left many poetic works. Moreover, as Sadaebu(士大夫) who learnt Jujahak(朱子學), which is neo-confucianism, most of his literary men became a leading figure in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Thus, the tradition of affirming the literary effective value was continued until before the appearance of Sarimpa(士林派) in the mid-Joseon period. Munjongdochul(文從道出) as saying that this literature(文藝) of including calligraphy(書藝) needs to come from Do(道) is demanded cultivation(修養) so that literature and Do(道) can become the same stage. It was recognized that doing so leads to being available for the united stage of literature(文藝) and Do(道) and to what such calligraphy is true one. Hence, Nonseosi(論書詩, Discussible Poetry) that Mokeun(牧隱) described on writing recited natural scenery or objects, thereby having indicated the united state with Do(道). In this way, the natural objects that Mokeun(牧隱) expressed in poetry allowed a reader to have an opportunity of fostering an individual temperament(性情). Accordingly, the tendency was manifested that aims for a poetical style with Pyeongdam(平淡) and that hesitates to decorate sentence with a florid rhetoric(修辭法). This matter is closely related to the theory of poetic utility(效用論). With regard to King Gongmin(恭愍王)’s writing that left the most critical comment, six beautiful elements were suggested. And the six things that were presented corresponded to both the image of ideal king and the shape of Gunja(君子) that are requested in confucianism. That is to say, a king’s writing was emphasized with being regarded as the extreme point, which will need to be emulated by people, and as Gunja(君子)’s virtue, which originated from a king’s Deokhwa(德化). The critical style of poetry did put forward the possession of clean and elegant character with likening it to natural objects, and mentioned that even writing is naturally excellent because of having come from such clear personality. Unlike the poems by Lee Gyu-bo or Lee Gok, Lee Saek(李穡)’s poetry can be noticeably seen an interest in natural objects like ‘sky(天)’·‘wind(風)’·‘mountain(山).’ This shows the united state with Do(道) through natural objects. This seems to have intended to ultimately enlighten the contemporaries through poetry and prose(詩文).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혼란했던 왕조교체기를 살아가며, 원나라에 유학하고 귀국하여 주자학의 보급에 공로가 큰 학자이자 문인이었다. 그는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며 신진사대부들을 양성하여 유종(儒宗)으로 추앙되기도 하였지만, 6000여 수의 시(詩)와 200여 편의 산문(散文)을 남긴 대문호이기도 하였다. 여말 서화(書畫)에 관한 가장 많은 기록을 남긴 인물이기도 하다. 목은에 대한 현대 학자의 평가는 대체로 재도적(載道的) 문학관을 지녔다고 평가하지만, 목은은 문예의 효용을 긍정한 ‘문종도출(文從道出)’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때문에 목은 자신도 많은 시작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그의 문인들은 신유학(新儒學)인 주자학을 익힌 사대부(士大夫)로서, 대부분 조선 건국의 주역이 되었음으로 문예를 효용을 긍정하는 전통은 조선 중기에 사림파(士林派)가 등장하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이러한 서예(書藝)를 포함한 문예(文藝)는 도(道)로부터 나와야 한다는 문종도출은, 문예가 도와 같은 경지가 되도록 수양(修養)이 요구된다. 그래야 문과 도가 합일된 경지를 이룰 수 있고, 그러한 서예가 진정한 서예라고 인식하였다. 그렇기에 목은이 글씨에 대하여 묘사한 논서시(論書詩)는 자연의 풍경이나 사물을 읊음으로써 도와 합일된 경지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목은이 시에서 나타낸 자연 사물을 통하여 읽는 독자가 개인이 성정(性情)을 함양하는 계기가 되도록 하였다. 그래서 평담(平淡)한 시풍을 지향하고 화려한 수사법(修辭法)으로 문장을 꾸미는 것을 꺼리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점은 시의 효용론(效用論)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가장 많은 비평을 남긴 공민왕의 글씨에 대해서는 여섯 가지 아름다운 요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여섯 가지는 유학에서 요구하는 이상적인 임금상이요 군자(君子)의 형상이었다. 곧 임금의 글씨는 사람들이 본받아야 할 극치 점이요, 임금의 덕화에서 나온 군자의 덕이라 여겨 중시하였다. 시의 비평방식은 자연의 사물에 비유하면서 맑고 고아한 인품을 가졌음을 제시하고, 그러한 맑은 인품에서 나온 것이기에 글씨도 저절로 훌륭하다고 했다. 이색의 시는 이규보나 이곡의 시와는 달리 ‘천(天)’·‘풍(風)’·‘산(山)’과 같은 자연물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짐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자연물을 통하여 도와 합일된 경지를 나타내고, 이는 결국 시문을 통하여 동시대 인을 교화하려는 의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경남 산청지역 목활자본 문집의 간행양상

        송정숙 한국서지학회 2016 서지학연구 Vol.68 No.-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som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91 volumes of collections of works printed by wooden movable-type at Sancheong-gun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author analyzed type of collections of works, their birth year and the family name of the author, the place and the year, and the publisher of the publication, and the printers of these different 91 kinds of the collections of wor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llections of works demonstrate their forefathers’ academic competencies. The types of collections of works were divided into 3 types, Munjip(文集), Yujip(遺集), and Silgi(實記). Of the collections of works 60% were Munjip. The authors were local intellectuals. Of these authors 59% of authors were born in the 19th century. Thirty one lineage groups published collections of works at Sancheong-gun. In terms of place, 58% of the collections of works were published in the worshipping halls for their ancestors. Seventy eight percent of the publications were published from 1893 to 1939. More than half of the collections of works were published within 50 years after the author had died. Of these 75% of the book printers were from Sancheong-gun. 이 연구는 영남지방에서 목활자본 간행이 가장 활발하였던 경남 산청지역에서 간행된 91종의 목활자본 문집을 대상으로 문집의 유형, 저자사항, 간행사항, 형태사항 등을 분석함으로써 경남 산청지역에서 목활자본 문집 간행의 구체적인 양상과 출판문화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1) 학문적 역량이 뛰어난 현조(顯祖)가 있음을 증거하는 문집을 문집, 유집, 실기로 3구분하고, 문집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문집은 60%, 유집과 실기가 40%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1인의 시문으로 이루어진 별집이었다. 2) 산청에서 조식과 그 학통을 잇는 학자의 문집은 모두 목판으로 인출되고 목활자로 간행되지 않았다. 목활자본 문집의 저자는 주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학문 활동하는 지식인이었다. 3) 목활자본 문집 저자 91인의 출생연도를 분석하면. 저자의 59%(54인)가 19세기에 출생한 것으로 보아 저자는 19세기와 20세기에 활동한 인물이 대다수임을 알 수 있다. 4) 문집 저자의 성관(姓貫)을 분석하면, 문집을 간행한 31개 성씨 가운데 27개(80%) 성씨가 문집 1-2종을 간행하였고, 안동권씨가 가장 많은 23종의 문집을 간행하였다. 다음은 성주이씨(9종), 밀양박씨(8종), 여흥민씨(7종), 상산김씨(5종)의 순이다. 5) 문집의 간행은 현조의 제향공간인 재실이나 종가 등의 개인집, 누정(당 포함) 등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이는 목활자본 문집 간행이 혈연공동체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말해 준다. 6) 목활자본 문집의 간행년을 분석하면, 가장 많이 간행된 시기는 23종(25%)이 간행된 1930년대이고 1920년대, 1900년대, 1890년ㆍ1910년대의 순이다. 이로써 목활자본 문집은 한말과 일제강점기에 대다수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7) 저자 사후 문집 간행에 소요되는 기간을 분석하면, 문집은 과반수가 저자 사후 50년 이내에 간행되었다. 문집이나 유집은 저자 사후 300년 이내에 다 간행되었는데 비해, 실기는 대부분 저자 사후 150년 이후에 간행되었다. 8) 목활자본 출판에 대한 수요가 많았던 산청은 종이재료인 닥나무가 자생하고 있으며, 문집 간행에 대한 높은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인쇄자, 즉 각수 또한 다수(75%) 확보하고 있었다. 9) 목활자본 문집의 권책수와 문집의 유형과의 관계를 분석하니, 1책의 비율이 실기(80%), 유집(70%), 문집(32%)의 순으로 실기가 가장 권책수가 적고, 문집이 권책수가 가장 많았다. 실기는 저자 사후 오랜 기간이 경과되고 난 후 편찬ㆍ간행되었기 때문이다. 10) 목활자본 문집의 판식을 분석하니, 항자수는 19, 20세기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1900년대에 사주쌍변이 증가하고, 1950년대 이후에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 대신에 상이엽화문어미가 대세임을 알 수 있었다. 산청지역 간행 목활자본뿐 아니라 목판본, 석판본, 신연활자본 등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조사, 연구함과 아울러 이 연구를 다른 지역으로, 나아가 광역 단위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경남 함안지역의 목활자본 문집 간행양상

        송정숙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4 No.-

        이 연구는 경상남도 함안지역에서 간행된 68종의 목활자본 문집을 대상으로 문집 간행의 구체적인 양상과 출판문화사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우선 함안의 역사, 함안의 인물, 함안의 서원과 책판 조사를 통해 목활자본 문집 간행의 사회ㆍ문화적 배경을 살펴보고, 목활자본 문집 68종을 대상으로 문집의 유형, 저자사항, 간행사항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1) 문집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전체 문집 68종 가운데 문집은 41종(60.3%), 유집은 16종(23.5%), 실기는 11종(16.2%)이다. 전체 68종의 문집 가운데 1인의 시문집인 별집(別集)은 67종(98.5%)이고, 2인 이상의 시문집인 합집은 1종(1.5%)으로 『모암송계합고』가 유일하다. (2) 목활자본 문집 68종 가운데 출생연도가 파악된 저자 66인의 출생연도를 분석해 보면, 저자 66인은 모두 조선 시대 인물로서 15세기 전반인 1436년에 출생한 『매헌선생실기(梅軒先生實記)』의 이인형(李仁亨)부터 19세기 후반인 1893년에 출생한 『금계집(琴溪集)』의 조우식(趙祐植)까지 457년의 간극이 있다. 함안지역의 목활자본 문집 저자 66인의 출생연도 분포를 100년 단위로 분석해 보면, 15세기 5인(7.5%), 16세기 14인(21.2%), 17세기 ․18세기 9인(13.6%), 19세기 29인(43.9%)으로 19세기 인물이 가장 많고, 다음이 16세기이며, 17세기․18세기, 15세기의 순이다. (3) 목활자본 문집 68종을 간행한 저자 68인의 성관은 모두 21성씨이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목활자본 문집을 간행한 성관은 15종을 간행한 함안조씨이고, 다음은 10종을 간행한 순흥안씨, 다음은 7종을 간행한 창원황씨, 다음은 5종을 간행한 재령이씨와 성산이씨, 다음은 4종을 간행한 광주안씨와 김해김씨, 다음은 3종을 간행한 인천이씨, 다음은 2종을 간행한 경주박씨와 장수이씨이며, 1종의 목활자본 문집을 간행한 성관은 경주김씨 등 11성씨이다. (4) 경남 함안지역에서 간행된 목활자본 문집 68종은 모두 19세기 이후에 간행되었는데, 이 가운데에서도 20세기 전반부인 1900년~1949년까지의 50년 동안에 전체 68종 가운데 75%에 해당하는 51종이 간행되고 20세기 후반부인 1950년~1973년 까지 11종이 간행되어 20세기에 62종(91.2%)이 간행되었고, 19세기에 5종(7.4%)이 간행되어 함안에서 대부분의 목활자본 문집이 20세기에 발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5) 경남 함안지역에서 간행된 68종의 목활자본 문집은 저자 사후 2년부터 사후 492년까지 문집이 간행되었다. 전체 문집 68종 가운데 100년 단위로 보면, 목활자본 문집은 저자 사후 1-100년 사이에 32종(47.1%)이 간행되었으며, 저자 사후 101-200년 사이에 11종(16.2%), 저자 사후 201-300년 사이에 13종(19.1%), 저자 사후 301-400년과 401-500년 사이에 4종(5.9%)이 간행되었다. (6) 문집 68종 가운데 문집의 간행소를 파악할 수 있는 문집은 34종이다. 함안지역에서 간행된 목활자본 문집의 발생소를 분석한 결과 재실(齋室)이 14종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누정(9종), 서당(4종), 서원(2종) 순이다. (7) 함안지역의 목활자본 문집 68종 가운데 권말의 판권지가 있는 책은 16종으로 인쇄자, 즉 각수는 함안의 이장호, 이현량, 국진호, 이의갑, 임기후, 진기술 등 6인, 고령의 전해택, 합 7인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진주, 의령 등 인근 지역의 연구와 비교하면 함안지역 목활자본 문집간행의 독자성이 더욱 명료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some aspects of the publication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publishing and cultural history of 68 volumes of collections of works printed by wooden movable-type at Haman county area in Gyeongnam Province. First of all, the history of Haman, the figures of Haman, the Confucian Academy and the printing woodblocks of Haman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publishing. The author analyzed type of collections of works, their birth year and the family name of the author, the place and the year of the publication, and the printers of these different 68 kinds of the collections of wor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llections of works demonstrate their forefathers’ academic competencies. The types of collections of works were divided into 3 types, Munjip(文集), Yujip(遺集), and Silgi(實記). Of the collections of works 60% were Munjip. The authors were local intellectuals. Of these authors 44% of authors were born in the 19th century. Twenty-one lineage groups published collections of works at Hamam area. Seventy-five percent of the publications were published from 1900 to 1949. In terms of place, most collections of works were published in the worshipping halls for their ancestors. Forty-seven percent of the collections of works were published within 100 years after the author had died. Of these 86% of the book printers were from Haman area.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mpared with studies in nearby areas such as Uiryeong, Jinjoo, it is expected that the uniqueness of the Haman area will be revealed more clearly.

      • KCI우수등재

        목둘레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강지현,유병연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2

        연구배경: 최근 단순 비만 지표로서의 목둘레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목둘레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이에 한국 성인 남녀에서 목둘레와 심혈관계 위험인자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률 등과 비만 지표로서의 목둘레의 유용성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일개 대학 병원 종합 검진 센터에 내원한 남녀 292명을 대상으로 목둘fp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상관관차를 알아보고 목둘fp를 4분위 (quartiles)로 나누어 가장 낮은 목둘레 4분위군과 가장 높은 목둘레 4분위군 간 심혈관계 질환들의 교차비 (odds ratio)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해 보았다.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률 등과 비교하여 목둘레가 독립적으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인지를 단계별 다중 회기 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목둘레는 남자에서 수축기 혈압 및 요산, 여자에서 이완기 혈압. 총콜레스데롤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과 유의한 상관관차를 보였으며, 가장 높은 목둘레 사분위군에서 가장 낮은 목둘레 사분위군에 비해 HOMA score는 남자 29.2배, 여자 5.1배 증가하였곤, hsCRP는 남자2.0배, 여자 6.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별 다중 회기 분석에서 목둘레는 다른 비만 지표들에 독립적으로 남자에서는 이완기 혈압. 혈당,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시 인슐린, HOMA score, 여자에서는 공복시 혈당, 고밀도 콜레스테롤, 공복시 인슐린 HOMA score의 변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목둘레는 인슐린 저항성 및 hsCRP의 상승과 관련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과 연관되어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증가되어 있는 비만 환자의 선별 검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association of neck circumfernce with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thods: We examined 292 persons, who visited a health examination center. The correlation between neck circumference and othe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as tested, and the odds ratio was calculated for variou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he highest quartile of neck circumference compared to lowest. We u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find out whether the neck circumference could be the independent variable to other obesity indices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Results: Neck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except diastolic blood pressure, uric acid in men and systolic blood pressure, total and LDL cholesterol in women. This odds ratio for HOMA score in the highest quartile of neck circumference compared to lowest was 29.2 in men, 5.1 in women, and for hsCRP the odds ratios was 2.0 in men, 6.6 in women.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neck circumference accounted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total and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insulin, HOMA score in men, glucose, HDL cholesterol insulin, HOMA score in women independently to other obesity indices. Conclusion: Neck circumference is associated with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and hsCRP. The measurement of neck circumference could be useful in clinical screening for obese person at an enhanced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목공교육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지혜,이건남,최지연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actices of woodwork education through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and to seek the meaning of woodwork education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in the courses.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was used in this study. Three teachers who are practicing woodwork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implementing woodwork education majored in practical art education at universities. Also,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s to create various daily supplies in the growth process, and are interested in making objects with wood. They did not receive any special training related to woodworking after they became teachers. However, they started their self-study by their personal interest and currently possessed woodworking skills that they could make various daily supplies for themselves. Second, the 3 research participants simply did not place any emphasis on creating works. They designed classes that students could discover knowledge by themselves and developed their skills in the woodworking process. In addition, they implemented woodwork education by purchasing woods directly. Third, the meaning of woodwork education that the 3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was that students could learn to be patient, thoughtful and cooperative, and teachers could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in the process of woodwork education. Also, the meaning in the practical art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as that fellow teachers of the 3 research participants became interested in woodworking classes by seeing their classes and by constructing actual training equipments such as basic woodworking tools. Fellow teachers were also interested in practical art education and woodwork education by participating in writing practical art education curriculum.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목공교육 실행 과정을 내러티브 탐구기법으로 분석하여 목공교육의 실행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목공교육의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초등학교에서 목공교육을 성실히 실행하고 있는 3인의 교사를 면담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 목공교육을 실행하는 교사의 특성은 세 교사 모두 대학에서 실과를 전공하였으며, 성장과정에서 나무를 사용하여 다양한 생활용품을 만들어 본 경험이 있고 목재를 가지고 물건을 만드는 것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에서 목공교육을 실행하는 교사들의 목공교육 실행 양상은 세 교사 모두 목공교육을 통해 단순히 작품을 만드는 것에 주안점을 두지 않고, 학생들이 작업 과정에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성숙한 모습으로 나갈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목공교육을 실행하는 방법으로는 공통적으로 세트화 된 재료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판재를 구입하여 수업하였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목공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들이 인식한 목공교육의 의미는 학생들에게 있어서는 인내심과 배려심, 그리고 협동심을 기를 수 있었으며, 교사는 목공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교사로서 전문성이 신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세 교사의 목공수업을 본 주변 동료교사들이 목공수업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 목공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본 목공도구, 목공실 등 실습 장비를 구축한 것, 그리고 실과교육과정 집필에 참여하여 교사들이 실과교육과 목공교육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등 실과교육과 학교환경에도 의미가 있었다.

      • KCI등재

        프리즘에 굴절된 근세동아시아의 목민사상

        이희복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4 No.-

        본고는 근세동아시아의 목민사상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목민사상이란 백성을 양육한다는 통치행위를 위정자의 정치사상에 가탁한 것이다. 즉 백성을 통치하는 위정자의 마음가짐을 민본주의에 둘 것을 강조하고 동시에 위정자의 자질로서 수기치인의 의해 완성된 인격체를 요구하는 정치사상이다. 근세동아시아에서 대표적인 목민사상가에 장양호가 있다. 중국원대에 관료생활을 두루 경험한 장양호는 지방관리 차원의 『목민충고』를 비롯해서 중앙고위관료 차원까지 이른바 관료들의 정치지침서로서 삼부작을 완성하였다. 이 삼부작이 합본되어 간행된 것이 『위정충고』이며 『삼사충고』이다. 삼부작은 중국은 물론 근세동아시아 보편사상으로서 조선과 일본에도 전래되었다. 하지만 그 수용형태는 달랐다. 특히 19세기 일본정치계에서 주목받으며 수용된 장양호의 삼부작은 20세기 중엽에 『위정삼부서』로서 발간되면서 목민사상의 유용성과 보편성을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반면 근세한국에 수용된 것은 삼부작이 아닌 『목민충고』뿐이며, 1578년까지 3차례나 간행되었지만 현존하는 한국판 『목민충고』는 없다. 조선시대에 주목받은 것은 중국명대에 간행된 『목민심감』의 목민사상이었으며, 그 목민사상의 발전선상에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가 있었다. 21세기인 현재 『목민심서』에 관한 연구 열기는 뜨겁다. 하지만 통설로서 평가할 만큼 체계적인 단행본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왜일까.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Mokmin Thought of early modern East Asia. The Mokmin Thought means the governance act of nurturing the people is being on the pretense of the politicians' political idea. In other words, it is the political thought that emphasizes on the mindset of the politicians to be put in the democracy, and at the same time it requires the quality of the politician to be a complete character who has cultivated oneself so as to govern others. There was a great Mokmin thinker, Zhang Yanghao in the early modern period of East Asia. He himself was a widely experienced official during Chinese Yuan Dynasty, wrote “Mokmin Advice(『牧民忠告』)”for the local officials, and completed a trilogy as a so-called political guidance even for the central high-ranking officials. This trilogy was bound in one volume and published as “Governance Advice(『爲政忠告』)”, which later was called “Three Affairs Advice(『三事忠告』)”. The trilogy was of course transmitted to Joseon and Japan as universal thought of early modern East Asia. However, it received different acceptances. In particular, it had attentions from the Japanese politics of the 19th century, and later published as “Governance of Three Parts Book(『爲政三部書』)” in the mid-20th century. This book demonstrated the usefulness and universality of the Mokmin Thought in its fullness. In contrast the one accommodated by early modern Korea was not the trilogy, but “Mokmin Advice” only. It was published three times until 1578. However, no Korean version of “Mokmin Advice” is in existence. During Joseon Dynasty, a lot of attention was given to the Mokmin Thought from “Mokminsimgam(『牧民心鑑』)” which was published during Chinese Ming Dynasty. On the development of Mokmin Thought, there was Dasan Jeong Yakyong's “Mokminsimseo (『牧民心書』 : The Mind of Governing the People)”. The research about the “Mokminsimseo” has aroused intense scholarly interest in this 21th century. Hevertheless, there is no systematic book published which can be appraised as a general view. WHY?

      • KCI등재

        만화 목호의 난-1374 제주의 스토리텔링에 나타난 변방성

        김진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7

        The Comics <Mokho’s Rebellion - 1374 Jeju> recounts the historic event of Mokho’s Rebellion in 1374 Jeju. Historical records explain the event as a rebellion in which Mokho’s (literally, nomads from the north, which refers to Mongolians living in Jeju at the time) of the Yuan Dynasty raised their arms against Goryeo, who dispatched troops to quell the revolt. This perspective of the ‘center’ spread to Jeju, a ‘fringe’ region. The comics question this mainstream account, and reiinterprets the historical event. The artist retells the story of the rebellion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s a struggle over the control of the Jeju islan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power dynamics among the Yuan Dynasty, the Myng Dynsty, and Goryeo. The comics feature the narrative of a Jeju woman married to a Mokho, which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okho’s and the islanders cannot be reduced to a ruler-subject relationship. The comics also highlight similarities between the rebellion and other historical events in Jeju caused by outsiders, such as the 4·3 Incident and the construction of the Gangjeong Naval Base. Thus, the artist reinterprets the rebellion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s between Jeju and Goryeo, and Jeju islanders and Mokho’s. The comics approaches Mokho’s Rebellion, a historical fringe expunged from the center’s perspective, by taking on the viewpoint of Jeju islanders, which has not been given due attention.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center’s perpsective causes locals to remove their own voices without knowing it. The artist departs from the center-oriented concept of monoethnicity, and stresses the importance of restoring the fringe identity. He also points out that Jeju has been exploited repeatedly throughout history, not only by the state power but also by the economic power. He reveals the threat from the outside hidden behind the image of Jeju as a popular tourist destination. To many, Jeju is a place of healing and rest. To the artist, Jeju is characterized by repeated tragedies that penetrate the island’s history. As discussed above, <Mokho’s Rebellion - 1374 Jeju> retains its contemporary relevance by shedding new light on a specific historical event that took place in a specific place, and telling the story in a way that preserves and reveals its fringe identity. 만화 「목호의 난-1374 제주」는 1374년 제주에서 일어난 전쟁인 ‘목호의 난’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다. ‘목호의 난’에 대한 역사 기록들은 제주에 주둔한 원나라의 목호들이 고려에 반기를 들자 고려 정부에서 군사를 파견하여 목호를 진압한 사건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중앙의 시각은 자연스럽게 변방인 제주까지 이어지고 있다. 만화 「목호의 난-1374 제주」는 이러한 시각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역사적 사건을 재해석하고 있다. ‘목호의 난’을 거시적 관점에서 재현하면서 원나라와 명나라, 고려의 국제적 역학 관계 속에서 제주에 대한 주도권을 두고 발생한 사건으로 그려낸다. 또한 목호와 혼인한 제주 여성의 서사를 통해 제주인과 목호의 관계가 단순히 지배-피지배 관계에 그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목호의 난의 성격이 제주의 4·3, 강정해군기지 등 외부 세력에 의해 발생한 제주의 역사적 사건들과 유사하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작가의 역사 서술 태도는 ‘목호의 난’을 제주와 고려, 제주와 목호의 관계로 재해석한다. 중앙의 시각에서 배제되어 온 역사의 변방인 ‘목호의 난’을 제주인의 입장을 반영한 변방의 시각에서 접근하면서 주목받지 못하던 제주인의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중앙 중심 사고의 무비판적 수용은 지역 스스로가 자신의 목소리를 거세하고 있음을 자각하지 못하게 한다. 작가는 단일민족국가라는 인식 속에서 나타나는 맹목적인 중심 지향에서 벗어나 변방의 주체성 회복을 강조한다. 그리고 통시적 관점에서 국가 권력에 의한 행위뿐만 아니라 경제 권력에 의한 제주의 수탈 행위가 제주 역사의 흐름 속에서 반복적 나타난다는 점을 제기하여, 관광지로 주목을 받는 제주의 이면에는 공동체에 대한 외부의 위협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처럼 제주는 표면적으로는 사람들에게 힐링의 공간이자 휴식의 공간으로 인식되지만, 작가가 인식하는 제주의 장소성은 비극의 역사가 반복되는 공간이다. 이상에서 만화 「목호의 난-1374 제주」는 개별 장소의 역사적 사건을 변방의 시각으로 재조명하면서 변방성을 드러내는 스토리텔링 전략을 통해 현재적 의미를 획득하고 있다.

      • KCI등재

        박부용·홍소월의 가창방식 분석연구 -경기12잡가 <유산가>에 사용된 목기교를 중심으로-

        최세은 ( Choi Se-eun ) 한국음악사학회 2017 한국음악사학보 Vol.58 No.-

        가창방식이란 노래 부르는 것에 대한 방법과 방식 일체인데, 이는 노래부르는 사람이 목을 기교적으로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선율의 곡조가 유사하더라도 부르는 사람마다 음악적 질감이 다른 것은 가창자의 목기교 구사 방식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목기교는 그 음악적 유형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만드는 실질적 요소인 것이다. 이러한 목기교를 밝히는 것은 곧 창자가 노래 부르는 방식의 구성 원리와 나아가 그 전모를 밝히는 것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그간에는 노래 부르는 방식은 개인의 개성이나 경험에 따른 것이라 간주되어 학술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목기교가 분자와 같이 작은 의미 단위들의 구성 및 결합이라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가창방식에 관한 학술적 계측·계량을 시도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특히 그간에 조명되지 못했던 일제강점기 창자이자 당시의 스타였던 박부용·홍소월을 선정하였다. 이들이 취입한 곡목 중 경기 12잡가의 백미로 꼽히는 <유산가>를 대표로 두 창자가 구사한 목기교의 유형과 양상을 파악하였다. 우선 선행의 채보 자료를 검토하고 그것에 사용된 시각적 기호를 차용 및 재설정함으로써 객관성과 공동의 합의를 얻은 부호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목기교의 유형은 떠는목·미는목·흘리는목·끼는목·뻐드렁목·속목·감는목·굴리는목·치는목의 9가지로 대분류되었으며, 제Ⅲ장에서 마루별로 목기교가 쓰인 지점인 사용음에 따라 그 용례를 확인하였다. 이는 다시 선율진행형·꾸밈·속도·발성·강약의 다섯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세부적으로 설명하였다. 박부용·홍소월 창의 <유산가>에서 최종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목기교는 떠는목이다. 그리고 치는목, 감는목, 끼는목, 뻐드렁목, 굴리는목, 속목의 순서로 사용되었고 미는목, 흘리는목은 등장하지 않았다. 특히 떠는목, 치는목은 모든 마루에서 나타난다. 두 창자는 음악적으로 지루하지 않게 끼는목, 굴리는목, 뻐드렁목을 사용할 뿐 아니라, 음색과 음질적으로 분명하게 차이를 느끼게 하는 속목을 구사하기도 하였다. 또한 음악의 절정에 해당하는 마루에 다채로운 목기교를 구사함으로써 음악을 고조시키고 흥미로운 진행을 이끌어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박부용·홍소월은 음악적 내용과 연관하여 목기교를 어디에서 사용할지 판단하는 능력, 즉 목기교의 구성 방식과 다양한 유형의 목기교를 구사할 수 있는 음악적 기량 등이 탁월한 창자라 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박부용·홍소월 <유산가>의 목기교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가창의 구성 원리를 밝히고자 하였는데, 크게 세 가지 점에서 의미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박부용과 홍소월의 <유산가>를 최초로 학술적 자료로 채보했을 뿐아니라, 그 실제 가창을 시각적 기호로써 재현하고 학술적·합리적 방법으로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둘째, 노래 부르는 방식과 같이 창자의 개성과 임의성이 강조된 음악적 특징을 악보로 재현해낼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면, 앞으로 잡가 뿐 아니라 전통 성악의 연구로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창에 있어 적확한 지시를 가능하게 하여 교육의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목기교 분석은 다양한 유형의 가창방식이 구성되는 원리와 그것이 지닌 가치와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작금과는 다른 노래의 유형이자 전통사회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옛적의 노래부르는 방법을 지금 시대에서 환기시킨다면 옛 소리의 복원이나 응용의 가능성도 열 수 있으리라 예상한다. The singing style is the method and manner about singing a song. It appears differently way depending on how the singer uses his vocal technique. That each singer`s musical feel is different although the tunes of the melody are similar is attributed to the singers` way to make use of the vocal technique. That is, the vocal technique is the substantive element which makes its musical type diverse and abundant. Revealing this vocal technique is directly connected with revealing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the singers` singing method and its full account. The singing method has been considered to be a thing following the personal individuality or experience and has not been dealt with academically. However, a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vocal technique was the constitution and combination of the small meaning units like the molecule, the academic measuring and gauging on the singing method were attempted. In this paper, Pak Pu-yong 朴芙蓉 and Hong So-wol 洪素月 were selected who were the singers and st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type and aspect of the vocal technique both singers made use of were apprehended through Yusan`ga 遊山歌 chosen as the best of Kyonggi sibi chapka 京畿十二雜歌 among the song list they recorded. First of all, the mark obtaining the objectivity and common consensus was set by borrowing and resetting the visual sign used for the precedent score data. As a result, the type of vocal technique was classified into 9 things: ttonun mok 떠는목, minun mok 미는 목, hulinun mok 흘리는목, kkinun mok 끼는목, ppodurong mok 뻐드렁목, songmok 속목, kamnun mok 감는목, kullinun mok 굴리는목 and ch`inun mok 치는목 and the example of the use note, the spot where the vocal technique was used according to each period in chapter Ⅲ. It was explained in detail in the light of 5 elements: melody progress, decoration, speed, vocalization, and dynamics. The vocal technique used much finally in Yusan`ga by Pak Pu-yong and Hong So-wol is ttonun mok followed by ch`inun mok, kamnun mok, kkinun mok, ppodurong mok kullinun mok, songmok, and minun mok and hulinun mok did not appear. Especially ttonun mok and ch`inun mok appear in all periods. Both singers not only used the kkinun mok, kullinun mok, and ppodurong mok not to be boring musically but also made use of songmok. Also it was confirmed they elevated the music and attracted the interesting progress by making use of a variety of vocal techniques in the period applicable to the peak of music. It is confirmed through it that Pak Pu-yong and Hong So-wol have the ability to judge where to use the vocal technique in association with the musical contents and have the excellent musical capability to make use of various types of vocal techniques while knowing how to constitute the vocal technique.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eal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singing by analyzing the vocal technique of Yusan`ga by Pak Pu-yong and Hong So-wol it is significant in three points. First, this study tried not only to make Yusan`ga by Pak Pu-yong and Hong So-wol into the academic material for the first time but also to reproduce the real singing into the visual sign and understand the constitution principle in an academic and rational way. Second, if it suggests the methodology that can reproduce the musical characteristic emphasizing the singer`s individuality and temporality into the score like the singing method, it will be able to be expanded to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voice as well as the folk song in the future. It will enable the exact directions in singing, contributing to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 Third, the vocal technique analysis can be a methodology that can confirm the principle various types of singing methods are constituted, and the value and meaning it has. Therefore, if the way to sing an old song that is a different type of song from these days was formed naturally in the traditional society is educated in present times, it is expected the old sound will be able to be restored or applied.

      • KCI등재

        5세기대 木氏를 중심으로 한 百濟와 倭의 고찰

        洪性和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9

        5세기대에 『三國史記』, 『日本書紀』와 중국의 사료에 동시에 등장하고 있는 백제 木氏의 존재는 매우 흥미로운 인물군으로서 본고는 木氏를 중심으로 하여 5세기대 백제와 왜의 실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木羅斤資의 아들로서 5세기대에 활약했던 木滿致의 경우가 백제 木氏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구이신왕 치세에 백제에서 활약했던 木滿致가 비유왕의 등극 이후 정세의 변화에 따라 왜국에 갔던 정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당시 구이신왕이 모종의 정변으로 서거한 이후 백제와 왜 왕실의 갈등이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木滿致는 비유왕의 치세가 끝난 이후에 돌아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木滿致의 행적은 5세기대 전남 지역에 木氏와 姐氏에게 작호가 제수되었던 정황과 이를 통해 영산강 유역에 前方後圓形 古墳이 조성되었던 배경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紀氏의 경우도 백제의 木氏의 범주에서 고찰할 수 있는데, 紀生磐宿禰의 반란 기사를 통해 木滿致 이후 가야에 木氏 관련 씨족에 의한 백제의 영항력이 지속되었던 정황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紀生磐宿禰의 반란과 관련한 爾林의 지명에 대해 소백산맥 일원 단양의 독락산성에 비정하였다. 木氏의 경우,『日本書紀』의 번국사관으로 윤색되어 왜왕에 의해 소환되거나 왜인인 것처럼 기록되어 있지만, 실상은 5세기대에 가야에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왜와 통교했던 백제의 귀족이었다. 백제 木氏는 당시 백제가 고구려와 대항하는 상황에서 백제와 왜가 교류하는 데에 중요한 고리 역할을 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by focusing on the Mok clan (木氏) of Baekje (百濟) and to re-establish knowledge of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5th century. Ilbonseogi (日本書紀) documents show that the Mok-Manchi (木滿致), Gigak-skune (紀角宿禰), and Giseangban-skune (紀生磐宿禰) worked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archipelago in the 5th century. First, we can observe, from the comings and goings of the Mok-Manchi (木滿致) between Baekje (百濟) and Wa (倭), that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the royal families of Baekje (百濟) and Wa (倭). There is archeological data connected with the ancient Japanese in the ancient Youngsan River (榮山江) area. We also know because Baekje's people, the Giseangban-skune (紀生磐宿禰), rebelled against Baekje (百濟) in the late 5th century. The documents of the Giseangban-skune (紀生磐宿禰) are especially helpful in revealing that Irim (爾林), Gokuryeo, and Baekje had been fighting through the 5th and 6th centuries in the region of the Sobaek Mountains.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5th century properly only if we recognize the Mok clan (木氏) and the Ki clan (紀氏) as belonging to Baekje, not Yama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